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신마취 상지수술 환자의 저체온 관리를 위한 ASPAN의 가이드라인 적용효과

        강수경 을지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미국 마취 회복 간호사회(ASPAN-American society of PeriAnesthesia Nurse)의 근거기반 가이드라인에 대한 적용이 전신마취 하에 상지 수술을 받는 환자의 체온, 전율, 주관적 온도 불편감, 온도 편안감 지각, 저체온 발생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무작위 대조군을 가진 반복측정 실험연구이다. S시에 소재한 E병원 수술실에서 전신마취 하에서 상지수술이 예정된 만 19세 이상 65세미만의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최종 분석대상은 실험군 26명, 대조군 25명이었다. 대상자는 무작위로 배정하였으며, 동일한 실험조건을 확보하기 위하여 온도와 환기방법, 습도, 마취유도 및 유지방법, 흡입마취제, 마취방법, 피부준비 소독액, 세척액은 동일하였다. 대기실에서는 체온, 전율, 주관적 온도 불편감, 온도 편안감 지각 정도를 측정하였고, 회복실에서는 저체온 발생률을 추가로 확인하였으며 수술실에서는 전신마취 환자임을 고려하여 고막체온만을 측정하였다. 실험군은 대기실과 회복실에서 36℃를 기준으로 36℃이상인 경우 머리터번, 수면양말, 가온담요를 적용하였고 36℃미만인 경우 호스를 통해 일회용 담요 안으로 따뜻한 공기를 넣어 순환시키는 forced-air warming 기구인 Bair Hugger (Bair hugger warming unit-Model 505, Arizant healcare, USA)를 추가 적용하였다. 수술실에서는 수면양말과 머리터번, 가온담요, 수액 가온 장치가 있는 Mega acer kit(ACE Medical Co, Korea)와 수액을 연결하여 가온수액을 제공하였고, Bair Hugger (Bair hugger warming unit-Model 505, Arizant healcare, USA)을 적용하였다. 반면 대조군은 수술 기간 동안 일반적인 병원 코튼재질의 담요를 덮어 주었다. 연구도구로 체온은 고막체온계(Themoscan IRT-4520, BRAUN, Germany)로, 전율은 Collins(1996)의 도구, 주관적 온도 불편감은 Kim(2008)의 도구, 온도 편안감 지각은 Wagner(2006)의 도구로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Ver.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평균, 표준편차, chi-square test, t-test, Fisher’s exact test로 분석하였고 시간에 따른 변화는 동질성을 확보하지 못한 연령을 공변수 처리하여 repeated measures ANCOVA, 사후분석은 t-test와 Bonferroni correction, 신뢰도는 Kappa계수, Cronbach’s alpha로 분석하였다. 체온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F=50.92, p=.000), 집단과 시점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F=4.52, p=.000), 시점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F=1.08, p=.400). 전율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F=6.78, p=.012) 시점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F=2.46, p=.047), 집단과 시점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F=1.75, p=.143). 주관적 온도 불편감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F=32.18, p=.000) 집단과 시점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F=5.15, p=.001), 시점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2.22, p=.070). 온도 편안감 지각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F=17.00, p=.000) 집단과 시점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F=6.66, p=.001), 시점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0.94, p=.417). 저체온 발생률에서는 실험군의 경우 모두 저체온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대조군은 13명(52%)이 저체온이 발생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적용한 ASPAN의 저체온 관리 가이드라인은 일반적인 병원의 저체온 관리방법보다 체온을 더 높게 유지해주고 전율의 발생정도를 줄여주며, 주관적 온도 불편감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온도 편안감 지각을 향상시켜 수술환자 저체온 발생률을 감소 시켰기에 수술환자 저체온 관리에 효과적임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수술환자의 체계적인 저체온 관리 방법을 통해 수술환자의 저체온 발생률을 감소시키고 전율과 불편감등 다양한 합병증 유발을 억제해 빠른 회복을 도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1개의 병원만을 대상으로 하여 일반화하기에 제한이 있으며, 체온유지에 취약한 대상자를 포함한 반복연구를 제언한다.

      •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정서지능을 매개 변인으로

        강수경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Effects of Mother's Language Control Type on Child's Peer Competence: Using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as a Media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mother's language control type and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on peer competence. Specifically study verified the influence of the mother's language control type and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child's peer competence and examined whether emotional intelligence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variables and peer competence. Accordingl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1)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language control type for child according to the mother's and child's background characteristics?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language control type and the child's peer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3) What is the effect of mother's language control type and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child's peer competence? 4) Does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language control style and the child's peer competence? To this end, the study delivered survey questionnaires children aged 3 to 5, their mothers, and 13 homeroom teachers attending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Y-city, Gyeonggi-do. In this study, the children’s peer competence was evaluated using the peer competence scale developed by Joo-Hee Park and Eun-Hae Lee (2001) for pre-school children. Next, to examine the mother's language control type, this study used the children's scale used in Kyung-hee Lee's (1993) study that was partially modified and improved by Hye-young Yoo (1999), based on the theory proposed by Bernstein (1972). Lastly, this study used the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produced by Byung-rae Lee (1997) based on emotional intelligence model of Mayer and Salovey (1997).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mediating role was verified using the SPSS 27.0 program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differences in the language control type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mother's background variables, the mother's language control type varied according to the mother's age and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First, the younger the age, the more imperative and status-oriented language control type was used; the higher the educational level, the more interpersonal-oriented language control type was used, and the lower the educational level, the more command and status-oriented language control type was used.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anguage control type according to the child's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number of children, birth ranking, institution, and period of enrollment in kindergartens or daycare centers. Second, the child's ag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length of daycare attendanc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peer competence, especially with the sub-factors: sociability and pro-sociality. Next,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language control type (command, status-oriented, and interpersonal-oriented) as well as children's peer competence (sociability, initiative, and pro-socia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self-recognition ability, self-control ability, ability to recognize others, ability to control others). The status-oriented language control type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oriented language control typ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eer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Lastly,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eer competence. Third, the first stage mother's language control type was input, and the second stag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was input into the analys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other's language control type an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on child's peer competence.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oriented language control type had a positive effect on peer competence. Also,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er competence of child. Fourth, the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language control type and the children's peer competence. The study found that status-oriented communication played totally mediated role i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is means that it had an indirect effect through emotional intelligence.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interpersonal-oriented communication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This means that the interpersonal-oriented communication directly affects peer competence and it also indirectly affects through the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This study ident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language control type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also verifie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language control type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This study confirmed that mother's language control type affects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also affected the peer competence. This implies that much attention is required at home to positively affect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competence through mother’s appropriat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Final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provided implications for developing various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 child’s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children with low peer competence. 국문 초록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정서지능을 매개 변인으로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 및 유아의 정서지능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정서지능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으며, 어머니 변인과 또래유능성과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1) 어머니와 유아의 배경특성에 따른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의 차이는 어떠한가? 2)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정서지능의 관계는 어떠한가? 3)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정서지능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4)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또래유능성의 관계에서 유아의 정서지능은 매개효과를 가지는가? 이를 위해 경기도 Y시 소재의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만 3~5세의 유아와 어머니 그리고 13명의 담임교사에게 설문지를 전달하였다. 본 연구에서 유아의 또래유능성은 취학 전 유아를 대상으로 박주희와 이은해(2001)가 개발한 또래유능성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Bernstein(1972)이 제시한 이론을 바탕으로 이경희(1993)의 연구에서 사용된 아동용 척도를 유혜영(1999)이 일부 수정 및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정서지능은 Mayer와 Salovey(1997)의 정서지능 모형에 기초하여 이병래(1997)가 제작한 유아용 정서지능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 (one-way ANOVA),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 및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매개역할 검증을 위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배경변인에 따른 자녀에 대한 언어통제유형의 차이를 살펴보면,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은 어머니의 연령과 최종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먼저, 연령이 낮을수록 명령적, 지위 지향적 언어통제유형을 사용하였다. 또한 학력이 높을수록 인간관계 지향적 언어통제유형을 더 많이 사용하였고, 학력이 낮을수록 명령적, 지위 지향적 언어통제유형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한편, 자녀의 배경 변인인 성별, 연령, 자녀의 수, 출생순위, 재원 기관, 재원 기간에 따른 언어통제유형의 차이에 유의미한 차이는 찾아볼 수 없었다. 둘째, 유아의 연령은 정서지능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재원기간은 또래유능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특히 하위요인인 사교성, 친사회성에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명령적, 지위 지향적, 인간관계 지향적), 유아의 또래유능성(사교성, 주도성, 친사회성)과 정서지능(자기인식능력, 자기조절능력, 타인인식능력, 타인조절능력)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지위 지향적 언어통제유형은 또래유능성, 정서지능과 부적상관관계를 보였고 인간관계 지향적 언어통제유형은 또래유능성, 정서지능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유아의 정서지능은 또래유능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정서지능이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한 분석으로 1단계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을 투입하였고 2단계 유아의 정서지능을 투입하였다. 분석 결과, 인간관계 지향적 언어통제유형이 또래유능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정서지능은 유아의 또래유능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또래유능성의 관계에서 유아의 정서지능이 어떠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 중 지위 지향적 언어통제유형은 완전매개 역할을 하였고, 지위 지향적 언어통제유형이 또래유능성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음을 밝혔다. 이는 정서지능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인간관계 지향적 언어통제유형은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간관계 지향적 언어통제유형은 또래유능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기도 하고, 유아의 정서지능을 통해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또래유능성, 정서지능이 관련이 있음을 밝히고,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또래유능성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부분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고, 이것이 또래유능성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 따라서 가정에서 어머니가 적절한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을 통하여 유아의 정서지능과 또래유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많은 관심이 요구되며, 또래유능성이 낮은 유아에게 정서지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UP를 활용한 개념적 IT서비스검증프로세스모델에 관한 연구

        강수경 숭실대학교 소프트웨어특성화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IT서비스산업에 대한 의존도가 증가함에 따라 IT서비스의 안정성 확보는 매우 중요한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대국민 안전과 편의에 직결되는 교육, 금융, 의료, 통신, 에너지 등의 IT서비스의 침해 및 피해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IT서비스의 대국민 신뢰성 제고를 위하여 IT서비스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와 IT서비스검증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IT서비스검증프로세스모델을 개념적으로 제시하여, IT서비스검증의 체계적 수행을 위한 절차를 마련하기 위해 IT서비스검증프로세스모델을 UP(Unified Process)를 활용하여 표준화된 양식으로 제시한다. 그리고 PDCA사이클의 개념을 활용하여 IT서비스검증 계획, IT서비스검증 수행, IT서비스검증 평가, IT서비스검증 개선의 4단계로 분류 후, 각 단계별 세부 액티비티를 기술하여 각각에 대해 태스크와 산출물을 도출한다. 본 연구에서는 IT서비스검증프로세스모델을 제시하여 IT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활용되는 연구가 되는데 그 목적을 둔다. As the increasing dependence on IT services industry, stability of IT services has been recognized as a very important issue. However, the frequent occurrence of the infringement and the damage of IT services such as education, finance, healthcare, communications, energy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general public safety and convenience accident. Verification is required beyond the IT service and IT services to the safety of the general public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IT services to address these issues. In this master thesis, IT service model validation process presented in a standardized form utilizing the UP(Unified Process) by presenting a conceptual model for IT service verification process. And It classified as stage 4 utilizes the concept of PDCA cycle(Plan-Do-Check-Act Cycle). Executive IT service verification, validation planning as IT services, IT services Verified, IT service improvement validation after that the tasks and outputs write detailed activity for each step. The purpose of this master thesis is one that is utilized to improve the quality of IT services by presenting the verification process model for IT services.

      • 국내 의류업체의 3D 가상 착의 시스템 사용 실태에 관한 연구

        강수경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의류 산업에서는 빠른 디자인을 가능하게 하고, 샘플 제품을 만드는 프로세스를 단축시켜 샘플 제작 시간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을 축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3D 가상 착의 시스템의 도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 의류 기업에서의 3D 가상 착의 시스템에 대한 사용 현황이나 도입의 문제점, 한계점에 관한 실증적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3D 가상 착의 시스템의 실질적인 사용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국내 의류업체를 전문성에 따라 바이어, 에이전트, 벤더 업체로 구분하여 3D 가상 착의 시스템의 도입 배경과 사용 실태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 연구 목표로는 첫째, 3 가상 착의 시스템의 도입 분야, 도입 배경에 대한 의류업체 간의 차이를 알아보고, 둘째, 사용 수준, 실질적 효익, 성과, 만족도에 대한 의류업체 간의 차이를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장점과 한계점, 개선점을 통해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전반적인 연구 데이터 수집을 위하여 3D 가상 착의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국내 의류업체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심층적인 정보 수집을 위해 설문조사 대상 내 해당 시스템 업무 관련 경력이 6년 이상인 전문가 14명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접을 시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입 분야에 대해 조사한 결과, 조사 대상 의류업체들은 공통적으로 ‘제품 기획’, ‘샘플 개발’, ‘각 업체 간 커뮤니케이션’ 용도로 3D 가상 착의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었다. 특히 바이어 업체는 타 업체에 비해 ‘교육 프로그램’으로도 활용을 하고 있었으며 벤더 업체와 에이전트 업체는 3D 가상 착의 시스템을 ‘마케팅 홍보 도구’, ‘해외 트랜드 정보 제공’의 수단으로도 활용을 하고 있었다. 둘째, 도입 배경을 조사한 결과, 각 의류업체 간의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바이어 업체들은 전략적 측면에서의 ‘제품 차별화 및 경쟁 우위 확보’, 경영상 측면에서의 ‘사내 인력의 효율적인 관리’를 중요한 도입 배경으로 응답하였고 에이전트 업체는 경영상 측면에서의 ‘동종 업계의 흐름에 대처’가 가장 중요한 도입 배경으로 나타났다. 벤더 업체는 환경적 측면에서의 ‘해외 협력업체의 요구’, ‘글로벌 소싱의 증가’와 경영상 측면에서의 ‘의사소통 능력의 강화’, ‘동종 업계의 흐름에 대처’가 가장 중요한 도입 배경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용 수준을 조사한 결과, 각 의류업체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바이어 업체는 ‘경영자의 필요성 인식’, ‘업체 간의 신뢰도’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에이전트 업체는 ‘업무 네트워크 구축’, ‘업무 데이터베이스 구축’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벤더 업체는 ‘경영자의 필요성 인식’, ‘업체 간의 신뢰도’, ‘인적 자원’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질적 효익에 대한 조사 결과, 바이어 업체는 경영 우위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벤더 업체는 비용 우위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전 의류업체에서 차별화 우위는 유사하게 매우 긍정적인 경향을 나타냈다. 다섯째, 사용 성과를 조사한 결과, 조사 대상 의류업체들은 공통적으로 차별화 측면에서 높은 성과가 나타났다. 각 의류업체 간의 유의한 차이로, 벤더 업체는 비용적인 측면에서 ‘납기 내 정확한 제품 공급’에서 높은 성과를 나타냈으며, 차별화 측면에서는 에이전트와 벤더 업체가 ‘업체 간 의사소통 수준 증가’에서 높은 성과를 나타냈다. 경영 측면의 ‘수익성 증대’에서는 바이어 업체와 벤더 업체가 높은 성과를 나타냈다. 여섯째, 3D 가상 착의 시스템의 사용 만족도에서는 각 의류업체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모두 유사하게 높은 수준의 만족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특히 전 의류업체에서 공통적으로 차별화 측면의 ‘제품의 디자인 차별화 능력’에서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3D 가상 착의 시스템의 장점으로는 생산 리드 타임의 감축, 전체 QC 시간의 감축, 전체 작업량의 감소를 지적하였으며, 이를 통해 샘플 제작과 배송 비용의 절감, 원가 절약 및 이익의 극대화 비용의 절감, 바이어와의 신뢰도 증가, 실질적인 오더량의 증가가 나타났다. 여덟째, 3D 가상 착의 시스템의 한계점 및 개선점으로는 소재와 의복압 등의 표현에서 기술 개발의 필요성, 교육 및 홍보 프로그램 확대, 3D 팀 조직 분리 운영 및 내부 인력 양성의 필요성, 전 의류업체간 사용 가능한 플랫폼 구축의 미비, 시설비용 투자 등이 지적되었다. 본 연구는 3D 가상 착의 시스템 관련 업무에 대해 담당 실무자들을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 통합적 분석을 토대로, 각 의류업체에서의 도입 전략 대비 업무 활용도가 미비한 분야를 파악하고 더 나아가 현재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기업들에게 한계점들을 극복하여 향후 개선 방안 수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효율적인 변환 기법을 사용한 분산 동영상 부호화 시스템

        강수경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video coding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to compress the video data efficiently, since the amount of video data is very large. The standard video compression techniques, such as H.264 and MPEG, are widely used, since the video data can be compressed efficiently using the standard techniques. However, the complexity of encoders is very large. Thus, it is difficult to use the standard techniques in the application of mobile broadcasting and low-power surveillance systems, in wich the simple encoder should be used. The distributed video coding (DVC) system has veen proposed to reduce the encoder complexity by using the correlation of grames in the decoder. In DVC system, all frames are divided into key frames and Wyner-Ziv frames. Key frames are coded using the conventional intraframe coding techniques, and Wyner-Ziv frames are encoded using turbo codes and only parity bits are transmitted. In the decoder of DVC systems, the side information is generated using key frames and Wyner-Ziv frames are reconstructed using the side information and parity bits. Since the block based motion estimation operation os not performed in the encoder of the DVC system, the lapped transform, in which the overlapped blocks are transformed together, can be efficiently used in the DVC system. In this thesis, an efficient DVC system using lapped transforms and wavelet filters are proposed. In order to apply lapped transform to DVC system efficiently, the overlapped block motion compensated interpolation is used to produce the side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ing correlation noise between the original Wyner-Ziv frame and side information is modeled. The optimal bit allocation method for the DVC system using wavelet filters is also proposed. Extensive computer simulations show that the proposed DVC system outperforms the conventional DVC system. 최근 이동 통신 환경의 발전으로 동영상 정보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데 이러한 동영상 정보를 효율적으로 부호화 하는 기술이 계속 개발되고 있다. 동영상을 효율적으로 부호화하기 위해서 개발된 H.264/AVC와 MPEG 등의 표준 동영상 부호화 방법들이 높은 부호화 효율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기존의 동영상 부호화 시스템은 부호기의 복잡도가 높아 간단한 부호기가 요구되는 응용분야인 이동형 방송국, 저전력 무선 감시 카메라 등의 응용분야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응용분야를 위하여 부호기의 복잡도를 높이는 움직임 추정 및 보상 보간을 복호기에서 수행하는 분산 동영상 부호화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분산 동영상 부호화 시스템은 부호기의 복잡도를 낮추기 위해서 프레임을 키 프레임과 Wyner-Ziv 프레임 두 종류로 나눈다. 키 프레임은 기존의 부호화 기법을 사용하여 독립적으로 부호화고 키 프레임들 사이에 존재하는 나머지 프레임인 Wyner-Ziv 프레임에 대해서는 터보 부호기를 이용하여 패리티 비트만을 전송한다. 기존 방식으로 부호화 되고 전송된 키 프레임들을 이용하여 부가 정보(SI : side information)를 생성하고 수신한 패리티 비트와 함께 터보 복호기를 거쳐 최종적으로 프레임을 복원한다. 연속한 두 프레임간의 상관성이 높을수록 SI 정보의 정확성이 높아지는데 SI 정보의 정확성이 전체 분산 동영상 부호화 시스템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기존의 동영상 부호화 시스템의 경우 변환 단계와 움직임 추정 및 보상 보간 단계에서 블록 단위로 연산하여 블록 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중첩된 블록 단위로 변환을 수행하는 lapped transform과 영상 정보를 wavelet filter를 이용하여 부대역으로 나누는 방법을 사용하여 전체 분산 동영상 부호화 시스템의 성능을 높이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Lapped transform을 이용하고 이에 최적화된 OBMCI(overlapped block motion compensated interpolation) 기법을 사용한 분산 동영상 부호화 시스템과 wavelet filter를 사용하였을 때 최적화 된 양자화 테이블을 적용한 분산동영상 부호화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기법들을 표준 테스트 영상(QCIF급 영상) 을 이용하여 모의실험을 함으로써 그 성능을 확인한다.

      • 모노톤 자폐아동의 음악치료 효과 : 음역 및 억양의 변화를 중심으로

        강수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폐 아동의 인지적, 지각적, 사회적 영역 등 전반에 걸친 많은 결손들은 언어획득과 언어의 사용에 영향을 미친다. 이들의 언어사용의 문제는 가장 낮은 단계인 함묵(muteness)에서부터 반향어, 기능적 언어의 지체, 억양과 감정 부여의 결여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 중 억양이 결여된 모노톤(monotone)으로 말하는 자폐 아동의 경우 감정 표현이 어려우며, 자신의 의사를 분명하게 상대방에게 전달하기 어렵다. 억양이란 단어가 갖는 단순한 의미 이외에 말하는 사람의 분명한 의사전달에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모노톤을 보이는 세 명의 자폐 아동에게 자신의 고정된 음역을 벗어난 다양한 음의 경험을 제공하는 목적의 노래부르기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그들의 고정된 음역이 확대되는가, 또한 억양의 높낮이 변화에도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약 8주에 걸쳐 총 18회의 세션이 실시되었으며, 각 세션은 30분으로 구성되었고, 음의 고저 인지를 위한 악기 및 신체활동, 호흡 및 발성, 그리고 주요 프로그램인 노래부르기의 내용으로 진행하였다. 주로 사용된 노래는 태어나면부터 양육자에게 자연스럽게 배우게되는 '자장자장'등의 리듬말과 멜로디의 변화가 단조롭고 반복적이므로 쉽게 익힐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음을 변형하여 부를 수도 있는 전래동요, 그리고 동요 등이다. 이와 같은 노래들을 1단계 - 리듬말, 2단계 - 3도 중심 음역의 전래 동요와 동요, 3단계 - 4, 5도 중심 음역의 전래 동요와 동요, 4단계 - 6도에서 한 옥타브 음역 중심의 전래동요와 동요로 구성하여 단계별로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음역과 억양의 두 가지 차원에서 검토되었다. 먼저 음역의 측정은 오토튠이라는 플러그 인 프로그램을 통하여 세션별로 녹음된 음성을 컴퓨터 프로그램에 입력하였고, 음성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사운드포지 프로그램을 통하여 최고음과 최저음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최고음과 최저음을 숫자로 환산하였으며, 음역의 차이는 최고음 값과 최저음 값의 차이를 계산하여 구하였다. 이러한 음 값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위하여 그래프로 표시하였고, 변화의 객관적 검증을 위하여 세션 전반부와 세션 후반부의 음 값들을 SPSS을 통해 통계처리 하였다. 그리고 억양의 측정에 있어서는 녹음된 내용을 음악을 전공한 세 명의 관찰자를 통해 평균음을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음 값에 대한 처리는 음역의 변화와 같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확인된 연구의 결과는 첫째, 노래부르기를 통한 음악치료는 음역의 변화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 아동의 경우에는 고음에서의 변화만 확인되었는데, 저음이나 음역 차에서 의미 있는 변화가 발견되지 않은 것은 세션의 진행과정에서 이 아동의 특성상 지시 따르기 수준이 낮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나머지 두 아동의 경우는 음역차이가 의미 있게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래부르기를 통한 음악치료 개입은 억양의 높낮이 변화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 아동의 경우는 약간의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지만, 이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밝혀지지는 않았다. 그 이유는 음역의 변화에서 변화가 검증되지 않은 이유와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나머지 두 아동의 경우는 억양의 긍정적인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는 자폐 아동도 노래부르기 중심의 음악 치료를 통해 음역의 확대가 가능하며, 이는 스스로의 목소리를 인식하고 조절할 수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또한 이에 수반되는 억양에 있어서의 높이 변화 역시 모노톤으로 말하는 자폐아동의 다양한 억양 변화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Due to many deficiencies in the cognitive, perceptive, and social skill, the most of autistic children have a speech impediment in learning and using of the language. Their speech impediments are repres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a muteness, echolalia, and the lack of intonation and emotion. Among them, the autistic children who speak in monotone without any intonation are in problem to express their emotion and meaning clearly. It is because that the intonation could effectively deliver the speaker's intention and object of his saying in addition to basic meaning of words. This paper describes that the music therapy program based on singing could significantly help the autistic children with monotone symptoms to improve their speaking with intonation and expanding their vocal range. The music therapy program has been experimented in 8 weeks, 18 sessions consisting of 30 minutes each. Also, the therapy program of each session consists of singing mostly, as well as breathing, vocalization,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nd physical movements. The music heard to the autistic children introduced in the program were from easy rhythmic words like 'ja-jang-ja-jang' to simple and easy folk songs which were heard from their infant ages. These words and songs in the program should be sung by many different ways according to circumstances. Also, they should be applied to the autistic children step by step; 1 step - rhythmic words, 2 step - folk songs with 3 pitches, 3 step - folk song with 4 or 5 pitches and 4 step - folk songs with 6 to one octave. This music therapy program was analytically experimented by two aspects: range of voice and intonation. First, the level of vocal range was measured by using a computer software program called Sound Forge, which can measure and visually display the highest pitch and the lowest pitch of vocal range. Then, the range of voice was calculat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highest pitch and the lowest pitch. These measured values were visually displayed in graphic form and statistically analyzed by a statistics software program, SPSS. Secondly, the level of speech intonation was intuitively measured by three experts who were trained well. Also, these measured values were visually displayed in graphic form and statistically analyzed by a SPS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music therapy program based on singing activity could help the autistic children with monotone symptoms to extend of their vocal range and improve of their intonation in speech.

      • 청소년의 성의식과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 문제행동,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강수경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성의식 및 성행에 미치는 영향 요인으로서 청소년의 문제행동, 사회적지지 및 자아존중감을 가정하여 이들 요인들이 청소년의 성의식과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 중 고등학생 4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청소년의 문제행동,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과 성의식 및 성행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청소년의 문제행동,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이 성의식 및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나타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문제행동,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변인 중 특히 지위비행 문제행동이 청소년의 순결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예측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청소년의 문제행동,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변인 중 특히 부모의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청소년의 성폭력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예측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청소년의 문제행동,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변인 중 특히 지위비행 문제행동과 부모의 지지가 청소년의 이성관계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예측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넷째, 청소년의 문제행동,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변인 중 특히 지위비행 문제행동이 청소년의 성충동 조절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예측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청소년의 문제행동,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변인 중 특히 약물남용 문제행동이 청소년의 적극적 성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예측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여섯째, 청소년의 문제행동,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변인 중 특히 지위비행과 폭력비행 문제행동이 청소년의 탐색적 성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예측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일곱째, 청소년의 문제행동,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변인 중 특히 지위비행 문제행동이 청소년의 상상적 성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예측변인임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ranged over a influence factors on a sexual consciousness and sexual behavior of adolescent, and by supposing a problem behavior, social support or self-esteem of adolescent, it confirmed that a sexual consciousness and sexual behavior of adolescent is influenced by these factors empirically. To this study, was conducted a survey with 451-people high school students of men and women, and carried out a correlation analysis to investigate a relationship among sexual consciousness and sexual behavior, social support, self-esteem,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t using the data collected and SPSS 18.0. And to this study, was conducted th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indentify a influence on sexual consciousness or sexual behavior, social support, self-esteem,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t. A summary of primary result by the analysis above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It assured that a status delinquacy problem behavior is especially the most prediction factor on a chastity consciousness influence of adolesoent among social support, self-esteem,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t. Second, It assured that parents support and self-esteem is especially the most prediction factor on a sexual violence consciousness influence of adolesoent among social support, self-esteem,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t. Third, It assured that parents support and status delinquacy problem behavior is especially the most prediction factor on a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sex" consciousness influence of adolesoent among social support, self-esteem,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t. Fourth, It assured that a status delinquacy problem behavior is especially the most prediction factor on a sex drive control consciousness influence of adolesoent among social support, self-esteem,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t. Fifth, It assured that a drug abuse problem behavior is especially the most prediction factor on a active sexual behavior influence of adolesoent among social support, self-esteem,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t. Sixth, It assured that a status delinquacy and violence delinquacy problem behavior are especially the most prediction factor on a exploratory sexual behavior influence of adolesoent among social support, self-esteem,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t. Seventh, It assured that a status delinquacy problem behavior is especially the most prediction factor on a imaginative sexual behavior influence of adolesoent among social support, self-esteem,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