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사에 대한 교장의 신뢰 척도 개발

        권다남(Danam Kwon),김대현(Daehyun Kim) 한국교원교육학회 202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7 No.4

        이 연구는 초등교장이 신뢰하는 교사의 태도 및 행동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여 타당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신뢰에 관한 국내외 문헌 조사를 토대로 이론 연구와 통계 연구 방법을 병행하였다. 우선, 신뢰에 관한 이론적 연구와 교장을 대상으로 한 개방형 질문지 등을 활용하여 교사에 대한 교장의 신뢰를 구성하는 주요 개념 요인들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추출된 요인들을 중심으로 50개의 설문 문항을 작성하여 초등교장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수집된 241명의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에 대한 초등학교 교장의 신뢰를 구성하는 5가지 개념 요인을 확인하였다. 5가지 개념 요인은 ‘동료교사와의 협력적 관계’, ‘학생에 대한 이해와 돌봄’, ’교장에 대한 지지와 존중‘, ’학부모와의 동반자적 관계‘, ’교장이 지각하는 교사의 교장신뢰‘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초등교장은 교사를 둘러싼 다양한 관계 속에 드러나는 교사의 특성과 태도를 중요하게 여긴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교사와 초등교장 상호 간에 형성된 신뢰의 문화 속에서 따뜻한 교육공동체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서로를 신뢰하는 데 필요한 역량 및 태도를 확인하고 이를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교장연수 및 교사연수에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instrument-principals’ trust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scale.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f instruments developed to measure trust and how principals perceive teachers’ behaviors and attitudes to form the trust between them, a conceptual model and initial items were developed. Next, through expert judges and pilot tests, 50 items were developed. A total of 241 principals from elementary schools provided usable data as measured by the principals’ trust in teachers scale. Item data were analyz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the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conception of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trust in teachers consists of 5 factors, that is ‘Collaborative relationship with fellow teachers’, ‘Understanding and caring for students’, ‘Support and respect in the principal’, ‘Partnership with parents’, ‘Teacher s trust in principal perceived by the principal’. It turns out that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value the characteristics and attitudes of teachers in various relationships surrounding teachers. It suggested that in order to develop a warm educational community in a culture of trust formed betwee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principals, it is necessary to reflect programs that competencies and attitudes necessary to trust each other to improve them in the principal training and teacher training.

      • KCI등재

        일반학교와 혁신학교 교사의 마을학습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차이

        권다남(DaNam Kwon),김대현(Daehyun Kim)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2

        이 연구는 일반학교와 혁신학교 교사의 마을학습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지역 초등학교 및 중학교 교사 총 8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각 영역별 신뢰도 분석, 빈도 분석, 평균 분석, 교차 분석, t 검증 등을 통해 일반학교와 혁신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필요성, 운영 원리, 내용 및 방법, 저해요인 등을 분석하였다. 이상의 방법을 통해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필요성 및 기대효과에 대해 모든 문항에서 일반학교와 혁신학교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운영원리에서는 9문항 모두 일반학교와 혁신학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내용 및 방법에 대해서도 모든 문항에서 일반학교와 혁신학교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저해요인에 대해서는 교사의 관심 및 이해 부족, 학교 관리자의 지원부족, 학부모의 반대, 활용가능한 시설 부족을 제외한 나머지 5문항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논의 및 결론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village learning curriculum between teachers of general schools and innovative school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802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in B area, and the necessity, operation principle, content, and method of village learning curriculum recognized by general and innovative school teachers were analyzed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verage analysis, cross analysis, and t verifi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eral schools and innovative schools in all questions about the necessity and expected effect of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Second, in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all nine question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eral schools and innovative schools. Thir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eral schools and innovative schools in all questions about the content and method of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Lastly,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maining five questions except for the lack of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teachers, lack of support from school managers, opposition from parents, and lack of available facilities.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and conclusions were presented focusing on ways to improve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derived.

      • KCI등재

        인공지능(AI)에 대한 고등학생 인식 조사

        권다남(Danam Kwon),허나원(Nawon Hur),강주현(Ju Hyun Kang)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6

        In this study, we aimed to understand how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the context of the influence of AI. We sought to identify what is necessary for the proper implementation of AI education. To achieve this, the study conducted surveys targeting students from five high schools in Region B. The surveys covered their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AI, perceptions of AI learning, awareness of AI applications, and recognition of the role of AI. A total of 272 respondents were analyzed. Survey results revealed that high school students generall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AI in their lives, however, their interest in learning about AI was relatively low. While there was a high perceived need for education on creating AI application content, there was a negative perception towards utilizing AI in career choices. Although AI was perceived as necessary and having a positive impact on human life, some negative perceptions emerged regarding its influence on human employment. Ultimately, high school students considered their understanding of AI to be at a moderate level, but negative aspects were revealed concerning learning and career choices. This means that education on AI has not been properly integrated, the context of exam-focused school system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educational activities incorporating AI in school curricula as well as providing meaning to AI in career exploration education. 이 연구에서는 AI가 확산되는 상황에서 미래 세대인 고등학생들이 어떻게 AI를 이해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학습자들의 AI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기 위해 필요한 점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B 지역 5개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AI에 대한 이해 및 현황, AI 학습에 대한 인식, AI 활용에 대한 인식, 그리고 AI 역할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 하였고, 272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고등학생들은 AI는 내 삶에 필요하다는 인식이 높았으나, AI에 대해 배우기를 원한다는 흥미도는 낮았다. AI 활용 콘텐츠 제작 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높았지만, AI를 진로 선택에 활용하는 것에는 부정적인 인식이 있었다. 교사의 AI 활용에 대한 긍정적 평가와 AI 활용이 학습, 생활, 협력, 사회 소통 방식을 변화시키는데 유용하다는 인식이 강조되었다. AI는 인간의 삶에 필요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인간의 직업에 미칠 영향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일부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고등학생들은 AI에 대한 이해는 보통 수준이라고 생각했으나 학습과 진로 선택에 있어서는 부정적인 면이 드러났다. 이는 입시 중심의 학교 교육과 함께 AI에 대한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 교육과 입시에서 AI를 활용하고, 진로 체험 교육 등에서 그 의미를 부여하는 교육 활동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학교-지역 연계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최류미 ( Choi Ryumi ),권다남 ( Kwon Dana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3 초등교육연구 Vol.36 No.2

        이 연구는 학교-지역 연계 교육과정의 운영 원리와 내용 및 방법에 대한 초등교사의 교육요구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총 513명의 표본자료를 수집하여 각 영역에 대한 t 검증,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요구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지역 연계 교육과정의 운영 원리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학교와 마을의 교육에 대한 소통과 협력이 최우선순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지역 연계 교육과정의 내용 및 방법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방과 후를 활용한 교육과정 운영이 가장 최우선순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지역 연계 교육과정은 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방과 후 교실 등 다양한 영역에서 마을에 관한 교육, 마을을 위한 교육, 마을의 자원을 활용한 교육이 교육과정 내에서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조직되어 운영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서는 학교와 지역이 서로의 역할을 확인하고, 유기적인 소통을 통해 교육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공유하고 협력할 수 있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the operating principles, contents and methods of schoolcommunity linked curriculum. For this purpose, a total of 513 sample data were collected. This was analyzed using t-test, Borich needs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for each area to confirm the educational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regarding education between schools and villages was the top priority in terms of educational demand for operating principles of school-community linked curriculum. Second, in terms of educational demand for the contents and methods of school-community linked curriculum, it was found that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using after-school was the highest priority.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chool-community education curriculum is meaningful to students in various areas such as subject matter,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and after-school classes, education about villages, education using village resources, and education for villages within the curriculum. It must be organized and operated to provide a learning experience. To this end, it was discussed that schools and communitys should be able to confirm each other's roles, share the common goal of student education through organic communication, and cooperate.

      • KCI등재
      • KCI등재

        중등학교 교사들의 생활지도의 어려움과 대응에 관한 연구

        길말선 ( Kil Malsun ),권다남 ( Kwon Danam ),김대현 ( Kim Daehyu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6

        이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교사들의 생활지도의 어려움과 그에 대한 대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근거이론(Grounded Theory)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심현상은 `생활지도의 어려움: 고슴도치 끌어안기`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자신의 노력에도 변하지 않는 학생들로 한계를 느끼고 있었고, 자율과 질서 사이에서 고민하고 있었으며, 학생들을 지도하면서 감정이 소진되는 등, 마치 고슴도치를 끌어안는 것과 같은 양상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그리고 교사들이 생활지도의 어려움에 대응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에 따라, 통제적 형태의 `다스림형`과 소통 중심 형태의 `돌봄형`, 그리고 자신감이 부족한 `소심형` 등 3가지로 유형화하였다. 첫째, `다스림형`은 학생들을 자신의 통제 하에 두려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는 유형으로, 권위적인 반면, 대화를 통해 관계를 개선하려는 시도는 소극적이었다. 둘째, `돌봄형`은 대화를 유도하면서 엄마처럼 학생들을 돌보는 경향이 두드러지는 유형으로, 학생들과의 상호작용이 대부분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셋째, `소심형`은 지도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유형으로, 질서를 잡기 위한 엄격함의 정도에 약한 면을 보였다. 교사들은 이와 같은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된 자신만의 생활지도 스타일을 구축하고 있었으며, 힘들지만 학생들이 변화를 보일 때 보람을 느끼며 각자교사로서의 여유를 찾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econdary school teachers` difficulty on student guidance and reaction to it.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data gathered through interview using Grounded Theory.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central phenomenon was `difficulty of student guidance: hugging hedgehog. Teachers felt limitation because of unchanging student and happening occurring outside of the school. And they suffered from worry about balance between autonomy and order, as well as exhaustion of emotion in guidance their students who are in adolescence time. As responding to this phenomenon, it was shown that `governing type`, `caring type` and `timid type` were stereotyped as teachers` interaction strategies to cope with difficulty of student guidance. Based on the review, findings and implica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특성에 따른 학습자 중심 교육에 대한 교수-학생 인식 차이

        김희란(Heera Kim),권다남(Danam Kwon)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4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교수자와 학습자 간 능동적·협력적 교수·학습경험과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 차이를 대학특성에 따라 분석하고, 대학만족도와 학생의 학업지속의향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조사한 「2022 대학 교수·학습과정에 관한 학생 설문조사(NASEL)」와 「2022 대학 교수·학습과정에 관한 교수 설문조사(NAFET)」의 92개 전국 일반대학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협력학습에서 비수도권 대학이 수도권 대학보다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교수의 경우는 비수도권 대학이 수도권 대학보다, 중소규모 대학이 대규모 대학보다 협력학습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에서 학생과 유의하게 더 높았다. 능동적 학습과 사고력 증진 학습에서는 학생과 교수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협력학습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에서 교수와 학생 모두 인식이 높은 대학이 모두 낮은 대학에 비해서 학생의 대학만족도와 학업지속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의 경우, 학생과의 인식 차이와 대학만족도간 유의한 관련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와 학생간 교수·학습경험에 대한 인식 차이를 줄이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regarding active and cooperative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and instructor-learner interactions according to university characteristic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with university satisfaction and students' intention to continue their stud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cooperative learning in non-metropolitan universiti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universities in metropolitan areas. Second, universities where both instructors and learners were highly aware of cooperative learning and instructor-learners interactions and had small differences were found to have higher levels of learners’ satisfaction with the university and a higher intention to continue their studies compared to universities where the differences were small. Based on these results, improvement measures were presented to reduce the gap in percep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 KCI등재

        초등학생 수학학습에 관한 실태 및 정의적 특성 연구: 초등학교 5, 6학년을 중심으로

        김희란 ( Kim Heeran ),김용진 ( Kim Yongjin ),권다남 ( Kwon Dana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4 초등교육연구 Vol.37 No.1

        이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학에 대한 인식 및 실태, 그리고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수학 효능감과 수학 포기의향에 학년별, 성별, 선호도 수준별 집단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울산 광역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51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 교과에 대한 인식 및 실태 분석, 분포 차이검증 결과, 학년별 차이가 있었으며 부분적으로 성별 차이가 있었다. 둘째, t-검정분석 결과, 5학년보다 6학년의 수학 효능감은 높으나, 수학 선호도와 수학 포기의향은 5, 6학년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성별 차이와 관련하여 수학 효능감에서는 성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지만, 수학 선호도와 수학 포기의향은 남자보다 여자가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나고 있어 교육자들이 성별 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특별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수학 효능감에 대한 삼원배치 분산분석 결과, 6학년이 5학년보다 여자가 남자보다 수학 선호도가 높을수록 수학 효능감이 높았으며,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수학 포기의향에 대한 삼원배치 분산분석 결과, 학년 차이는 없지만 여자가 남자보다 그리고 수학 선호도가 낮을수록 수학 포기의향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라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whether there are group differences in mathematics efficacy and willingness to give up mathematics by grade, gender, and preference level by analyzing the perception and reality of mathematics and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among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517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in Ulsa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perception and actual status of mathematics subjects and verification of distribution differences, there were differences by grade and partly by gender. Second, as a result of the t-test analysis, the math efficacy of 6th graders was higher than that of 5th grader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ath preference and intention to give up math between 5th and 6th graders. Meanwhile, in relation to gender differences, there is no gender difference in mathematics efficacy, but mathematics preference and intention to give up mathematics are significantly higher for women than for men, indicating that educators need to pay special attention to eliminate the gap between genders. It show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