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뇌혈관질환 환자에 대한 청심연자탕(淸心連子湯), 도담탕(導痰湯), 혈부축어탕(血府逐瘀湯), 보신익뇌탕(補腎益腦湯)의 간기능과 신기능 안전성 평가 : 후향적 연구

        김민화,조임학,남이랑,김마리아,구기범,이세연,권정남,이인,홍진우,윤영주,김소연,한창우,박소정,최준용,신현규,Min-hwa Kim,Im-hak Cho,I-rang Nam,Maria Kim,Ki-beom Ku,Se-yeon Lee,Jung-nam Kwon,In Lee,Jin-woo Hong,Young-ju Yun,So-yeon Kim,Chang-woo Han 대한한방내과학회 2023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44 No.3

        Objectives: As Korea transitions into an aging society, the incidence of cerebrovascular disease is expected to increase. Herbal medicine is commonly used in Oriental medicine to treat cerebrovascular disease. However, there is insufficient clinical evidence to actively support the safety of herbal medicine in clinical practice.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toxicity and safety of four herbal medicines (Cheongsimyeonja-tang, Dodam-tang, Hyeolbuchukso-tang, and Boshiniknai-tang) in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disease. Methods: This study used electronic medical records to analyze patients admitted to an oriental medicine hospital from April 1, 2017, to December 31, 2020. Liver and renal function values at the time of admission and discharge were compared. Results: A total of 25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various variables, such as complete blood count, liver-renal function test, and urine, before and after the administration of the four herbal medicines. Additionally, no significant adverse events related to herbal medicine were observed.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e safety of the four herbal medicines in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disease who were hospitalized in a single Oriental medicine hospital.

      • KCI등재후보

        영아 그림책의 친숙성이 교사-영아 간 책읽기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김민화 ( Min Hwa Kim ),이송은 ( Song Eun Le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07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보육시설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영아 간 책읽기 상호작용이 그림책의 친숙성 정도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나타나는 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교사 1인과 영아 3인으로 구성된 책읽기 집단 10개에서 4권의 그림책을 읽는 과정에서 보이는 상호작용행동들을 비디오로 녹화 분석하였다. 4권의 그림책은 동물과 채소 등 동일 소재를 다루지만 구성 항목들에 있어서는 친숙성에 차이가 있는 책들로 선정하였다. 책읽기 상호작용행동은 교사의 지지적 읽기전략과 영아의 책읽기 몰입 행동으로 계산되었다. 연구 결과, 교사의 지지적 전략의 사용은 그림책의 내용이 친숙한 항목들로 구성된 책을 읽을 때 더 빈번하게 관찰된 반면, 영아의 책읽기 몰입은 항목의 친숙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항목의 친숙성을 넘어 소재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영아는 채소를 소재로 한 그림책을 읽을 때 훨씬 더 책읽기에 몰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보육시설에서 영아와 효율적인 책읽기 활동을 수행하기 위하여 고려하여야 할 사항들과 차후 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 the effect of familiar book on reading interaction between infant and teacher in day care center. The materials of the study are 4 picture books, in which matched two books include different items but treat equally on the same subjects. One subject is about animals; the other subject is about vegetables. One series of books were originally published in France and translated to Korean. In French picture books there were unfamiliar items with Korean. The other series were published in Korea and they have more familiar items with Korean than French books. Ten reading groups, composed of 3 infants (M=27.8 months, Range=24-30 months, N=30: 16 boys and 14 girls) and their one teacher, participated in the study. Reading interactions among them were videotaped and scored. The score of Infant`s Reading Flow (IRF) and the score of Teacher`s Supportive Reading Strategy (TSRS) were made by computations of various interaction scores. The results revealed that IRF sores are indifferent between familiar books and unfamiliar books. Instead, IRF sores are different between subjects of the books. Infants tend to absorb in reading the books about vegetables rather than about animals. But TSRS score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familiar books and unfamiliar books. Also TSRS scores are different according to subjects of the books. That is, TSRS scores are not different in the subject of animals but they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subject of vegetable. Through the discussions, we could insist on importance of the instruction which develop familiar methods to access to unfamiliar information during the reading book interaction.

      • KCI등재

        단편적 활동을 넘어 시적 경험을 나눌 수 있었던 유아교사의 동시 교육 경험 연구 - Charmaz의 구성주의 근거이론 접근 -

        김민화(Kim, Min-Hwa)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0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어떻게 하면 유아 동시 교육이 단편적인 활동에서 벗어나 시적 경험을 나눌 수 있는 활동으로 구현될 수 있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동시 활동의 전형적 방식의 내용과 영향요인, 맥락, 결과 등을 분석하여 실체이론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참여자는 15명의 경력교사였으며 개인적 희망에 따라 2-4회까지의 면담에 참여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한 구술 자료를 Charmaz(2014)의 구성주의 근거이론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초기코딩에서 54개의 범주와 초점코딩에서 14개의 범주를 구성했다. 최종적으로 이론적 코딩에서는 5개의 범주로 스토리라인을 구성했다. 즉, 유아 교사들의 동시 교육 경험은 즐거움이 사라지고 의무감만 남아있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은 교사의 능력부족이 아닌 경험부족 때문이었다. 여기에는 한계를 앞세우게 만드는 교육환경의 맥락도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유아교사는 관심과 나눔, 지지를 통해 힘을 얻을 수 있었으며 결국 유아에 대한 믿음과 스스로에 대한 확신으로 유아와 교사 모두가 시적 경험의 즐거움을 공유할 수 있는 동시 교육을 수행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양질의 동시 교육 활동을 위해 지원해야하는 것은 지식과 기술적인 측면이기보다 관계적인 측면에 있음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how poetry education can be implemented beyond fragmentary activities in activities that can share poetic experiences with young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substantive theory by analyzing the contents, influence factors, context, and results of experiences of preschool teacher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5 experienced teachers. They participated in 2-4 interviews based on personal wish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oral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using Charmaz"s constructivist grounded theory method, 54 categories in the initial coding stage and 14 categories in the focused coding stage were composed. Finally, in the theoretical coding, the storyline was composed of 5 categories. That is, the main phenomenon in poetry education experience of preschool teachers was an activity in which the joy disappeared and only the obligation remained. Even so, the cause of this phenomenon was not because of the teacher"s low abilities, but because of the lack of their experiences; there were influenced by the context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hich puts the limits first. However, the teachers were able to gain strength through concern, sharing and support, and in the end, they were able to carry out poetry education that both children and teachers could share the pleasure of poetic experiences with faith in the children and confidence in themselv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cessity of applying for high-quality poetry education activities was discussed in terms of relations, not knowledge and skills.

      • KCI등재

        여가활동이 빈곤아동과 일반아동의 인지 및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민화(Min Hwa Kim),곽금주(Keum Joo Kwak),김연수(Yeon Soo Kim)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2009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3 No.3

        This study presents empirical evidence to support that leisure activities have influence on developmental difference between poverty and non-poverty children, and to propose that leisure activities can be the protective factor for children with poverty. Total 3,450 children`s data about leisure activities and their developmental level(in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are collected from the data of the index studies for Korean child and adolescent`s development in 2009. And they a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poverty or non-poverty, according to income level of their families. Analysis of relationships among leisure activities, developmental level, and income groups(poverty or non-poverty) reveal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eisure activities and children`s development, the interaction effects of leisure activities and income levels on the children`s development. This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 who have a lots of leisure activities show the higher level of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although they are included in poverty group. Thus, we are able to consider leisure activities as a protective factor for children`s development with poverty.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아동문학교육 수업 사례 연구

        김민화(Min-Hwa Kim) 융복합지식학회 2021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Vol.9 No.1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PBL)의 교수법을 적용하여 아동문학교육 교과목을 운영 한 수업 사례에 관한 것이다. 설정된 PBL 과제는 ‘놀이 중심 그림책 읽기 활동 자료집 개발’이었으며, 수업이 PBL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기주도적 학습의 과정이 될 수 있도록 ‘문제 제시 및 확인’, ‘비계설정’, ‘자료수집’, ‘문제재확인 및 해결계획안 발표’, ‘문제해결안 발표 및 평가’의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참여 학생들은 경기도 S 대학교 유아교육학과에서 2019년 2학기에 개설한 아동문학교육을 수강한 1학년 학생 18명이었다. 학생들은 매일의 학습경험에 대한 성찰일지를 작성하면서 그림책 읽어주기 시연, 문제 해결을 위한 협력 학습 및 결과 발표, 동료 평가 및 자기 평가, 최종보고서 제출 등의 임무를 수행했다. 학생들은 PBL을 적용한 아동문학교육 수업에 대한 경험으로써 ‘불확실성의 어려움’이 있었지만 ‘빈 바탕에서 시작하는 수업의 장점’을 말했다. 또한 ‘어려웠지만 전공과 친해지게 만든 수업’, ‘함께 만드는 즐거운 경험’, ‘많은 과제에 대한 부담, 그러나 어느 하나도 뺄 수 없는 것’으로 자신의 경험에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하였다. 이에 논의에서는 본 연구의 사례와 같은 PBL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유아 교사로서 창의적 역량과 수업전문성 역량을 함양 할 수 있음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about a case of class in which the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was operated by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The PBL problem set in this class was ‘Development of a play-centered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resource book.’ And it consisted of the processes of ‘problem confirmation’, ‘scaffold setting’, ‘data collection’, ‘re-checking & planning to solve the problem’, ‘presentation and assessment of final problem solution’ so that the class can be a self-directed learning process to solve the PBL problem. Participants were 18 first grade students in the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S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taking the Child Literature Education course established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9. They performed tasks such as demonstrating reading picture books, collaborative learning to solve problems and presenting results, peer evaluation and self-assessment, and submission of final reports, while creating reflection journals on their daily learning experiences. Through the Children’s Literature Education class applying PBL, students experienced ‘difficulties of uncertainty’, but on the other hand, they were able to experience ‘the merits of classes starting from an empty background.’ In addition, students gave a positive meaning to their experiences with ‘class that made them familiar with their majors although it was difficult’, ‘pleasant experiences to make together’, and ‘the burden of many tasks, but none of them can be removed.’ In the discussion, it was suggested that students can cultivate creative competencies and teaching professional competencies as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PBL class as the case of this study.

      • KCI등재

        학교-지역사회 연계 문화예술교육 사례연구 - 원화전시와 낭독공연을 함께 한 그림책 창작 프로그램

        김민화(Min-Hwa Kim) 한국문화교육학회 2019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대학의 비교과 프로그램과 지역의 예술 활동 지원 사업을 연계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단일사례연구이다. 본 연구는 학교와 지역사회가 연계한 문화예술교육의 새롭고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할 필요에 의해 이루어졌다. 본 사례 프로그램은 사람, 자원, 공간의차원에서 학교-지역사회의 연계가 이루어졌으며 참여자들이 자신의 이야기를 예술작품으로 창작하는 기쁨을 느끼고 문화행사를 함께 만들어가는 과정을 통해 일상의 삶 속에서 문화예술을향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2018년 4월에서 6월까지 수행되었으며 지역사회 주민과 대학생이 함께 그림책 창작, 원화전시 및 낭독공연의 과정을 이수하였다. 또한 5명의 대학교수와 1명의 출판관련 전문가가 역할을 분담하여 교육과정에 참여했다. 결과적으로, 지역주민 4명과 대학생 8명이 프로그램의 전 과정을 완수했고, 12종의 그림책을 만들었으며 지역의 어린이도서관에서 원화전시와 낭독공연을 개최하였다. 참여자들에게 프로그램의 경험을 인터뷰한 결과, 자신이 양질의 문화예술교육을 받았고 자신을 돌아보는 치유의 시간을 가졌다고 정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새로운 학교-지역사회 연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사례를 탐구할 수 있었으며 향후 이러한 프로그램이 지역사회를 위한 하나의 문화를 형성할 수있도록 더 많은 홍보와 프로그램의 개선, 실질적인 지원의 필요성을 논의 하였다. This is a single case study which dealt with a case of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that link the university s non-disciplinary class with the Community Project for Arts Suppor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made to find a new and desirable direction of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 case program was designed to connect school and community in terms of people, resources, and spaces. The participants could enjoy cultural arts in daily life by creating their stories into artworks. Community residents and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rom April to June 2018 and completed the process of introducing picture book, exhibition, and reading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e program, 5 university professors and one publishing expert shared in their roles, and 4 local residents and 8 college students completed the entire program. Twelve kinds of picture books were made, and the original paintings of picture books displayed and reading concert was performed at the local children s library. Through the interviews for participants, this study could summarize the implications of the program, which college and community support together, students and local residents come together, experts from various fields involve in, can make the high quality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they reminded that all processes can have time for healing to look back on themselves. However, we discussed the need for further publicity, improvement of the program, and practical support so that these like programs could form a culture for the community.

      • KCI등재후보

        그림책을 활용한 다문화가정 지원 프로그램이 아동의 언어, 사회성, 자아개념 발달과 가정환경에 미치는 효과

        김민화 ( Min Hwa Kim ),남명자 ( Myung Ja Nam ),고태순 ( Tae Soon Koh ),정지나 ( Jee Nha Chu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0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취학 전 다문화 가정 아동의 성공적인 학교생활과 적응을 위하여 아동의 언어, 사회성, 자아개념의 적절한 발달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학적 접근법의 일환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부모참여 형태의 가정지원 프로그램이 가정환경을 변화시키는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 북부 소재의 만 4, 5세 다문화가정 아동 28명과 그들의 부모 28명이었으며, 그림책을 활용한 부모참여 프로그램을 주 1회 70분씩 총 12회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취학 전 아동의 수용언어 및 표현언어 발달척도, 유아성격검사, 유아용 자아개념 검사, 가정환경자극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 방법으로 빈도분석과 t 검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그림책을 활용한 부모참여 프로그램은 아동의 언어와 사회성을 향상시켰으며, 가정환경 중 부모의 반응성을 증진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그림책을 활용한 부모참여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의 취학 전 자녀의 발달과 부모의 역할수행을 지원하는데 효과적임을 제안할 수 있으며, 향후 그림책을 활용한 프로그램의 확장된 적용과 그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geared toward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of the language, sociability and self-concept of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verify the effect of it. It`s basically meant to step up the successful school adjustment of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 program was developed by utilizing picture books and taking a literary approach, and whether the program that called for parent involvement brought any changes to home environment was additionally check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8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28 parents in the northern area of Gyeongggi Province. The selected children were at the Western age of 4 and 5, and the adults were their parents.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ive program that made use of picture books was conducted 12 times, once a week, 70 minutes each. The instrument us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a preschool receptive and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scale, a preschooler personality inventory, a preschooler self-concept inventory and a family environments stimulation scale. As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were employed. As a result,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ive program utilizing picture books served to improve the children`s language and sociability, and that boosted the responsiveness of the parents as well.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ive program by picture books was effective at backing up the development of the preschool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role performance of the mothers.

      • KCI우수등재

        숲 체험 활동이 소외계층 아동의 정서, 생활만족 및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 연구

        김민화(Min Hwa Kim) 한국아동학회 2014 아동학회지 Vol.35 No.4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positive effects of forest activities for children from economicallyunderprivileged households in local children`s centers and the effect of such activities on the protective factors of their development. One hundred and eighty five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Forest Activities Program, which conducted over a total 8 sessions. Pre-post tests of the subjective well-being scale, DAS, multiple life satisfaction scale, ego-resilience scale were conducted and the children then made picture stories during the program itself.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pre-post tests were as follows: first, the negative emotions of participating children decreased significantly. Second, the school-satisfaction and self-satisfaction levels of the participating children increased. Third the participating children`s positive perceptions of self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lso increased through the forest activities. Finally, there were differences of the change types of picture stories that children created while they wer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nd these divergences were related to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se forest activities had positive effects upon the economically disadvantaged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However,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s of such forest activities qualitatively, greater support for the active involvement of children is required.

      • KCI등재

        포털사이트 사무공간에 있어 코워킹 스페이스 구성 특성 연구

        김민화 ( Minhwa Kim ),윤재은 ( Jaeeun Y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4

        (연구배경 및 목적)현대인의 제2의 생활공간인 사무공간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화해 왔다. 지식이 노동의 가치를 좌우하고 장소, 시간의 개념이 무너진 무한 경쟁의 시대에 사회를 이끌어가는 힘은 남들과 다른 혁신적이고 창의적 사고와 서로의 생각을 함께 공유하는 소통과 협업이 되었다. 이제 사회의 주요 조직공간인 사무공간은 업무의 유형과 프로세스가 바뀌고 기업과 업무자의 인식 변화에 따라 공간의 경계가 사라지거나 범위가 달라지고 기능이 다각화 되는 등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IT산업의 발달로 이동이 자유로워지고 커뮤니케이션의 방법이 다양해졌으며, 언제 어디서나 따로 또 같이 활발한 활동이 가 능해졌다. 이에 사회가 요구하는 흐름과 맞물려 사무공간은 수직적 조직 중심에서 업무자 중심의 수평적 네트워크를 이룰 수 있는 협업공간, 즉 코워킹 스페이스(Co-working)의 적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이게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사무공간의 혁신적 디자인을 보인 기업 분야 중 IT분야, 그 중에서도 수많은 콘텐츠 개발에 다양한 업무형태를 보이는 국 ·내외 포털사이트 사무공간에 있어 코워킹 스페이스 구성 특성을 분석하여 보다 아직까지도 시작에 불과한 개방, 공유, 참여를 위한 효율적이고 조화로운 코워킹 스페이스 구성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선행연구 및 문헌 고찰을 통하여 포털사이트 사무공간과 코워킹 스페이스에 대한 개념과 특성을 알아보고, 포털사이트 기업의 사무공간 내 코워킹 스페이스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구성 특성을 기능적 경계,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로 구분하여 사례 분석을 통하여 도출해 낸다. 각 사례의 영역별 점유면적을 캐드 구적으로 산출하여 공간의 비율을 도출하고, 분석된 영역별 관계를 기준으로 기능적 경계,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의 특성과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사무공간의 형태에 따라 차이점은 있지만 공통적으로 사무공간 내 코워킹 스페이스는 대등한 면적 비 율로 집중업무공간과의 독립적 영역을 형성하여 집중과 이완의 적절한 조화를 이루고 있었다. 메인 출입구를 중심으로 업무자들의 동선이 밀집되는 공간이 코워킹 스페이스의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의 협업이 이루어진다. 다양한 프로그램의 집약으로 복합적 공간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공간은 개방적이고 가변적인 형태와 요소로 구성되어 있었다. 자연스러운 소통, 협업을 위해 의도적으로 계획되어진 코워킹 스페이스는 활발한 네트워크 형성으로 근무자 개개인의 효율과 근무자 서로간의 응집력이 잠재된, 힘있는 공간이 된다. (결론) 포털사이트 사무공간에 있어 코워킹 스페이스는 단순한 오픈 스페이스나 공용공간이 아니라 또 하나 의 업무 공간으로 함께 조화롭게 구성된 사용자를 위한 공간이다. 창의적 사고와 협업, 소통이 필요한 현대의 사무공간이 본 연구를 기반으로 조화로운 코워킹 스페이스 구성에 대한 적극적인 도입과 효과를 기대 해 본다. (Background and Purpose) Workplaces, which function as a second living space for modern people, have transformed with the times. Not only creative thinking but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in sharing ideas have become leading powers in this age of unlimited competition, in which the concepts of time and place have been destroyed and intelligence determines labor value. In response to changes in recognition of companies/workers and transitions in types and processes of work, the workplace has been modified in the following ways: the boundaries of the workplace have been adjusted or even destroyed, and its functions have been diversified. In addi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IT industry, migrating from place to place has become much easier, and various new communication methods have appeared. Thus, people can work more actively, either together or separately, from anywhere and at any time.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co-working space has attracted great attention as the workspace structure has evolved from vertical and organization-centric to the horizontal and worker-centric. Of all areas presenting innovative office space designs, web portal companies`` workplaces were chosen for this study, as they have demonstrated diverse work types in order to develop various products.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co-working space composition in foreign and Korean web portal companies from 2000 on and to extract effective and harmonious co-working space composition characteristics to promote openness, sharing, and participation. (Method) Based on systematic review of advanced studies, this research aims to determine the driving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co-working space and web portal company workplaces. Furthermore, case studies are used to discuss and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place``s composition into aspects of functional boundaries, communication, and networks. The ratio of space is determined by calculating the occupation area in the study cases using CAD, and the characteristics of and relationship between those areas are analyzed. (Results) Although some differences exist depending on type of workplace, co-working space balances concentration and openness by presenting an independent area equal in area to space for concentrated work. Workers`` traffic flow accumulates in the center of the co-working space, in which various forms of cooperation take place. Thanks to integration of a variety of programs, non-territorial workplaces have become multi-functional spaces consisting of variable components. Co-working space, which is intentionally planned to encourage fre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comes a powerful place where high job concentration and strong cohesiveness among workers are realized. (Conclusions) Co-working space is not simply open, public space. As a new type of workplace, it is focused intensively on workers. Transient introduction of co-working space and its effects are expected based on this research.

      • KCI등재후보

        유아교사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유아 동시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김민화 ( Kim Min-hwa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0 아동교육 Vol.29 No.3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등한시되고 있는 인문교육으로서의 동시교육의 중요성을 고취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의 목소리를 통해 현행 동시교육의 문제점과 영향요인들을 알아봄으로써 유아 동시교육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유아교육 전문가로부터 추천받은 21명의 유아교사들이었고 이들을 직접 면담하여 수집된 자료를 질적 내용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는 5개의 차원으로 분류되어 25개의 개념과 11개의 범주로 기술되었다. 유아 동시교육의 ‘정체상태’ 차원에서의 범주는 부수적인 동시 활동, 제한된 자료탐색, 수업운영의 어려움이었으며 ‘부정적 맥락 조건’ 차원의 범주는 안주하는 교사, 동시가 소외된 교육환경이었으며 ‘중재조건’ 차원의 범주는 교사역량개발과 동시 활동 자료집개발이 해당되었다. 또한 ‘활성화’ 차원의 범주는 즐거운 동시 활동과 동시가 중심이 되는 수업이었고 ‘촉진적 맥락 조건’ 차원의 범주는 도전하는 교사와 동시를 중시하는 교육환경이 해당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동시교육 활성화를 위한 과정 모형을 도출하고 어떻게 하면 유아 동시교육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지 그 방안들을 제안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importance of poetry education as humanities, which is neglected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find ways to activate poetry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by finding out the actual conditions and influence factors of poetry education through the voi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researcher interviewed 21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mmended by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 and analyzed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 using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The study results were classified into 5 dimensions and described in 25 concepts and 11 categories. In the ‘constant state’ dimension of poetry education, the categories were incidental concurrent activities, limited material exploration, and difficulty in class operation. The categories of the ‘negative context condition' were teacher no longer try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alienates poetry education. The categories of ’intervention condition' were the development of teacher competency and the development of poetry activities collection. In addition, the categories of the ‘activation’ dimension were pleasant activities and a class that focuses on the poetry, while the categories of the “promotive context condition” were challengeable teachers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emphasizes poetry.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possible to present a process model for activating poetry education and to propose conditions how to create desirable ways for poetr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