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비균일적 차별문항기능의 탐지 : MACS와 RFA의 비교

        강유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차별기능은 특정한 구성개념 또는 심리적 속성을 측정하는 검사나 문항이 집단에 따라 차별적으로 기능하는 현상이다. 차별기능이 존재할 경우, 검사 또는 문항이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뿐만 아니라 집단 소속의 효과를 포함한 점수를 얻게 되기 때문에 검사의 타당도가 저해될 수 있다. 따라서 검사를 개발하거나 사용할 때 차별기능을 통제해야 한다. 차별기능을 탐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지만, 심리학 분야에서는 작은 표본크기에 적합한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는 방법들이 발전하고 있다. 그러나 차별기능 연구는 균일적 차별기능에 대한 연구에 치중되어 있어서 비균일적 차별기능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조건 하에서 구조방정식모형의 두 가지 방법인 평균 및 공분산구조(MACS) 모형과 제약요인분석(RFA) 모형을 적용하여 비균일적 차별기능을 탐지하고, 두 방법의 수행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에서는 집단 간 표본크기의 차이를 통제했을 때, 집단 간 측정오차분산의 차이가 클수록 RFA 모형의 차별기능 탐지 능률이 저하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가설 2에서는 집단 간에 표본크기가 다를수록 측정오차분산의 차이와는 관계없이 RFA 모형의 차별기능 탐지 능률, 특히 정확 탐지율이 우세할 것이라고 기대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집단간 요인으로 연구변수인 집단 간 표본크기의 비율, 측정오차분산의 차이, 구획변수인 표본크기, 차별기능의 크기, 전체 문항 중 차별기능문항의 비율을 설정하고, 집단내 요인으로는 적용모형을 설정한, 5집단간-1집단내 몬테카를로 모의실험을 설계하였다. 이 때, 종속변수는 정확 탐지율과 오류 탐지율이었다. 분석 결과, 차별기능문항의 신뢰도에 따라 측정오차분산의 차이가 정확 탐지율에 미치는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 가설 1이 지지되는지의 여부 또한 달라졌다. 차별기능문항의 신뢰도가 높을 때는 가설 1과 같이 측정오차분산의 차이가 커질수록 MACS 모형이 우세했지만, 신뢰도가 낮을 때는 가설 1과 반대로 RFA 모형이 우세하였다. 한편, 측정오차분산의 차이가 오류 탐지율에 미치는 효과는 가설 1에서 예측한 바와 다르게 나타났다. 가설 2에 대한 검증 결과, 집단 간 표본크기의 차이에 관계없이 MACS 모형의 정확 탐지율이 더 높아 가설 2가 지지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Differential functioning is that a test or an item favors examinees from one group over another, given the same level of the constructs or psychological properties. If there exists differential functioning in a test or an item, a test score or an item score would include the effect of the group membership as well as that of the constructs. As a result, the validity of the test could decrease. Thus, we should control the differential functioning when we develop or use tests. Although we can use various methods of detecting differential functioning, the method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hich fits small sample size are improving in the psychological field. However, there are fewer studies for nonuniform differential functioning than those for uniform differential functioning. Therefore, in this study, the author detects nonuniform differential functioning using mean and covariance structure (MACS) model and restricted factor analysis (RFA) model, which are kinds of SEM, under various conditions and compares the performance of two methods. There are two hypotheses. Hypothesis 1 is when the inequality of sample size is controlled, the more the inequality of unique variance is, the lower the efficacy of RFA model is. Hypothesis 2 is that the more the inequality of sample size is, the higher the efficacy of RFA model is, regardless of the inequality of unique variance. The design of the present study is 5 between-1 within Monte Carlo simulation; the between factors are the inequality of sample size and the inequality of unique variance, which are study factors, the sample size, the size of differential functioning, and the proportion of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DIF) items to whole items, which are block factors, and the within factor is the model that is applied to detect DIF. The dependent variables are true detection rate and false detection rat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that the inequality of unique variance has different effects on true detection rate depending on the reliability of DIF items; only when the reliability of DIF items is high, the more the inequality of unique variance is, the lower the efficacy of RFA model is, which supports hypothesis 1.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the inequality of unique variance on false detection rate is different from hypothesis 1. Moreover, the true detection rate of MACS model is higher than that of RFA model regardless of the inequality of sample size, so hypothesis 2 is not supported. Finally, the limitation of the study and the suggestion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 유아의 놀이주도성과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관계

        강유진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children’s play-initiative and peer play interactions by the gend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lay-initiative and peer play interactions. The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about the play-initiative and peer play interactions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1-1. How about the children’s play-initiative according to children’s? 1-2. How about the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s according to children’s? 2. How about relations between children’s play-initiative and peer play interactions? The study objected 88 children’s (47 boys and 41 girls) who attended two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five-years-olds. Regarding to research tools, this study used play-innitiative observation tool and PIPPS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of Fantuzzo, Coolahan, Mendez, McDermott and Sutton-Smith(1998). children’s play-initiative was observed for 20 seconds and recorded 10 seconds, and also total 40 times per one children were observed. And teachers in charge directly calculated peer play interactions with teacher rating scale. In relation with the collected data, the study added records having been gotten from each sub-factor and carried out t-test after calculating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nd then executed Pearson's correlation, to watch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play-initiative and peer play interac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play-initiativ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executing negative leading play roles and positive following play roles ones according to children’s play-initiative as the research of looking into children’s play-initiative according to gender. Second, as the result of examining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s by gender,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s displayed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play disruption and play interactions. Thirdly,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hildren’s play-initiative and peer play interactions generally, even though the correlations displayed a degree difference in case of boys and girls as the result of studying into relations between children’s play-initiative and peer play interactions. This study proved that observing play situations so as to grasp children’s play-initiative was effective, and a fact was lightened up such like play behavior showed differences in the play situations according to executing roles. Therefore, careful observations are required to teachers so that children’s could carry out positive play roles, and further teachers have to make children’s who execute independent play roles do initiating and positive play roles. 본 연구는 성별에 따른 유아의 놀이주도성과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유아의 놀이주도성과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성별에 따라 놀이주도성과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어떠한가? 1-1. 유아의 성별에 따른 놀이주도성은 어떠한가? 1-2. 유아의 성별에 따른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어떠한가? 2. 유아의 놀이주도성과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에 소재한 국공립유치원 2기관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남아 47명, 여아 41명, 총 유아 8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백지연(2007)의 놀이주도성 관찰도구와 Fantuzzo, Coolahan, Mendez와 McDermott, Sutton-Smith(1998)의 PIPPS(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를 정현빈(2010)이 수정․보완한 또래놀이 상호작용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놀이주도성을 측정하기 위해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연구대상 유아를 20초 관찰, 10초 으로, 한 유아 당 총 40회를 관찰하였고,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교사용 평정척도이므로, 담임교사가 개별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정도를 직접 평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각 하위요인들에서 얻은 점수를 합산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한 후, t-검증을 실시하였고, 놀이주도성과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놀이주도성을 성별에 따라 살펴본 결과, 유아의 놀이주도성은 성별에 따라서 부정적인 주도적 놀이역할수행과 긍정적인 추종적 놀이역할수행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을 성별에 따라 살펴본 결과,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놀이방해와 놀이상호작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유아의 놀이주도성과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성별에 따라 상관관계는 정도의 차이를 보였지만, 유아의 놀이주도성과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대체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유아의 놀이주도성을 파악하기 위해 놀이상황을 관찰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입증하고, 유아가 놀이상황에서 수행하는 역할에 따라 놀이행동에도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밝혔다. 따라서 교사는 유아가 긍정적인 놀이역할수행을 할 수 있도록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며, 부정적인 놀이역할이나 독자적인 놀이역할을 수행하는 유아들이 주도적이며 긍정적인 놀이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 한국의 멀티미디어 활용 영어교육의 연구 동향 분석

        강유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영어 교육은 우리나라와 같이 EFL 환경에서 영어 교육의 효과를 높이는 데에 필수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를 통한 영어 교육은 학습자들의 흥미도를 높여주고, 실제적인 학습 자료 및 영어 사용 환경 조성으로 의사소통 능력이 중시되는 요즘의 교육 목표에도 부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멀티미디어 활용 영어 교육은 시대별 멀티미디어 기술발달에 따라 그 활용 양상도 다방면으로 많은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왔다. 이에 1990년대 후반부터 2020년 현재까지 이와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꾸준히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음을 알 수 있다. 더욱이 현재는 인공지능,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급속도로 발전된 신기술 등장으로 영어교육계도 큰 변화를 맞닥뜨리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금까지 이루어진 멀티미디어 활용 영어 교육 연구들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그 동안의 연구 성과와 부족함이 무엇인지 조사하여 향후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영어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 설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학술지, 학위논문 총 130편의 연구 동향을 여러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도록 하겠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1990년대부터 2020년 현재까지 멀티미디어/테크놀로지가 활용된 영어 교육 연구의 주제, 연구방법 및 연구대상의 시기별 세부적 특징은 무엇인가? 2) 1990년대부터 2020년 현재까지 멀티미디어/테크놀로지가 활용된 연구의 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의 총체적 특징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 및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영어교육 연구 총 130편을 연구 연도별, 연구 대상별, 연구 방법별, 연구 유형별, 연구 주제별 기준에 따라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 연도는 1990년대, 2000년대, 2010년대로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었으며, 연구 대상은 유아 및 초등학생, 중․고등학생, 대학생, 일반/전체(교사 및 예비교사, 불특정 전체)로 세분화하였다. 연구 유형은 크게 학술지 논문과 학위 논문으로 나누었으며 연구 주제는 테크놀로지 유형에 따라 다음의 총 7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는 CD, 컴퓨터/온라인, 인터넷, 모바일, 스마트폰/앱/SNS, 4차 산업혁명 기술인 인공지능, 가상 및 증강현실, 챗봇, 원격(화상) 시스템, 일반적인 멀티미디어/테크놀로지 전체와 비디오 애니매이션, 동영상, PPT, IPTV 등이 속한 기타로 분류한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990년대 멀티미디어 활용 영어 교육 연구는 학위논문 없이 학술지 논문만 발표되었으며 주로 고등학생, 대학생 및 일반 성인학습자들 대상으로 CD를 활용한 영어 교육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2000년대 초반에도 학술지 논문이 주를 이루며 인터넷을 활용한 연구가 많았다. 유아 및 초등학생들 대상 연구가 처음 등장한 시기이기도 하다. 2010년대에도 여전히 학술지 논문이 다수를 차지하며 4차 산업혁명 기술 등을 활용한 연구가 급증한 면이 두드러진다. 또한, 2000년에서 2018년에 이르기까지 교사 및 예비 교사들로 대상을 특정한 연구도 꾸준히 수행되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고 하겠다. 둘째, 전반적으로 멀티미디어 활용 영어 교육 연구는 1990년대에서 시작하여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폭발적인 증가추세를 보였다. 또한, 전체 130편 논문 중 학술지 논문이 108편(83.1%)으로 학위논문 22편(16.9%)에 비하여 절대 우세한 수치이며 양적 연구방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중·고등학생 대상으로 한 연구가 총 59편으로 가장 활발히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지금까지 멀티미디어 활용 영어 교육 연구가 꾸준히 지속되어 왔듯이, 4차 산업혁명이라는 새로운 시대 변화를 맞이하여 이에 걸맞는 인재상을 위한 영어 교육이 될 수 있도록 더욱더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이에 향후 후속 연구는 어느 한쪽 대상과 연구방법에 치우치기보다는 다각화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 조선 중기 공신화상의 제작기법 연구 : <신응구 초상> 모사를 중심으로

        강유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eign of Gwanghaegun saw the largest number of meritorious subject appointments in the Joseon period. Records of such appointments, however, were destroyed with the portraits of the meritorious subjects after the 1623 coup d’état when Injo’s reign stripped the merits of the subjects appointed during the reign of Gwanghaegun. Other appointments during a similar period suggested that about 10 court painters painted these portraits, and the portraits painted during the reign of Gwanghaegun used similar techniques to the period after. With such a small number of court painters producing a large number of portraits, production would have a highly efficient process involving a strict division of labor and numerous repetitions. These characteristics developed into a format that manifested in the portraits, including poses, the expression of clothing, and the embroidery in the colored mats. Portraits of meritorious subjects painted during the reign of Gwanghaegun had unique formats that were distinguishable from the subjects appointed during the reigns of Seonjo and Injo. While the lack of surviving records makes identifying the pigments used in these portraits difficult, a close examination of post-war records and artifacts and a scientific investigation could provide some estimations. Pigments used for portraits during the reign of Gwanghaegun were supposedly similar to those used during the reign of Injo. Portraits of meritorious subjects during the reign of Seonjo reflected the economic difficulties resulting from the aftermath of the Imjin War, which limited the painters to low-cost pigments until the economy stabilized. Given how precious metals like gold and silver were used as pigments during the reign of Gwanghaegun, the portrait production method at the time became the standard thereafter. The production format at the time generally followed the prevalent early 17th century formats, yet detailed observation could identify some distinct differences. Portraits produced during the reign of Gwanghaegun featured shading and prominent facial protrusions (oak, 五岳). The most distinctive differences can be found in the poses, where the refinements to the characteristic left-side three-quarter view (左顔七分面) allowed for gentler, more natural shoulder slopes. The height of the official hat was reduced, while the chair and the footrest remained the same. Another layer of pattern was added to the colored mat, along with patterned plants, which were not seen in portraits made in the previous periods. Techniques used during the Gwanghaegun period were similar to those used during the mid-Joseon period. This study presents the specific details of such techniques and the replication process. For drawing techniques, most portraits used the iron-wire texture stroke (cheolseonmyo) with variations at the beginnings and ends of the lines. Delicate strokes were used for the face, while straight lines made with rulers were used for the colored mats. Baechae(back coloring) used for individual portraits exhibited considerable variations, which were brought about by the mixture of Goryeo-era traditions and Chinese influence. The Portrait of Shin Eung-gu uses both the same-color baechae technique and calcium carbonate pigments but the technique was used more extensively than its contemporary, The Portrait of Yi Jung-ro. During the front coloring stage, the painters utilized delicate and extravagant techniques using mineral pigments of various colors and precious metals. Very light line colorings accentuated the shading and facial protrusions, while the costumes were colored multiple times to highlight the delicate mixture of indigo and black in the official robes. The chest insignia required the greatest attention to detail, from the clouds to the wild geese and peonies. Coloring the mats required significant time investment to express their textures, which was achieved by coloring in dots. Using yellow and pink pigments, specifically, required additional procedures. Because the appointment of meritorious subjects and the production of their portraits played highly important roles in the Joseon royal court, the painting techniques reflected this importance as well. This study hopes that future research will explain the production techniques excluded from this study, the artistic organization of production techniques, and the value of paintings from an art history perspective to expand the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art and inspire modern artistic endeavors. 광해군대는 역대 가장 많은 수의 공신이 녹훈되었던 시기이다. 그런데 당시 공신 녹훈에 관한 문헌 기록은 광해군 대 공신이 인조반정 이후 삭훈되며 화상과 함께 삭제되었다. 비슷한 시기의 다른 공신에 관한 의궤에 따르면 10명 내외의 화원들이 공신화상 제작에 참여하였으며, 광해군대 역시 비슷한 수였을 것으로 보인다. 적은 수의 화원이 막대한 양의 공신화상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제작과정이 철저한 분업과 반복을 통해 효율적으로 진행되었을 것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인물의 자세와 복식의 표현, 채전 문양 등이 굳어져 당시 공신 화상들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양식이 되었다. 선조대의 호성·선무·청난공신과 인조 대의 소무·영사공신과는 다른 광해군대만의 화상의 양식이 존재하였으며, 가장 많은 수의 화상을 제작했던 이 시기에 조선 중기 초상화의 전형이 완성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기록이 현재 남아 있지 않아 정확한 재료를 확정하기는 어려우나, 전후의 기록과 실물 유물의 면밀한 관찰 및 과학적 조사로 조금이나마 추정해 볼 수 있었다. 광해군대 화상에 사용된 재료들은 호성·선무·청난공신보다는 그 이후의 소무·영사공신과 더 유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선조대의 공신화상은 임란 직후 나라의 경제 사정이 악화되어 화상의 재료로 고가의 안료를 사들이기에는 여유가 없었으며 점차 상황이 나아지면서 고가의 안료들도 사용이 가능해졌다. 광해군대부터 공신 화상에 금, 은과 같은 안료를 사용하기 시작했던 것으로 보아 광해군대는 이후 공신화상 제작의 표본이 되는 시기였다고 볼 수 있다. 당시 양식은 전체적으로 17세기 초 공신화상의 양식을 따르고 있으나 세부적인 관찰을 통해 전후와의 확실한 양식상의 차이를 알 수 있었다. 광해군대 공신화상의 얼굴 표현의 경우 정확한 오악(五岳)의 표현이 이루어지게 되었으며, 오목한 곳을 어둡게 채색하는 음영법 또한 함께 적용되었다. 당시 양식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것은 자세인데, 좌안 7분면의 표현이 능숙해지면서 어깨선을 완만하게 하여 더욱 자연스럽게 표현하고 있다. 관모의 높이는 이전 시기보다 낮아졌으며 교의와 족좌대는 이전 양식을 그대로 계승하였다. 채전의 경우 문양 한 단이 추가되었으며 다른 시기에서 보이지 않는 초엽문이 등장한다. 기법 역시 17세기 조선 중기 공신화상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을 거의 흡사하게 가지고 있었다. 그 기법이 구체적으로 어떤 과정을 거쳐 이루어지는지에 대하여 모사 과정과 함께 제시해 보았다. 선묘의 경우 전체적으로 철선묘계를 사용하였으며 선의 시작과 끝에서 맺어주고 풀어주는 정도의 변화를 주었다. 얼굴 표현에서 특히 섬세한 필선을 사용하였으며 채전 부분에서는 자를 이용한 직선을 구사하기도 하였다. 17세기 초 공신 화상에서 배채는 고려 시대의 전통과 중국의 영향이 혼합되어 각 작품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신응구 초상>의 경우 동일색 배채법과 호분법을 함께 사용하였는데, 비슷한 시기의 <이중로 초상>과 달리 동일색 배채법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한다. 전채 과정에서는 다양한 색의 석채와 귀금속 등을 활용하여 섬세하고 화려한 묘사가 진행되었다. 얼굴에서는 매우 옅은 선염으로 오악과 음영을 나타내었으며, 관복에서는 여러 번 중첩하여 채색하며 자색이 섞인 흑단령의 미묘한 색을 구현하였다. 흉배는 가장 섬세한 묘사가 필요한 곳으로, 구름, 기러기, 모란 등 구성요소별로 정성을 쏟아야 했다. 모직물의 질감을 살린 채전 부분의 채색도 많은 시간이 드는 기법이었는데, 색별로 점을 찍어 표현하였다. 그중 황색과 분홍색은 별도의 과정이 필요하였다. 공신의 녹훈과 화상 제작이 조선 조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던 만큼 기법에서도 그 공력이 느껴졌다. 본 연구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재료기법이 있다면 후에 더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밝혀지기를 희망한다. 회화유물의 미술사적 가치와 함께 구체적인 재료기법이 학문적으로 정리된다면 전통 미술의 저변을 넓힐 뿐 아니라 현대의 창작 활동에도 영감을 줄 수 있다고 믿는다.

      • 시선 추적 방법을 활용한 고등학생의 자료·정보 활용 역량 탐색 연구

        강유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자료·정보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발휘하는 역량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선 추적 장치(Eye-tracker)를 이용하여 연구하였으며, 검색 엔진을 활용하여 자료·정보를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주장하는 글을 쓰는 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소재의 J 고등학교 1학년 학생 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시선 추적 자료와 사후 인터뷰, 수행한 과제 결과물을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자료·정보 활용 역량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고등학생들은 자료·정보 수집 역량으로 웹 검색 엔진에 대한 사전 지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를 적절하게 활용하였다.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반복적으로 검색어를 수정하고, 자동 생성 검색어 기능을 활용하기도 하며,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았을 때는 검색 엔진을 교체하는 등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였다. 검색 목록에 대해서는 관련성 있는 결과를 빠르게 클릭하는 경제적 평가 스타일을 보였으며, 검색 목록 구성 요소 중 제목과 스니펫에 주의를 기울이며 전방적 추론, 예측하기 전략 등을 사용하여 검색 결과를 예측했다.둘째, 고등학생들은 자료·정보 분석 및 평가 역량으로 훑어 읽기, 찾아 읽기, 전방적 추론 읽기 등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여 검색한 자료 읽었으며, 자료의 유형에 집중하여 자료·정보 출처에 대한 신뢰도를 평가하였다. 그러나 신뢰도를 평가하고 활용하는 자료의 유형이 뉴스,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콘텐츠로 한정되어 있었다. 반면 정보 내용에 근거한 신뢰도와 타당도 평가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특히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글이라도 일반적으로 권위 있거나 믿을만하다고 통용되는 출처를 밝힌 정보는 무조건적인 신뢰를 보였으며, 뉴스 기사 역시 무조건으로 신뢰하였다.셋째, 고등학생들은 자료·정보 활용 역량으로 자료를 변형하여 활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자료의 내용, 조직, 표현을 그대로 옮겨쓰는 베껴쓰기 방식으로 자료를 활용하는 양상은 보이지 않았으며, 창안하기, 정교화하기, 재진술하기, 변용하기 순의 비율로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자료를 적극적으로 변형하는 양상을 보였다.넷째, 고등학생들은 자료·정보 활용 윤리 역량으로 인용과 환언에 대해 인식하고 이를 실천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인용과 환언에 대한 정확한 개념과 방식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참고 문헌을 달지 않거나, 인용 표시를 잘못하거나, 표면적 환언에 그치거나, 환언을 하면서 원 자료의 의미를 왜곡하는 등의 오류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서 고등학생들은 전반적으로는 디지털 네이티브로서 기본적인 자료·정보 활용 역량을 갖추고 있었음을 확인하였으나, 자료·정보의 신뢰성 및 적절성 판단과 활용 윤리에 관한 역량은 다소 부족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학교 현장에서 고등학생의 자료·정보 활용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학습 및 평가와 관련하여 실증적인 자료로서 도움을 줄 것이다.

      • 단계별 학교도서관 이용자교육이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 경기도 J고등학교를 대상으로

        강유진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examine the effects of stepwise school library-user instructions on information literacy and to suggest how to improve the school library-user instructions. To do this, first, the study used three groups recruited from J High School located in Kyong-gi Province: Group A (30 participants) who were given group user instructions in March 2008; Group B (30 participants) who were given group user instructions and, in addition, personal instructions the same as those that are provided to all students who visit the library; and Group C (30 participants) who were not given group user instructions. Second, the study compared three groups in terms of five dependent factors: users’ attitude towards the library, information search capability, reading attitude, proactive expressions after reading, and information assessment capabi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Group A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Group C in terms of users’ attitudes towards the library and their information search capability, and Group B has the highest values in the two dependant factors (users’ attitudes towards the library and their information search capability). Second,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A and B in terms of reading attitude and proactive expressions after reading, although Group B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Group C in terms of two factors (reading attitude and proactive expressions after reading). This finding reveals that group user instructions alone have a limited effect on improving students’ reading abilities. In terms of information assessment capability there are no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Accordingly,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study suggests how to improve school library user instructions in two aspects: one is to build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by scheduling regular courses for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the second is to diversify school library user education.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의 이용자교육이 이용자의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학교도서관 이용자교육의 발전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J고등학교를 대상으로 1단계 반별 이용자교육을 받은 A집단(30명)과 이용자교육을 받지 못한 C집단(30명), 2단계 상시 이용자교육까지 받은 B집단(30명)의 정보활용능력을 비교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이용자의 도서관 친밀도, 정보탐색능력, 독서태도, 독후표현능력, 정보평가능력의 다섯 가지 항목변인에 있어 이용자교육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학교도서관 이용자교육을 실시한 후 최소 6개월 후 그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경기도 내의 하나의 고등학교 도서관으로 한정하여 설문지를 이용한 단계별 이용자교육 후의 심층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B, C 세 집단 중 학교도서관에 대한 친밀도와 자료탐색능력은 학교도서관 이용자교육을 받지 않은 C집단에 비해서 1단계 반별 이용자교육을 받은 A집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또한 2단계 상시 이용자교육을 받은 B집단이 학교도서관에 대해 가장 높은 친밀도와 자료탐색능력을 지닌 것으로 확인되었다. 독서태도와 독후표현능력에 있어서는 이용자교육을 받지 않은 C집단과 1단계 반별 이용자교육을 받은 A집단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2단계 상시 이용자교육을 받은 B집단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일회적인 1단계 반별 이용자교육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을 드러내 주었다. 그러나 정보평가능력 부분에 있어서는 A, B, C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에 따라 학교도서관 이용자교육의 개선을 위한 방안을 첫째, 이용자교육 및 독서교육에 대한 정규시간을 편성하는 제도적인 개선과 둘째, 사서교사들의 협의회를 통한 학교도서관 이용자교육 및 독서교육 과정안 연구 및 개발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학교도서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다종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이용자교육의 다양화를 시도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콘텐츠별 스마트폰 사용과 스마트폰 중독이 조절기능에 미치는 영향

        강유진 을지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스마트폰 중독 진단 설문을 통하여 스마트폰 중독 그룹을 분류하고 각 그룹별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동영상과 e-book 콘텐츠를 시청 후 나타나는 조절 기능의 변화와 자각적 피로도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안과관련 수술 경험이 없고 안질환이 없는 성인 5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스마트폰 중독 진단 설문’을 실시해 대상자를“고위험 사용자군”, “잠재적 위험군”, “일반사용자군”으로 분류하였다. 시청 전, 후 시각적 피로도 5문항, 신체적 피로도 5문항으로 이루어진 자각적 피로도 설문을 진행하고 스마트폰을 이용해 동영상과 e-book 콘텐츠를 45분간 시청하게 한 뒤 조절기능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동영상 콘텐츠 시청 후 조절반응, 조절력, 조절래그, 음성상대조절력, 양안조절용이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1), e-book 콘텐츠 시청 후도 조절반응, 조절력, 조절래그, 음성상대조절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1), 두 콘텐츠 사이의 조절 기능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 콘텐츠 모두에서 시청 후 시각적 피로도와 신체적 피로도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00) 두 콘텐츠 사이의 자각적 피로도 변화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스마트폰 중독 정도가 심할수록 조절반응과 조절력이 감소하고 조절 래그는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스마트폰 중독 정도가 심할수록 동영상 및 e-book 콘텐츠 시청 후 조절력 과 양안 및 단안 조절용이성의 감소량이 크고 조절래그의 증가량이 크게 나오는 경향을 보였지만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의 자극과 상관없이 스마트폰 사용이 조절기능의 변화를 일으키고 이는 시각적, 신체적 피로를 증가시킴을 확인하였고 대상자들의 스마트폰 중독 여부를 진단하여 스마트폰 사용이 조절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 예방에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자발적 비혼을 선택한 여성들의 경험에 관한 질적연구 : 30대 여성을 중심으로

        강유진 덕성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자발적으로 비혼을 선택한 30대 여성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비혼의 선택배경, 심리적 특성, 그리고 예상되는 미래 모습은 어떠한지를 파악하려는 목적을 갖고 자발적 비혼 여성에 대한 이해의 심화를 시도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 하였다. 첫째, 비혼 여성들은 어떤 심리적 특성을 갖고 있는가? 둘째, 비혼을 선택한 배경은 무엇인가? 셋째, 비혼으로서 예상되는 미래의 모습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해서 30대 여성 11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된 설문지로 인터뷰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는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개인주의적 관계지향, 책임에 대한 부담, 주체적 삶의 준비라는 3개의 중심개념이 도출되었고, 각 중심개념은 의존의 불편함, 경계가 분명한 관계추구의 2개의 영역, 여성의 과도한 책무수행, 결혼으로 확대되는 역할의 부담, 책임질 수 있는 한계의 수용의 3개의 영역, ‘나’로써 살아가는 삶, 미래를 위한 대비, 이겨내야 할 난관의 3개의 영역으로 나누어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대해서 살펴보고, 자발적으로 비혼을 선택한 30대 여성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함으로써 비혼 여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연구대상자에 대한 상담의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s behind non-marriag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edicted future aspects of women in their thirties that chose non-marriage voluntarily, trying to reinforce the understanding of voluntary non-married women. For this purpose, the study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do non-married women have? Second, what were the backgrounds behind their choice of non-marriage? Third, what future aspects do they predict due to non-marriage? Data was collected with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and interview from 11 women in their thirties. Collected data was analyzed in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CQR) method. As a result, there were three central concepts including orientation toward individualistic relationships, burden of responsibility, and preparation for independent life. The first one contained two areas of discomfort with dependence and pursuit of relationships with an unclear boundary. The second one contained three areas of women's excessive duties, burden of roles expanded through marriage, and acceptance of limitations beyond their responsibilities. The last one contained three areas of living life as "myself," preparation for the future, and difficulties to be overcome.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se findings and explored in-depth the experiences of women in their thirties that chose non-marriage voluntarily, thus promoting the understanding of non-married women and providing basic data for counseling for subjects, in which its significance lies.

      •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교육기관적응에 미치는 영향

        강유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hild temperament,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 child’s self-regulation and preschool adjustment for children aged 3,4,5 years, and to analyz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each variable by applying structural equation mode(SEM).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hild’s temperament,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 child’s self-regulation, and preschool adjustment? 1-1. What ar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child's temperament,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 and child's self-regulation on preschool adjustment? 1-2.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s self-regulation between child’s temperament,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 and child’s preschool adjustment?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of this study collected from 443 preschoolers in the five preschools located in Busan and Gyeonsangnam-do.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Version 23.0 and SPSS AMOS Version 22.0 statistical programs as follows.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scales were verified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Multivariate normality was confirmed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parameters were estimated using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ethod to confirm normal distributi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child’s temperament, child’self-regulation and mothers’child-rearing behavior on preschool adjustment. Bootstrapping method is used to analyz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mong variables. The main conclusion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rect effects of sociality and child’s self-regulation on preschool adjustment were found. The negative emotionality, activity, and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he preschool adjustment. Second, the child’s self-regulation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the preschool adjustment, child’s temperament, and the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 The child’s temperament and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 had a direct effect on self-regulation and had an indirect effect on preschool adjustment through child’s self-regulation. Third,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preschool adjustment was child’s self-regulation.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reschool adjustment, child’s temperament,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 and child’s self-regulation and at the same time, measured the causal relationship. It is meaningful to find out the direct and indirect path of each variable and to help concrete understanding of preschool adjustment. 본 연구는 만 3, 4, 5세 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유아의 기질, 어머니양육태도,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유아교육기관적응과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유아교육기관적응에 미치는 변인들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SEM)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교육기관적응에 대한 유아의 기질, 어머니 양육태도,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1-1. 유아의 기질, 어머니 양육태도,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유아교육기관적응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은 어떠한가? 1-2.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태도가 유아교육기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광역시 및 경상남도에 위치한 유치원 2곳, 어린이집 3곳에 재원중인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443명, 그리고 담임교사 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3.0과 SPSS AMOS Version 2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고,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변량 정규성을 확인하고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정상분포 확인을 위해 최대우도법을 사용하여 모수를 추정하였다. 유아의 기질,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교육기관적응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SEM)을 실시하였다. 변인들 간의 직·간접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나타난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유아의 사회성과 자기조절능력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활동성, 어머니 양육태도는 유아교육기관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이 발견되지 않았다. 둘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은 유아교육기관적응과 유아의 기질, 어머니 양육태도의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태도는 자기조절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자기조절능력을 통하여 유아교육기관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교육기관적응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적응과 기질, 양육태도, 자기조절능력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인과 관계를 밝혀냈다는 점에서 선행연구들과의 차별성이 있다. 각 변인들의 직·간접적인 경로를 알아내어 유아교육기관적응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돕는데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