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동 스마트 계측을 통한 굴착공사 안전관리시스템

        강인모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1990년대부터 도심지 개발계획으로 산업사회의 발전이 고도화됨에 따라 건축공사의 규모가 점차 확대되면서, 부족한 토지 공간을 활용하고 건축물의 지하 공간을 효율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지하공사가 점차 심층화, 대형화되어 가고 있다. 특히나 도심지에서는 높은 지가와 부족한 주차공간의 확보, 대지 활용의 극대화 등을 위해 대지 경계선에 매우 근접하여 굴착이 이루어지고 있다. 흙막이 공사는 거의 모든 현장에서 수반되는 필수적인 주요 공정으로 그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흙막이 공사는 사고 발생 시 인명피해와 복구비용의 경제적 부담이 크기 때문에 이에 따른 인접 건물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경제적이며 안전한 지하공사를 수행하기 위해서 흙막이 계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고비용 및 위험 발생 시 의사소통의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흙막이 계측은 계측 변화에 따른 체계적이고 꾸준한 측정이 힘들고 이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부족으로 유지관리의 어려움과 흙막이 공사 시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 주변 건물 피해에 따른 민원 발생 등에 대한 적절한 대처가 부족하다. 그러므로 날로 늘어가는 도심지 흙막이 공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경제적이며 안정적인 계측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신속한 정보의 전달과 판단을 필요로 하는 흙막이 계측관리에 IT를 접목하여 다중의 건설현장을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 아우구스티누스의 행복론에서 아카데미아 학파 반박의 의미

        강인모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Augustine, with his conversion to Christian, counts the refutation of Academicians as his first task. He needs to refute the skepticism of Academicians for establishing valid grounds for his eudaimonism in which the happy life can be acquired by conceiving God or Truth. For one could not know God or Truth if nothing can be known. Augustine suggests three different expressions of things to know to be happy: the virtues of human’s soul, prudence, moderation, courage, justice, in Contra Academicos I, God in De Beata Vita, and both God and the soul in Soliloquia. These three expressions could be understood as one integrated notion through the discussion in De Beata Vita. In the first volume of Contra Academicos, Augustine says that the happy life is relevant to Truth and that at least we should seek for Truth in order to be happy. He, then, regards what to know to be happy as prudence, moderation, courage and justice. He, in the second volume of this book, introduces the doctrine of Academicians, and confutes their teaching in the third. In refuting skepticism of Academics, Augustine gives them counterexamples: the logical and mathematical truth, and the subjective certainty. Considering what I mentioned above, I want to pose a question. Even if Augustine should have established a congnitive possiblity of what to know to defeat their doctrine, he merely showed the possibility of what we know. In other words, his retort of Academics seems to fail because he just provided the examples of what we know, instead of what to know. Nevertheless, this essay, within this context, sheds light on the way in which we could coherently understand Contra Academicos through other writings of his post-conversion period at Cassiciacum. From the fact that we conceive the true, we could infer as follows: first, if we conceive the true, then the true exists, and if the true exists, then Truth exists. Additionally, by refuting the concept of ‘probabile’ displayed by Academics, he maintains his own 'probabile' which refers to that it enables us to seek for Truth although the true does not allow people to be happy in a direct way. In this respect, I will illuminate that even though Augustine never put this claim in an explict way in Contra Academicos, we can meaningfully justify it through his other works by discussing the first matter as the focal point. 『아카데미아 학파에 반대하여』에서 아우구스티누스는 인간이 행복하기 위해 알아야 할 것들로 현명함, 절제, 용기, 정의를 제시한다. 또 『행복한 삶에 관하여』에서는 신을 제시한다. 얼핏 보기에는 그가 두 책에서 다른 인식 대상을 제시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독백』에서 행복하기 위해서 신과 영혼을 알아야 한다고 말한 것과 일관되어 보인다. 무엇인가를 알아야 행복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입장에서 아카데미아 학파의 회의주의는 하나의 장애물이다. 어떤 것도 알 수 없다면, 영혼과 신도 알 수 없고, 인간의 행복한 삶은 불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인식을 통한 행복론을 전개하는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있어 아카데미아 학파의 회의주의는 극복해야할 상대인 것이다. 이런 이유로 아우구스티누스는 그리스도교로 전향을 한 후 아카데미아 학파의 회의주의를 반박하는 것을 자신의 첫 과제로 삼는다. 그래서 그는 『아카데미아 학파에 반대하여』라는 책을 출판하게 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아카데미아 학파에 반대하여』 1권에서 행복과 진리가 서로 연관을 맺고 있고, 행복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진리를 추구해야 함을 말한다. 이런 주장을 하는 가운데 그는 우리가 행복하기 위해서 알아야 할 것으로 현명함, 절제, 용기, 정의를 제시한다. 이어서 그는 2권에서 아카데미아 학파의 학설을 소개하고, 3권에서 그들의 회의주의를 반박한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아카데미아 학파의 회의주의를 반박하며 논리적, 수학적, 주관적 확실성을 그 반례로 제시한다. 그런데 이 앎들은 1권에서 제시한 덕, 즉 영혼의 훌륭한 상태와는 관련이 없어 보인다. 다시 말해, 자신의 회의주의 반박이 성공하려면, 아우구스티누스는 행복하기 위해 우리가 ‘알아야 하는 것’의 인식 가능성을 보여주어야 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우구스티누스는 그저 ‘알 수 있는 것’이 있다는 사례만을 제시하고 있을 따름이다. 본 논문은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아우구스티누스의 아카데미아 학파 반박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을지를 동 시기의 저서들을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우리는 개별 진리를 인식한다는 것으로부터 두 효용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첫 번째 효용은 개별 진리의 존재로부터 진리 자체, 즉 신의 존재를 추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이것을 『아카데미아 학파에 반대하여』에서 직접 말하지는 않지만, 동 시기의 다른 저서를 통해 우리는 이를 추론할 수 있다. 또 다른 효용은 진리를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 그럴듯하다고 생각함으로써 진리를 추구하는 계기가 된다는 것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아카데미아 학파의 ‘그럴듯함’을 공격하며 두 번째 효용을 주장한다. 본 논문에서는 아우구스티누스가 『아카데미아 학파에 반대하여』에서 제시하는 반례를 첫 번째 효용의 맥락에서 살펴봄으로써, 행복과는 관련이 없어보이는 진리라 할지라도 그것이 진리인 한에서는 인간의 행복한 삶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것이다. 그리고 이 모든 것들이 확인된 상황에서 아우구스티누스가 생각하는 인간에게 가능한 행복이 어떤 종류의 것인지를 마지막으로 확인하려 한다.

      • W. A. Mozart의 장식음에 관한 연구 : Violin Concerto No. 3 K 216

        강인모 안양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W. A. Mozart의 5개의 Violin concerto 중 하나인 이 곡은 1775년 4월부터 12월까지 5곡의 협주곡을 작곡하는데, 그 당시 violin concerto는 piano concerto보다 덜 중요하게 인식되어 지고 있었다. 이 곡의 구성은 3 악장으로, 1악장은 Sonata 형식이며, 2악장은 가요형식, 3악장은 Rondo형식으로 이루어져있다. 또한 전형적인 W. A. Mozart음악의 특징인 분산화음, Scale, 장식음 등이 이 곡 전체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 곡은 고전파의 중심에 서 있는 W. A. Mozart 의 특징이 잘 표현된 concerto이다. 이 곡의 화성은 Ⅰ-Ⅳ-Ⅴ-Ⅰ도의 전형적인 Authentic Cadence를 가지고 있으며, 곡 중간 중간에 전조가 일어나면서 곡의 재미를 더하고 있고, 또한, 각 악장별로 여러 개의 꾸밈 음이 사용되어 곡의 분위기를 고조 시키게 되었다. 이 곡에서 주로 사용되는 앞꾸밈음은 꾸밈 음 다음의 음들을 강조하거나, 옥타브로의 음이 진행될 때 음을 주로 강조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선율이 바뀔 때 사용되어 곡의 효과를 가지기도 하며, trill의 대부분은 Ⅴ - Ⅰ로 진행되는 화성아래 곡의 cadence를 표현하기도하고, 다른 화성으로의 변화를 꾀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또한 곡의 마지막 무렵 cadenza의 끝부분에서 곡의 마침을 알리는 신호로 trill이 사용되기도 하는 등, W. A. Mozart의 음악은 바로크와 낭만 시대의 음악을 잇는 고전적 스타일의 양식을 확립하게 되고, 그의 음악적 영향으로 인하여 L. v. Beethoven이라는 위대한 작곡가를 배출케 하였으며, 현재까지도 작곡가들의 작곡에 있어서 교과서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다. This concerto, one of W. A. Morzart's five violin concertos, was composed from April to December in 1775. And then, people preferred violin concertos to piano concerto. This concerto is composed of 3 chapters: 1st chapter is a kind of Sonata, 2nd chapter is a kind of ballad, and 3rd chapter is a kind of Rondo. Furthermore, W. A. Morzart's typical features, broken chords, Scale, and ornament grace, make up of this concerto, which is expressing very well W. A. Morzart's characters representing the classical school. The harmony of this concerto has the typical authentic cadence of Ⅰ-Ⅳ-Ⅴ-Ⅰ degree, makes it interesting, modulating in some midways, and enhances its mood by means of using ornament graces each chapter. Front ornament graces ,used mainly in this concerto, emphasize following sounds, take a part to emphasize sounds during an octave and have an effect with it used when melody is changed. Besides, most of trills not only express cadence which proceeds in accordance with Ⅴ - Ⅰ but also take a roll planning the change of other harmonies. Moreover, in the end this concerto makes use of the signs like trill to announce the closing in the end of cadenza so that W. A. Morzart's music established a kind of classical music style connecting between the baroque music and that of romantic period. As a result, L. V. Beethoven was known for W. A. Morzart's musical influence, which has influenced like a symbol to modern composers so far.

      • 敎育서비스 市場 開放으로 인한法學敎育의 問題點과 改善方案

        강인모 釜山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ontroversy over the opening of education market has started as an agenda during the Uruguay Round service sector negotiation in 1991, and in the end of 1993. The final agreement to the service sector negotiation failed to include the openness of the Korean education market. However, almost every sector of the markets in Korea has currently been opened to the other countries since the conclusion of the U.R. negotiation in 1995. Moreover, since Korea became an formal member of the OECD, thereby it just stepped into an area where the freer trading rules are applicable, service sector's openness including education was even more motivated in the educational sector. Although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other education categories are advancing through the openness to other countries in the world, our legal educational system has not compatibly responded to the contemporary social changes. The current legal education is pointless the curriculum does not cover the various fields of contemporary legal issues the lecture is performed through one-way speech and impractical and too theoretical. If we take a look at the current law education system, it doesn't match with the slogan which is carried out by the Educational Innovation Committee. To solve this issue and meet the need to prepare for changes and turn-over of our ages, legal education must be divided into two, one for generating the qualifications of democratic civilians, the other for educating students who are specialized in law. In chapter 1, it explains when the education market is going to be opened, what problems the current law education and its system contain. In chapter 2, it deals with precedence of education market's openness and features in other countries, what will affect us after the market is opened. In chapter 3, it shows each country's present position and issues of legal education. In chapter 4, it is related to problems of the current legal education, ideas to improve lecturing method, utilize professor media and foreign law educational curriculum's adoption. In chapter 5, it discusses, among the improvement opinions, adoption of law graduate school, 6 year term for university graduates. In conclusion, since our educational service market is available to the general public, this paper suggests how existing law education method and system can be improved comparing with a few examples in other countries. Finally, legal education requires radical changes in this competing world's sit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