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XML-RPC 기반의 분산 환경 문서관리 시스템

        고혁준 濟州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Even the document resources offered from web server can be represented in the form of URL/URI, it can not necessarily be guaranteed that corresponding resources exist due to a dynamic change of server environment. In this paper, integrated document administration system is therefore proposed and modeled using the XML-RPC technology which guarantees the reliance of resources, and handles a dynamic server resource management and request of clients. The proposed system is composed of middleware and server systems. The former system manages dynamic server resources, and the latter reports the updated information of documentations stored in server by client from the server to middleware system. As a result, effective storing management of dynamic resource in distributed server could be archived and building cost of a new web server could be reduced due to an applicability to current web server. In addition, platform independent and efficient data management was obtained by using the XML-RPC protocol.

      •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대학 공연제작에서 무대조명 제작과정의 실습교육 : 중앙대학교 연극전공 공연제작 실습을 중심으로

        고혁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departments of stage lighting in Korean universities provide both education on the design process where texts are imaged with light, and education on the design implementation process for stage embodiment of actual theaters. However, the education of the stage lighting design implementation process in colleges is more focused on the design process rather than the design implementation process due to a lack of practicum places, such as theaters and studios, and professors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capacity of stage lighting. Departments with a stage lighting major have opened and operated courses where a piece of performance is actually produced to solve these problems by helping students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design implementation process. Considering that such lectures are practical experience for major activities after graduation for students, they are no more than a practicum to implement the design process rather than a reflection of the overall professional production process of stage lighting in the field.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experience producing a quality performance, but the stage lighting industry has a limitation in that the design needs to be checked at the theater. Therefore, it is also educationally important for students to implement design safely within the given time and conditions like the actual process in the field. Accordingly, the education of stage lighting performance production needs to be operated by connecting the field of the performance industry and job training and qualification based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so that students can make the best use of their ability after graduation and adapt to the field quickly. This research analyzed the production process of stage lighting in college and the field to explore the difference, and studied if job training that centered on capacity and key ability can improve the students’ skills required in the field. Under the assumption that college education is different from the field, the system of the production process of stage lighting and the design implementation process suggested by NCS and the performance production in college was compared and analyzed; the production process of stage lighting for “Oedipus: Son of Jocasta” (herein after referred to as “Oedipus”) performed by a practicum lecture of performance production at Major of Play, Department of Performance Creation at Chung-Ang University was analyzed. The research could analyze various cases, but it focused on a single play as the researcher considered that plays have a similar production process of stage lighting, unlike musicals, co-creation and interdisciplinary arts performance that hav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each genre, from his ten years of experience in participant observation of the production process of stage lighting as a performance production director at the major of Chung-Ang University. The play “Oedipus” was analyzed in the way of participant observation, and stage lighting NCS National Competency Unit was followed for the structure. This research has limitations in that the contents cannot be verified or compared with other preceding research materials as it was conducted with a few research cases on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for the production process of stage lighting in college. Since art education needs to be provided along with technology that can realize images created based on students’ creative thinking and imagination in detail, it is required to develop performance art as well as performance art education in more professional areas by developing, revising and supplementing various and specific learning modules continuously. 국내 대학 무대조명 전공학과에서는 텍스트를 빛으로 이미지화 하는 디자인 과정 교육과 실제 극장에서 무대형상화 하기 위한 디자인 실행과정 교육을 병행하여 운영한다. 그러나 대학의 무대조명 디자인 실행과정 교육은 극장이나 스튜디오와 같은 실습공간과 무대조명 전문기술역량을 갖춘 교수자의 부족으로 디자인 실행과정보다는 디자인 과정에 대한 교육에 더 집중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무대조명 전공이 설치된 학과에서는 학생들이 디자인 실행과정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 편의 공연을 실제로 제작해 보는 교과목을 개설·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강의가 학생들에게 졸업 후 전공 활동을 위한 실제적 체험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강의의 운영이 무대조명분야 현장의 전문적인 무대조명 제작과정 전반을 반영하기 보다는 디자인 과정을 실행해 보는 실습수업 정도로 그친다. 학생들이 완성도 높은 공연을 직접 만드는 경험도 중요하지만, 무대조명분야는 극장에서 디자인을 확인해야 하는 한계가 존재한다. 그래서 학생들이 현장의 공연제작과정과 같이 주어진 시간과 여건 내에서 안전하게 디자인을 실행하는 것 또한 교육적으로 중요하다. 따라서 국가직무표준을 바탕으로 공연분야 현장과 직무교육과 자격을 연계하여 학생들이 졸업 후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며 공연분야 현장에서 빠르게 적응할 수 있도록 무대조명 공연제작 교육은 운영되어야 한다. 본고는 대학 공연제작에서 무대조명 제작과정을 분석하여 현장과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현장에서 요구되는 무대조명의 역량과 핵심능력 중심의 직무교육을 통해 개선 가능한 지점인지를 연구하였다. 학교의 교육이 현장과 차이가 있다는 가정하에 NCS를 근거로 하여 NCS에서 제시한 무대조명 제작과정과 디자인 실행과정의 체계를 대학 공연제작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중앙대학교 공연창작학부 연극전공의 공연제작실습 강의에서 공연된 연극 ≪오이디푸스: 이오카스테의 아들≫(이하 연극 ≪오이디푸스≫) 무대조명 제작과정을 분석하였다. 다수의 작품으로 사례를 분석할 수도 있지만 중앙대학교 공연영상창작학부 연극전공에서 공연제작감독으로 10여년 간 학생들의 무대조명 제작과정을 참여관찰한 바 장르적 특성이 강한 뮤지컬이나 공동창작, 다원예술공연이 아닌 연극의 무대조명 제작과정은 대부분 유사했기 때문에 여러 작품을 기준 삼지 않고 한 작품을 집중적으로 분석했다. 연극 ≪오이디푸스≫는 참여관찰 방식으로 분석하였고, 구성은 무대조명 NCS 직무능력단위를 따랐다. 본 연구는 대학 무대조명 제작과정에 국가직무능력표준의 교육적 적용에 관한 연구 사례가 거의 없이 진행되었기 때문에 본 연구 내용을 여타의 선행 연구 자료와 비교·검증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예술교육은 학생이 창의적 사고와 상상력을 바탕으로 만들어낸 이미지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기술력도 함께 겸비할 수 있도록 행해져야 하므로, 공연예술의 발달과 함께 공연예술교육 또한 보다 전문적인 영역에서 다양하고 구체적인 학습모듈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수정·보완해 나가야 할 것이다.

      • Fast distributed parallel processing for bitcoin mining

        고혁준 高麗大學校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비트코인으로부터 시작된 블록체인은 이제 본격적인 발전의 시작을 하고 있다. 특히, 비트코인의 채굴의 합의 알고리즘인 작업증명은 병렬처리에 있어 다양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적용한 이더리움등 다른 알트코인에도 적용되어 사용되는 알고리즘이다. 이 알고리즘을 구현한 채굴 시장은 NVIDIA의 GPU 매출의 10%를 차지할 만큼 병렬처리 시장이 커지고 있다. 본 논문은 작업증명(Proof-of-Work) 알고리즘을 정리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대표적인 병렬처리 기법인 pthread, MPI, CUDA 등을 사용하여 비트코인에 대한 멀티코어 및 GPU기반 작업증명 분산 병렬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이를 구현한 작업증명 분산 병렬처리 시스템과 비트코인의 작업증명 성능 측정한 결과를 제시한다. 멀티코어 기반의 작업증명에서는 코어의 개수에 비례하여 작업증명의 속도가 지속적으로 향상 되었고, 총 처리시간 측면에서는 GPU기반의 작업증명에 대비하여 부족한 부분이 있으나, CPU의 멀티코어는 매니 코어로 발전하고 있는 중이며, 이에 대한 병렬처리도 크게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매니 코어로서의 GPU는 작업증명 처리 성능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나 병렬로 연결된 GPU의 개수에 따라 비례적으로 향상되지 않고 실험결과 GPU 4개 이상에서는 처리 속도 측면에서 정체현상이 있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분산 병렬시스템은 비트코인에 한정된 것이 아니며 다른 알트코인에 대한 작업증명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앞으로 블록체인의 작업증명에 대한 병렬처리 성능에 대한 연구를 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농촌다운 경관을 위한 축산업 혁신 및 농촌 공간 계획 제안 : 횡성군을 중심으로

        고혁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내 축산업의 성장은 농촌 경제에 크게 이바지하였으나 양적인 성장에 집중하여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육류 소비량의 급격한 증가에 따른 사육두수 급증으로 인한 환경오염의 문제, 적정 사육밀도를 유지하지 못해 발생하는 동물복지의 문제, 사육 두수의 급증으로 인한 과잉 공급에 따른 가격 인플레이션 등 현재 국내 축사는 사육두수를 감축하고 오염 저감 및 민간 피해를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그러나 축산업자에게 일방적인 사육 두수의 감축과 환경 관련 제재는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환경문제에 효과적이며 동물복지 6차 산업 축산 모델인 방목생태축산 대두되었다. 사육두수 감축으로 인해 감소하는 수입을 관광, 체험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충당할 수 있도록 하는 방목생태축산은 국내 축산업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모델로 여겨지며 이를 권고하는 다양한 사업이 실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우하면 떠오르는 ‘횡성군’을 대상으로 선진방목 ESG 모델인 방목생태축산을 제안하며, 기존의 축사에 가둬져 키우는 것이 아닌 한우를 활용한 방목 경관의 조성으로 횡성다운 경관의 조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New Ruralism에 따르면 최근 농촌지역에 대한 주요 이슈는 농촌 고유의 생산적 가치와 모습을 찾고자 하는 농촌성(Rurality)을 넘어서 농촌 가치에 기반한 농촌계획의 원칙으로서 농촌다움(New Ruralism)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Viviers et al., 2017; Carlow, 2017; OECD, 2018) 1). 그러나 횡성의 최대 가치로 뽑히는 한우는 축사에서 길러져 횡성군의 경관에서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우가 보이는 횡성군의 공간 계획을 위해 횡성군의 축사의 유형화를 진행하여 방목생태축산 적합 축사를 추출하고 축사별 관리 방안을 제시하며, 누적가시도분석을 통한 도로에서 보이는 축사들을 추출하여 경관적으로 활용 가능한 축사들을 선정한다. 이후 추출한 축사의 형태를 분석하고 대표적인 대상지를 선정하여 횡성군 방목생태축산 축사의 공간 계획 및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며 횡성 다운 경관, 관광 체험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인장 케이블-막구조물의 초기형상해석 및 응력변형해석에 관한 연구

        고혁준 동의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공간 구조물 중에서도, 연성구조물의 일종인 막 구조물 및 케이블구조물의 비약적인 발전은 최근 우리들의 주목을 끌고 있다. 막 및 케이블로 구성되어 있는 막 구조, 케이블구조, 또는 복합 구조체로서의 막-케이블 구조물은, 종래의 건축 재료보다 매우 가벼운 재료를 이용하므로 대공간 구조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축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연성 막 구조물은 막 재료의 발달과 함께 현재는 영구적인 건축물로 자리잡고 있다. 막 및 케이블 구조물은 초기강성이 매우 약하기 때문에 초기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초기응력의 도입이 필수적이다. 연성구조 시스템인 막 및 케이블 구조물은 초기강성을 갖기 전에는 불안정한 상태를 나타내지만, 초기 강성의 도입과 함께 안정상태가 된다. 초기강성의 도입과 함께 연성구조 시스템에서 야기될 수 있는 대변형 현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초기형상에 관한 해석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연성구조 시스템인 막 및 케이블 구조에서의 구조설계는 일반적인 구조설계와는 달리 초기응력의 도입에 따른 형상 결정문제가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하학적 비선형을 고려한 유한요소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수렴성과 결과의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4가지의 예제를 이용하여 해석 결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부산아시아드 경기장의 응력해석과 보강방안을 제시한다. (1) 카테나리 곡면에 대한 형상해석은 초기의 평평한 원형평면의 중앙 링 부분에서 상향방향으로 강제변위를 주어 해석하였다. 해석결과는 카테나리 곡면의 이론식과 비교하였으며, 오차는 최대 4.16%정도로 나타났다. 이러한 오차는 내부장력의 차이로 인한 요인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으로 요소분할의 세분화와 많은 반복에 의해서 줄어들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 HP쉘 곡면의 형상해석은 최저에서 최고지점부까지 수직길이가 600cm가 되도록 강제변위를 적용하여 평형형상을 탐색하여 최종형상을 이론해와 비교하였다. 해석결과 해석치와 이론치가 정확히 일치하였다. (3) 안장형(saddle) 곡면의 형상해석은 최저에서 최고지점부까지 수직길이가 1000mm가 되도록 강제변위를 적용하여 평형형상을 탐색하여 최종형상을 이론해와 비교하였다. 해석결과는 해석치와 이론치가 정확히 일치하였다. (4) 케이블 보강 막구조물에 대한 형상해석과 응력해석을 수행하여 객관적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형상해석후 나타난 평형형상을 X, Y방향으로 초기형상으로 한 후 하중을 가하여 응력해석을 수행한 결과 막의 최대응력에서는 Y방향에서 최대 5.88%의 오차율을 나타냈으며, 지점에서의 응력은 최대 13.64%의 오차율을 나타내었다. 최대의 오차량은 많은 값이나 이점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비교값과 유사하고, 요소분할에 따라 최대값을 나타내는 오차량은 감소할 수 있다고 판단되므로 제안한 해석방법에 큰 무리가 없다고 판단되었다. (5) 실제 시공되어진 의한 부산 아시아드 경기장을 대상으로 해석하여 본 결과 막재에 대한 안전율은 2.21~3.87로 나타났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막재에 대한 규준이 정립되지 않아 일본건축학회 규준인 안전율 4를 기준으로 이를 충족할 수 있는 대안은 중앙 패널부분에 추가적인 지지아치 3개이상 확보하는 방법으로 제안하여 보았다. (6) 국내에서는 막구조물에 대한 안전율의 한계값을 지정하지 않고 있으나 막구조물의 발전을 위해서는 안전을에 대한 국내의 기준정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Membrane structure systems and cable structure systems are attracting people's attention as they are used in many buildings because of their light materials and airy appearances. Just, and because as membrane structure, cable structure, or composition structure consisted of cable just - cable structure can construct structure between membrane structure and cable structure more effectively because use very light material than usual building materials this ductility just structure to building which present with development of material is lasting just situate Just, and cable structure so that secure initial stiffness because initial stiffness is very weak introduction of prestress essential membrane and cable structure, ductility structure system, display unstable state before have initial stiffness, but become stable state with introduction of initial stiffness. To grasp speaking by proxy style existing circumstances that can be caused in ductility structure system with introduction of initial stiffness, analysis of initial form is required compulsorily. Therefore, structural design in membrane and cable structure, this ductility structure system, should be solved shape decision problem by introduction of prestress preferentially unlike general structural design. In this study, used finite element program that consider geometric nonlinearity and uses 4 example to search astringency and degree of result and verifies analysis result. Also, present stress analysis of the Busanasiadeu field and reinforcement plan. 1) Shape analysis for catenary curved surface gives and analyzed forced displacement from center ring part of primitive flat circle plane to upstice direction. Compared with theory way of catenary curved surface with analysis wave, error was expose by maximum 4.16% degree. This error estimates that can decrease by atomization of element division and a lot of repeats that happen by leading person by inside tension's difference. 2) Shape analysis of HP shell curved surface searches balanced type upper and compared last shape doing doctrine applying forced displacement so that vertical length may become 600cm to topgallant department in rock bottom. That analyze with analysis wave and theoretical values agreed correctly. 3) Shape analysis of platyform (saddle) curved surface searches balanced type upper and compared last shape doing doctrine applying forced displacement to be imposed vertical length 1000mm to topgallant department in rock bottom. That analyze with analysis wave and theoretical values agreed correctly. 4) Verified objective validity achieving shape analysis and stress analysis for cable reinforcement membrane structure. Displayed measuring efficiency of maximum 5.88% in Y direction in wave and maximum stress of membrane that achieve stress analysis inflicting load after hold balanced type mourning that appear after shape analysis in initial form to X, Y direction, stress in point displayed measuring efficiency of maximum 13.64%. The maximum error amount is similar with most comparison price except a lot of values or advantages, and the error amount that display absolute maximum according to element division estimated that there is no big group to analysis method that propose because estimate that can decrease. 5) Wave and safety factor about membrane material that analyze to Pusan Asiadeu field that depend that is constructed actually appeared by 2.21 ~ 3.87. But, the alternative that can fulfill this via safety factor 4 that is Japan architecture learned society canon because canon about membrane material is not established in domestic proposed by method that define more than support arch 3 that is additional for center panel segment. 6) Is not specifying marginal value of safety factor for membrane structure water in domestic but estimate that need domestic standard thesis about safety factor for development of membrane structure.

      • 우레탄 폼 단열재 도포공법 노출표면에 직접 방사되는 용접 및 풀팬화염에 의한 착화방지 연구

        고혁준 경원대학교 환경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실험적 연구에서 도출된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신도림 00현장에 적용한 경질우레탄폼상 질석피복공법은 화재안전성을 충분히 가지고 있음이 입증되었다. 원 공법(경질우레탄폼 노출공법)을 분석한 결과 천장하부의 경질우레탄폼 단열재를 노출하였을 경우 공사 중에는 용접화염 등의 점화원에 의해서 착화될 수 있는 것으로 실험결과 규명되었고, 자기소화성 첨가물을 첨가한 우레탄폼도 열축적이 이루어질 경우 착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즉, 개구율 등 구획의 특성상 국부용접화염에 의해 천장 경질우레탄폼을 가열시 착화는 발생하나, 구획공간 전체의 화염확산이 일어나는 F/O(플래쉬오버)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국부복사열의 지속시간(가연성가스 축적)과 열축적환경(실구조) 등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또한 유지관리시에 화재하중에 의한 착화는 천장하부 가연물의 HRR이 0.5MW인 경우라 할지라도 2분 이내에 노출 경질우레탄폼이 착화됨을 규명한바, 의자 등의 소형가연물에서 초래되는 화염에도 경질우레탄폼의 착화가 용이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단 착화가 발생하면 20초 이내에 F/O(플래쉬오버)로 진행될 수 있을 정도로 화염확산이 급속히 이루어짐을 규명하였다. 콘칼로리메타에 의한 경질우레탄폼 시편의 복사강도를 분석한 결과 방출열량은 최대치와 평균치가 각각 244.6kW/m2와 70kW/m2값을 나타내었고, 5분간 단위면적당 총방출열량은 50MJ/㎡을 상회하였다. 따라서 KS F ISO 5660-1 시험기준에 따른 가열시험 개시 후 5분간 단위면적당 총방출열량이 8MJ/㎡ 이상이고, 5분간 최대 열방출속도가 10초 이상 연속으로 200kW/㎡를 초과 하였으므로 본 시험에 사용된 경질우레탄폼 시료는 난연재료로 인정 받을 수 없음이 확인되었다. 보강공법을 적용해 분석한 결과 경질우레탄폼 단열재를 질석피복으로 보호한 후 질석피복 표면에 용접화염을 직접 가열하여도 착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국부적으로 질석피복을 제거하여 용접화염을 가열하면 일반 경질우레탄폼은 착화가 일어나지만 자기소화성 경질우레탄폼은 표면착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또한 용접화염 대신에 유지관리시의 화재하중으로 대별되는 풀팬화염인 경우에도 착화가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규명됨에 따라 질석 등과 같은 무기질 단열재를 사용하여 경질우레탄폼 단열재의 표면을 피복하면 열전달율이 낮아져 피복내부의 착화가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신도림 00 현장에 적용된 경질우레탄폼상 질석피복보강공법은 작은 규모의 화재강도로부터 구조물 보호가 가능해 화재안전성능을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적 연구결과에서 볼 때 경질우레탄폼과 스티로폼 등의 가연성 단열재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규제하여 위험성을 사전에 제거하는 것이 원칙이다. 하지만 건축단열성능, 결로방지성능, 작업성 등의 효과가 불연성단열재(글라스울, 록울 등) 보다 가연성단열재가 탁월하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가연성단열재를 사용시에는 전문검증기관의 난연재료 등의 성능검증을 거쳐 현장감리자 및 감독관의 철저한 감독하에 시행하는 것도 공법기술 발전상 유익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 고차경계요소법을 이용한 파와 구조물의 비선형 상호작용 해석

        고혁준 제주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demand for the coastal space utilization is increasing as the standard of living improves and necessity of safe coastal structure is also being concerned as the intensity of natural disasters increases. But the reliable numerical tool for designing coastal structure in heavy ocean condition has not been existed. Numerical Wave Tank(NWT) that is developed as the basic frame on the interaction between waves and a structure can consider the nonlinear effect in order to give the correct and reliable results. NWT is also able to execute the wide range of parametric study for the numerical model with the reduced time and expense, compared to the laboratory experiment. In this thesis, the nonlinear interaction between waves and a structure(submerged horizontal plate, submerged step) as well as the nonlinear wave generation in 2-diemensional wave tank have been investigated under the assumption of nonlinear potential theory. Boundary value problem for NWT was transformed into Boundary Integral Equation(BIE) using Green’s identity. In order to obtain the unknown values along the boundary, the boundaries enclosing the fluid domain were divided into several elements. And then a higher order Boundary Element Method(BEM), which expresses a higher order shape function and node value for shapes and variables, was applied to each element. A higher order Taylor expansion was used for updating the free surface shape and the potential value in time. Numerical calculation has been performed to verify the nonlinear interaction between waves and a structure(horizontal plate and a submerged step). It was found that the reflection and transmission coefficients by a structure shows good agreements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of Patarapanich and Cheong(1989) and Losada(1997) respectively. Moreover, it was noted that the higher harmonics, which is generated in shallow water due to a horizontal plate or a submerged step installed in NWT, is transferred to the transmission side. The variety of regular and irregular waves by controlling the wavemaker motion was generated in NWT for future analysis of nonlinear interaction between irregular waves and a structure.

      • 2009년 하계 황해투기해역에서의 해양환경 변화에 관한 연구

        고혁준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focused on the impacts of waste dumping on water and sediment quality in the dumping area of the Yellow Sea from 1988. The environmental variables and parameters of the dumping and reference areas in the Yellow Sea were measured during July 2009 and analyzed. In the study area, density stratification defended greatly on temperature rather than salinity. Yellow Sea Bottom Cold Water were found below 7℃ at the depth of 30m in all the observation points. The vertical distributions of salinity showed a sudden drop of 0.5∼1.5psu at the 20m depth. It seemed to be influenced by an increase in summer precipitation and also a southward shift of the Yellow River. The chemical environment of the study area showed that deeper water has low pH, high SS and COD, low DO and an accumulation of nutrients in the bottom layer. Most notably, phosphate values at the bottom were higher than the reference area. The reason for the increase appears to be due to the disposal of livestock, sludge, excreta from 2002, rapid consumption of nitrogen and slow biogeochemical circulation. The data also suggests a eutrophic state is occuring at the bottom layer. Sediment COD values exceeded 20㎎O2/g-dry, Japan Fisheries Environmental Standard, at stations 3 and 5. The concentration of Cr exceeded ERL(effect range-low) of the NOAA at station 3 and 4. It seems to be influenced by leather process waste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the water content and Co, Cr, Cu, Fe, Hg, Ni, Zn concentration in the study area were very high. So, they are staying as dissolved matter.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TIN and phosphates at the bottom layer below the thermocline had incersed from 3.7μM to 9.8μM and from 0.5μM to 1.1μM, which correspond to 2.6, 2.2 times accumulation in the dumping area before 1988. Continued disposal of waste into the Yellow Sea has impacted the northwest reference area(st.1) as a result of organic oxidation and heavy metal diffusion. In addition, at the station 3, the concentration of Cr exceeded the ERL(effect range-low) of the NOAA. Therefore, station 3 seems to need a rest zone appointment.

      • From genocide to development : a study on collective learning process of Gasi-ri village, Jeju, Korea

        고혁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rough the case study of the reconstruction process of Gasi-ri village, this research examines the process of and motivation for collective learning in community development. Although the village was burned to the ground and more than 300 people were branded as communists and massacred by the government in 1948, the village was successfully reconstructed and received “The Best New Village Award” in the 1970s. In order to analyze the historical singularity of Gasi-ri village in the perspective of learning, this study introduces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CHAT) as a conceptual framework. By conceptualizing humans’ object-oriented behaviors as an act of learning, CHAT enables us to capture everyday activities in the context of learning. In this regard, the villagers’ interaction which occurred in the process of village reconstruction is analyzed as a collective learning system that continues to create expansive activities. Meanwhile, the central pillar of the village’s historical singularity is the memory of genocide caused by the Jeju 4.3 Incident. Si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ocidal experience and village reconstruction has been raised as a crucial factor during the data collection process, this study analyzes the history of the village based on the collective memory theory, which deals with memory and identity at the group level. With these theoretical backgrounds, the researcher conducts in-depth 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village reconstruction of Gasi-ri can be seen as a collective learning process. The first stage of group learning occurs when a group member shares a common objective from their inner necessity. In the case of Gasi-ri, the discovery of economic crops which are suitable to cultivate in the village served as a momentum of common objective sharing, and the crops were identified by the “Gasi-ri 1.5th generation,” who mainly led all of the rebuilding activities since the early 1950s. The 1.5th generation was a few educated people who survived the genocide by virtue of their young age and they played a central role in rebuilding the village with their distinctive responsibilities. By introducing modern economic food processing techniques such as those for making sliced potato and dried slice radish, they made it possible for the villagers to set the common objective of increasing income through the mass production of economic crops. Since then, the villagers began to forge a collective learning system under a common objective. In order to realize effective mass production, they divided production, distribution, and parenting tasks according to their roles in the village. In addition, they established several sub-organizations such as the Youth Association, Men and Women’s Association, and Agricultural Cooperative to systematically implement each role, while the village’s general assembly decided on the ground rules of co-production and co-sale to respond to external commodity price fluctuations. Through this interaction process, the villagers not only learned the knowledge and skills necessary for increasing income, but also established a collective learning system that enabled them to improve their circumstances. Once the system was established, it contributed to establishment of new future objectives, not to mention the overcoming of immediate difficulties. In the early 1970s, for instance, the villagers determined to pave new mountainous road for improving the distribution of goods despite the fact that they had already achieved considerable improvement in terms of income and standard of living. In this determination, the group’s enhanced ability to learn caused by the establishment of collective learning system was heavily affected. As a result of sustained collective learning activities, the community of Gasi-ri village achieved economic prosperity. Furthermore, by being recognized by the state, they could recover their self-esteem, which was severely damaged following the 4.3 Incident. Secondly, the genocidal memory of the Jeju 4.3 Incident heavily influenced the motivation of collective learning in the village. During the field study and in-depth interview processes, the researcher found that most of the villagers had an ambivalent attitude about the 4.3 incident. It seems to be related to the contradiction caused by the recognition gap between the past-self and the present-self. Specifically, the villagers’ past-selves are represented by fear and chagrin. On the other hand, their present-selves are signified by the regretful remembrance of their ignorance. Among these, the latter is directly linked to the motivation of village reconstruction. Since the villagers recognized that their ignorance had caused the genocide in the village, they felt that being freed from the fetters of ignorance was the only way to prevent future tragedies. The researcher’s analysis suggests that the external (or environmental) context, which suppressed the memory of genocide, and the internal context, which endeavored to protect the unity of the community, were simultaneously affected in the process of recognition. As the decades-long military dictatorship had created an oppressive atmosphere in the village, the villagers could not mention anything about the genocide and state violence. Nevertheless, the survivors could not be thoroughly frustrated; they distorted their memories of genocide by transforming them from “resentment against the state” to “blaming themselves for being ignorant.” It was the only constructive alternative to maintaining the sense of community in the situation of extreme poverty and social disgrace. Additionally, the memory of conflict and enmity between the villagers, especially the tragedy of fratricidal experiences, has become a tacit taboo in the village. Therefore, the distortion of collective memory was not only an internally attributed response to social oppression, but also self-censoring to protect the solidarity of the community. Namely, it is found that the community tried to sublimate their tragic experience into a new driving force for the village reconstruction. The newly formed collective memory caused the formation of a new collective identity characterized by diligence and austerity, responsibility, and the desire to learn. It was a catalyst to facilitate the learning activities in the village. The researcher conceptualizes the process as a collective learning mechanism in the following manner: contradiction recognition, collective memory formation, collective identity form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ctivity system. This process seems to be not linear but cyclical. Meanwhile, not all contradictory recognition is connected to a new formation of collective memory and identity. For a successful collective learning progress, it is necessary for group members to share recognition of the common objective. In addition, a contributory factor such as a successful experience is helpful for the recognition-sharing process. In the case of Gasi-ri village, the 1.5th generation, who had a different identity from the previous generation and other villagers, they could share their collective memory by being encouraged by the success of economic crop mass-cultivation in the early 1960s. Consequently, Gasi-ri village reconstruction was a collective learning process which followed the procedures of setting a common objective, deciding on rules and the division of labor, and acting collectively under a common objective. In this process, the villagers’ contradictory perception of the Jeju 4.3 Incident worked as a fundamental motivation by forming a new collective memory which blamed the villagers’ ignorance to facilitate the learning process. Through the collective learning system, the villagers continuously learned and extended their objective, thereby resulting in the villagers’ economic prosperity and psychological recovery. The result of this analysis implies that we need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historical factors of each community when it comes to implementing a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In the perspective of education development studies, it offers the significant possibility for researchers to explain the development process with the integrated concept of learning rather than the existing traditional tendency in development studies, which considers education and learning simply as an instrumental factor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process. 이 연구는 제주 가시리 마을의 재건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주민 주도형 지역사회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집단 학습의 양상과 성과, 학습이 발생하게 된 동인을 탐구한다. 연구 지역인 제주 가시리는 1948년 제주 4.3사건으로 인해 마을 전체가 전소되고 300여 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20여 년 만에 자체적으로 마을을 재건하여 1970년대 국가로부터 최고 새마을 칭호를 받은 특징적인 역사를 지니고 있다. 연구자는 가시리 마을의 역사적 특이성을 학습의 관점에서 면밀히 분석하기 위하여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을 개념틀로 도입하였다. 문화역사적 활동이론은 개인과 집단의 목표 지향적 행위를 학습의 과정으로 개념화함으로써 일상의 활동들을 학습의 맥락에서 포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재건 과정에서 발생했던 주민들의 상호작용과 역동들은 지속적인 활동을 창출하는 집단학습의 과정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가시리 마을 역사의 특이성을 구성하는 또 다른 중요한 축은 제주 4.3사건 즉, ‘집단 학살의 기억’이다. 자료 수집의 과정에서 집단학살의 경험과 마을 재건의 연관성이 중대한 탐구요소로 제기된 바, 연구자는 집단의 기억과 정체성의 문제를 다루는 집합기억이론을 토대로 마을 재건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같은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심층면담 및 참여관찰, 문헌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가시리 마을의 재건 과정은 마을 공동체가 지속적으로 목표를 확장하며 의미를 산출해 나가는 집단학습의 과정으로 분석된다. 일차적으로 집단 내에서 학습활동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집단적 필요에 의해 구성원이 공유할 수 있는 공통의 목표가 설정되어야 한다. 가시리의 경우 1960년대 초 마을의 토양과 기후에 적합한 경제작물의 발견이 목표 설정의 계기가 되었다. 경제작물 발견의 주체는 4.3사건 직후 야학 설립에서부터 70년대 초 도로확장에 이르기까지 마을 재건활동의 전반을 주도했던 ‘가시리 4.3 1.5세대’였다. 이들은 4.3의 참상을 직접 목격하였으면서도, 15세 미만의 어린 나이 덕분에 생존할 수 있었던 마을 내 소수의 교육받은 인재들이었다. 이들은 ‘마을을 재건해야 한다.’는 특유의 책임감으로 재건 활동의 촉진자 역할을 담당했다. 이들은 농업기술원으로부터 ‘절간 고구마(주정원료)’, ‘무말랭이’ 등 경제작물 가공기술을 도입, 마을 내에 소개함으로써 마을 공동체에 ‘경제작물 대량생산을 통한 소득 증대’라는 공통의 목표 형성을 가능케 했다. 이러한 공통 목표 아래 가시리 마을 공동체는 집단학습체제를 구축하기 시작한다. 효율적인 생산과 유통을 실현하기 위한 ‘생산 - 유통 - 육아’의 분업구조를 마련하는 한편, 각자에게 주어진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청년회, 부녀회, 협동조합 등의 세부 실천조직이 마련되었다. 마을 총회를 위시한 공동체 내 이러한 조직들은 여러 차례의 토론 과정을 거쳐 “공동생산, 공동유통을 통해 상품 가격 변동에 대비하는 동시에 마을 전체의 소득을 증대시킨다.”는 내부규칙을 정했다. 이러한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의 과정 속에서 마을 주민들은 소득향상을 위한 지식과 기술을 학습했을 뿐 아니라, 지속적인 현실 개선을 가능케 하는 학습체제를 구축할 수 있었다. 일단 구축된 집단학습체제는 눈앞에 주어진 난관의 해결뿐 아니라, 미래의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는 데에도 기여하였다. 1970년대 초 이미 상당부분 소득 증대를 이루었음에도 마을 주민 전체가 상품유통 개선을 위한 산간도로 확포장을 추가적으로 결의하게 된 배경에는 학습체제 구축으로 인한 집단의 학습능력의 증대라는 요인이 작용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4.3으로 폐허가 된 땅을 일구어 집단적 학습체제를 20년 이상 유지하며 지속적으로 학습한 결과, 가시리 공동체는 소득 증대라는 경제적 목표를 성취했을 뿐 아니라, 국가의 인정을 받아 4.3으로 인해 심각하게 손상되었던 심리적 자존감 또한 회복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가시리 마을에서 집단학습이 발생하게 되는 과정에 4.3이라는 집단학살의 기억이 하나의 계기로써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연구자는 증언 수집 과정에서 대다수의 주민들이 과거의 자아와 현실의 자아의 괴리에서 발생하는 4.3에 대한 이중적 인식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유 없이 가족들이 죽임을 당해야만 했던 원통함’, ‘그로 인한 군경과 빨치산에 대한 분노’ 등이 과거의 자아를 대변한다면, ‘이 모든 것이 자신들의 무지로 인한 것이었다는 후회’가 현실의 자아를 대변하고 있었다. 이 중 후자의 서사구조가 마을 재건의 명분으로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4.3의 비극이 주민들의 ‘무지’로 인한 것이라면, 무지로부터 벗어나는 것이야말로 미래에 있을지 모르는 비극을 방지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이 되기 때문이다. 연구자는 이러한 인식에 이르게 된 과정에 학살의 기억을 억압하려는 환경적 맥락과 공동체의 결속을 유지하려는 주민집단의 내부적 맥락이 동시에 작용한 것으로 분석한다. 4.3사건 발생 이후 수십년 간 계속된 군사독재정권은 가시리 주민들로 하여금 집단적 추모 행위는 물론 집단 학살과 국가 폭력에 대한 어떠한 언급도 할 수 없도록 억압적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거대한 억압적 환경 속에서 생존자들은 자신들의 부모 세대처럼 철저하게 좌절당할 수만은 없었다. 그래서 이들은 4.3에 대한 자신들의 기억을 ‘국가에 대한 원망’으로부터 ‘무지에의 자책’으로 왜곡하였다. 극도의 빈곤과 ‘폭도 마을’이라는 불명예 속에서 이러한 집단 기억의 왜곡은 마을 공동체 유지를 위한 유일한 건설적인 대안이었다. 더불어 4.3사건 당시 마을 내에서 서로 갈등하고 반목했던 기억들, 경찰과 주민, 주민과 주민 간에 서로 죽고 죽여야만 했던 참담한 기억들은 마을 주민들 사이에서도 절대로 발설해선 안되는 암묵적 금기였다. 따라서 집단 기억의 왜곡은 사회적 탄압에 대응하기 위한 내부 귀인의 과정이자, 공동체의 유지를 위한 자기 검열 과정이었던 것이다. 여기에는 참상의 기억을 마을 재건을 위한 새로운 동력으로 삼으려는 마을 공동체의 의도가 강력하게 반영되어 있다. 4.3에 대한 변화된 인식은 근면과 내핍, 책임감, 배움에의 열망 등의 특성을 지닌 새로운 집단 정체성의 형성을 가져왔고, 이는 재건을 위한 학습활동을 촉진시키는 기폭제가 되었다. 연구자는 새로운 집단 기억의 형성이 학습활동을 촉진시키기까지의 과정을 ‘모순 인식 -《인식의 공유 - 집단 기억 형성(이중화) - 집단 정체성 형성》- 활동체제 구축’으로 개념화한다. 모순을 인식함에서부터 새로운 집단 기억이 등장하여 집단 정체성으로 형성되는 내부 과정은 단선적이기보다는 순환적이다. 한편 모순적 상황에 대한 인식이 모두 새로운 집단 정체성의 형성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이 과정에는 새로운 집단 기억을 확산시키려는 의도에 공감하는 많은 구성원들의 인식 공유가 필요하며, 인식 공유에는 성공경험과 같은 일종의 유인 기제가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가시리의 경우 이전 세대와 다른 새로운 집단 기억을 가진 ‘가시리 4.3 1.5세대’가 경제작물의 도입에 성공함으로써 인식공유를 이루고 새로운 집단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요컨대, 가시리의 경우 4.3에 대한 모순적 인식이 ‘무지’를 자책하는 새로운 집단 기억을 형성함으로써, 마을 재건 참여의 동인으로써 작용하였던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마을 재건의 과정은 집단의 구성원들이 토론을 통해 공통된 목표를 설정하고, 그러한 목표 아래 규칙과 세부 조직 분업관계를 설정하여 추진하는 집단적 학습의 과정이었다. 이러한 집단학습체제의 구축으로 마을 주민들은 지속적으로 자신들의 목표를 확장해 나가며 학습함으로써, 경제적 성취뿐 아니라 잃었던 마을 공동체의 자존 또한 회복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지역사회개발에 있어 지역 공동체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필요함을 다시 한 번 시사하는 한편, 학습이 개발을 촉진시키기 위한 수단이라는 도구적 개념을 넘어 개발 과정 전반을 설명할 수 있는 통합적 개념틀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