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노인의 식품군 섭취빈도와 신체기능장애의 연관성

        김진희,이윤환,백종환 대한노인병학회 2010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Vol.14 No.1

        Background: We evalu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frequency of food group consumption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Korean older people. Methods: Data are from the 200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ubjects were 771 people(324 men and 447 women) aged 65 and older living in the community. Information on frequency of food group consumption was obtained using a food-frequency questionnaire and functional disability was assessed using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nd instrumental ADL(IADL) scale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of frequency of food group consumption with ADL and IADL. Results: Adjusting for covariates, in men, frequency of milk and their products consumption was inversely associated with IADL disability[OR(95% CI): 0.29(0.13-0.65); p for trend=0.003]. Frequencies of fish and shellfish, and beverages consumption were also inversely associated with IADL disability. In women, frequencies of vegetables, seaweeds, and beverages consumption were inversely associated with ADL disability. Frequency of legumes and their products consum- ption was inversely associated with IADL disability[OR(95% CI): 0.56(0.33-0.95); p for trend=0.063]. Conclusion: Increased frequencies of food group consumption may be protective against functional disability in Korean older peopl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ascertain the effect of diet on physical disability in older persons. 연구배경: 노인의 식사섭취는 신체기능장애와 관련하여수정 가능한 중요한 요인이나, 이와 관련된 국내 연구는드물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남녀 노인별 식사섭취 중 식품군 섭취빈도와 신체기능장애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완료한 65세 이상 노인771명(남자 324명, 여자 44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식품군 섭취빈도는 식품섭취빈도조사법으로 조사하였다. 신체기능 상태는 일상생활 수행능력(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과 수단적 일상생활 수행능력(instrumental ADL,IADL)으로 평가하였다. 식품군 섭취빈도는 3가지 수준으로구분되어 신체기능장애의 연관성을 검정하였고,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혼란변수를 보정한 상태에서 남성 노인의 경우 유류및 그 제품 섭취빈도가 IADL 장애와 유의한 음의 연관성이있었다[OR (95% CI)=0.29 (0.13-0.65), 섭취빈도 높음(high)vs. 낮음(low); p for trend=0.003]. 또한 어패류와 음료 섭취빈도가 IADL 장애와 유의한 음의 연관성이 있었다. 여성노인의 경우 채소류, 해조류, 음료 섭취빈도가 ADL 장애와유의한 음의 연관성이 있었고, 두류 및 그 제품 섭취빈도가IADL 장애와 유의한 음의 연관성이 있었다[OR (95% CI)=0.56 (0.33-0.95); p for trend=0.063]. 결론: 이 결과는 남녀 노인별 특정 식품군의 섭취빈도가신체기능장애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해 주는 것으로이의 입증을 위해서는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예비 국어 교사가 교육실습에서 경험한 결정적 사건에 대한 연구

        김진희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ritical incidents experienced by preliminary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achers in the course of practicing their education expertise. For this, this study has selected 48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at K University as study subjects and collected and analyzed descriptions of critical incidents experienced while practicing. The analysis results have been able to classify critical incidents experienced by preliminary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achers while practicing in class into several categories, including teaching behaviors, student guidance, and guidance teachers. First, preliminary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achers were able to understand the complexity of the on-site classroom while experiencing the process of organizing knowledge, functions, and attitudes that they are well aware through the critical incidents as to teaching behaviors in line with the context of the classroom environment. Next, critical incidents regarding student guidance have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teachers to contemplate upon their qualifications as a teacher. Finally, ‘critical incidents with regards to the guidance teacher' have served as an occasion for teachers to build insights into education by solidifying the practical knowledge while understating the education phenomenon and pondering about desirable educational acts. 본 연구는 예비 국어 교사들이 교육실습 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결정적 사건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K대학의 국어교육과 학생 48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이들이 작성한 교육실습 과정에서 경험한 결정적 사건에 대한 기술지를 수집·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 국어 교사의 교육실습 과정에서 경험한 결정적 사건은 교수 행위, 학생 지도, 지도 교사에 대한 결정적 사건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먼저 예비 국어 교사들은 ‘교수 행위에 대한 결정적 사건’을 통해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 기능, 태도를 교실 환경의 맥락에 맞게 적절하게 구성해 나가는 것을 경험하면서 수업 현장의 복잡함을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다. 다음으로 ‘학생 지도에 대한 결정적 사건’을 통해 자신이 교사로서의 자질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고민하는 계기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지도 교사에 대한 결정적 사건’을 통해 교육 현상을 이해하고 바람직한 교육행위에 대해 고민해 보면서 나름의 실천적 지식을 공고히 함으로써 교육에 대한 안목을 형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 ‘보다’ 구성의 가정 의미기능 연구- ‘-아 봐’, ‘-았어 봐’, ‘-았단 봐’를 중심으로 -

        김진희,김강희 시학과언어학회 2012 시학과 언어학 Vol.0 No.23

        In this study, the subjunctive semantic function of the 'poda' structure, which is used in particular conversational contexts, is examined. This study focuses on the usage of the subjunctive, which has not been the focus of much discussion to this point, by combining 'poda' with other grammatical morphemes to form ‘-a pwa’, '-assa pwa' and '-attan pwa' structures and examining the subjunctive semantic function and specifying its characteristics. The result is that the function of '-assa pwa' is ‘Counterfactual conditionals’ that expresses a supposition of the opposite of what actually has happened. In addition, the subjunctive semantic function of the ‘poda’ structure can primarily be seen in the face-to-face conversational context in the form of imperative in order to assume any situation, advise or counsel to someone by presenting a particular condition. This study especially focuses on the feature that ‘-a pwa’, '-assa pwa' and '-attan pwa' structures are separate from the lexical meaning of main verb and function as the subjunctive constructions closely associated with a given context. 본 논문은 특정 담화 맥락에서 나타나는 ‘보다’ 구성이 나타내는 가정의 의미기능을 살펴보았다. 기존에 활발하게 논의되지 않았던 용법에 주목하여 여러 문법적 형태와 결합하여 나타나는 ‘-아 봐’, ‘-았어 봐’, ‘-았단 봐’ 구성이 가지는 가정의 의미기능과 그 특징을 상세화하였다. 그 결과 ‘-았어 봐’가 과거 사실의 반대를 가정하는 ‘반사실 가정’의 기능을 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또한, ‘보다’ 구성이 가정의 의미를 가지는 경우는 주로 면대면 대화 상황에서 명령형의 형태로 어떠한 상황을 가정하거나 특정한 조건을 제시함을 통해 상대방에게 조언이나 충고를 하는 맥락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본고는 한국어 보조용언 ‘보다’ 구성이 갖는 가정의 의미기능을 밝힘에 있어 본용언이나 ‘보다’라는 개별 어휘의 특징이 아닌, ‘-아 봐’, ‘-았어 봐’, ‘-았단 봐’가 일정한 구성을 이루고, 그것이 사용되는 맥락과 연관성을 가져 ‘가정’의 의미기능을 나타내는 것에 집중하였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