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유아의 마음이론, 정서 능력 및 도덕적 판단능력이 갈등 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낙흥,박수진,김성현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9 유아교육학논집 Vol.2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nd correlations between conflict resolution ability, the theory of mind, emotional ability, and the moral judgement ability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2 whose mean age was 62.4 months.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the 'Children's Conflict resolution ability test', the 'Children's Theory of mind test', the 'Children's Emotional ability test', and the 'Moral judgment ability test for young children'.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conflict resolution ability, theory of mind, emotional ability, and moral judgement ability. Secondly, emotional ability was revealed to be most predictive factor of conflict resolution ability, and the theory of mind and moral judgement ability is an additional positive variable that predicts the conflict resolution ability of children.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internalization of emotions',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emotional ability, i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conflict resolution ability in children. In addition, the 'externalization emotion',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emotional ability, the 'positioning task',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theory of mind, and the 'conventional domain', which is a subordinate factor of moral judgement ability were found to be an additional predictive factor. 본 연구는 유아의 갈등 해결능력 제반 변인을 분석하기 위해 마음이론, 정서 능력, 도덕적 판단능력을 중심으로 관계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총 222명이었으며, 평균 월령은 62.4개월이었다. ‘갈등인식 및 해결능력’, ‘마음이론’, ‘정서 능력’, ‘도덕적 판단능력’ 검사 도구들을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상관관계 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갈 등 해결능력과 마음이론, 정서 능력, 도덕적 판단능력 간에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유아의 정서 능력은 갈등 해결능력에 가장 강력하게 영향을 미치는 예측 변인으로 나타 났으며, 다음으로 마음이론, 도덕적 판단능력이 추가적인 예측 변인으로 밝혀졌다. 또한 하위 영역 별로 분석한 결과, 유아의 정서 능력의 하위영역인 내재화 정서가 갈등 해결능력을 가 장 강력하게 설명하는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외현화 정서가 갈등 해결능력을 설명하는 추가적 예측 변인으로 밝혀졌다. 이어서 마음이론의 하위영역인 위치이동과제가 갈 등 해결능력을 설명하는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도덕적 판단능력의 하위영역인 인습적 영역도 추가적인 예측 변인으로 밝혀졌다.
빈민지역에서의 실습을 통해 한 예비교사가 겪는 신념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김낙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5 유아교육학논집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a student teacher’s belief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had been constructed through her prior social and cultural life experiences and how this student teacher’s beliefs were reconstructed through the student teaching experience. Using a case study approach, qualitative data such as an in-depth interview with the student teacher and her journal writing were analyzed by the research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tudent teacher's prior belief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had been expanded and reconstructed in the relations with children, classroom teacher, and community in a poverty area.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udent teaching experiences with children who have different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play an important role in reflecting on their old assumptions and reconstructing belief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본 연구는 미국의 한 예비교사가 빈민지역에 있는 유치원에서 실습생으로 일하며 겪은 교사로서의 신념의 변화과정을 예비교사와의 면담과 실습기간동안 예비교사가 작성한 저널 등에서 얻은 자료를 질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가 겪어 왔던 삶의 경험들, 즉 예비교사가 자라온 사회, 문화적 환경과 학생시절 가르침을 받았던 교사, 자원봉사자로 아이들을 가르쳤던 경험들이 교사로서의 신념형성에 영향을 미쳐왔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이전의 경험들로 형성된 교사로서의 신념은 빈민지역에 위치한 유치원에서 실습생으로 일하면서 반 아이들과 담임교사와의 관계 속에서 또한, 빈민지역이라는 사회, 문화적 상황 속에서 유지, 확장, 그리고 재형성 되어감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사회, 문화적 환경에 있는 아이들과의 실습경험이 예비교사 자신이 형성해 왔던 신념을 반성해보고 새롭게 신념을 형성해 나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제시해준다.
김낙흥,홍서영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1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litatively observe the responses of children in reading picture books using multicultural picture books. The participants were four five-year-old children who were enrolled in the Y-Missionary institute located in B-gu, G-city, which is run by the non-profit corporation “San-A-Rae”. Participating children read four multicultural picture books three times each from Jan. 11 to Jan. 29, 2021, and a researcher recorded the responses along with field notes.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categorizing, re-categorizing, and verifying peer-checking to similar types while reading repeatedly. According to the research, children’s response categories to repetitive picture books are “sharing personal experience/identification,” “find para-text,” “memory of content,” “extension of knowledge,” “express interest and proactiveness,” “express imagination,” “Biblical view/confess with faith,” “logical inference,” “prejudice” and “multicultural competence.” Gradually, the children expanded from fragmentary to comprehensive and detailed responses, from individualization to multicultural and global perspectives. Starting with this research, I hope that there will be more research to see the interest in reading multicultural picture books repeatedly and the responses of children in this process. 본 연구는 다문화 그림책을 반복적으로 읽는 과정에서 유아들의 반응을 질적으로 깊이 있게 살펴보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참여자는 비영리법인 산아래에서 운영하고 있는 G시 B구에 위치한 Y선교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4명이다. 참여 유아들은 2021년 1월 11일부터 1월 29일까지 여러 단계를거쳐 선별된 다문화 그림책 4권을 각각 3회씩 반복적으로 읽었고, 이때 보이는 반응을 연구자가 참여관찰하며 녹음, 녹화 및 현장노트를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으로 읽어가며 비슷한 유형끼리 범주화, 재범주화 및 동료검증 등을 거쳐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유아들의 반응범주는 ‘개인적 경험나누기/동일시하기’, ‘파라텍스트 발견하기’, ‘내용 기억하기’, ‘지식 확장하기’, ‘흥미 및 적극성 표현하기’, ‘상상력 발휘하기’, ‘성경적 반응/신앙 고백하기’, ‘내용 추론하기’, ‘편견 나타내기’, ‘다문화 역량 발휘하기’로 나타났다. 주차가 거듭될수록 유아들은 단편적인 반응에서 포괄적·세부적 반응으로, 개인화에서 다문화적·전지구적 관점의 반응으로 변화하고 확장되었다. 따라서 다문화 교육 시 다문화 그림책을 세심하게 선별하여 활용하되 반복적으로 읽으며 유아들이 ‘독자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또 다양하고 깊이 있는 이해를 도모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그림책에 나타난 전쟁의 이미지 분석: 2011~2021년 출판물을 중심으로
김낙흥,맹주영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2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전쟁에 관한 그림책의 텍스트를 통하여 작가가 독자에게 전하고자 하거나 독자가 새롭게 구성해 나갈 수 있는 이미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21년까지 출판된 전쟁 관련 그림책 34권을 선정하여 전쟁 관련 그림책의 장르와 역사적 배경, 주인공, 전쟁 관련 용어, 전쟁의 원인과 결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픽션이 일반픽션보다 두배 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사픽션의 역사적 배경으로 ‘6.25 전쟁’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셋째, 전쟁을 겪는 어린이 주인공이 어른에 비해서 더 많이 나타났으며, 성별은 남자 주인공이 여자 주인공보다 더 많이 나타났다. 어린이와 어른 주인공 내에서의 성비를 알아본 결과, 남성으로서 어른 주인공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넷째, 다양한 용어가 전쟁, 정서, 무기, 상해/죽음, 군인, 장소, 기타 영역에서 구체적으로 묘사되었다. 다섯째, 전쟁의 원인에 대하여는 대부분이 잘 나타나지 않았으며 전쟁의 결과는 죽음, 피난, 헤어짐, 구속/속박, 기타의 순으로 표현되었다. 그림책의 전쟁 이미지들은 전쟁 속에서 겪게 되는 인간의 군상을 실제적으로 조명하고 있었다.
아버지의 성역할 가치관이 아버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출산계획과 정서적 자녀가치의 이중매개효과
김낙흥,김다영 한국유아교육학회 2025 유아교육연구 Vol.45 No.1
본 연구는 아버지의 성역할 가치관이 아버지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출산계획과 정서적 자녀가치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연구는 전국 8개 권역에 거주하는 미취학 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총 1,045부의 응답을 수집하였으나 994부의 자료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6.0과 AMOS 29.0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양성평등한 성역할 가치관을 확립한 아버지일수록 높은 수준의 아버지 역할수행을 보였고, 이 과정에서 배우자와 함께 출산계획을 구체적으로 의논하고 높은 정서적 자녀가치를 보임으로써 이중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미취학 자녀를 둔 아버지의 부모역할 실천을 도모할 수 있는 요인으로 성역할 가치관, 출산계획, 정서적 자녀가치의 존재를 확인하고, 아버지 역할수행의 폭넓은 스펙트럼을 위한 구체적 경로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fathers’ gender role values on their father role practices and to analyze whether there is a mediating effect of birth planning and emotional valuations of children. The research examined fa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in eight regions across the country, collecting a total of 1,045 responses; From these, 994 responses were utilized for the stud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6.0 and AMOS 29.0. The results indicated that fathers who established gender-equitable role values demonstrated a higher level of parenting role practice. Additionally, it was confirmed that discussing birth plans in detail with their partners and showing high emotional value of children revealed a dual mediating effect.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existence of gender role values, birth planning, and emotional value of children as factors that can promote the parenting practices of fa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providing a concrete pathway to broaden the spectrum of fathering roles.
결혼이주여성의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가 자녀의 유아교육기관 생활적응, 사회적 능력,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김낙흥,백인경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학논집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ld-rearing self-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of marriage immigrant women on their children’s preschool adjustment, social competence and peer competence. To conduct this research,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164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their young children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iscriptiv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PASW 18.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rriage immigrant women’s child-rearing self-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don’t have any influence on their children’s preschool adjustment. Second, marriage immigrant women’s child-rearing self-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have influences on their children’s social competence. Third, marriage immigrant women’s child-rearing self-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have influences on their children’s peer competence.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가 자녀의 유아교육기관 생활적응, 사회적 능력,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결혼이주여성과 그 자녀였으며, 연구도구는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생활적응 측정도구, 유아 사회적 유능감 척도, 또래 유능성 척도를 연구대상에 맞게 수정, 보완 후 사용하였다. 결혼이주여성의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와 자녀의 유아교육기관 생활적응과 사회적 능력, 또래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는 자녀의 유아교육기관 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는 자녀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결혼이주여성의 양육효능감과 양육스트레스는 자녀의 또래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영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또래유능성의 발달에 대한 어머니 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하며 결혼이주여성의 양육효능감 증진과 양육스트레스 완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학부모, 동료교사 및 원장과의 관계가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에 미치는 영향
김낙흥,김신호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한국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7 No.-
본 연구는 학부모, 원장 및 동료교사와의 관계가 유아교사의 정서노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서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배부된 440부의 설문지 중 427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에서 분석하기에 적절한 397부를 분석했다. 연구결과 유아교사는 원장, 동료교사, 학부모와의 관계 순으로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특히 유아교사와 학부모의 관계는 정서노동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나타내고 있었고, 동료교사와의 관계와 원장과의 관계·동료교사와의 관계와 학부모와의 관계 · 원장과의 관계와 학부모와의 관계 모두 상관이 있었다. 유아교사와 학부모, 원장 및 동료교사와의 관계는 정서노동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정적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는 정서노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기초연구에 의미가 있을 것이다.
유아-청소년 세대통합 프로젝트에 참여한 유아 부모와 청소년의 경험 탐색
김낙흥,차상진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한국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8 No.-
이 연구는 품앗이 공동육아를 함께하는 유아-부모 집단과 위탁형 대안학교 소속 청소년-교사 집단이 진행한 세대통합 프로젝트에 함께 참여하고 관찰하면서 수집한 자료들을 분석한 것이다. 유아, 부모, 청소년, 교사 등의 참여자들에 의해 자발적으로 발생되고 진행된 세대통합 프로젝트 사례를 분석하여 존재하는 관계 안에서 만들어지는 구성원들의 경험을 이해하고 해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참여자들은 참여주체이자 평가주체로서 열린 방식으로 함께 만들어가는 프로그램 운영에 관여하면서 서로가 서로의 자원이 되어 삶의 경험과 배움을 확장하였다. 또한 그 과정에서 서로에 대한 돌봄과 챙김, 함께하는 즐거움이라는 유익을 얻었다. 본 연구는 이 결과를 세대통합 프로그램으로 인해 얻을 수 있는 유아의 정서적 유대감의 기회 확장이나 다양한 관계 맺기를 통한 사회성 향상의 효과 이상의 시각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교육은 세상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지며, 존재하는 관계들의 상호작용이 만들어내는 경험과 의미는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미시적으로나 거시적으로 수많은 영향력을 발휘한다.
유아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 문제행동, 인지능력 간의 관계 분석
김낙흥,연규승,오연택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한국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8 No.-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 문제행동, 인지능력 간의 관계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에 재원중인 유아 210명이었으며, 유아 정서지능 검사, 유아 자아존중감 검사, K-BASC-Ⅱ, KABC-Ⅱ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정서지능과 자아존중감, 인지능력 간에는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제행동 간에는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유아의 자아존중감, 문제행동, 인지능력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정서지능을 가장 강력하게 설명하는 영향력 있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이어서 문제행동이 정서지능을 예측하는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하위요인에 따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문제행동 하위요인의 적응기술이 정서지능을 가장 강력하게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밝혀졌으며, 이어서 자아존중감 하위요인의 정서적자아, 인지적자아 그리고 문제행동 하위요인의 행동증상 순으로 정서지능을 설명하는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놀이 중심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김낙흥,이은정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2 No.6
본 연구는 생애초기인 유아기부터 미래 사회의 디지털 시민으로 살아가는 데 필요한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증진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인 개정누리과정에서 추구하는 놀이 중심의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진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국내외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관련 프로그램과 연구물 및 누리과정과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그 바탕으로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개발한 프로그램을 현장에 적용해봄으로써 유아 대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활동들의 적절성을 검토하고, 현장에서 유아로부터 발현되는 미디어 관련 놀이 상황을 관찰·분석하여 놀이 중심의 미디어 리터러시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