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유치원 평가의 과정과 지표에 대한 교사와 평가위원의 인식

        강수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kindergarten teachers and assessors perceived the process and criteria of Kindergarten evaluation, which was conducted at national level in 2008,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in adopting the evaluation process and the criteria in the actual condition and eventually to find a desirable method for Kindergarten evaluation to be conducted in the years to come. Specific questions of this research for attaining the purpose are as follows. 1. How do Kindergarten teachers and assessors perceive the evaluation process? 1-1. How do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 the evaluation process and is there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variable(region, the number of classes and the length of career)? 1-2. How do assessors perceive the evaluation process and is there any difference depending on the variable(region, institution and the length of career)? 1-3. Is there any difference of the perception of evaluation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assessors? 2. How do Kindergarten teachers and assessors perceive the evaluation criteria? 2-1. How do Kindergarten teachers perceive the evaluation criteria? 2-2. How do assessors perceive the evaluation criteria? 2-3. Is there any difference of the perception of the evaluation criteria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assessors? 3. What are the opinion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assessors about adopting the evaluation process and criteria in the actual condition? 3-1. What are the opinions about the meaning and difficulties and advancement of Kindergarten evaluation process? 3-2. What are the opinions about the difficulties and advancement of Kindergarten evaluation Criteria? Question 1 and 2 were asked through questionnaire and answered by 635 Kindergarten teachers(Whose kindergartens are located in 16 cities nation wide) 210 assessor, who took part in Kindergarten evaluation conducted in 2008. Besides questionnaire, were answered by postal mail, by e-mail, and on internet site as well from January to April in 2009. Question 3 was asked through interviews and answered by 15 Kindergarten teachers, and 15 assessors from January to April in 2009. All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hen transcribed. For the survey data, frequencies, percentiles, independent samples, t-tests, Chi-Squares, one-way ANOVAs, and post hoc Scheffé 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interview data were identified by 2 professional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member-checked by participants in order to make the data understood, categorized and object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ifferent perception of evaluation process was found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assessors. And Kindergarten teachers and assessors showed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problems, advancements and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But both Kindergarten teachers and assessors reported that the evaluation had been helpful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 care service and the operation method of child care process and that there need to be advancements in training time and methods. They both pointed that the biggest difficulty was to be deprived of time for preparing class by the evaluation and the advancement for the assesment was to provide more specific evaluation manuals. As for revelation of results, both of them wanted the results to be revealed only to the kindergarten involved. Second, curriculum domain of evaluation criteria was perceived to be the most important part by both teachers and assessor, but curriculum domain was perceived to be the most difficult part to prepare by teachers. Management domain of evaluation criteria was perceived to be the most difficult part to assess by assessor. Both parties agreed that the most required advancement was specific standards referred to evaluation criteria. But they showed different opinions in that teachers perceived the standards need to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number of classes and assesor perceived depending on public or private kindergartens. Third, teachers replied in interview that the evaluation provided a chance to reflect them, develop their professionality, review the system of kindergartens and have a whole view of their kindergartens. And assessors reported that the evalu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kindergartens in terms of the attempt to assess kindergartens at national level, the expectation of advanced quality of kindergartens, aid for principals serving consistently as elementary principals and a chance to advance an understanding of the field in the process of evaluation. Kindergarten teacher had difficulties in result-targeted evaluation by documents, improperly, conducted evaluation of the filed., doubled burden by kindergarten's task and evaluation task, insufficiently evaluation system supported depending on various areas and classes, burden caused by evaluation itself, and limited understanding of evaluation purpose and methods. On the other hand, assessor experienced difficulties like different points of view about evaluation, evaluation considering variety of classes, kindergartens established as an annex, deficient reliability of evaluation caused by the difference between filed visit evaluation and document(self evaluation report) evaluation, time and period arrangement of evaluation performance in the field and preparation of the narrative evaluation reports. In conclusion, we can find in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kindergarten evaluations can be activated through constant research on adoption of evaluation criteria in the filed and effective organization of assessor and effective one-period evaluation. Second, kindergarten teachers and aseessors have to training programs for Kindergarten evaluation. The training program including principals and managers are expected to have a more positive effect on the evaluation process through participating training which provides more various cases and methods, more than once during winter vacation. Third, effective evaluation can be performed by supporting professional personnel and environments to kindergartens. To be more specific, producing and providing video materials, taking advantage of superior principals and manages, mentoring of experienced teachers and differentiating training methods depending on the years of career are suggested. Fourth, fair evaluation can be conducted by raising reliability professional through pre- and post- conference among professional personnel. Fifth and last, more flexible evaluation is required considering various backgrounds of private or public kindergartens, the number of classes and located areas and so on. 본 연구의 목적은 2008년 국가수준에서 실시된 유치원 평가의 과정과 지표에 대한 교사와 평가위원의 인식을 조사하고 실제 평가과정과 지표의 적용과정에서의 어려움을 알아봄으로 앞으로 실시될 유치원 평가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평가과정에 대한 교사와 평가위원의 인식은 어떠한가? 1-1. 유치원 평가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하며 변인(지역, 학급수, 교직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2. 유치원 평가과정에 대한 평가위원의 인식은 어떠하며 변인(소속기관, 교직경력,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3. 유치원 평가과정에 대한 교사와 평가위원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2. 유치원 평가지표에 대한 교사와 평가위원의 인식은 어떠한가? 2-1. 유치원 평가지표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2-2. 유치원 평가지표에 대한 평가위원의 인식은 어떠한가? 2-3. 유치원 평가지표에 대한 교사와 평가위원의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3. 유치원 평가과정과 지표에 대한 교사와 평가위원의 실제 적용과정은 어떠한가? 3-1. 유치원 평가의 과정에서 경험한 평가의 의미, 평가과정의 어려움, 개선방안은 어떠한가? 3-2. 유치원 평가지표 적용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과 개선방안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1번과 2번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연구문제 3번을 위해 면담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문제 1번과 2번의 설문조사를 위해 2008년 유치원 평가에 참여한 16개 시도의 국공립 유치원 교사 635명, 평가위원 210명이 설문에 참여하였고 2009년 1월부터 4월까지 우편조사와 이메일조사, 인터넷 사이트를 이용한 조사를 함께 실시하였다. 연구문제 3번 면담 연구를 위해 2009년 1월부터 4월 사이에 유치원 교사 15명, 평가위원 15명이 면담에 참여하였다. 면담 과정 중 자체평가보고서, 서면평가자료, 평가위원 연수 자료 등 평가 관련 자료를 함께 보면서 면담을 진행하였고 모든 내용은 음성녹음 한 후 전사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검증, t-검증, 일원변량분석,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면담 자료는 자료정리, 자료 해석을 위한 내용 이해 및 범주화, 자료 해석의 객관화를 위해 유아교육전문가 2인의 동료 확인을 받았으며 참여자의 재확인(member-check)을 받았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가연수 방법과 시간에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고 나타났으며, 평가과정 중 교사는 자체평가과정에서 객관적인 평가기준이 부족하다고 인식하였고, 평가위원은 서면평가의 근거와 평가기준을 명확히 제시하기를 바라고 있었다. 평가과정 중 가장 큰 문제점으로 교사와 평가위원 모두 평가로 인해 유아들의 수업준비가 소홀한 것을 문제점으로 인식하였으며, 가장 보완되어야 할 점으로 구체적인 평가메뉴얼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평가의 문제점과 개선점에 대해 지역과 학급수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있었고, 평가결과 공개에 대해 학급수와 교직경력, 평가위원의 소속기관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유치원의 질적 수준 개선에 도움이 되었다고 인식하였고, 교사와 평가위원 모두 교육과정 운영의 내실화에 가장 도움이 되었다고 답하였다. 유치원 평가결과 공개에 대해서는 교사와 평가위원 모두 해당 유치원에게만 공개하기를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가영역에 대해 교사 평가위원 모두 교육과정 영역을 가장 중요한 영역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에게 가장 준비하기 어려운 영역은 교육과정 영역으로 나타났고 평가위원에게 가장 평가하기 어려운 영역은 운영관리 영역으로 나타났다. 평가영역 및 지표에서 가장 보완되어야 할 사항으로 평가지표에 따른 구체적 준거가 마련되어야 한다고 나타났고, 교사는 학급수에 따라, 평가위원은 공사립에 따라 지표가 달라져야 한다고 인식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셋째, 실제 평가적용과정에 대한 면담을 통해 평가의 의미와 평가과정의 어려움, 성공적인 평가준비를 위한 개선점이 제안되었다. 교사는 자신을 돌아보는 반성의 기회 갖기, 부족한 부분을 개선하고 전문성을 높이기, 유치원의 전반적인 체제를 정비하기, 전체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기에 의미를 두고 있었다. 평가위원은 학교평가의 일환으로 국가수준 평가의 시도, 유치원의 질 향상에 대한 기대, 초등학교 겸임원장의 유치원 교육에 대한 이해, 현장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계기를 평가의 의미 있는 긍정적인 일로 보았다. 교사가 평가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서류를 통한 결과물 위주의 평가, 현장평가의 신뢰성에 대한 문제, 유치원의 업무와 평가업무의 이중적 부담, 지역별 학급규모별 평가지원 체계 부족, 평가의 목적 및 방법의 이해 부족, 평가자체에 대한 부담감을 어려움으로 느끼고 있었다. 평가위원이 인식하는 평가과정중의 어려움으로는 평가관점의 차이에 따른 어려움, 지역별, 학급규모별 다양성에 따른 병설유치원 평가의 어려움, 현장방문평가와 서면평가의 차이에 따른 평가의 정확성 부족, 현장평가시행 시기와 시간조정의 어려움, 평가보고서 작성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평가의 성공적인 준비를 위하여 교사들은 유치원 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지원 체제 마련, 현장의 실정을 감안한 평가 실시, 구체적인 사례중심의 연수 시행, 평가 결과의 효율적인 활용, 평가 후 지속적인 관리 필요를 제안하였다. 평가위원은 유아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지원 체제 구축, 지역별 학급규모별 상황을 감안한 융통성 있는 평가 시행, 서류중심 평가가 아닌 현장 중심 평가로 평가체제 전환, 국가적 차원에서 지속적인 평가 연구가 필요, 체계적이고 실제적인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적 정책적 차원에서 유치원 평가를 실시한 후 1주기 평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한다. 평가 1주기 동안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유치원에서의 강점과 약점, 개선 점, 지원이 필요한 점을 정확하게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평가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평가지표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평가자에 관한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야한다. 둘째, 교육청 차원에서는 체계적인 평가 연수준비를 위해 평가의 목적에 대한 이해,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사례중심의 연수, 평가전에 유치원의 부족한 부분의 장학과 지원을 유치원에 제공해야한다. 전문적인 인력지원을 위해 평가 받았던 유치원의 원감이나 교사를 활용하고, 교사의 수업개선과 평가준비를 위한 비디오 자료 제작, 경력 교사와 초임교사와의 멘토링을 활성화하고 도와줄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준다. 셋째, 유치원 차원에서는 국가수준의 평가를 준비하기 위해 외부에서의 관리감독을 넘어서서 자체 내에서 일종의 자발적인 자율장학이 되도록 시스템을 정착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 유치원의 규모나 지역, 유치원의 특성을 고려하여 융통성 있는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평가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위해 평가위원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평가위원의 전문성 확보를 위해 교육청에서는 유아교육 전문가를 확보하여 평가실시 준비 단계에서부터 노력하며, 현장평가방법을 좀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 유산균을 이용한 유해 조류의 살조 효과

        강수경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o evaluate whether LAB have the ability of algicidal bacteria, 15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LAB) including genus Lactobacillus and Latococcus were tested against 13 species of algae. Of them, Microcystis aeruginisa NIES 298, Anabaena flos-aquae CCAP 1403/13B, Anabaena affinis NIES 23, Stephanodiscus hantzschii UTCC 267 and Peridinium bipes HYJA0311-A2 were sensitive to many LAB. L. graminis showed algicidal activity against M. aeruginosa, S. hantzschii and P. bipes. L. brevis exhibited algicidal activity against M. aeruginosa and S. hantzschii. L. garvieae appeared active only against A. affinis. Both L. paracasei and L. plantarum exhibited algicidal activity on P. bipes. Especially, L. plantarum and L. paraplantarum possessed highest algicidal activity 105 and 104 cells/ml on cyanobacterium A. flos-aquae, respectively. Even at relatively low density of 102 cells/ml, moreover, two LAB showed high algicidal activity of 77% against A. flos-aquae. Biochemical assay of the culture filtrates revealed that the main algicidal substances from two LAB were likely to be heat-resistant extracellular substances with low molecular weight (< 3 kD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any LAB are potential agents for the control of harmful algal blooms in eutrophic reservoir. 유해 조류의 대발생 (Harmful Algal Blooming, HAB)은 이들의 생육서식지에 따라 산업적으로 다양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우리나라와 같이 온대지방의 부영양화의 발생은 수생태계에서는 풍부한 영양분을 바탕으로 식물플랑크톤 같은 1차 생산자의 생장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면서 조류의 대발생이 폭발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호수, 하천, 저수지, 양어장 등지에서의 유해조류의 대발생은 산소공급 차단으로 수색생물의 폐사를 일으키고, 이취미(off-flavor)물질을 발생하고, 물의 착색 및 이상발포 형성 등 주로 일어나며, 마지막으로 상수처리과정 중의 여과지 폐쇄 및 응지 침전 저해 등으로 경제적 손실을 야기한다. 또한 하천 및 호수에서 발생하는 녹조 (algal blooming)는 주로 여름철의 남조류 (cyanobacteria), 봄과 겨울철의 규조류 (diatom)가 녹조현상의 주요 유해종이다. 따라서 유해 조류 원인 생물에 의한 현상을 제거 또는 완화시키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로 본 실험에서는 생물학적 방법으로 살조세균을 선발 및 분리 연구를 하였다. 먼저, 우리나라에 우점하는 유해 조류 13종에 대한 제어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Lactic acid Bacteria인 락토바실로스 (Lactobacillus)속과 락토코커스 (Lactococcus)속을 선택하여 살조능력을 평가하였다. 선택된 Lactic Acid Bacteria는 13종의 유해 조류 중에서 Microcystis aeruginisa NIES 298, Anabaena flos-aquae CCAP 1403/13B, Anabaena affinis NIES 23, Stephanodiscus hantzschii UTCC 267, Peridinium bipes HYJA0311-A2에 대해 살조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M. aeruginisa의 경우 L. graminis, L. brevis 등이 107 cells/ml의 접종농도에서 숙주를 100% 제거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저밀도에서도 우수한 살조효과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A. affinis의 경우 L. garvieae가 107 cells/ml과 102 cells/ml의 접종 밀도에서 대조구 대비 44% 이상의 조류성장 저해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S. hantzschii에 대해서는 L. graminis, L. brevis 등이 저밀도에서 가장 우수한 살조활성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P. bipes에 대해서는 L. graminis, L. paracasei subsp. Tolerans, L, plantarum 등이 저밀도에서 가장 우수한 살조활성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본 실험에서 선택된 유산균 중 살조활성을 나타내는 세균들은 연못, 저수지, 호수, 호소, 하천 또는 강 등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유해조류 (녹조류, 남조류, 규조류, 유글레노이드류, 편모조류 및 황녹색조류)의 이상 증식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특히 녹조 제어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독성이 있는 남조류인 A. flos-aquae에 대한 유산균의 살조능력을 농도별로 확인한 결과, L. plantarum와 L. paraplantarum가 A. flos-aquae에 강한 살조 능력을 보이며 각각의 초기 접종 밀도 ≥ 105 과 ≥104 cells/ml 에서 A. flos-aquae가 완전하게 제거되었고, 102 cells/ml로 접종된 경우에서도 살조효과가 우수하여 대조구 대비 77% 이상의 조류성장 저해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L. plantarum와 L. paraplantarum가 A. flos-aquae를 제거하는 과정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유산균 접종 후 1시간이 지난 후에 A. flos-aquae 세포가 탈색되면서 팽창하고, 이 부위에는 유산균이 붙어 있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다수의 세포가 둥근형태로 변한 후 불규칙하게 합쳐지고 더 많이 팽창되었다. 결국 몇몇 세포는 터져서 세포액이 빠져나 오고 빠른 속도로 세포 파괴가 일어 나서 결국에는 완전히 제거 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살조 현상을 나타내는 물질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살조세균의 단일 배양여액 (mono-culture filtrate) 및 숙주와의 혼합 배양여액 (co-culture filtrate), 열처리한 혼합 배양여액, Proteinase-K를 처리한 혼합 배양여액 등을 이용하여 살조활성을 측정하였다. 단일 배양여액의 경우 조류제거효과가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나 혼합배양여액은 두 세균모두 농도구배에 따른 살조활성의 증가가 확연히 관찰되었다. 또한 L. plantarum의 혼합 배양여액을 열처리 (heat treatment)하고 농도 별로 접종한 경우에도 접종농도에 관계없이 살조활성이 70% 이상으로 관찰되었으나, L. paraplantarum의 경우에는 농도 구배별 살조활성의 증가하였다. 또한, proteinase-K와 열처리 과정을 순차적으로 처리한 혼합 배양여액을 접종한 경우에도 두 세균 모두에서 우수한 살조활성이 관찰되었다. 특히 L. paraplantarum의 경우 10-20%의 접종농도로 처리했을 때 열만 처리한 혼합배양여액을 접종한 경우보다도 살조활성이 높게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볼 때 혼합 배양 시 L. plantarum 및 L. paraplantarum의 살조 활성이 증가하며, 살조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은 열에 강한 저분자 물질과 일부의 단백질 성분이 혼재되어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 청소년의 성의식과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 문제행동,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강수경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성의식 및 성행에 미치는 영향 요인으로서 청소년의 문제행동, 사회적지지 및 자아존중감을 가정하여 이들 요인들이 청소년의 성의식과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 중 고등학생 4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청소년의 문제행동,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과 성의식 및 성행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청소년의 문제행동,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이 성의식 및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나타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문제행동,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변인 중 특히 지위비행 문제행동이 청소년의 순결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예측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청소년의 문제행동,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변인 중 특히 부모의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청소년의 성폭력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예측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셋째, 청소년의 문제행동,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변인 중 특히 지위비행 문제행동과 부모의 지지가 청소년의 이성관계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예측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넷째, 청소년의 문제행동,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변인 중 특히 지위비행 문제행동이 청소년의 성충동 조절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예측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청소년의 문제행동,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변인 중 특히 약물남용 문제행동이 청소년의 적극적 성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예측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여섯째, 청소년의 문제행동,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변인 중 특히 지위비행과 폭력비행 문제행동이 청소년의 탐색적 성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예측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일곱째, 청소년의 문제행동,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변인 중 특히 지위비행 문제행동이 청소년의 상상적 성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예측변인임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ranged over a influence factors on a sexual consciousness and sexual behavior of adolescent, and by supposing a problem behavior, social support or self-esteem of adolescent, it confirmed that a sexual consciousness and sexual behavior of adolescent is influenced by these factors empirically. To this study, was conducted a survey with 451-people high school students of men and women, and carried out a correlation analysis to investigate a relationship among sexual consciousness and sexual behavior, social support, self-esteem,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t using the data collected and SPSS 18.0. And to this study, was conducted th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indentify a influence on sexual consciousness or sexual behavior, social support, self-esteem,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t. A summary of primary result by the analysis above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It assured that a status delinquacy problem behavior is especially the most prediction factor on a chastity consciousness influence of adolesoent among social support, self-esteem,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t. Second, It assured that parents support and self-esteem is especially the most prediction factor on a sexual violence consciousness influence of adolesoent among social support, self-esteem,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t. Third, It assured that parents support and status delinquacy problem behavior is especially the most prediction factor on a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sex" consciousness influence of adolesoent among social support, self-esteem,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t. Fourth, It assured that a status delinquacy problem behavior is especially the most prediction factor on a sex drive control consciousness influence of adolesoent among social support, self-esteem,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t. Fifth, It assured that a drug abuse problem behavior is especially the most prediction factor on a active sexual behavior influence of adolesoent among social support, self-esteem,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t. Sixth, It assured that a status delinquacy and violence delinquacy problem behavior are especially the most prediction factor on a exploratory sexual behavior influence of adolesoent among social support, self-esteem,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t. Seventh, It assured that a status delinquacy problem behavior is especially the most prediction factor on a imaginative sexual behavior influence of adolesoent among social support, self-esteem,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t.

      • 모노톤 자폐아동의 음악치료 효과 : 음역 및 억양의 변화를 중심으로

        강수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폐 아동의 인지적, 지각적, 사회적 영역 등 전반에 걸친 많은 결손들은 언어획득과 언어의 사용에 영향을 미친다. 이들의 언어사용의 문제는 가장 낮은 단계인 함묵(muteness)에서부터 반향어, 기능적 언어의 지체, 억양과 감정 부여의 결여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다. 이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 중 억양이 결여된 모노톤(monotone)으로 말하는 자폐 아동의 경우 감정 표현이 어려우며, 자신의 의사를 분명하게 상대방에게 전달하기 어렵다. 억양이란 단어가 갖는 단순한 의미 이외에 말하는 사람의 분명한 의사전달에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모노톤을 보이는 세 명의 자폐 아동에게 자신의 고정된 음역을 벗어난 다양한 음의 경험을 제공하는 목적의 노래부르기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그들의 고정된 음역이 확대되는가, 또한 억양의 높낮이 변화에도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약 8주에 걸쳐 총 18회의 세션이 실시되었으며, 각 세션은 30분으로 구성되었고, 음의 고저 인지를 위한 악기 및 신체활동, 호흡 및 발성, 그리고 주요 프로그램인 노래부르기의 내용으로 진행하였다. 주로 사용된 노래는 태어나면부터 양육자에게 자연스럽게 배우게되는 '자장자장'등의 리듬말과 멜로디의 변화가 단조롭고 반복적이므로 쉽게 익힐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음을 변형하여 부를 수도 있는 전래동요, 그리고 동요 등이다. 이와 같은 노래들을 1단계 - 리듬말, 2단계 - 3도 중심 음역의 전래 동요와 동요, 3단계 - 4, 5도 중심 음역의 전래 동요와 동요, 4단계 - 6도에서 한 옥타브 음역 중심의 전래동요와 동요로 구성하여 단계별로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음역과 억양의 두 가지 차원에서 검토되었다. 먼저 음역의 측정은 오토튠이라는 플러그 인 프로그램을 통하여 세션별로 녹음된 음성을 컴퓨터 프로그램에 입력하였고, 음성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사운드포지 프로그램을 통하여 최고음과 최저음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최고음과 최저음을 숫자로 환산하였으며, 음역의 차이는 최고음 값과 최저음 값의 차이를 계산하여 구하였다. 이러한 음 값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위하여 그래프로 표시하였고, 변화의 객관적 검증을 위하여 세션 전반부와 세션 후반부의 음 값들을 SPSS을 통해 통계처리 하였다. 그리고 억양의 측정에 있어서는 녹음된 내용을 음악을 전공한 세 명의 관찰자를 통해 평균음을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음 값에 대한 처리는 음역의 변화와 같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확인된 연구의 결과는 첫째, 노래부르기를 통한 음악치료는 음역의 변화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 아동의 경우에는 고음에서의 변화만 확인되었는데, 저음이나 음역 차에서 의미 있는 변화가 발견되지 않은 것은 세션의 진행과정에서 이 아동의 특성상 지시 따르기 수준이 낮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나머지 두 아동의 경우는 음역차이가 의미 있게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래부르기를 통한 음악치료 개입은 억양의 높낮이 변화에 긍정적인 기여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 아동의 경우는 약간의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지만, 이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밝혀지지는 않았다. 그 이유는 음역의 변화에서 변화가 검증되지 않은 이유와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나머지 두 아동의 경우는 억양의 긍정적인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는 자폐 아동도 노래부르기 중심의 음악 치료를 통해 음역의 확대가 가능하며, 이는 스스로의 목소리를 인식하고 조절할 수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또한 이에 수반되는 억양에 있어서의 높이 변화 역시 모노톤으로 말하는 자폐아동의 다양한 억양 변화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Due to many deficiencies in the cognitive, perceptive, and social skill, the most of autistic children have a speech impediment in learning and using of the language. Their speech impediments are represented in various ways such as a muteness, echolalia, and the lack of intonation and emotion. Among them, the autistic children who speak in monotone without any intonation are in problem to express their emotion and meaning clearly. It is because that the intonation could effectively deliver the speaker's intention and object of his saying in addition to basic meaning of words. This paper describes that the music therapy program based on singing could significantly help the autistic children with monotone symptoms to improve their speaking with intonation and expanding their vocal range. The music therapy program has been experimented in 8 weeks, 18 sessions consisting of 30 minutes each. Also, the therapy program of each session consists of singing mostly, as well as breathing, vocalization,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nd physical movements. The music heard to the autistic children introduced in the program were from easy rhythmic words like 'ja-jang-ja-jang' to simple and easy folk songs which were heard from their infant ages. These words and songs in the program should be sung by many different ways according to circumstances. Also, they should be applied to the autistic children step by step; 1 step - rhythmic words, 2 step - folk songs with 3 pitches, 3 step - folk song with 4 or 5 pitches and 4 step - folk songs with 6 to one octave. This music therapy program was analytically experimented by two aspects: range of voice and intonation. First, the level of vocal range was measured by using a computer software program called Sound Forge, which can measure and visually display the highest pitch and the lowest pitch of vocal range. Then, the range of voice was calculated by the difference between the highest pitch and the lowest pitch. These measured values were visually displayed in graphic form and statistically analyzed by a statistics software program, SPSS. Secondly, the level of speech intonation was intuitively measured by three experts who were trained well. Also, these measured values were visually displayed in graphic form and statistically analyzed by a SPS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music therapy program based on singing activity could help the autistic children with monotone symptoms to extend of their vocal range and improve of their intonation in speech.

      • 판타지 그림동화의 유형에 따른 독자 반응 연구

        강수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판타지 동화는 환상 여행을 이야기를 통해 경험하게 하면서 모험 세계를 즐기고 스스로 판타지 세계의 모습을 상상해 내는 과정에서 창조력과 상상력을 키우게 한다. 이러한 판타지 동화의 가치는 실질적인 독자 반응을 기초로 문학 교육에 수용될 때 효과적으로 발휘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이러한 판타지 동화를 읽은 독자의 반응을 분석하여 그들의 문학적 체험 특성과 양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판타지 동화의 위상과 독자 반응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고찰한 후, 이를 바탕으로 반응을 수집하기 위한 구체적 방법을 설계하고 반응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대전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2곳의 3학년 4개 학급 학생 110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도구는 각 텍스트의 유형의 대표성과 판타지 동화에 대한 준거를 고려하여 전승 판타지에 <신기한 그림족자>, 의인화 판타지에 <고릴라>, 마법 판타지에 <구름빵>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대상은 3권의 작품을 차례로 읽었으며 그 결과 전체 308편의 독후감상문이 수집되었다. 수집된 독후감상문의 반응 양상을 검토하여 반응 범주를 4가지의 상위 범주인 보고적 반응, 해석적 반응, 참여적 반응, 평가적 반응으로 설정하였으며 각각의 범주에 2~4가지의 하위 범주를 두었다. 반응 범주별 반응수를 백분율로 환산하여 그 양상을 파악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승 판타지 동화를 읽은 후에 보고적 반응에서는 주로 환상적이거나 흥미를 자극하는 사건을 위주로 줄거리를 부분적으로 정리하였다. 이 때 우리의 옛 관습이나 사고방식에 대한 지식이 충분하지 않은 독자는 오류 반응의 비율이 비교적 높았다. 해석적 반응에서는 긍정적인 결말을 상상하여 새로운 이야기로 표현하는 창조적 해석반응이 높게 나타났다. 참여적 반응에는 자신의 삶에서 도덕적 깨달음을 실천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평가적 반응에서는 독자 자신의 윤리적 기준을 근거로 등장인물에게 규범적 평가를 내렸으며 문학적 평가는 그 비율이 낮았다. 둘째, 의인화 판타지 동화에 대한 보고적 반응에서는 신기하고 환상적인 사건을 중심으로 줄거리를 보고하였다. 해석적 반응에서는 등장인물의 심리 해석이 두드러졌다. 한편 텍스트와 관련된 독자의 경험을 떠올리며 해석하는 경향이 보였으나 상호텍스트를 활용한 해석은 드물었다. 참여적 반응에서는 초능력을 가진 친구와 같은 존재를 동경하고 소망하였으며 독자와 유사한 상황의 인물에게 감정이 이입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평가적 반응에서는 개인적 기준으로 등장인물을 주관적으로 평가하였으며 문학적 평가의 비율은 낮았다. 셋째, 마법 판타지 동화에 대한 보고적 반응에서도 환상적인 사건을 위주로 줄거리를 보고하였다. 해석적 반응에서는 마법적 소재에 호기심을 많이 표현하는 한편 그것을 매개로 새로운 이야기를 상상하는 반응이 많이 나타났다. 참여적 반응에서는 마법적 소재를 동경하는 마음이 드러났다. 평가적 반응에서는 나름의 기준을 가지고 규범적인 판단을 내리는 모습을 보였으나 문학적 평가는 그 비율이 낮고 표현도 포괄적이고 단순하였다. 이와 같은 반응 분석의 결과가 문학교육에 시사하는 점을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자는 판타지 동화의 환상적인 요소에 흥미와 강렬한 인상을 느낀다. 독자의 흥미에 따라 교육 내용을 선정하는 것은 교육 내용의 효율성을 확보하므로 작품을 선정할 때 독자의 흥미와 관심 분야를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상호텍스트성을 활용한 감상은 작품을 풍부하게 감상할 수 있는 전략이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유형의 판타지 동화가 교육 내용으로 선정되어 문학 수업에서 판타지 작품을 지속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작품에 대한 독자의 평가를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고 동료와 의견을 교환하는 대화 과정을 통해 객관적인 평가 기준을 스스로 정립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전승 판타지 동화에는 우리 문화와 사상이 내재되어 있으며 이것을 통해 한국적 정서와 가치를 심화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텍스트에 대한 내용적·형식적 배경 지식이 충분하지 않은 독자에 대한 고려가 선행되어야 하겠다. 다섯째, 전승 판타지 동화의 부정적인 결말이나 마법 판타지 동화의 마법적 소재는 독자로 하여금 문학적 상상력을 자극하여 자연스럽게 창작으로 이끌었다. 이는 문학 창작 활동의 교육 내용으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여섯째, 의인화 판타지 동화에서는 등장인물의 심리에 대한 해석과 감정이입 반응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반응은 심도 있는 문학체험의 본격적인 시작으로 이 같은 작품을 문학 교육에 반영하고 독자 스스로 문학 체험을 할 수 있다면 텍스트의 감동을 배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일곱째, 판타지를 이루는 환상적 요소들의 억지스럽고 터무니없는 설정은 독자가 작품을 신뢰할 수 없도록 하기 때문에 의인적 존재나 마법적 소재는 이야기 속에서 납득할 만한 타당한 리얼리티를 갖추어야 하며 교사는 이를 판단하기 위한 수준 높은 감식력을 가져야 한다. Fantasy tales develop readers' creativity and imagination by allowing them to enjoy adventure in the fantastic story as well as to imagine the picture of fantasy world by themselves. These values of the fantasy tales are properly evaluated when they are accepted as a part of literary education based on the readers’ responses. Henc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property and tendency of the readers’ literary experiences by analyzing their responses after reading such fantasy tales. To this end, we first investigate theoretical bases on the status of the fantasy tales and their readers’ responses. Based on them, we design a method to collect the readers’ responses and analyze their tendency. As a target of the study, we choose 110 students in four third-year classes of two elementary schools in Daejeon. As a tool of the study, we choose "a marvelous hanging scroll", "a gorilla", and "a cloud-bread" after taking into account a representative type of each text and a criterion on classification of the fantasy tales. The students read those three books and a total of 308 written descriptions of their impressions are collected as a result. After considering a tendency of the responses in the collected descriptions of the students’ impressions, we categorize them into four response classes such as a reportorial response, an interpretational response, a participation response and an evaluation response, where each response class is more specifically categorized into 2~4 subclasses. We analyze the percentage of the number of responses in each response class as follows. I. The reportorial responses for the folklore fantasy tale "a marvelous hanging scroll" are mainly appeared as partial summaries of story about fantastic or exciting events. In this case, readers without sufficient knowledge on our traditional custom or ways of thinking have relatively higher rate of erroneous responses. In the interpretational responses, creative interpretational responses deriving a new story from imagining a happy ending are most frequently reported. In the participation responses, a willingness putting ethical comprehension into practice in daily lives is mostly shown. In the evaluation responses, most readers evaluate character’s morality based on their own ethical criteria, but literary evaluations are very rare. II. The reportorial responses for the personification fantasy tale "a gorilla"are mainly appeared as summaries of story about marvelous and fantastic events. In the interpretational responses, it is very remarkable that analyses on character’s psychology are most frequently reported.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tendency of analysis based on the readers’ personal experiences related to the text, but analyses utilizing reference texts are hardly reported. In the participation responses, longing for the existence of a kind of supernatural friends is mostly shown, and the readers sometimes transfer their feelings to the characters under circumstances similar to theirs. In the evaluation responses, most readers evaluate character’s morality based on their own ethical criteria, but literary evaluations are very rare. III. The reportorial responses for the magic fantasy tale "a cloud-bread" are also mainly appeared as summaries of story about marvelous and fantastic events. In the interpretational responses, the expressions on curiosity for magical objects and the responses imagining a new story based on them are most frequently reported. In the participation responses, longing for the magical objects is mostly shown. In the evaluation responses, most readers evaluate character’s morality based on their own ethical criteria, but literary evaluations are very rare and naively expressed. What the above results on the response analysis suggest for the literary education are as follows. I. Readers are strongly excited to fantastic aspects of the fantasy tales. Since selecting the educational contents according to the readers’personal interests is educationally more efficient, the readers’ personal concerns should be considered when a text is chosen. II. Reading with utilizing cross-reference texts is a good strategy for getting rich impression on the literature. To this end, it should be done that a variety of types of the fantasy tales are chosen as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they are consistently treated in literature classes. III. The opportunity to express the readers’evaluation of the literature should be sufficiently provided and as a result, the readers establish an objective criterion to evaluate the literature through exchanging opinions with their colleges. IV. The folklore fantasy tales contain our traditional culture and thought, and hence the opportunity to develop the Korean cultural emotion and values can be provided through them. However, the readers without sufficient substantial and formal background should be carefully concerned. V. Sad endings in the folklore fantasy tales or magical objects in the magic fantasy tales stimulate the readers’literary imagination and naturally lead to the creative writing. This suggests the possibility to utilize the creative writing to the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VI. In the personification fantasy tales, the analysis on the character’s psychology and a tendency to transfer the readers’ feelings to the characters are highly reported. These responses are the beginning of serious literary experiences, and hence it would strengthen the readers’ impressions of the texts if these kinds of books are included in the literary education and the readers can have the literary experiences by themselves. VII. Since too much unrealistic aspects in the fantasy tales make the readers unreliable to them, the reality of personified characters or magical objects should be reasonably established in the story, and teachers should be highly intellectual to judge it.

      • 직장인 여성들의 모바일을 통한 색조 화장품의 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강수경 숙명여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study, the survey was carried out with 317 female office workers aged between their 20s and 50s on national scale for 2 weeks from March 18 to April 1, 2019 through the internet, mobile and SNS—especially, 247 of them purchased color cosmetics before on mobile and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who answer that they’re using mobile phone more than 3 hours a day at average was the highest. And their major purpose of mobile usage was SNS and blog. The number of participants who used mobile shopping for 1 or 3 times a month was the highest. The major reason of mobile shopping was that it’s available anywhere. Second, the women who purchased the color cosmetics before on mobile accounted for the most of participants. The purchase experience of new product they’ve never used before was 86.6% and also, the major reason of purchasing color cosmetics on mobile was positive product review.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who did not purchase color cosmetics on mobile was that they couldn’t see before purchase. Third, the answer they searched information before purchasing the color cosmetics on mobile occupied the majority. The keywords they searched were texture (40.7%), shade (39.4%), ingredients (9.5%) and price (9.0%). The majority of women said they’re influenced by customer review in blog and internet community platform as determinants of shopping after searching for information and also, the percentage of the participants who purchased website, instead of application was higher. The website channel could be listed as official brand store, drugstore online mall in order. In addition, the application channel showed that percentage of women who purchased color cosmetics on social commerce website was higher. Fourth, the determinants of purchasing color cosmetics on mobile were convenience, price and information while the participants did not recognize that promotion, design, deal and quality improvement did not affect as much. Fifth, the overall satisfaction on the color cosmetics on mobile was 3.44 out of five points, which is not very high. The major advantage when purchasing the color cosmetics on mobile was discount such as coupon while the major disadvantage was that they’re not able to use it before purchase.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answered that misleading, false advertising should be curbed when they’re asked about what should be improved when purchasing the color cosmetics by mobile phone. Lastly, their future plan to purchase the color cosmetics on mobile was 3.54 out of five, which is high. Therefore, it’s expected to see this study suggested primary data for marketing strategy for mobile market where specialize in the color cosmetics which has been rapidly growing since it investigated factors that affect purchase, satisfaction and improvement and also, could be much helpful to formulate a strategy in future. 본 연구는 전국에 거주하고 있는 20~40대 이상 직장인 여성을 대상으로 2019년 03월 18일부터 04월 01일까지 약 2주간 인터넷, 모바일, SNS를 통하여 총 317명(모바일 색조 화장품 구매 경험자 247명)의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이용실태는 모바일을 하루 평균 3시간 이상 이용하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모바일 사용 용도는 SNS/블로그를 이용한다는 결과가 높게 나타났다. 모바일 쇼핑은 월 1~3회 이용한다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고, 모바일 쇼핑 이유는 어디서든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모바일 쇼핑을 사용한다는 결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모바일을 통해 색조 화장품을 구입한 경험이 있는 여성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직접 사용해보지 않은 신제품의 구입 경험은 86.6%로 나타났으며, 모바일을 통한 색조 화장품 구매 계기는 제품 후기가 좋아서 구매하게 되었다는 결과가 가장 높았다. 모바일에서 색조 화장품을 구입하지 않은 이유는 직접 보고 살 수 없어서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모바일을 이용하여 색조 화장품을 구입하기 전에 정보를 검색한다는 응답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정보 검색 항목으로는 제품 사용감 40.7%, 제품 색상 39.4%, 제품 성분 9.5%, 제품 가격 9.0% 순으로 나타났다. 정보 검색 후 구매 결정요소는 블로그, 카페 후기가 영향을 미쳤다고 인식하는 여성이 가장 많았으며 어플보다는 홈페이지에서 구매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그중 홈페이지 채널은 브랜드 자사몰, 드럭스토어 온라인몰이 높게 나타났으며 어플 채널에서는 소셜커머스에서 색조 화장품을 구매한 여성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모바일을 통한 색조 화장품 구매 시 결정 요인으로는 편리성, 가격, 정보 항목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로모션, 디자인, 거래, 품질 항목은 그다지 많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모바일을 통한 색조 화장품의 전체적인 만족도는 5점 만점 중 평균 3.44로 그다지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을 통한 색조 화장품 구매의 장점은 쿠폰 등 할인 혜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점으로는 직접 사용해볼 수 없는 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모바일을 통한 색조 화장품 구매의 개선점은 과장 및 허위광고 자제의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향후 모바일을 통한 색조 화장품 구매의 활용 계획은 5점 만점 중 평균 3.54로 향후 활용 계획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만족도, 개선점을 조사함으로써 향후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모바일시장 색조 화장품 분야의 마케팅 전략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그에 따른 대응전략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