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NIH/3T3 단일세포의 정전용량 분석 및 멀티-웰 바이오센서 제작을 위한 패턴 사이즈별 정전용량 비교

        강다현 한림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NIH/3T3 단일세포의 정전용량 분석 및 멀티-웰 바이오센서 제작을 위한 패턴 사이즈별 정전용량 비교 2023. 석사학위논문 강다현 나노융합스쿨 지도교수: 장문규 바이오센서를 활용한 단일세포의 전기적 분석은 세포 전체 집단에서 특이한 거동을 보이는 일부 하위 집단 세포를 구별하거나 세포의 복잡한 생리학적 상태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바이오센서를 제작하고 시간에 따른 정전용량 변화를 측정하여 NIH/3T3 단일 세포의 정전용량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세포가 성장하면서 정전용량이 증가하는 구간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를 위해 세포의 개체 수를 카운팅하여 시간에 따라 세포의 증가 정도를 확인하고 측정된 정전용량과 비교하여 세포 성장 전반부(0 ~ 2.33시간)와 후반부(2.33 ~ 48시간) 사이 정전용량 측정에 대한 메커니즘과 단일 세포 정전용량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전반부는 배지에 떠있는 세포가 가라앉는 단계이기 때문에 현미경 이미지 상에서 세포가 증가하는 정도는 빠르지만 센서에 부착된 세포의 면적이 작아 단일 세포 정전용량은 낮은 수치(300 kHz에서 0.67 fF)를 보이며, 후반부에서는 대부분의 세포가 성장하는 단계이기 때문에 세포 분열에 따라 세포 수가 증가하므로 전반부에 비해 세포 증가 속도는 느리면서 센서와 세포 사이 부착면적은 넓기 때문에 단일 세포 정전용량은 높은 수치 (300 kHz에서 1.98 fF)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경향성은 다른 여러 주파수에서 측정된 정전용량에서도 확인되었으며, 측정을 반복하여 주파수별로 전반부와 후반부의 단일세포 정전용량을 제시하였다. 바이오센서는 데이터 확보 효율성의 증가와 공정 변수 및 측정 환경에 대한 변수 조절, 분석에 필요한 검체 수 감소의 관점에서 지속적인 발전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기존의 단일 센서를 멀티-웰 바이오센서로 발전시켜 디자인을 확립하고 센서를 제작하여 기초 데이터를 얻고자 하였다. 이때 패턴을 어레이하고 분석에 필요한 검체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바이오센서의 제작을 위해서는 기존 센서의 패턴을 축소시키는 것이 중요하므로, 우선 센서의 패턴 사이즈 변화가 정전용량 측정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지 분석하였다. 기존 센서의 패턴을 기준으로 1.25배, 0.75배, 0.5배 한 패턴을 설계하고 단일 센서를 제작하여 측정을 수행한 결과 세포의 성장 및 사멸에 따른 정전용량의 증가, 감소 개형이 패턴 사이즈에 관계없이 100 kHz 이후에서 올바르게 측정되는 경향성이 나타났다. 따라서 패턴 사이즈의 변화가 정전용량 측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축소된 패턴을 2 × 2 형태로 배열하여 센서를 설계하였다. 그 후 동일한 측정을 수행하여 정전용량 개형의 재현성과 웰 간의 균일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추후에는 웰 사이 조건을 변경하여 독립적인 데이터를 동시에 얻거나 배열하는 패턴의 수를 늘리는 등 멀티-웰 바이오센서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킬 예정이다. 주제어 : 임피던스 바이오센서, NIH/3T3 세포, 세포막 정전용량, 단일 세포 정전용량, 멀티-웰 바이오센서 Analysis of NIH/3T3 single cell capacitance and capacitance comparison by pattern size for multi-well biosensor 2023. Master’s Degree Kang, Da Hyun School of Nano Convergence Technology Advisor Prof. Jang, Moon Gyu The use of biosensors to analyze single cells is crucial for studying complex physiological states or identifying subpopulations of cells with unusual behavio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apacitance of NIH/3T3 single cells by fabricating biosensors and measuring changes in capacitance of groups of cells over time. Our focus was on the section where capacitance increases as cells grow, particularly in comparing the early stage (0-2.33 hours) to the later stage (2.33-48 hours) of cell growth. To accomplish this, we tracked the cell count over time and compared it with the measured capacitance. As a result, we found that in the early stage, the cells floating in the medium are sinking, so the appearance of cell in the microscopic image is fast, but the area of the cell attached to the sensor is small, so the single cell capacitance is low (0.67 fF at 300 kHz), and in the late stage, most of the cells are growing, so the number of cells increases by cell division, therefore the appearance of cell is slow compared to the early stage, but the area of attachment between the sensor and the cell is large, so the single cell capacitance is high (1.98 fF at 300 kHz). This trend was also confirmed for capacitance measured at several other frequencies, and the measurements were repeated to present the single cell capacitance per frequency in early and later stage. Biosensors should continue to evolve by increasing data acquisition efficiency, controlling process variables and measurement environment, and reducing the number of samples required for analysis. To achieve this goal, we expanded the single sensor into a multi-well biosensor. In order to create a biosensor capable of pattern arraying and reducing the number of samples needed for analysis, we needed to decrease the size of the original sensor pattern. Therefore, We designed patterns that were 1.25x, 0.75x, and 0.5x the size of the original sensor to determine whether altering the pattern size of the sensor would affect capacitance measurement. We fabricated a single sensor to perform measurements and found that the increase and decrease in capacitance due to cell growth and death were measured correctly after 100 kHz, regardless of the pattern size. Therefore, we concluded that the change in pattern size did not affect the capacitance measurement, and we designed a sensor by arranging the reduced patterns in a 2 × 2 format. The measurements were repeated to confirm the reproducibility of the capacitance shape and the uniformity between wells. This information will be used to develop the multi-well biosensor by altering the conditions between wells to obtain independent data simultaneously or increasing the number of arranged patterns. Keywords: Impedance biosensor, NIH/3T3 cell, Cell membrane capacitance, Single cell capacitance, Multi-well biosensor

      • 체중조절운동이 자아성취감과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다현 울산대학교 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체중조절운동이 자아성취감과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 다 현 울산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지도교수 김 도 일 본 논문의 목적은 외모관리가 하나의 경쟁력이 되고 그것이 곧 자기마케팅의 수단이자 웰니스(wellness)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신체적인 외모의 가치가 높게 평가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체중조절관심과 신체불만족도를 통해 체중조절운동이 자아성취감과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울산의 성인남녀를 2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조사기간은 2016년 4월 25일부터 5월 6일까지 약 2주간에 걸쳐서 실시하였으며, 총 190의 회수된 설문지 결과를 SPSS 21.0을 사용하여 분석의 목적에 따라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요인은 빈도분석을 하였으며, 매개변수와 종속변수간의 관계 분석을 위하여 상관관계분석, One-Way ANOVA 분석(일원변량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체중조절인식과 신체불만족도는 성별과 직업 부문에 있어 일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의 경우 여성이 남성에 비해 체중조절관심과 체중조절필요성, 체중조절운동의 필요성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에 따른 상관관계에서는 특히, 주부의 경우 체중조절관심, 체중조절필요성, 체중조절운동의 필요성, 신체불만족도 부분에서만 가장 높은 영향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신체불만족도와 체중조절필요성, 체중조절필요성과 체중조절관심의 상관관계 역시 유의미한 것으로 측정되어 신체적으로 불만족을 느낄수록 체중조절필요성도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중조절필요성을 느낄수록 체중조절에 대한 관심도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다. 셋째, 체중조절운동을 하는 사람은 체중조절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에 비해 체중조절필요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어 체중조절필요성을 많이 느끼는 사람일수록 체중조절운동 또한 더 많이 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는 체중조절인식이 체중조절운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신체불만족도와 체중조절운동의 관계에서는 본인의 신체에 불만족 할수록 체중조절운동이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체중조절운동에 대한 관심도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불만족이 클수록 체중조절운동 또한 더 크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체불만족도가 체중조절행동 특히, 본 연구에서 매개변수로 다루고 있는 체중조절운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체중조절운동과 삶의 만족감, 자아성취감의 관계에서는 체중조절운동을 하는 사람일수록 삶의 만족감과 자아성취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체중조절운동이 삶의 만족감과 자아성취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통해 일반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신체에 대한 관심이 더 높고 이상적인 체형에 대한 기대 또한 더 높기 때문에 자신의 신체만족도가 남성에 비해 떨어지는 것이고 그에 따른 체중조절에 대한 관심이나 필요성을 더욱 느끼는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최근 각종 대중매체에 등장하는 연예인들이 이상적인 신체를 가꾸기 위해 웨이트 트레이닝이나 요가, 필라테스, 발레, 스피닝 등 각종 스포츠를 통한 신체활동을 하는 모습이 자주 등장함에 따라 건강과 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체중조절방법에 있어서도 신체활동 즉, 체중조절운동에 대한 관심이 아름다운 신체를 향한 열망과 함께 집중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무엇보다, 자신의 신체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는가에 따라 가족관계, 대인관계, 신체 및, 정신건강, 사회생활, 자신감, 행복감, 자신의 능력개발, 능력발휘, 이상실현의 삶의 만족감과 자아성취감이라는 종속변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 Study on the Effect of Weight-control Exercise on the Self-fulfillment and the Life Satisfaction Kang, Da Hyun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University of Ulsan Supervised by Professor Kim, Doy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the effect of weight-control exercises triggered by interests in the effect of weight-control and body dissatisfaction on the sense of self-fulfillment and the life satisfaction in the modern society where the physical appearance is highly valued, interest on the wellness is high, and appearance management becomes one of the competitiveness as well as the mean of self-market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I have conducted the survey with the participation of 200 men and women in Ulsan. The survey was carried out over two weeks from April 25, 2016, to May 6, 2016. A total of 190 survey questionnaires was collected and by using SPSS 21.0, I conducted the frequency analysis of the demographic factors of the sample. Also, for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I conducted the regression analysis, One-way ANOVA and logistics regression analysis. Firstly, the weight-control recognition and body dis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be partly significant in the areas of gender and occupation. In terms of gender, women, compared to men,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weight control interest, need for weight control, and need for weight control exercises. In terms of occupation, housewives were especially shown to have the highest effects on weight control interest, the need for weight control, the need for weight control exercises, and body dissatisfaction. Secondly,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body dissatisfaction and the need for weight control as well as between weight control interest and the need for weight control were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which suggests that the more one dissatisfies with the body, the higher interest in the need for weight control. Also, it was found that the more one feels the need for weight control, the higher interest in the need for weight control. Thirdly, as people who perform the weight control exercises, compared to those who do not, feel more need for weight control, it was found that those who feel more need for the weight control will also perform more weight control exercises. Fourthly,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dissatisfaction and weight control exercises, it is considered that the more one dissatisfies with the body, the more need for the weight control exercises as well as the higher interests on the weight control exercises. This means that the body dis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weight control behaviors, especially, on the weight control exercises which is the research purpose in this study. Fifthly, in regards to the relationship among the weight control exercises, life satisfaction, and the sense of self-fulfillment, people who perform weight control exercises were shown to be more satisfied with life and have higher sense of self-fulfillment. Thus,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weight control exercis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the sense of self-fulfillment. As can be seen from the study result, women, compared to men, tend to have more interests in and higher expectation for the body which is the reason for having lower body satisfaction and thus having more interests and needs to control their weights. In addition, as more and more celebrities appear recently in a variety of media, performing weight training and diverse physical activities such as yoga, pilates, ballet, and spinning in order to cultivate the ideal body, the interest in the health and beauty is continuously growing. Also, concerns for the physical activities and weight control exercises along with the desires toward the beautiful body are on the rise. Above all, it i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one's bod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s such as family relation, personal relati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social life, confidence, happiness, self-development, showing one's ability, the realization of the ideal, life satisfaction, and self-fulfillment.

      • 생활체육 유도 지도자 전문성이 참여자의 지도효율성 및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

        강다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생활체육 유도 지도자 전문성이 참여자의 지도효율성 및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참여자의 지도효율성과 자아실현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도자 전문성, 지도효율성, 자아실현에 대한 차이 분석, 그리고 지도자 전문성이 지도효율성과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특별시, 경기도에 소재한 유도장 중에서 6개월 이상의 유도 생활체육 참여자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로 사용하였으며, 요인구성은 전문성(지도기술, 실기지식능력, 동기부여, 회원관리, 인성), 지도효율성(기능향상, 지도만족), 자아실현(능력개발, 능력발휘, 목적이상실현) 총 3개로 하였다. 설문 참여는 총 369명의 자료로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고, 자료처리는 일반적 특성을 통해 빈도분석,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SPSS 27.0 버전으로 요인별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3.0 버전을 통해서 매개효과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서 성별, 연령, 주당 운동시간, 운동기간, 지도자 경력에 따라 지도자 전문성, 지도효율성, 그리고 자아실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여자보다 남자, 연령이 25세 이하, 주당 운동시간이 4시간 이상, 운동기간이 2년 6개월 미만, 그리고 지도자의 경력이 8년 이하가 지도자 전문성, 지도효율성, 그리고 자아실현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도지도자의 전문성이 참여자의 자아실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성의 동기부여, 지도기술 요인이 자아실현에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도지도자의 전문성이 참여자의 지도효율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성의 동기부여, 지도기술 요인이 지도효율성에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참여자의 지도효율성은 참여자의 자아실현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효율성의 지도만족 요인이 자아실현에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유도지도자의 전문성과 참여자의 자아실현의 관계에서 지도효율성은 부분매개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유도지도자 전문성의 요인 중 동기부여와 지도기술은 참여자의 지도효율성과 자아실현에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지도효율성의 지도만족 또한 자아실현에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유도참여자의 자아실현 향상을 위해서 동기를 부여하고 정확한 지도 제공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도지도자는 지속적인 전문성 향상을 위해 지속적으로 교육 기회에 참여하여 훈련 방법을 습득하고, 다양한 운동 프로그램 등을 통해 참여자들에게 재미와 동기부여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지도자의 노력은 질 높은 운동 지도를 실현함으로써 참여자의 지도효율성과 자아실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expertise in recreational sports coaching on participants' coaching efficiency and self-realization, with the aim of enhancing their coaching efficiency and self-realization. To achieve this, the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coaching expertise, coaching efficiency, and self-realization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Furthermore, it examined the impact of coaching expertise on coaching efficiency and self-realization.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from recreational sports participants who had engaged in physical education for at least six month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 survey questionnaire was used as the research instrument, and it consisted of three factors: expertise (instructional techniques, practical knowledge and skills, motivation, membership management, personality), coaching efficiency (skill enhancement, coaching satisfaction), and self-actualization (ability development, skill expression, transcendence of goals). A total of 369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aches' expertise, coaching efficiency, and self-actualization were found based on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weekly exercise time, exercise period, and coaching experience. Specifically, male participants, those under 25 years of age, those who exercised for more than 4 hours per week, those with an exercise period of less than 2 years and 6 months, and those with coaching experience of less than 8 yea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coaches' expertise, coaching efficiency, and self-actualization. Second, the study revealed that coaches' expertise positively and significantly influenced participants' self-actualization. Motivation and instructional techniques within expertise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factors for self-actualization. Third, coaches' expertis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influence on participants' coaching efficiency. Motivation and instructional techniques within expertise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factors for coaching efficiency. Fourth, participants' coaching efficienc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self-actualization. Coaching satisfaction within coaching efficiency was identified as an important factor for self-actualization. Fifth, coaching efficien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es' expertise and participants' self-actualization. In conclusion, motivation and instructional techniques within coaches' expertise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factors for both coaching efficiency and self-actualization. Additionally, coaching satisfaction within coaching efficiency was found to be crucial for self-actualization. The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otivating participants and providing accurate coaching guidance to enhance their self-actualization. Therefore, physical education coaches should continuously engage in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acquire training methods and strive to provide participants with enjoyable experiences and motivation through various exercise programs. These efforts by coaches are expected to positively influence coaching efficiency and self-actualization, resulting in high-quality physical education coaching.

      • 한국어 교육을 위한 정도부사 연구

        강다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정도부사를 사용함에 있어 빈번히 오류를 산출하고 개별 정도부사의 의미와 쓰임을 학습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한국어 교육적 관점에서의 정도부사 연구는 그동안 다수 축적되어온 바 있으나 소수의 정도부사를 대상으로 하였거나, 실제적인 사용보다는 이론적인 내용을 다루었거나, 계량적인 분석을 위주로 진행되는 등 학습자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가 부족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한국어 정도부사의 통사적·형태적·의미적 특성을 고찰하고 모어 화자와 한국어 학습 자들의 실제 사용 양상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학습자들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정도부 사 교육 내용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고의 연구 대상은 정도부사 ‘가장, 거의, 겨우, 고작, 꽤, 너무, 다소, 더, 더욱, 덜, 매우, 몹시, 무려, 무척, 별로, 아주, 약간, 엄청, 영, 전혀, 제법, 제일, 조금, 좀, 통, 훨씬’으로, 한국어 교재에서 추출한 26개의 정도부사이다. 3장에서는 정도부사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본 후, 각 정도부사가 가진 특징적인 의미 자질을 고려한 분류 체계를 소개하였다. 4장에서는 [+비교성], [-비교성, +기준정도], [-비교성, -기준정도], [+수량성], [+최대정도]로 분류된 정도부사들의 통사적 결합 양상과 의미를 살펴 보고, 5장에서는 형태적 결합 양상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6장에서는 모어 화자의 균 형 말뭉치 자료와 학습자 말뭉치 자료에서 피수식어의 품사, 피수식어의 의미 자질, 의미운율 등의 요소들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해석하여 교육적인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본고의 논의를 종합하여 요약하자면, 학습자들의 정도부사 사용에서 발견된 양상 과 그와 관련한 교육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정도부사를 다양한 통사 구조 속에서 사용하지 않는다. 모어 화자는 정도부사를 사용할 때 다양한 구문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그러나 학습자들은 상대적으로 활용하는 구문의 다양성이 떨어지는 양상을 보였고, 이것이 피수식 품사의 비율 차이를 통해 드러나기도 하였다. 따라서 교수자는 학습자들이 다양한 구문을 사용한 문장을 산출할 수 있도록 각 정 도부사와 빈번히 함께 출현하는 통사 구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학습자들은 유의 관계에 있는 정도부사의 변별적 자질을 인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정도부사가 가진 의미 자질은 피수식어에 대한 수식 가능성을 결정하는데, 한국어 학습자들은 유의 관계 정도부사의 미묘한 의미적 차이를 인지하지 못 하고 어색한 문장을 산출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교수자는 특정한 정도부사가 다 른 정도부사와 구분되는 특징을 알고 있어야 하며, 학습자가 오류를 산출했을 때 그 원인을 파악하여 적절한 해결책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셋째, 학습자들의 정도부사 사용에서는 피수식 품사의 다양성이 떨어진다. 일반적 으로 정도부사는 형용사 수식 비율이 가장 높은데, 모어 화자의 사용을 살펴보면 일 부 정도부사는 동사, 명사 또는 부사도 적극적으로 수식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학습자 말뭉치에서는 그러한 양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교수자는 정도부사가 수 식할 수 있는 품사가 다양하다는 것을 제시해 줄 필요가 있다. 본고의 논의는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들이 정도부사를 사용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그러나 연구 대상 정도부사를 한국어 교재에서 추출했다는 점에서 정도부사 목록이 제한적이라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상의 논의에서 멈추지 않고, 본고의 연구 대상 정도부사가 아니었던 굴절형 정도 부사나 교재에 노출되어 있지 않지만 구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정도부사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된다면 더욱 유의미한 자료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 difficulties that Korean learners face when learning the meaning and usage of degree adverbs. Previous studies on adverbs of degre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focused on a limited number of adverbs, dealt with theoretical content rather than practical usage, or relied on quantitative analysi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provides an analysis of a wide range of degree adverbs and their practical usage. This study analyzes the syntactic, morphological,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adverbs of degree in Korean. It compares the actual usage of adverbs of degree by native speakers and Korean language learners, aiming to provide a basis for educational content on adverbs of degree for learners. The study focuses on 26 adverbs of degree, such as ‘가장, 거의, 겨우, 고작, 꽤, 너무, 다소, 더, 더욱, 덜, 매우, 몹시, 무려, 무척, 별로, 아주, 약간, 엄청, 영, 전혀, 제법, 제일, 조금, 좀, 통, 훨씬’. These adverbs were extracted from Korean textbooks. Chapter 3 provides an overview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dverbs of degree and introduces a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their semantic characteristics. Chapter 4 examines degree adverbs’ syntactic combination and meaning. Chapter 5 explores their morphological combination and meanings. Chapter 6 analyzes factors such as word class and meaning characteristics of modifications on corpus data of native speakers and learners.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corpus data and my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learners do not use degree adverbs in various syntactic structures, and they show a low diversity of syntactic phrases compared to native speakers. Therefore, instructors should provide various syntactic structures that frequently appear with each degree adverb so that learners can utilize them. Secondly, learners often struggle to distinguish between similar degree adverbs, resulting in awkward sentences. The meaning of each individual degree adverb determines the extent to which it can modify the following words. Therefore, instructors should be aware of the differences between similar degree adverbs and help learners produce proper ones to avoid errors. Finally, learners have a limited range of word classes to use for modification. In general, Degree adverbs have the highest percentage of adjective modifications, but some degree adverbs also frequently modify verbs, nouns, or other adverbs. However, the pattern identified in the native speakers’ use did not appear in learners' use. Therefore, instructors should suggest that degree adverbs can modify various word classes. This paper aims to provide learners with the necessary information on using degree adverbs.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list of degree adverbs in this study is limited to those extracted from Korean textbooks. It would be beneficial to conduct further research targeting degree adverbs not included in this study.

      • 내면화된 수치심이 분노표현양식에 미치는 영향 : 집단주의-개인주의 성향의 조절효과

        강다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성인 진입기 대학생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이 분노표현양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집단주의 성향과 개인주의 성향의 다중가산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만 18세에서 만 29세의 대학생 270명을 대상으로 Cook(1988)의 내면화된 수치심(ISS), 전겸구 외(1997)의 분노표현양식(STAXI-K), Singelis 외(1995)의 집단주의-개인주의 성향(INDCOL)을 측정 하였다. 내면화된 수치심은 분노억제와 분노표출에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분노조절과는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개인주의 성향은 분노표출양식과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지만, 집단주의 성향은 분노억제와 부적 상관을, 분노조절과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이를 통해 집단주의 성향이 분노억제와 분노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내면화된 수치심이 분노표현양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집단주의- 개인주의 성향의 다중가산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이 분노억제에 미치는 영향을 집단주의 성향이 유의미하게 조절하였다. 반면 개인주의 성향의 유의미한 조절효과는 없었다. 따라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억제의 관계에서 집단주의 성향이 보호요인으로 작용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내면화된 수치심이 높은 수준일 경우, 이러한 보호 효과가 점차 낮아짐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내면화된 수치심으로 인한 역기능적 분노억제에 대해 집단주의 성향의 제한된 보호적 영향력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ultiple additive moderating effect of Collectivism and Individual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Anger Expression style for college students in the emerging adulthood. For this purpose, Internalized Shame Scale (ISS) of Cook (1988), Anger Expression Inventory(STAXI-K) of Jeon Gyeom-gu et al.,(1997), The Collectivism-Individualism scale(INDCOL) of Singelis et al.,(1995) were conducted on 270 college students, aged 18 to 29 who are enrolled in local(South Korea) universities. Internalized Sham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nger-In and Anger-Out, but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ger-Control. In addition, Individualism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nger expression style, but Collectivism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nger-In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nger-Control.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Collectivism is a major variable influencing Anger-In and Anger-Control. Next, in the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the expression of anger, the multiple additive moderating effect of Collectivism-Individualism was examined. As a result, the effect of Internalized Shame on Anger-In was significantly controlled by Collectivism.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Individualism.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Collectivism tended to act as a protective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Anger-In. However,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is protective effect gradually decreased when the Internalized Shame level increa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limited protective effect of Collectivism on the dysfunctional Anger-In caused by Internalized Shame.

      • 한반도 남동부 제4기 단층암에 대한 대자율이방성 연구

        강다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한반도 남동부 주요 구조선인 양산단층과 연일구조선 주변에서 수행된 굴착 및 사면 조사를 통해 새로운 제4기 단층들이 발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제4기 단층의 운동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양산단층 중부의 2개 지점(포항시 냉수리, 경주시 단구리)과 남부의 1개 지점(울산시 방기리) 그리고 연일구조선 일원의 6개 지점(경주시 천군동 4개 지점, 활성리, 모화리)에서 단층암에 발달한 여러 형태의 운동지시자를 관찰하였으며, 운동학적 특성의 검정을 위해 대자율이방성(AMS: anisotropy of magnetic susceptibility)을 이용한 자기미세구조와 단층암의 슬랩 제작을 통한 미세구조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한반도 남동부의 제4기 응력장에 대해 논의하였다. 굴착 및 절취사면에서 관찰되는 연구지역의 제4기 단층들은 주로 북북동~북동 주향에 남동 또는 북서로 경사지나 연일구조선 인근 활성리의 일부 단층들은 북서 주향에 북동으로 경사지며, 기반암이 상반을 이루는 역이동성 단층으로 인지된다. 단층각력과 비지로 구성된 단층핵은 수 cm~수 m의 폭으로 백악기 내지 신생대 초의 기반암에 주로 분포하며 3개 지점의 단층들(냉수리, 단구리, 천군동)에는 기반암과 제4기 퇴적층이 접하는 단층면에도 1~2 cm 두께의 단층비지가 발달한다. 특히 이들 3개 지점에는 단층면에 평행하거나 아평행한 5~10 cm 폭의 전단엽리들이 단층면과 접하는 제4기 퇴적층에도 뚜렷이 관찰된다. 대자율이방성 측정을 통해 구해진 자기미세구조로부터 단층의 운동감각을 분석한 결과, 양산단층에 속하는 3개 지점에서 남-북 내지 북북동 주향에 중고각(40~70°)의 경사를 가진 주 단층들의 단층비지는 대부분 약한 역이동성을 포함한 우수향 주향이동성이 우세한 자기미세구조를 보여준다. 연일구조선 주변에 위치한 6개 지점의 북북동 내지 북동 주향의 주 단층비지대는 대부분 우수향 주향이동성이 우세한 자기미세구조가 특징적으로 나타나며 활성리의 북서 주향의 자세를 가진 단층비지들은 순수한 좌수향 주향이동성의 미세구조를 보인다. 단층비지 시료로부터 분석된 평균대자율 및 가열에 따른 대자율변화는 단층비지의 자기적 특성을 지배하는 주 자성광물이 티탄함량의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 자철석을 함유한 강자성 광물이며 일부 단층비지는 점토광물 등의 상자성광물과 자철석 위주의 강자성광물이 함께 함유된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이들 단층비지의 자기미세구조의 변형 크기를 지시하는 이방성정도는 변형 정도가 높게 나타나는 지점들(냉수리, 천군동 4개 지점, 활성리)과 낮게 나타나는 지점들(단구리, 방기리, 모화리)로 구분된다. 전자의 자기미세구조의 모양은 편평형(oblate)이 우세하게 발달하며, 후자의 경우는 편평형이 대체로 우세하나 편장형(prolate)도 함께 나타난다. 한편 중부 양산단층에 위치한 포항시 냉수리 지점의 주단층면에 발달된 단층조선과 정향된 단층암 슬랩에서 관찰된 미세구조들은 모두 역이동 성분을 포함하나 우수향 주향이동감각이 우세함을 지시하며, 이러한 결과는 자기미세구조에서 해석된 것과 일치한다. 특히 냉수리 지점에서 기반암(데사이트질 화산암류)의 단층비지와 접하며 강한 전단엽리가 발달한 제4기 퇴적층의 슬랩 관찰에서는 단순전단에 의하여 신장된 광물편의 정향배열과 함께 엽리상 파쇄암(foliated cataclasite)의 특징이 관찰된다. 이상의 자료로부터 제4기 단층들의 단층비지에 발달하는 자기미세구조들은 부분적으로 약한 역이동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나 우수향 주향이동 성분이 가장 우세하다. 이와 같은 미세구조는 제4기 동안 최후기 단층운동에 의하여 기존의 미세구조는 지워지거나 강하게 중첩되어 최종응력변형의 미세구조가 남아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로부터 유추된 고응력장은 주 단층면들의 단층조선으로부터 구해진 동북동-서남서 방향의 최대수평응력(σHmax)과 일치하며 이는 제4기 동안 한반도 남동부에 작동된 응력장과 부합한다.

      • 시각문화 속 포스트휴먼 신체 표현의 교육적 필요성 연구 : 중등 미술교육을 중심으로

        강다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Posthuman’ refers to a new human being who can be anything. Modern life science technology transforms, expands, adds, and improves the human body through genetic manipulation and prosthetic devices. In addition, cyber media, which can be seen as an extension of the human body in the virtual world, provides various forms and experiences beyond the existing body in the form of metaverse and cybernetics. These changes free us from our biological bodies and break away from traditional humanism through posthuman perspectives. As a result, the researcher attempted to argue that Posthuman is no longer a story in science fiction movies, but is our modern appearance, and that education to examine Posthuman's body is necessary. Visual representation of posthuman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in modern times. Diversified body images, which are unfamiliar, astounding, and intriguing, are often dealt with, especially in popular culture and modern art. Movies, games, and webtoons that students often encounter in their daily lives have multimedia properties based on the Internet, and images, videos, and text are combined. The common characteristic of modern popular culture and art is that it consists of the language of images, not text. The present era can be said to be a transition period from text to visual culture, and the role of art subjects becomes more important. This is because art subjects express their feelings and communicate with others using images. The researcher thought that the art subject could be effectively learned compared to other subjects because the art subject could stimulate the student's imagination and visually reproduce the posthuman body using various images. It is also important to talk about the changing body during that time because middle school students have a sudden change in their emotions and bodies. Middle school students were targeted for education because they believed that post-human learning could develop human abilities required for the future society in various areas before having a fixed perspective as adults because they are beings to lead the future society. When educating middle school students about posthuman bodies, it is easy to understand posthuman bodies that students can think difficult by linking popular culture such as movies, games, and webtoons with modern art that students are somewhat unfamiliar with. In addition, modern art and popular culture shed light on numerous issues about body and human expansion in the post-human era through visual reproduction of various bodies. Therefore, the researcher tried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students to think deeply about various issues given to the current and future bodies, not only to create new body images through the learning of posthuman body images in visual culture. For example, by linking the movie <X-Men> and <Hott-En-Tot> by Renee Cox, we tried to raise them to the extent of the subject by looking at the beings classified as batters. And I looked at the movies <Splice> and Eduardo Katz's <GFP Bunny> together to discuss the creation of human life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ought about whether the behavior was valid or whether to acknowledge the identity of the created creations. Next, we looked at the bodies in the virtual space in relation to the movie <Avatar> and <No Body But Me> by Latterbo Abedon. In addition, we looked at the games <Overwatch>, <League of Legends> and Stellac's <The Third Hand> together to examine human protean desires and cyborgs, and to think about the human category accordingly. Finally, the integration of human and non-human beings was dealt with by linking the webtoon <Jungle Juice> and <May the Horse Live in Me!> by Ar Oriente Object.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posthuman, a combination created through integration with various beings, deviates from humanism based on a pluralistic perspective. The points that the researcher paid attention to from a posthuman perspective through this paper are as follows. Humans are just one branch between different living things. Through this theory, humans can no longer be the center of the ecosystem. Through posthumanism, women, third-world people, people of color, animals, objects, and machines, which were not in the human category in history and were defined as batters, can also be raised to the subject category. While redefining the expanded human category, that is, 'human', laws, culture, institutions, and education composed of human beings should also be changed. The first area that researchers think should be changed is 'education'. In the current middle school art education, the importance of the body according to changes in the times and technologies is overlooked, so learning about the posthuman body and the body discourse accordingly is not conduct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new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aspects of human beings and the meaning of art accordingly. Entering the posthuman era, the main keywords are 'covalent' and 'communication'. Posthuman learning can be an activity that develops human abilities required for future society based on symbiosis and communication with other beings. However, we have yet to seriously contemplate the social, legal and ethical issues required along with the changing body by overlooking its value because we regard it as a distant future. It is also linked to body ethics. Middle school students consume various post-human images in numerous visual cultures and identify themselves, but the school lacks education. These problems have the greatest effect on students, but they will further affect teachers and parents, leading to a lack of preparation for the future society. Posthumans seem to be a distant story, but in modern times, many popular culture, books, and works of art deal with posthumans as the theme. In addition, people live in harmony with machines, prosthetics, and smart devices, and even in the virtual world, they have a new body called avatar. Modern people have an ever-changing number of bodies, not a fixed one. This means that we are already becoming posthuman. Therefore, the researcher argues that it is a valuable education to induce reconsideration of humans and the body through posthuman body expression and body discourse learning accordingly. In addition, by providing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symbiotic relationship with various beings based on this,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posthuman body, reflect on human existence, and take the lead in developing imagination for the future. ‘포스트휴먼’은 무엇이든 될 수 있는 새로운 인간 존재를 일컫는다. 현대의 생명 과학 기술은 유전자 조작과 보철 기구를 통해 인간의 몸을 변형하고, 확장하며, 추가하고, 개선한다. 또한 가상 세계에서 인간 신체의 확장으로 볼 수 있는 사이버 미디어는 메타버스, 사이버네틱스 등의 모습으로 기존의 몸을 뛰어넘는 다양한 형태와 그를 통한 경험을 제공한다. 이러한 변화는 우리를 생물학적 몸에서 벗어나게 해주며, 포스트휴먼적 시각을 통해 전통적 인간중심주의를 탈피하게 한다. 이로써 연구자는 포스트휴먼이 더 이상 공상 과학 영화 속 이야기가 아니라 현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의 모습이며, 포스트휴먼의 몸을 고찰하는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주장하고자 하였다. 포스트휴먼에 대한 시각적 재현은 현대에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낯설면서도 기시감을 주며 흥미를 유발하는 다변화된 신체 이미지는 특히 대중문화와 현대 미술에서 자주 다루어진다. 학생들이 일상에서 자주 접하는 영화, 게임, 웹툰 등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멀티 미디어적 속성을 지니며 이미지, 영상, 텍스트 등이 결합하여 있다. 현대의 대중문화와 미술의 공통된 특성은 텍스트가 아닌 이미지의 언어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다. 현시대는 텍스트에서 시각 문화로의 전환기라 할 수 있는데 이때, 미술 교과의 역할은 더욱 주요해진다. 미술 교과는 이미지를 활용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타인과 소통하기 때문이다. 연구자는 미술 교과가 다양한 이미지를 활용하여 학생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포스트휴먼 신체를 시각적으로 재현해볼 수 있기 때문에 타 교과에 비해 본 주제의 효과적인 학습이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또한 중학생은 정서와 몸이 급변하므로 그 시기에 변화하는 몸에 대해 이야기해보는 것은 중요하다. 중학생들은 미래 사회를 이끌어갈 존재이므로 성인이 되어 고착된 시각을 가지기 전, 포스트휴먼 학습을 한다면 다채로운 영역에서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인간의 능력을 키울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에 중학생을 교육의 대상으로 삼았다. 중학생들에게 포스트휴먼 신체에 대해 교육할 때, 학생들이 높은 흥미를 보이는 영화나 게임, 웹툰 등의 대중문화와 다소 낯설게 생각하는 현대 미술을 연계시켜 미술 수업에 제시하면 학생들이 어렵게 생각할 수 있는 포스트휴먼 몸을 쉽게 이해시킬 수 있다. 또한 현대 미술과 대중문화는 다양한 신체의 시각적 재현을 통해 포스트휴먼 시대의 몸과 인간 확장에 대한 수많은 논점을 함께 조명한다. 이에 연구자는 학생들이 시각문화 속 포스트휴먼 신체 이미지의 학습을 통해 새로운 몸 이미지 제작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의 몸에 주어진 여러 논점에 대해 깊이 생각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예를 들어 보면, 영화 <엑스맨>과 르네 콕스의 <Hott-En-Tot>을 연계시켜 타자로 분류되던 존재들에 대해 살펴보며 그들을 주체의 범위로 끌어올리고자 하였다. 그리고 영화 <스플라이스>와 에두아르도 카츠의 <GFP Bunny>를 함께 살펴보며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한 인간의 생명 창조에 대해 논의해보며 그 행동은 타당한지와 창조된 창조물들의 주체성을 인정할 것인지 등에 대해 생각해보았다. 다음으로 영화 <아바타>와 라터보 아베돈의 <No Body But Me>를 연관 지어 가상 공간 속 신체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 게임 <오버워치>, <리그 오브 레전드>와 스텔락의 <The Third Hand>를 함께 보며 인간의 프로테시스적 욕망과 사이보그에 대해 고찰하고 그에 따른 인간 범주에 대해서도 고민해보았다. 마지막으로 웹툰 <정글쥬스>와 아르 오리엔테 오브제의 <May the Horse Live in Me!>를 연계하여 인간과 비인간 존재의 합일을 다루었다. 이를 통해 여러 존재와의 합일을 통해 만들어진 결합체인 포스트휴먼은 다원적 시각을 바탕으로 인간중심주의를 벗어나게 됨을 알 수 있다. 연구자가 이 논문을 통해 포스트휴먼적 관점에서 주목한 점은 다음과 같다. 인간은 다른 여러 생명체 사이에서 하나의 분기일 뿐이다. 이 이론을 통하면 인간은 더 이상 생태계의 중심이 되지 못한다. 또한 포스트휴머니즘을 통해 역사상 인간 범주에 들지 못하며 타자로 규정되었던, 여성, 제 3세계 사람들, 유색인종, 동물, 사물, 기계 등을 주체의 범주로 끌어올릴 수 있다. 이처럼 확장된 인간 범주 즉, ‘휴먼’을 재정의하면서 인간 중심적으로 구성된 법, 문화, 제도, 교육 등도 함께 바뀌어야 할 것이다. 연구자가 가장 먼저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분야는 ‘교육’이다. 현재의 중학교 미술교육에서는 시대와 기술변화에 따른 몸에 대한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기 때문에 포스트휴먼 신체와 그에 따르는 몸 담론에 대한 학습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인간을 바라보는 다각도의 새로운 이해와 그에 따르는 예술의 의미를 다시 성찰해야 한다. 포스트휴먼 시대로 접어드는 지금, 주요시되는 키워드는 ‘공생’과 ‘소통’이다. 포스트휴먼 학습은 다른 존재들과의 공생과 소통을 바탕으로 미래 사회에 요구되는 인간의 능력을 키우는 활동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아직 먼 미래의 일로 여기는 까닭에 그 가치를 간과해옴으로써 변화하는 몸과 함께 요구되는 사회적, 법적, 윤리적 문제에 대해 심각한 고민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몸 윤리와도 연결되어 있다. 중학생들은 수많은 시각문화 속 다양한 포스트휴먼 이미지를 소비하며 자신과 동일시하고 있지만 학교에서는 이에 대한 교육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는 학생에게 가장 크게 작용하지만 나아가 교사나 부모에게도 영향을 미치며 미래 사회에 대한 대비 부족으로 이어지게 될 것이다. 포스트휴먼은 아직 먼 이야기 같지만, 현대에 많은 대중문화와 책, 미술 작품들은 포스트휴먼을 주제로 다루고 있다. 또, 사람들은 기계나 보철, 스마트 기기 등과 한 몸이 되어 살아가고 있으며 가상 세계에서도 아바타라는 새로운 몸을 가진다. 현대인들은 고정된 하나의 몸이 아닌 끊임없이 변화하는 다수의 몸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우리가 이미 포스트휴먼이 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연구자는 포스트휴먼 신체 표현과 그에 따르는 몸 담론 학습을 통해 인간과 몸에 대한 재고를 유도하는 것이 가치가 있는 교육임을 주장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여러 존재와의 공생 관계에 대해 생각해보는 계기를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이 포스트휴먼의 신체에 대해 이해하고 인간 존재에 대해 성찰할 수 있으며 주도적으로 미래에 대한 상상력을 키워나갈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Gustav Mahler 「Rückert Lieder」에 대한 연구 및 분석

        강다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구스타프 말러(Gustav Mahler, 1860-1911)는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에 걸쳐 활동한 후기낭만주의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는 후기낭만주의를 현대음악으로 이끌어준 과도기 시대의 작곡가로 10개의 교향곡과 44개의 가곡을 남겼다. 그는 오케스트라 리트라는 새로운 형식을 시작한 작곡가로 리트장르에 새로운 영역을 창조했다. 기존의 피아노 반주의 가곡에서 벗어나 오케스트라 반주로 연주되는 리트는 다양하면서 화려한 음색과 확장된 규모로, 새롭고 색다른 효과를 일으키며 연주 분야에서 확고한 위치를 차지하게 된다. 그의 가곡들은 폭넓은 정서를 표출하는데, 실연의 아픔, 아이를 잃은 부모의 슬픔, 처절한 굶주림, 낭만적인 순수성, 기교적으로 함축되어 있는 단순함 등 가사의 내용은 음악을 통해 실감나게 강화된다. 가곡의 음악양식은 대체적으로 긴 프레이징이 사용되었고 멜리즈마 선율도 볼 수 있다. 다이나믹의 범위도 넓게 사용되었고 가사에 대한 묘사적인 기법들도 섬세하게 시도되었다. 오케스트라 반주에서 비롯되는 화려한 음색과 다이나믹은 압도적으로 표출된다. 대표적인 가곡 작품으로는 <Lieder eines fahrenden Gesellen(방황하는 젊은이의 노래)>, <Des Knaben Wunderhorn(어린이의 이상한 뿔피리)>, <Rückert Lieder(뤼케르트 시에 의한 노래)>, <Kindertotenlieder(죽은 아이를 그리는 노래)>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본 논문은 <Rückert Lieder>에 대해 연구 및 분석하였다.

      • 코리빙 하우스에서 공동체의식을 위한 서비스스케이프 전략 제안 연구 : 커뮤니티 공간과 커뮤니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강다현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nounced in the "202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that single-person households accounted for 31.7% of all households in Korea. This shows the change in the traditional family form in Korea. Along with the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problems such as depression, loneliness, isolation, and social disconnection that feel bigger than multi-person households have surfaced. In this situation, Co-living House, a new shared housing type, is a housing type that can live in the community of residents, emerging as a clue to solving poor housing problems and social problems for single-person households. However, research on the formation of a sense of community among members in the Co-living House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present a strategy for forming a sense of community from the perspective of servicescape, focusing on community spaces and community programs in which residents interact. As a research method conducted to this end, the community space type of the Co-living House was derived through a prior study of the Co-living House, and the community program type of the Co-living House was derived through a prior study of the community and community program of a single-person household. Based on this, a case analysis was conducted on how the current Co-living House located in Seoul, Korea, provides community spaces and community programs, and a total of five urban Co-living House, consisting of various occupations and residents, was select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Next,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on whether the community space provided by Co-living House and the service scope of community programs influence housing satisfaction by mediating community consciousness. To verify this, a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all hypotheses were adopted, indicating that the physical and social servicescape of community space and programs had a direct effect on community consciousness, and also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servicescape and housing satisfac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influence for each sub-factor of community consciousness in the mediating effect,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mutual consciousness among community consciousness was low in the community space and community program service scope of Co-living House. Next, a stakeholder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for a more specific servicescape strategy, and questions about community consciousness and sub-elements of community consciousness among community spaces and community program design and use experiences were organized. According to the interview, it was found that the values and directions pursued by each Co-living were different, so the community and community consciousness were slightly different, and the influence of mutual influence was low due to the difficult environment and certain unpleasant situation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synthesizing the contents of the previous survey and interview. Residents showed great satisfaction with physical service scapes in the community space, and in the community consciousness mediating relationship, the members' consciousness was the largest in the order of satisfying individual needs, enjoying each other's presence in space, and satisfying members' consciousness. On the other hand, the sense of mutual influence showed the lowest mediating effect. To compensate for this, in order to improve community consciousness through the physical service scope of community space, it is necessary to follow etiquette between residents, but to plan for space and facilities that can help each other smoothly. The social service scope of the community space composed of employees and other users also showed the lowest mediating effect in the sense of mutual influence. It is confirmed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sense of mutual influence, improvement measures that can positively change the visible aspects of other users and sincerity in the service of experts are needed. Next, it was confirmed that the physical service scope of the community program had a high influence in the order of members' consciousness and satisfaction of needs, and the mediating influence on satisfaction of needs was the highest in the social service scope. Next, the physical service scope showed a low mediating effect, and the sense of mutual influence and the consciousness of members showed the same number of low mediating effects in the social service scope. To this end, the need for various programs aimed at exchanging members emerges, and measures to establish a continuous relationship are also needed. In addition, during the interview process, it was found that high satisfaction was shown in the process of creating and participating in programs between residents in Co-living through Co-living members. However, stress and difficulties due to pressure may occur in the journey planned and carried out by the organizer, so guidelines and strategies are needed to take care of them. The Co-living House market based on the sharing economy is currently in its early stages, and it is expected to be a basic data that can help related workers devise about their initial business and direction in the diversifying Co-living industry in the future. In particular, it is more valuable as a study for community consciousness and network from the perspective of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social problems such as loneliness and isolation, rather than simply researching the physical facilities and housing satisfaction of Co-living. As Co-living House focuses on the social value of living together to overcome urban isolation, it is expected that single-person households will help the community and form a smooth sense of community in Co-living 's living experience in the future. 통계청은 ‘2020년 인구주택총조사’에서 대한민국의 1인가구가 전체 중 31.7%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고 발표하였다. 이는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가족 형태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늘어나고 있는 1인 가구는 급격한 증가와 함께 다인 가구보다 더 크게 느끼는 우울감, 외로움, 고립감 그리고 사회적 단절 등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이러한 상황 속 새로운 공유 주거 형태인 코리빙 하우스는 입주민의 커뮤니티 속에서 생활할 수 있는 주거 형태로 1 인 가구의 열악한 주거지 문제와 사회적 문제에 대한 해결의 실마리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현재 코리빙 하우스에서 구성원 간의 공동체의식 형성을 위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거주자가 교류하는 커뮤니티 공간과 커뮤니티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서비스스케이프의 관점에서 공동체의식 형성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행한 연구 방법으로 코리빙 하우스 선행 연구를 통해 코리빙 하우스의 커뮤니티 공간 유형을 도출하였으며, 1인 가구의 커뮤니티와 커뮤니티 프로그램 선행연구를 통해 코리빙 하우스의 커뮤니티 프로그램 유형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코리빙 하우스 내에서 대한민국 서울시에 위치한 현 코리빙 하우스가 커뮤니티 공간과 커뮤니티 프로그램을 어떻게 제공하는지에 대해 사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도심형과 목적형 코리빙 하우스의 사례 연구 중 1인 가구의 주거 솔루션 측면으로 보았을 때, 다양한 직업군과 다양한 거주자가 모여 구성된 도심형 코리빙 하우스가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도심형 코리빙 하우스 총 5곳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코리빙 하우스에서 제공하는 커뮤니티 공간과 커뮤니티 프로그램의 서비스스케이프가 공동체의식에 매개하여 주거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실증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번째로, 모든 가설이 채택되어, 커뮤니티 공간 및 프로그램의 물리적·사회적 서비스스케이프가 공동체의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였으며, 또한 서비스스케이프와 주거만족도 사이에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번째로, 매개효과에서 공동체의식의 각 하위요인별로 영향력이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코리빙 하우스의 커뮤니티 공간과 커뮤니티 프로그램 서비스스케이프에서 공동체의식 중 공통적으로 상호영향의식의 영향력이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더 구체적인 서비스스케이프 전략을 위해 6명의 심층 인터뷰(Stakeholder In-depth Interview)를 실시하였으며, 커뮤니티 공간과 커뮤니티 프로그램 설계 및 이용 경험 중 공동체의식과 공동체의식의 하위요소에 관한 질문을 구성하였다. 인터뷰 결과, 코리빙 마다 추구하는 가치와 방향성이 달라서 거주자 간의 커뮤니티와 공동체의식이 조금씩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커뮤니티 공간에서 상호관계 형성이 어려운 환경 그리고 특정 불쾌한 상황 때문에 상호영향의식의 영향력이 낮은 것으로 보이며, 커뮤니티 프로그램은 거주자 간의 직접적인 교류와 친밀감을 형성하지만 상호영향의식과 구성원의식까지 영향을 미치기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었다. 앞서 시행한 설문조사와 인터뷰의 내용을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거주자들은 커뮤니티 공간에서 물리적 서비스스케이프에 관해서 만족도가 크게 드러났으며, 공동체의식 매개관계에서는 구성원의식, 욕구 충족 순으로 가장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개인의 욕구 충족은 물론 공간 안에서 함께 향유하고 서로 간의 존재감을 확인하며 구성원의식을 충족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반면 상호영향의식이 가장 낮은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선 커뮤니티 공간의 물리적 서비스스케이프를 통해 공동체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거주자 간의 에티켓을 따르되, 상호 교류를 원활히 도울 수 있는 방안과 서로 간의 접점이 공간과 시설에 대한 계획이 필요하다. 직원과 타 이용자로 구성된 커뮤니티 공간의 사회적 서비스스케이프 또한 상호영향의식에서 가장 낮은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는 상호영향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해선 타 이용자의 가시적 측면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개선 방안과 전문가의 서비스에 대한 진정성이 필요할 것으로 확인된다. 다음으로 커뮤니티 프로그램의 물리적 서비스스케이프에서는 구성원의식의, 욕구 충족 순으로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확인 되었으며, 사회적 서비스스케이프에서는 욕구 충족에 대한 매개 영향력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물리적 서비스스케이프에서 상호영향력이 낮은 매개효과를 보였으며, 사회적 서비스스케이프에서 상호영향의식과 구성원의식이 같은 수치의 낮은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를 위해 구성원들의 교류를 목적으로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대두되며, 그 속에서 지속적인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방안 또한 필요하다. 이 외에도 인터뷰 과정에서 코리빙 구성원들을 통해 코리빙에서 거주자 간의 프로그램을 만들고 참여하는 과정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주최자가 기획하고 진행하는 여정에서 부담감으로 인한 스트레스 및 난관 등이 발생 할 수 있어 이를 케어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 및 전략이 필요하다. 공유 경제를 기반으로 한 코리빙 하우스 시장은 현재 초기의 단계이며, 향후 다각화되는 코리빙 산업에서 관련 종사자들이 초기 사업과 방향성에 대해 고안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단순히 코리빙의 물리적 시설, 주변 환경에 대한 주거 만족도에 대한 연구가 아닌 외로움, 고립 등의 사회적 문제점을 지닌 1인 가구의 관점에서 공동체의식 형성 그리고 네트워크를 위한 연구로써 더욱 가치를 지닌다. 코리빙 하우스가 도시성 고립을 극복하기 위해 함께 사는 것의 사회적 가치에 중점을 두는 만큼 앞으로 1인 가구가 코리빙의 거주 경험 속 원활한 공동체 의식의 형성 및 커뮤니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