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KCI등재

        새로운 항균제로서 1 -(phenoxymethyl) benzotriazole 유도체의 합성과 정량적 구조활성관계(QSAR) 분석

        권기성,최우영,성낙도,임치환,고동성 한국농화학회 1990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33 No.3

        The structure-antifungal activity correlations between the structure of fourteen new 1-(phenoxymethyl)benzotriazoles (I) (Y=0), 1-(thiophenoxyrnethyl)benzotriazoles (II) (Y=S) and 1-(azidomethyl)benzotriazole (Ⅲ) derivatives were synthesized, and their activity, fifty percent inhibition of mycelial growth(pI_(50)), in vitro against Pyricularia oryzae, Fusarium axysporum f. sp swami, Valsa ceratosperma and Botrytis cinerea were investigated using a generalized QSAR method. The activity of (I) was superior to those of (II) and (Ⅲ). The effect of the substituents (X) on the phenoxy group (I) was rationalized by a parabolic function of electronic (σ), steric (B₁) and hydrophobic parameter(π), and hydrogen bonding (HB). Where the optimal values of substituent on the fungicidal activity againt P. oryzae and F. axcysporum f. sp. sesami are B₁=1.40A; (H) and σ=0.07∼0.15;(H), and those of substituent on the fungicidal activity against V. ceratosperma and B. dare σ=0.23∼0.28; (Cl), π=0.70; (Cl), respectively. The most effective compound ( I a) and ( I d) were examined in this study.

      • 부모의 양육태도가 공직자의 조직행태에 미치는 영향

        권기성,김경희 21세기사회복지학회 2005 21세기사회복지연구 Vol.2 No.1

        이 논문은 부모의 양육태도가 조직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해 보고자 하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공직자들이 지각하고 있는 아동기 때의 부모의 양육태도가, 개인적 특성과 조직내 인간관계 전개방식에 있어서 어떻게 발현되는가를 살펴보고, 또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하여 문헌연구를 통해 가설을 설정하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설문조사와 통계적방법을 사용하였다. 본청과 구청에 근무하는 안산시 공무원을 대상으로 공직자442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상관관계분석을 통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개인적 특성간의 관계는, 부모의 양육태도 유형을 애정적 태도, 적대적 태도, 자율적 태도, 통제적 태도의 네 가지 양육태도로 분류하고, 이들 유형이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에 대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 결과, 애정적 태도, 자율적 태도를 받은 집단들은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적대적 태도와 통제적 태도는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이 낮게 나타났다. 둘째, 부모 양육태도와 조직내 인간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 결과, 애정적 태도, 자율적 태도를 받은 집단들은 조직내 인간관계가 높게 나타났으며. 적대적태도와 통계적 태도는 조직내 인간관계가 낮게 나타났다.셋째, 개인적 특성이 조직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이 높으면 직무만족이 높았고,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이 낮으면 직무만족이 낮았다. 또한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이 놓으면 조직몰입도 높게 나타났고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이 낮으면 조직몰입은 낮게 나타났다. 넷째, 조직내 인간관계가 조직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한 결과, 상사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부하와의 관계가 좋으면 직무만족이 높았고, 상사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부하와의 관계가 약하면 직무만족이 낮았다. 또한 상사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부하와의 관계가 좋으면 조직몰입도 높게 나타났고 상사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부하와의 관계가 약하면 조직몰입은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부모양육태도가 조직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

      • KCI등재

        20세기 초 전파 속 야담과 새로운 청각장

        권기성 동아시아고대학회 2021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2

        전근대의 야담은 구전전승과 문헌전재라는 두 가지 경로를 통해 형성되어 왔다. 20세기에 접어들면 근대의 야담은 이러한 방식을 준용하되, 당대의 새로운 매체를 조우하며 자신의 모습을 갱신하게 된다. 이에 본고는 ‘구전’이라는 야담의 전승과 정이 근대의 매체와 만나는 장면을 살펴보고자 했다. 유성기 음반이나 라디오와 같은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과 기술 테크놀로지는 당 대 문학의 역동성을 추동하였으며, 새로운 형태와 방식으로 문학의 존재양상을 가 능하게 했다. 이는 곧 예전부터 이어져 오던 이야기하기의 본질이 새로운 시대를 만나며 다양한 모습으로 자기 변주를 모색하던 가운데, 테크놀로지라는 신매체를 빌어 표현되었다는 의미이다. 그 과정에서 라디오와 유성기라는 새로운 매체를 만 난 야담은 이야기판의 변화에 따라 자신의 모습을 바꾸어 나갔다. 하지만 라디오 와 달리 유성기라는 매체는 야담을 적극적으로 선택하지 않았는데, 이는 매체 본 연의 성격에 따라 야담이라는 소재를 취사선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라디오가 흥미와 교화라는 목적 하에 짧은 역사 이야기에 초점을 맞추어 갔다면, 유성기 음반 은 음악적․공연적인 매체의 성격에 따라 야담을 ‘극’의 형태로 전이시키고 있었던 것이다. 이를테면 이야기하기의 본질은 시대의 변화와 매체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으로 자신의 모습을 바꾸어갔지만, 매체의 성격에 따라 좌우되는 바가 더 컸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런 면에서 1930년대 야담은 매체에 활용된 뉴-콘텐츠로서 기능했으며, 매체담론과 기능에 좌우되는 성격이 강했다. 따라서 야담의 이차적 구술성은 의도 적 소거나 선별에 따라 형성되었으며, 이는 청자보다 발화자의 목적과 맥락이 더 욱 중요한 환경을 생성해냈다. 요컨대 근대야담의 새로운 청각장은 전근대의 상호 소통적 구연환경에 비해 일방향적 성격을 가질 수밖에 없었으며, 이는 야담의 창 조적 생명력이 경감되고 의도된 콘텐츠로 소비될 뿐이었음을 보여준다. The pre-modern form of the Ya-dam was formed through two channels: oral transmission and literary transmission. By the turn of the 20th century, modern-day Ya-dam practitioners attempted to apply this method, but they primarily renewed themselves through encounters with the new media of the time. Thus, this paper sought to examine the junction where the Ya-dam transmission process, (known as "Gujeon")intersectedwith modern media. The advent of new media, including the proliferation of Yoosungi albums and radio and other technologies, drove the dynamics of contemporary literatures, thus enabling literature to exist in new forms and ways; that is, the essence of old formsof storytelling was expressed through a new medium—technology—while it sought selfvariance in various ways and encountered the new era. During this process, Ya-dam, which encountered new media such as radio and meteor, changed its appearance based on the changes in the storyboard. Unlike radio, however, the media known as Yudagi did not actively choose Ya-dam ; this implies that thismedia chose Ya-dam based on its original nature. Thus, radio media focused on presenting hort historical stories that were interesting and educative, while the Yoosungi albums transformed the Ya-dam into a "play"; this transformation was dependent on the nature of the musical and performing media. For example, thenatureof the act of "talking" has constantly changed shape based on changing times and media, but it often depends more on the nature of the media. In this regard, in the 1930s, Ya-dam functioned as a new content that could be used in the media, and its continuati was therefore strongly dependent on media discourse and function. Thus, Ya-dam's secondary orality was create through intentional possessionorscreening, thus creating an environment where the speaker's purpose and context were more important than that of the listener. In this way, the new auditory field in which modern Ya-dam perpetuated itself was forced to take on a one-way nature compared to the pre-modern intercommunication environment ; this indicated that the creative vitality of Ya-dam was restricted and consumed only as an "intended"content.

      • KCI우수등재

        가상조직에 대한 정체성 고찰

        권기성,최진석 ( Key Seong Kwon,Jin Suk Choi ) 한국행정학회 1997 韓國行政學報 Vol.31 No.4

        가상조직은 정보통신기술과 조직환경변화에 따른 전략적 조직수단으로 등장하여, 최근에 들어서는 관료제에 대한 새로운 조직패러다임으로까지 고찰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직론 연구의 일반적 경향은 관료제가 현실적으로 지배적인 조직구조로 존재하기 때문에 국가가 桔死하지 않듯이 관료제도 사라지지 않을 것이라는 논리에 근거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가상 조직의 정체성(identity)을 고찰, 관료제에 대한 보편성 논리의 한계를 살펴보았다. 그러나 가상조직이 아직은 관료제에 비해 체계적인 이론적 준거틀이 정립되지 않았고, 경험적 검증과정도 미비하기 때문에 새로운 조직패러다임으로 제시하기 보다는 관료제의 주요 가정에 대비되는 가상조직의 가정적 정체성(hypothetical identity)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 관료제와 가상조직은 그 대두배경과 존재가치에 차이가 있을 뿐만 아니라 조직구조, 이념, 성장과정 및 경쟁력 기저에서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식중독의 발생동향 및 관리체계

        권기성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 보건복지포럼 Vol.118 No.-

        요즈음 단체급식 증가에 따라 식중독 발생이 점차 집단화,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로, 실제 식중독 사고로 인한 직접적인 사회경제 손실이 매년 1조 3천억 원(2001년) 이상이다. 우리나라는 식중독의 보다 철저한 예방과 관리를 위해 2003년 9월 식품위생법 제2조제10호에 식중독의 정의를 “식품의 섭취로 인하여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또는 유독물질에 의하여 발생하였거나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감염성 또는 독소형 질환”으로 신설, 모든 유해 미생물이 법적으로 관리되어야 함을 명시해 오고 있다. 식중독 발생률은 수년간 증가하다 2005년도에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매년 5,6월에 발생률이 가장 높고 섭취발생장소는 단체급식으로 인해 학교와 기업체가 역시 빈번하다. 발생 원인균은 살모넬라, 포도상구균, 병원성 대장균이 높지만 바이러스 식중독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식중독 관리 및 예방으로는 위해요소중점관리제(HACCP) 확대, 개인위생이나 조리종사자의 위생이 중요하며 식품위생법의 개정 등 많은 개선점이 거론되고 해결되어야 할 숙제가 많다.

      • KCI등재

        메타버스의 기능과 스포츠산업 내 활용방식에 관한 연구

        권기성,강지현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2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10 No.4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the usability of metaverse is rapidly increasing. However, the understanding of the main functions of the metaverse and its application in the sport industry is insufficie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atory analyze the function of the metaverse and to confirm the utilization method within the sport industry.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search, in-depth interview and observation methods,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by using the network structure analysis method along with content analysis, categorization and itemization. Through the literature search using newspaper articles from major media for all areas, 23 utilization methods provided by a total of 22 metaverse platforms were identified. Based on this, the functions of the metaverse were confirmed, and functions such as social activities, production item trading and exhibitions were found to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network structure.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with cultural fields including sport and the observation only with sport fields, the metaverse utilization method in the sport industry was examined. Four of the eight utilization methods provided by the identified 14 metaverse platforms were utilized within the sports industry. Sport contents have the potential to create synergy by being combined with the metaverse. In order to realize this possibility,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recognize the benefits and risks that can be express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utilization method.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해 메타버스에 대한 사용성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메타버스의 주요 기능과 스포츠산업 내 활용 모습에 대한 파악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탐험적으로 메타버스의 기 능을 분석하고 스포츠산업 내에서 메타버스를 활용하는 방식을 확인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 심 층면담, 관찰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내용분석, 범주화 및 항목화와 함께 네트워크 구조 분석 방법을 활 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전체 영역 대상의 주요 언론사 신문지면기사를 활용한 문헌조사를 통해 총 22개 의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23개의 활용방식이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메타버스의 기능을 도출하 였으며 사회활동, 제작아이템거래, 전시회와 같은 기능들이 네트워크 구조 중심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 다. 스포츠를 포함하는 문화 영역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 스포츠 영역만을 대상으로 한 관찰을 통해 스포 츠산업 내 메타버스 활용방식을 살펴보았으며 확인된 14개의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8개의 활용방식 중 4가지의 형태가 스포츠산업 내에서 활용되었다. 스포츠 콘텐츠는 메타버스와 접목되어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가능성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기능과 활용방식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발현될 수 있는 혜택과 위험을 인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양은천미』에 나타난 서술방식의 통속적 양상과 그 의미-<김영낭용지가귀문>과 <봉황대회금강춘월>의 사례를 중심으로-

        권기성 한국고전연구학회 2017 한국고전연구 Vol.0 No.39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s and meanings of vulgar descriptions found in 『Yangeuncheonmi』. The early 20-century collections of historical tales mostly tended to follow the practice of old tales of the previous time, but 『Yangeuncheonmi』 did not accept the descriptions of ‘Dansunjeonjae’ though it is a collection of historical tales produced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ories of <Kimyeongrangyongjigagwimun> and <Bonghwangdaehoegeumgangchunwol> contained in 『Yangeuncheonmi』 and trace how it is different from the collections of historical tales of the previous time while seeking how it is associated with other literary works of the time. <Kimyeongrangyongjigagwimun> has the story of <Josaeng-Dowootan's Daughter> found in 『Swaeeo』, 『Seoneonpyeon』, or 『Seongsuchonghwa』 as its main gist but richens the narrative even further by using the motif found in the story of <Imanwon> contained in 『Gimunchonghwa』. 『Yangeuncheonmi』’s compiler stressed women’s wisdom through <Kim- yeongrangyongjigagwimun>, suggested the atmosphere of the time pursuing free love indirectly. But this tendency is similarly found in 『Wonangdo』 which Lee Haejo wrote in 『Jeguksinmun』 serially, too. <Bonghwangdaehoegeumgangchunwol> is similar to <Sojihyeonnasam- jaehap> contained in 『Gyeongsetongeon』, one of the novels from Ming, and it is also similar to the translated works of it like <Wolbonggi> or <Gangreungchuwoljeon>. In <Bonghwangdaehoegeumgangchunwol>, however, the main characters’ heroic aspects existing in previous works were gotten rid of, and the stories of union between a man and a woman reduced much while the parts about family separation increased greatly. And it embodied the stories of family harborage which was common in the background of the time full of heated competition between powers through <Bonghwangdaehoegeumgangchunwol>. These two works may not be evaluated to have placed the modern world to the foreground. Yet, 『Yangeuncheonmi』’s compiler paid attention to the trends of literature and changes of the time while compiling the collection of historical tales grounded on the modes of vulgar literature familiar to the public. To wit, 『Yangeuncheonmi』 supported the way that was different from the way that other collections of historical tales based on old tales adopted, so its unique status is recognized as a collection of historical tales transcribed in the early 20th century. 본고는 『양은천미』에 나타난 통속적 서술방식이 나타난 사례와 그 의미를 살폈다. 20세기 초 야담집은 대체로 전대의 고담을 그대로 답습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양은천미』는 20세기 초에 산출된 야담집임에도 불구하고 ‘단순전재’라는 서술방식을 취하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양은천미』에 수록된 <김영낭용지가귀문>과 <봉황대회금강춘월>의 이야기를 대상으로, 전대의 야담집과 달라진 부분을 추적하는 한편, 당대의 다른 문학작품들과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양은천미』의 편찬자는 『쇄어』나 『선언편』, 『성수총화』에 나타나는 <조생-도우탄의 딸> 이야기를 큰 골자로 하면서도 『기문총화』 소재 <이만원> 이야기에 나타나는 모티프를 활용하여 <김영랑용지가귀문>의 서사가 더욱 풍부해지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여인들의 재지를 강조하고, 자유연애를 갈망하던 당대의 시대적 분위기를 우회적으로 제시했다. 이와 같은 경향은 당대 이해조가 『제국신문』에 연재한 『원앙도』에도 유사하게 나타난다. <봉황대회금강춘월>은 명대의 소설집 『경세통언』에 수록된 <소지현나삼재합>과 유사한 면모를 보이고, 이를 번안한 <월봉기>, <강릉추월전>류의 작품과도 닯아 있다. 그런데 <봉황대회금강춘월>에는 기존의 작품에 존재하던 주인공의 영웅적 면모를 제외하고, 남녀 결연담 부분을 대폭 축소하는 한편, 가족의 이산과 같은 부분은 대폭 확장하였다. 이를 통해 열강의 각축이라는 시대적 배경 속 익숙했던 가족의 피난기를 형상화하였다. 이 두 작품이 공히 근대적 세계를 전경화 했다고 평가할 수는 없을 터다. 다만 『양은천미』의 편찬자는 당대의 문학적 동향과 시대적 변화에 촉각을 세우면서, 대중들에게 익숙한 통속적 문학양식을 통해 야담집을 편찬했음을 알 수 있다. 요컨대 『양은천미』는 고담을 전재하던 여타의 야담집과는 다른 방식을 표방했음을 의미하며, 이에 20세기 초 필사본 야담집으로서의 독특한 위상도 인정된다.

      • KCI등재

        <월간야담> 소재 「참회의 노승」을 통해 본 근대전환기(1930년대) 세대 갈등의 한 단면과 그 의미

        권기성 돈암어문학회 2019 돈암어문학 Vol.35 No.-

        Through the analysis of 「Old monk of repentance」(1936, Book III, Book 9) in 『Wol gan Yadam』, I looked at the composition meaning of the work and how the subject was shaped. In this way, the meaning of the work was discussed by linking it to a particular phase of the social problems of the day and to a youth/old discourse of the 1930s. At first glance, 「Old monk of repentance」 feels that the first and second parts of the book are not intertwined in an instrument, which makes it seem like a work that lacks the probability of an epic story. Bu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frontation between young and old, it shows that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new and old generations of newspapers and tradition is unraveling in the middle tier structure of “free love” and “generational conflict.” In particular, the boy's immoral behavior and generational conflict in the latter half of the year are no less than situations such as “violence,” “murder” and “suicide” facing the elderly in the 1930s. A turning point in modern discourse a young man who went to chudonghae I used to stay completely eliminated in the logic of modernization, for his old man, The composition of these confrontations 「Old monk of repentance」. The narrator, however, expressed his stance of advocating conservative and traditional oriented values by raising the hands of the traditional generation in both the first and second half. After modern discourse, which was represented by youth in the 1920s, lost its way and became a target of criticism, the 1930s youth/old generation conflict appears to have intensified in many parts of society. While the old man is still ignorant and portrayed as an object of alienation abandoned by someone, data from the 30s, including 「Old monk of repentance」, emphasize that respect for the elderly and ethics are the value equivalent to social public good, and remind people that the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old man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is to be in the warm interest and love of the people around him. Through these works,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the various works listed in the 『Wol-gan Yadam』 later on not just as a popular and entertaining product, but to read them more actively in consideration of the meaning of the times 본고는 월간야담 소재 「참회의 노승」(1936년, 3권 9호)의 분석을 통해서, 해당 작품이 지니는 구성적 의미와 주제의 형상화 방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작품이 지니는 의미를 당대 사회적 문제의 특정 국면 및 1930년대의 청년/노인 담론과 연결시켜 논하였다. 「참회의 노승」은 얼핏 전반부와 후반부가 계기적으로 엮여있지 않다는 느낌을 주며, 이로 인해 서사의 개연성이 부족한 작품처럼 느껴진다. 그러나 청년/노년의 대립이라는 관점에서 보면, 이는 신세대/구세대가 겪는 신문명과 전통의 대립을 ‘자유연애’와 ‘세대갈등’이라는 중층적 구성으로 풀어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후반부에 나타난 소년의 패륜행위와 세대갈등은 1930년대 노인이 처한 ‘폭력’, ‘살인’, ‘자살’ 등과 같은 상황에 다름 아니다. 근대전환기를 추동해갔던 청년담론은 노인을 타자로 머물게 하면서 근대화의 논리에서 철저히 배제하곤 했었는데, 이러한 대립의 구도가 「참회의 노승」에 나타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서술자는 전반부와 후반부 모두에서 전통세대의 손을 들어줌으로써 보수적이고 전통지향적인 가치를 옹호하는 입장을 드러냈다. 1920년대에 들어서 청년으로 대표되던 근대의 담론이 길을 잃고 비판의 대상으로 전락한 뒤, 1930년대의 청년/노인의 세대갈등은 사회 곳곳에서 한층 격화된 것처럼 나타난다. 이 와중에 노인은 여전히 무지하고 누군가에게 버려진 소외의 대상으로 그려지지만, 「참회의 노승」을 비롯한 30년대의 자료에서는 노인에 대한 공경과 윤리가 사회적 공공선에 해당하는 가치임을 강조하며, 근대전환기 노인문제의 해법은 기존 가치의 무조건적 추종이나 신세대의 비판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다움을 유지하는 것에 있음을 환기시킨다. 추후 『월간야담』에 수록된 여러 작품들을 단순히 통속적ㆍ흥미적인 상품으로만 해석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시대적 의미를 고려하여 더욱 적극적으로 읽어낼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