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 기준의 교과서 실현 양상에 대한 분석 - 외재적 응집성을 중심으로 -

        김강선,노경국,신순아,이민수,소병문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4 No.2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process in which the curriculum standards of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are implemented as textbooks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improving of textbook publication.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accredited textbooks, it is essential for the curriculum standards and textbooks to align, both in form and content.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2011) are recognized textbooks systematically developed based on curriculum standards. To this end, the level of response to the numbers of ‘topic’ in the curriculum standard and the numbers of ‘midle unit’ in the textbook was identified. As a resul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xtbooks exhibited a “one-to-many” response level, where one topic spanned approximately around two middle units, while high school textbook tended to have a “many-to-one” response level, converging two topics into one middle unit. In the case of elementary schools, the curriculum standard follows a single content-system, whereas textbooks are developed separately for lower and higher-grade levels. Therefore, some adjustments, such as curriculum content and subject titles, need to be considered for each elementary school level. 이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 기준이 교과서로 실현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추후 교과서 개발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찾는 것이다. 도서관과 정보생활 (2011)은 교육과정 기준에 따라 체계적으로 개발된 인정 교과서로, 교육과정 기준과 교과서는 형식이든 내용이든 반드시 일치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 기준의 ‘주제’와 교과서의 ‘중단원’의 개수 대응 수준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하나의 ‘주제’가 둘 안팎의 ‘중단원’으로 확산되는 ‘일대다’ 대응 수준을 맺는 반면, 고등학교는 둘 안팎의 ‘주제’가 하나의 ‘중단원’으로 수렴하는 ‘다대일’ 대응 수준을 맺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또한 단일 내용 체계인 초등학교 교육과정 기준은 학년급별 저학년과 고학년을 구분해 교과서로 개발되었다는 점을 참고할 때 초등학교급별을 고려한 교육과정 기준의 교육내용, 주제 명칭 등 일부 조정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해양공간계획 수립을 위한 방문밀집도 및 중점관리지역 규명: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김윤정,김충기,김강선,Kim, Yoonjung,Kim, Choongki,Kim, Gangsun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20 환경영향평가 Vol.29 No.2

        해양공간계획은 생태계서비스 개념에 기초하며 최근 연안 및 해양지역의 지속가능한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정책개발자는 해양공간계획 개념에 기반을 둔 의사결정을 위해 각 해역별 자원의 이용현황과 그 특성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해변관광은 연안에서 이루어지는 자원 이용활동 중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활동이며 다수의 문화서비스 수혜를 유도하여 중요하다. 그러나 해변관광의 규모와 방문현황의 공간적 특성을 광역단위로 평가할 수 있는 정보가 부재하며, 현장조사의 경우 높은 비용과 노동력이 요구되어 적용이 어렵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신규 대안으로 소셜 빅데이터의 해양공간계획 적용방안을 제안하고 트위터, 플리커 정보에 기초한 중점관리지역 도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남해 연안육역 일대를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소셜미디어에서 추출한 플리커, 트위터 정보를 대상으로 과다추정 방지 전처리, 적합 격자단위 규명 과정을 통해 광역단위 방문밀집도를 도출하였다. 더불어 공간통계분석 및 밀도분석을 통해 남해 일대의 집중관리가 필요한 연안육역 구역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중점관리구역, 보전구역 지정 등 해양공간계획의 수립과정에서 해변관광 및 문화서비스 규모의 고려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Marine Spatial Planning is an emerging strategy that promoting sustainable development at coastal and marine areas based on the concept of ecosystem services. Regarding its methodology, usage rate of resources and its impac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spatial planning. Particularly, considering the rapid increase of coastal tourism, visitation pattern is required to be identified across coastal areas. However, actions to quantify visitation pattern have been limited due to its required high cost and labor for conducting extensive field-study.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ed to pose the usage of social big data in Marine Spatial Planning to identify spatial visitation density and critical management zone throughout coastal areas. We suggested the usage of GPS information from Flickr and Twitter, and evaluated the critical management zone by applying spatial statistics and density analysis. This study's results clearly showed the coastal areas having relatively high visitors in the southern sea of South Korea. Applied Flickr and Twitter information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field data, when proxy excluding over-estimation was applied and appropriate grid-scale was identified in assessment approach. Overall, this study offers insights to use social big data in Marine Spatial Planning for reflecting size and usage rate of coastal tourism, which can be used to designate conservation area and critical zones forintensive management to promote constant supply of cultural services.

      • < 전시-P-57 > 기후변화와 목재보존

        오정주,최용석,김강선,김규혁 한국목재공학회 2018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8 No.1

        본 연구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국내 기후변화(온도 상승 및 강수량 증가)가 목조문화재를 포함한 목조건축물의 열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보존대책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기후변화가 목조건축물의 열화에 미치는 영향은 과거 10년간(2007~2016)과 향후 30년간(2021~2050) Scheffer가 제안한 지상부 목재의 부후위험지수(decay hazard index; DHI)를 비교함에 의해 평가하였다. 과거 10년간 DHI는 111개 지역에서 실측된 기상자료를 활용하여 계산하였다. 향후 30년간 DHI는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RCP4.5 및 RCP 8.5 시나리오로 구분하고, 시나리오 별로 기상청 기후정보포털(www.climate.go.kr)에서 제공하는 예측 평균 기온과 최근 10년간(2007~2016) 강우량이 0.3 mm 이상인 월별 강우 일수를 적용하여 계산하였다. 과거 10년간은 제주도(서귀포, 성산, 제주), 광양, 광주, 전주를 제외한 국내 대부분 지역이 DHI가 35~65로 부후 위험도가 중간 정도였으나 앞으로는 기후변화에 따라 대기 온도가 점진적으로 상승하면서 DHI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10년 간격(2021~2030, 2031~2040, 2041~2050)으로 예측된 미래의 DHI에 의하면 DHI가 65 이상으로 부후 위험도가 높은 지역이 RCP 4.5 시나리오(온실가스 저감 정책이 상당히 실행되는 경우)의 경우 현재 6 지역에서 각각 8, 10, 12 지역으로 증가하였고, RCP 8.5 시나리오(저감 정책 없이 온실가스가 배출되는 경우)의 경우 각각 11, 13, 31 지역으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향후 기후변화에 따른 이러한 DHI 증가를 고려할 때, 목조문화재를 포함한 모든 목조건축물의 적절한 유지 관리를 위해 보다 빈번한 열화 진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신축 목조건물에서도 방부목재 사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반드시 보유량과 침윤도 기준을 만족하는 방부목재만을 사용해야 하며, 건축 부재의 재젖음(rewetting)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 및 시공 시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원격탐사와 지리정보시스템의 산림분야 활용

        이우균,김문일,송철호,이슬기,차성은,김강선,Lee, Woo-Kyun,Kim, Moonil,Song, Cholho,Lee, Sle-gee,Cha, Sungeun,Kim, GangSun 한국국토정보공사 공간정보연구원 2016 지적과 국토정보 Vol.46 No.2

        산림은 우리나라 토지피복 면적의 64%에 해당하는 넓은 면적을 차지한다. 이와 같이 넓은 면적의 산림을 조사, 모니터링, 관리하기 위해서는 원격탐사 및 지리정보시스템 기술이 필수적이다. 위성영상의 분광반사 특성을 이용하여 임상 및 수종분류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임상도를 제작할 수 있다. 3차원 자료인 LiDAR를 이용하여 개체목의 위치와 수고 측정, 이를 통해 바이오매스와 탄소량 추정이 가능하다. 그 외에도 대상물의 반사특성을 이용해서 각종 지수들이 추출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식생지수와 표면토양지수 등을 통해 식생의 활력도와 산림 황폐화 정도를 파악 할 수 있다. 이러한 식생지수들의 변이를 파악하여 소나무 재선충병, 참나무 시들음병 등의 조기탐지 및 관리도 가능하다. 또한 A/R CDM, REDD+ 등 최근 기후변화 대응 사업에 있어서 원격탐사는 사업성 판단과 이산화탄소 흡수 및 저장량을 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의 시공간자료를 이용하여 국가 및 지자체 단위의 취약성이 시공간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시공간자료를 영향변수로 추가시킨 각종 모델을 통해 산림생장, 입목고사, 산사태 및 산불 등의 예측이 시공간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Forest accounts for almost 64 percents of total land cover in South Korea. For inventorying, monitoring, and managing such large area of forest, application of remote sens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RS/GIS) technology is essential. On the basis of spectral characteristics of satellite imagery, forest cover and tree species can be classified, and forest cover map can be prepared. Using three dimensional data of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tree location and tree height can be measured, and biomass and carbon stocks can be also estimated. In addition, many indices can be extracted using reflection characteristics of land cover. For example, the level of vegetation vitality and forest degradation can be analyzed with VI (vegetation Index) and TGSI (Top Grain Soil Index), respectively. Also, pine wilt disease and o ak w ilt d isease c an b e e arly detected and controled through understanding of change in vegetation indices. RS and GIS take an important role in assessing carbon storage in climate change related projects such as A/R CDM, REDD+ as well. In the field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impact and vulnerability can be spatio-temporally assessed for national and local level with the help of spatio-temporal data of GIS. Forest growth, tree mortality, land slide, forest fire can be spatio-temporally estimated using the models in which spatio-temporal data of GIS are added as influence variables.

      • KCI등재후보

        국내 산림정책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간의 연관성 분석

        문주연,김나희,송철호,이슬기,김문일,임철희,차성은,김강선,이우균,손요환,양수길,진새봄,손영모 한국기후변화학회 2017 한국기후변화학회지 Vol.8 No.4

        This study analysed the linkage between national forest policy in Korea, namely the 5th National Forest Master Plan, 2016 Korea Forest Service Performance Management Plan, the 3rd National Sustainable Development Plan, and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The 7 strategies of the 5th National Forest Master Plan were related to 11 Goals of SDGs, and 5 strategies of 2016 Korea Forest Service Performance Management Plan were associated with 7 areas of SDGs, and 4 strategies within 3rd National Sustainable Development Plan were linked to 7 Goals of SDGs. Among 87 national forest indicators compiled from three respective forest-related policies of Korea, 45 national indicators were related to 18 SDGs indicators. This indicates that 52% of national indicators of Korean forest policy are reflecting the language of SDGs. However, seeing from SDGs perspective, only 18 out of 241, which accounts for 7.8% of SDGs indicators are related to national indicators. The findings imply that a number of national forest-related indicators do not meet the diverse dimension of SDGs which provides potential areas for forest to contribute. Based on the findings, following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1) the term used in forest policy should be aligned to SDGs targets so that it can be embedded in national policies, and 2) indicators should be further contextualized as well as in its assessment system. Lastly, it suggests for leveraging 3) ‘5 Processes of sub-nat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and the core concept of REDD+ MRV which could provide fundamental background for implementing SDGs framework to national forest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