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960년대 북한 평화 제안의 영향요인 연구

        이상원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influencing North Korea's peace proposals in the 1960s and examines how these factors are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North Korea's peace proposals. In addition, North Korea's perspective on establishing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is confirmed by analyzing North Korea's behavior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 propensity to ‘status quo states’ and ‘revisionist states’. North Korea's peace proposals are an important clue to understand North Korea's perspective on establishing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Plan for Founding the Federal Republic of Koryeo’ in 1970s, and ‘Plan for Founding the Democratic Federal Republic of Koryeo” in 1980s and now peace proposals from North Korea have been ongoing since the 1960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an approach to North Korea's peace proposals in the 1960s is necessary. However, there are many differences of opinion on the explanation of North Korea's peace proposal. This is because North Korea has exhibited a 'two-sided act' of developing a 'hostile act' along with a 'peace proposals'. As a result, North Korea's perspective on establishing a peace regime could be view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ich actions were analyz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essential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North Korea's behavior. Therefore, in this study, three factors were set and analyzed as major influencing factors: ⓐ the international situation that affects North Korea's decision and its reaction to it, and ⓑ North Korea's internal situation and the existence of political and practical means to achieve its goals, and ⓒ the situation of the policy target country(USA or South Korea) and North Korea's perception of it. As a result of analyzing each influencing factor, it can be seen that until the early 1960s, North Korea had neither reason to forcefully change the situation nor the ability to overcome it. Therefore, until the early 1960s, North Korea developed a passive form of peace proposals with a strong tendency to ‘status quo’. However, North Korea’s ‘peace proposal’ became more aggressive towards the late 1960s. In the early to mid-1960s, ‘withdrawal of US Forces Korea’ gradually came to be presented as a top priority, and as a condition for establishing a peace regime, the dissolution of the Park Chung-hee government and ‘withdrawal of US Forces Korea’ began to be suggested. By the late 1960s, the circumstances in North Korea changed, and conditions were created to try to break the status quo. During this period, North Korea tried to break the status quo in order to achieve the ‘interest’ of ‘unification’, and it can be seen that it developed ‘peace proposals’ and ‘hostile acts’ to achieve the ‘interest’. In the early 1960s, North Korea superficially tolerated the South Korean system through the proposal of a federal system, but in the late 1960s, they were virtually denying the South Korean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have implications even today, when North Korea continues to engage in ‘two-sided act’. North Korea's will to use military force and the aggressiveness of its message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re changing with time. However, North Korea is still not responding to the control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cluding the United Nations, and its preference for “material power,” symbolized by nuclear development, continues. Therefore, the criterion for judging that North Korea's aggression has been alleviated is that North Korea accepts the control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cluding the United Nations, and abandons its preference for 'material power' through denuclearization. Attempts to intervene through active pressure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efforts for denuclearization can become part of a realistic plan to alleviating North Korea's aggression. 본 연구는 1960년대 북한 평화 제안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해당 요인이 북한의 평화 제안 전개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현상타파’와 ‘현상유지’ 국가 성향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북한의 행위를 분석하여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에 대한 북한의 시각을 확인했다. 북한의 평화 제안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에 대한 북한의 시각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이다. 1960년대 북한이 제시한 평화 제안의 주요 개념은 1970년대의 ‘고려연방공화국 창립방안’과 1980년대의 ‘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 그리고 현재 북한의 평화 제안까지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1960년대 북한의 평화 제안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평화 제안’과 함께 ‘적대적 행위’를 전개하는 북한의 ‘양면적 행위’로 인해 평화 제안의 해석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북한의 단편적 행위에 집중하기보다는, 행위에 영향을 미친 요인과 이에 대한 북한의 반응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국제 상황과 해당 상황에 대한 반응, ⓑ북한의 내부 상황과 목표 달성을 위한 정치적·실질적 수단(무력)의 존재, ⓒ정책 대상국(남한, 혹은 미국)의 상황과 이에 대한 북한의 인식 세 요소를 주요 영향요인으로 설정하고 분석했다. 각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1960년대 초반까지는 북한이 무리하게 현상을 변경할 이유도, 현상을 타파할 능력도 없었던 상황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1960년대 초반까지 북한은 ‘현상 유지’의 성향이 강한 소극적 형태의 평화 제안을 전개했다. 하지만 북한의 ‘평화 제안’은 1960년대 후반에 이를수록 공세적 성격을 지니게 되었다. 1960년대 초-중반 ‘주한미군의 철수’가 점차 최우선 목표로 제시되게 되었고, 이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조건으로 박정희 정권의 해체와 주한미군 철수를 제시하기 시작한 것이다. 1960년대 후반에 이를수록 북한의 상황은 변화했고, ‘현상타파’를 시도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었다. 이 시기 북한은 ‘통일’이라는 ‘이익’의 달성을 위해 현상을 타파하려 하였고, ‘이익’ 달성을 위해 ‘평화 제안’과 ‘적대적 행위’를 전개했다고 볼 수 있다. 북한은 1960년대 초반 연방제 제안을 통해 표면적으로라도 남한 체제를 인정하는 모습에서, 1960년대 후반에는 사실상 상대 체제를 부정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북한이 ‘양면적 행위’를 여전히 지속하는 오늘날에도 그 함의를 가질 수 있다. 북한의 군사력 사용 의지, 국제 사회에 던지는 메시지의 공격성은 시기에 따라 변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은 여전히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통제에 불응하고 있으며, 핵 개발로 상징되는 ‘물질적 권력’의 선호 역시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북한이 ‘현상 타파’ 국가 성향에서 벗어나 그 공격성이 완화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은 북한이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통제를 수용하고, 비핵화를 통해 ‘물질적 권력’의 선호를 버리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국제사회의 적극적 압박을 통한 개입 시도, 비핵화에 대한 노력은 북한의 공격성을 완화 시킬 수 있는 현실적 방안의 일부로 자리 잡을 수 있다.

      • In Pursuit of Power or Peace? : Korean Involvement in UN Peacekeeping Operations

        양지현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71

        United Nations Peace Keeping Operations (UN PKOs) are thought to be relatively free from the influence of state interests, instead being motivated by humanitarian concerns and a desire for peace and security. When we compare UN PKOs with International Peacekeeping Forces (IPF) or Multi National Forces (MNF), UN PKOs are expected to be more neutral due to the increased possibility of the influence of state interest in IPF and MNF activity. If the motives for participation in UN PKOs are as neutral as we suppose the operations themselves to be, neoliberalism or constructivism would seem to be the theories that could best explain why nations choose to participate. Since joining the UN in 1991, Korea has participated in five UN PKOs. In this paper, the motivation for Korean participation in UN PKOs in Somalia, Western Sahara, Angola, East Timor, and Lebanon is examined through the use of realism/neorealism, neoliberalism, and constructivism in order to explain what Korea’s real purposes were and what inspired Korea to send troops in each case. At the close of this inquiry, realism seems to be most suitable theory to explain the motives for Korea’s participation in these UN PKOs. 많은 사람들은 유엔 평화유지활동은 참여 국가들의 이해(利害)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우며 인도주의적 관심이나 세계 평화와 안보를 위한 것이라고 믿는다. 특히 유엔 평화유지활동을 다국적군의 활동과 비교해보면 다국적군의 활동에는 참여한 국가들의 이해관계가 얽힐 가능성이 더 많기 때문에, 유엔 평화유지활동이 더 중립적이라고 믿게 된다. 만약 유엔 평화유지활동에 참여하는 동기가 사람들의 기대처럼 이해 중립적인 것이라면, 신자유주의나 구조주의로 각 국가들의 참여 결정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1991년 유엔에 가입한 이후 현재까지 소말리아, 서부 사하라, 앙골라, 동티모르와 레바논 등 총 다섯 차례의 유엔 평화유지활동에 참여한 한국의 진정한 평화유지임무 참여 목적은 무엇인지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분석을 위해 현실주의/신현실주의, 신자유주의 그리고 구조주의의 이론을 이용했다. 마지막으로 현실주의가 한국의 유엔 평화유지활동 참여 동기를 설명하는데 가장 적합함을 제시했다.

      • Early Childhood Education: Towards Sustainable Peace in Sri Lanka

        클라우디아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71

        Early childhood education offers various intersectional points for integrating enriching education into a developmental framework. In Sri Lanka, the term “early childhood care and development” (ECCD) has been used when designing programmes that support children’s development, learning, health, nutrition and other features. Yet, in those categories, Peace Education has hardly been realized nor incorporated in a systematic way into peace building theory and practice. More specifically, Sri Lanka has largely overlooked the potential role of early childhood in contributing to the construction of sustainable peace. After almost two decades of the beginning of peace education programmes, a re-conceptualisation in peace education approaches is necessary in order to enter into a new phase of responsive pedagogy; more importantly, an integrated policy of peace education based on a broad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is vital. This thesis provides an understanding of how by incorpora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its formal settings and implementing peace education within this stage, Sri Lanka’s endeavours to foster peace are more likely to have lasting positive effects in the society. John Dewey and Maria Montessori’s approaches to education are reviewed and integrated into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peace education. To complement this examination, the thesis presents a review on the definition of ‘basic education’ and the activities advocated by the National Policy on Education for Social Cohesion and Peace, thus plac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in the greater context of sustainable peace. 어린이 조기 교육은 풍성한 교육을 개발의 틀로 통합하기 위한 다양한 교차점을 제공한다. 스리랑카에서 “어린이 조기 돌봄과 개발”이란 용어는 어린이들의 개발과 배움, 보건, 영양과 다른 특성들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만들 때 사용 되어 왔다. 그러나 그러한 범주 안에서 평화교육은 좀처럼 평화구축의 이론과 실제의 체계적인 방법으로 인식되거나 편입되지 않았다. 좀 더 엄밀히 말하자면 스리랑카는 지속 가능한 평화를 건설함에 있어 어린이 조기 교육의 잠재적 역할을 대부분 간과해왔다. 평화 교육 프로그램이 시작 된지 거의 이십 년이 지나서야 반응 교육학의 새 장으로 들어서기 위한 평화 교육 접근의 재 개념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더욱 중요한 것은 조기 교육의 폭넓은 이해에 기반한 평화 교육 정책의 통합된 정책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본 논문은 어린이 조기 교육을 어떻게 공식적인 지정이 되도록 구체화하고 평화 교육을 이 범주 내에서 실행할 것인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스리랑카의 평화를 촉진하기 위한 노력은 사회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지속해 온 것처럼 보인다. 존 듀이와 마리아 몬테소리의 교육에 대한 접근이 검토되었고 평화 교육을 위한 종합적인 틀로 통합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달성하기 위해 본 논문은 ‘기초 교육’의 정의와 사회적 결속과 평화를 위한 국가 교육정책에 의해 주창된 활동을 검토하고 지속 가능한 평화라는 큰 맥락 내에 어린이 조기 교육을 제시 한다.

      • (A) Study of Peace Education Focusing on Korean Peace Education

        최진아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71

        An Abstract of the thesis of Jin A Choi for the Master of International Politics presented November 19, 2008 [defense date] Title: A Study of Peace Education Focusing on Korean Peace Educa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a road map that would spread peace education in Korea. Through examination of two different peace education programs that were implemented by peace organizations in Korea, this paper will explore methods through which peace education can work more actively for people. In chapter I, the purpose and method of this paper will be introduced. Chapter II will introduce the meaning of peace and the concept of peace education. Also, the history of peace education and detailed programs will be examined. In chapter III, two different peace education programs of the Friends of Peace and the Conflict Resolution Center in Korea will be compared and evaluated based on the theory of David Hicks called a root of peace education. The future direction of two organizations will also be examined. Chapter IV will discern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n peace education. Conflict resolution education, environment education, unification education, and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are all considered to be categories of peace education. In this chapter, basic introduction and good examples of each education will be presented, which in the future might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peace education in Korea. In Chapter V, the importance of peace will be emphasized again. The way of maintaining peace should be achieved through peace education. The obstacles and future task for better peace education in Korea will be discussed. The idea of coexistence and peace only can be kept through education, and education should be accomplished based on peace concept. 본 연구는 한국 평화교육의 대중화를 위한 발전 방안의 모색이 주목적이다. 한국 평화 단체에서 시행하고 있는 두 개의 다른 평화교육의 프로그램을 통해 더욱 활발하게 퍼질 수 있는 평화교육의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연구방법에 대한 소개를 한다. 2장에서는 평화의 의미와 평화교육의 개념을 살펴본다. 또한 평화교육의 역사와 세부적인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3장에서는 한국에서 평화교육을 시행하는 두 개의 평화단체인 "평화의 친구들"과 "갈등해결 센터"의 프로그램을 David Hicks의 이론에 따라 비교, 평가할 것이다. 평화교육 이론의 뿌리라 불려지는 데이비드 힉스의 이론에 맞추어 두 단체의 평화교육의 장단점을 살펴보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까지 짚어본다. 4장에서는 한국 평화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살펴본다. 평화교육의 종류로써 갈등해결교육, 환경교육, 통일교육, 다문화교육이 있다. 사회 곳곳에서 다양한 종류의 평화교육이 다뤄질 수 있음을 확인하고 그 구체적인 예를 통해 평화교육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피력한다. 5장에서는 평화의 중요성을 다시 짚어본다. 또한, 평화를 만들고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평화교육의 필요성을 다시 살펴본다. 인류가 함께 공존하는 한 평화는 기본이요, 그 기본은 교육을 통해 이뤄져야 함을 확인한다.

      • Prospects and tasks of UN PKO and ROK forces in North Korea`s contingency situation

        김성진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71

        This thesis suggests an alternative framework, which analyzes the process and contents of the North Korea contingency situation and recommends tasks of UN PKO and ROK forces. While reviewing existing literatures that simulate the North Korea contingency scenarios, it is observed that most literatures include similar concepts to explain the contingency scenarios, types of contingencies, and prospects of vested powers interest despite the use of different terminologies and ambiguous scope of research. As an alternative, this thesis has applied the concept of UN PKO into the Korea context in order to outline the general process of contingency situation, including certain distinctions between terminologies, to ultimately suggest optimal strategies for the UN PKO in case of the North Korea contingency situation. Furthermore, in order to analyze the causes and effects of contingencies in North Korea, I will evaluate various sources including activities of keeping public order, refugees’ returning, military actions of reconnaissance and observation, disarmament, support of government, and maintaining a good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s by dispatching troops to Lebanon. Through this research, I purpose to clarify UN PKO, explain which type of forces could be ideal for ROK and evaluate the measures of the PKO for preparing optimal conditions for peace and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ith these purposes in mind, this thesis will explore: 1) The Legal Background of UN PKO in the Contingency Situation 2) Prospects of UN PKO in North Korea`s Contingency situations, and 3) Tasks for UN PKO and ROK Forces in North Korea`s Contingency situation. 본 연구는 북한 급변사태시 유엔의 평화유지군 개입과 한국군의 역할을 전망하는데 있다. 관련 선행 연구가 모호한 용어로 인해 혼동을 줄 수도 있다는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대안으로서 유엔 평화유지활동 개념을 적용하였으며, 북한 급변사태시 유형별 특징을 정리하고 이에 따른 유엔 평화유지활동의 역할과 한국군의 임무를 전망해보았다. 이를 통해 북한 급변사태 연구에 있어 새로운 분석틀을 제시하고 아울러 장차 발생할 수도 있는 급변사태에 대비하는 정책결정자들에게 실용적인 함의를 도출해내는데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논의 전개를 위해 급변사태의 개념에 대해 정의하였다. 북한 급변사태의 정의는 광범위하기에 다양한 정의들 중 공통점을 적용하여 한반도 상황과 관련 지어 ‘한반도의 평화를 위협하는 중대한 위기를 야기시키는 북한의 급격스러운 변화’로 정의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 학자들의 선행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공통적으로 발생 가능한 북한 급변사태의 유형들을 상정하였는데, 유엔의 평화유지군 개입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급변사태는 각각 대량 살상무기 확산, 외부세력의 단독개입, 내부 혼란심화, 대량 탈북 사태가 될 것이다. 이러한 한반도 위기는 주변 국가의 안보와, 국제사회의 포괄적 안보개념 아래 다양하고 광범위한 위협을 수반하는 국제 위기 상황이 될 것이다. 본고는 이와 같은 위기상황에서 유엔의 평화 유지활동을 가장 적합한 개입형태로 제안한다. 유엔의 평화유지활동이 가장 적합한 이유는 오랜 역사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분쟁에 개입해 왔으며, 현재에도 세계 각 지역의 분쟁에 다양한 형태로 개입하여 평화를 유지하고 건설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전통적 위협을 야기할 수 있는 급변사태에 대해서는 주변국의 동의와 지원 없이 단독개입의 형태로는 제한적일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북한의 급변사태에 있어서 유엔의 평화유지활동을 통해 제한된 목표를 달성하고, 위기관기 과정에서 위험요소를 최소화 하여야 할 것이다. 유엔의 평화유지활동의 필요성은 급변사태에 대한 평화유지활동의 기능을 통해 더욱 확실해 진다. 평화유지활동에서는 대량살상무기 통제, 군 감시단에 의한 감시, 정찰 및 조사 임무, 무장해제, 난민구호 및 복구지원, 치안유지, 선거지원, 지역주민 친화활동 등이 이루어지며 이는 북한 급변사태시 예상할 수 있는 주요한 현상과 특징들이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북한 급변사태시 유엔의 평화유지활동은 역내 주요국과 원칙과 형태를 협의하고, 나아가 상호간의 역할분담을 통해 주어진 상황에서 제한성을 약화하고 한반도 안정화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 Exhibiting peace : a study of museums for peace in South Korea

        이지선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71

        A museum for peace is reckoned to be a place for disseminating a sense of peace through its three roles: Preservation of peace-related memories, peace education and peace-making. Recently, in this regard, the importance of museums for peace has increased. Nevertheless museums for peace in South Korea have not been recognized by the general public as places for practicing those functions. Rather than they are mostly regarded as just memorials. Thus, it is necessary to have a systemic understanding of museums for peace to better comprehend the whole array of options for museums for peace in South Korea. This study compares existing seven museums for peace focusing on their planning and opening period, the main initiative behind their opening and current management bodies, their themes and purposes and the thesis aims to build a theoretical basis of museums for peace in South Korea. Traditionally, museums for peace in South Korea were initiated and have been managed by government-based organizations. These organizations have tended to think of symbolic meaning when they decided the site for the museums, and themes of museums were mostly limited in negative peace issues showcasing the past events. Furthermore, those museums have presented their purposes as honoring and setting particular national identities. However, the traditional paradigm that has appeared in most museums for peace has shown a sign of transformation with the opening of the Center for Peace Museum. This particular museum ha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other museums including site selection for easy access, exhibits on topical issues and concern with issue beyond Korea. Such characteristics of the Center for Peace Museum can be regarded as a new trend emerging among museums for peace in South Korea. A new trend is not confined to this one museum and it has started to appear in various circles in Korean society. So it is possible to see this new trend as a new paradigm which will bring out a paradigm-shift among museums for peace in South Korea. 평화를 위한 박물관은 평화에 관한 기억들을 보존하고 평화교육과 평화를 창설하는 세가지 기능들을 통해서 평화의식을 전달하는 곳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근 평화 를 위한 박물관의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한국에 있는 평화를 위한 박물 관들은 대중들에 의해 그러한 박물관의 기능이 인식되지 못한 채 주로 기념관으로 만 알려져 왔다. 따라서 한국에 있는 평화를 위한 박물관을 총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체계적인 이해가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한국에 있는 평화를 위한 박물관 일곱 곳을 그들의 기획 및 개관 년도, 박물관 기획 및 경영 주체, 박물 관의 주제 그리고 목적에 기반하여 비교하고 한국에 있는 평화를 위한 박물관에 대 한 이론적인 바탕을 세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통적으로 한국에 있는 평화를 위한 박물관들은 정부를 기반으로 한 단체 들에 의해 주로 기획되고 경영되어왔다. 그리하여 대부분의 박물관들은 박물관의 위치를 선정할 때 주로 상징적인 의미를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박물관의 주된 주제는 주로 과거에 기반한 소극적인 평화 이슈들이었다. 또한 박물관의 목적 또한 기념 및 특정한 정체성을 세우는 것에 국한되어 있었다. 하지만 평화를 위한 박물 관에서 나타난 전통적인 패러다임은 “평화박물관” 의 등장과 함께 변화의 조짐을 보이게 되었다. 이 특별한 박물관은 다른 박물관과 비교하여 뚜렷한 특징: 접근성을 중시한 장소의 선정, 현재적이고 지역적인 문제들을 그리고 한국을 넘어선 이슈들 을 전시 하는 뚜렷한 특징들을 보이고 ‘평화박물관’의 특징은 한국의 평화를 위한 박물관 중에서 나타난 새로운 동향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 새로운 동향은 ‘평화박 물관’ 에 국한되지 않고 한국 사회내의 다양한 곳에서 발견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이 새로운 동향은 앞으로의 한국의 평화를 위한 박물관에 패러다임 전환을 야기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간주될 수 있다.

      • (An) Analysis of the Debate on the Revival of the Veteran’s Extra Point System from the Gender Perspective and its Challenge to the Women's Movement in South Korea

        장유미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55

        The revival of the “Veterans’ Extra Point System”(VEPS), which is a policy which automatically gives extra points to military veterans who take a civil service examination, so as to facilitate their social adaptation in reintegrating into civilian life, is still a controversial issue in South Korea although it was previously abolished by a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ver thirteen years ago. The women’s rights movement in South Korea was the first to raise issue with the VEPS and launched a movement against it which was particularly active throughout the 1990s and helped lead to the 1999 judgment resulting in its abolition by the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on the grounds that the system had brought about the result of keeping women and the differently abled from entering employment in the public sector. In reaction to attempts to revive the VEPS system by both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presidential administrations from 2005, the women’s movement has taken consistent actions to block the revival of the system. However, the women’s movement has become unintentionally trapped in a genderconfrontation structure,which has dominated the controversy over the VEPS since itrestarted, immediately after the judgment to abolish the system in 1999. This ongoing controversy concerning the VEPShas resulted from an antipathy towards womenas a group due to the influence of deep-rooted militarism in the daily lives of South Koreans.The militarism is in line with the patriarchal social system in South Korea. The problem is that the gender confrontation structure of this issue has hindered the relevant debaters from finding a solution to resolve conflicts surroundingits revival and has also inhibited going a further step to develop an in-depth discussion about not only the role of the military and how the conscription system is based on gender hierarchy and discrimination, but finally how to build a last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respect, this study purposes to examine actions of the women’s movement against the VEPS to date and to reveal a limitation that the women’s movement has encountered. According to this examination, the actions of the women’s movement based on gender difference have been effective in terms of disclosing the aspects of gender inequality surrounding the VEPS. But this debate has exposed a limitation of the approach in that it does not thoroughly consider multiple differences within groups of women and of men as individual people with diverse identities; including gender identification, class, disability, and sexual orientation. Women are not a homogeneous group and neither are men. There are different types of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caused by discrimination against people with various differences of gender, class, disability, and sexual orientation. These are also entangled in the issue of the Veteran’s Extra Point System. Thus, I argue that the women’s movement resistance to the revival of the VEPS needs to consider the multiple differences within groups of women and men and by doing so reveal the complex power structure which is reproducing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This power structure has been hardly properly visualized in the distorted gender defined confrontation structure of the controversy over the revival of the VEPS. In this process, it is suggested that the women’s movement should act jointly with other groups of marginalized minorities to expand dimensions of solidarity against complex social unequal structures, which include the issue of gender discrimination. A productive debate on appropriate and substantial compensation measures for veterans, as an alternative to the VEPS, will be possible to open at that time. Keywords: the veteran’s extra point system, the women’s movement, the gender confrontation structure, gender hierarchy, militarism, sexism, gender difference, multiple differences 국문초록 챔더 관점에서 본 군가산점제 부활 논쟁 분석과 한국 여성운동의 도전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국제평화전공 장유미 제대군인이 꽁무원 시험을 치를 시 가산점을 부여하는 제대군인가산정제 도(이하 군가산점제)의 부활 문제는 본 제도가 헌법재판소 결정으로 폐지된 지 13 년이나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여천히 논쟁적인 이슈이다. 한국 여 성운동계는 군가산점제가 여성과 장애언의 공직 진출을 저해하는 컬과를 낳는 것애 문제를 제기하고 본 제도를 반대하는 운동을 벌여 1999 년 마침내 헌법재 판소가 군가산점제 폐지 결정을 내리는 데 기여했다 2005년부터는 국회와 행 정부 내에서 군가산점제를 부활시키려는 움직엄이 있자 여성운동계는 본 제도 의 부활을 저지하기 위한 행동을 취해왔다. 그러나 1999 년 제도 폐지가 결정 된 이후 이미 보여진 바와 같이, 군가산점제 논쟁에서 여성운통은 의도치 않게 성대결 구도에 갇혀 왔다. 이는 한국의 가부장제와 함께 일상 생활에 깊게 뿌 리내련 군사주의의 영향으로 인한 여성 집단에 대한 혐오가 단적으로 표현된 사례이다. 문제는 이러한 성대결 구도가 군가산점제 부활을 둘러싼 갈등을 풀 어나갈 해결책을 찾는 것을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정이다. 나아가 젠더 위계와 차별에 기반한 군대와 정병제도, 분단된 한반도에서의 평화 구축 등에 대한 심 도 깊은 논의를 발전시켜 나가는 것을 어렵게 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군가산점제에 반대해 여성운동계 가 취한 행동과 그 한계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남성과 여성의 차이, 즉 성차에 기반을 둔 운동 전략은 군가산점제를 둘러싼성 불평등한 측면을 드러내는 데 기여했으나 여성 집단과 남성 집단 내의 다 양한 차이를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였다. 한 개인은 성별, 계급, 장애, 성 적 지향 등에 따른 다양한 정체성을 갖는다. 여성들은 동질적언 집단이 아니며, 남생들 또한 마찬가지다. 군가산점제에는 성별, 계급, 장애, 성적 지향 등 사람 들 사이의 다양한 차이들로 인해 발생하는 서로 다른 유형의 차별과 불평등의 문제가 얽혀 었다. 따라서 여성운동계는 군가산첨제 부활에 반대하는 과정에서 여성 집단과 남성 집단 내의 복수적 차이들을 고려할 펼요가 있다. 이는 군가산점제 부활 논쟁의 성대결 구도에서 가리어진 문제, 즉 배제와 차별을 재생산하는 복합적 권력 구조를 드러낼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다른 소수자 그룹과 능동적으 로 연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성 볼평등을 포함해 사회의 복합적인 볼평등 구조에 대항한 연대의 범위를 확장시킬 것이다. 그 과정에서 군가산점제에 대 한 대안으로 제대군언을 위한 질질적 보상 방안에 대한 생산적인 논의의 장을 열 수 있을 것이다.

      • (A) study on North Korea’s provocations at the NLL : Focusing on North Korea’s strategic intentions

        김규진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55

        This thesis aims at analyzing North Korea’s strategic intentions in its provocations at the NLL from the year 1999 to 2009 by considering three contextual determining factors: North Korea’s domestic situation, inter-Korean relations and North Korean-U.S. relations. This study suggests theoretical implications of 4 theories of the potential causes of war which are then related to North Korea’s provocations at the NLL: “power transition,” “diversionary theory of war,” “misperception” and “initiation theory.” Also, this study proposes the direction that South Korea’s effective countermeasures against North Korea’s provocation should take.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NLL on August 30, 1953, the NLL has acted as the maritime boundary line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However, in 1973, North Korea raised objection to the NLL and instigated the “West Sea Incidents” which it violated the NLL 43 times and since 1999, North Korea has employed new type of violation of the NLL. North Korea instigated “the First YeonPyeong West Sea Clash” through a preemptive attack on South Korea’s warship in June 1999. North Korea had provoked at the NLL by force three times from 1999 to 2009. The number of North Korea’s provocation at the NLL was different in the context of different South Korean Executive Administrations: two times during the Kim Dae-jung government (1999-2003), refrained from provocation at the NLL during the Roh Moo-hyun government (2003-2008), one times during the Lee Myung-bak government (2008-2009). In the First YeonPyeong West Sea Clash at the NLL on June 15, 1999, North Korea’ s domestic situation was “stable,” inter-Korean relations were “in confrontation” and North Korean-U.S. relations were “in cooperation.” North Korea’s strategic intentions in provocation at the NLL were to have leadership in inter-Korean relations through securing leading role of inter-Korean official talks and to obtain economic benefits from South Korea. In the second YeonPyeong West Sea Clash at the NLL on June 29, 2002, North Korea’ domestic situation was “stable,” inter-Korean relations were “in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and North Korean-U.S. relations were “in conflict.” North Korea’s strategic intention in provocation at the NLL is also to secure a leadership role of upcoming inter-Korean official talks which would result in its national interests including economic benefits from South Korea. In refraining from naval clashes at the NLL during Roh Moo-hyun government (2003-2008), North Korea’ domestic situation was “stable,” inter-Korean relations were “in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and North Korean-U.S. relations were “in conflict.” In North Korea’s strategic intention in refraining naval clashes at the NLL, North Korea wanted to continue to maintain its leadership in inter-Korean official talks because since the Second YeonPyeong West Sea Clash on June 29, 2002, the North had took a leadership role in inter-Korean dialogue itself as well as holding inter-Korean official talks. North Korea intended to increase its more economic benefits from South Korea because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Roh Moo-hyun government, inter-Korean exchanges and economic cooperation had been actively proceeding. Also, North Korean-U.S. relations in confrontation might indirectly affect that North Korea did not engage in a naval clash at the NLL in this time. North Korea had limit to have its national interests under political and economic sanctions from international society but the North had only obtained its interests from South Korea under cooperative inter-Korean relations by without former naval clashes. In the DaeCheong West Sea Clash at the NLL on November 10, 2009, North Korea’ domestic situation was “stable,” inter-Korean relations were “in confrontation,” and North Korean-U.S. relations were “in conflict.” After Kim Jong-il’s health problems in August 2008, the politics for power succession of Kim Jong-un was the most urgent task in North Korea. The politics of power succession needed ideological legitimacy in the political and military areas and practical legitimacy in the economic area. In North Korea domestic situation, North Korea’s strategic intention in provocation at the NLL was to secure practical legitimacy through diverting North Korean people’s dissatisfaction to external conflict and to achieve domestic unity by this provocation. In inter-Korean relations, North Korea’s strategic intention in provocation at the NLL was to secure ideological and practical legitimacy in the politics of power succession through this military provocation itself, regaining leadership inter-Korean dialogue and increasing economic benefits from South Korea by creating military tension. Also, all of four theories of provocation and deterrence have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North Korea’s provocations at the NLL. These four theories of provocation and deterrence are suitable and appropriate to explain North Korea’s provocation at the NLL. Since the DaeCheong West Sea Clash at the NLL on November 10, 2009, North Korea has instigated military provocations at the West Sea: the Cheonan warship incident on March 26, 2010 and the firing of coastal artillery shells on YeonPyeong Island on November 23, 2010. North Korea’s common strategic intentions in the DaeCheong West Sea Clash and in these two provocations can be seen as intending to secure the ideological legitimacy in the political and military areas in politics for the power succession of Kim Jong-un, through creating military confrontation with South Korea. Therefore, based on North Korea’s strategic intentions in provocations at the West Sea, this study proposes the direction that South Korea’s effective countermeasures against North Korea should take. On the military level, South Korea should reinforce its military power in the northern West Sea and strongly use force to punish any of the North’s attacks until it removes the will of the North for further provocation. On the political-economic level, South Korea should pursue thoroughly a principle of reciprocity based on linking of political and economic issues with North Korea’s military provocation. Under this principle, North Korea might perceive that it cannot obtain its own political and economic interests from South Korea, if the North instigates further provocation toward the South. Therefore, North Korea might not instigate further provocation to the South’s these countermeasures because now it continues to pursue the legitimacy and stability of its politics for its power succession by Kim Jong-un. 1953년 8월 30일에 서해 북방한계선(NLL)이 설정된 이후, 북방한계선은 남북간에 실질적인 해양경계선의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러나, 1973년에 북한은 이런 북방한계선을 거부하고 북방한계선을 43회 침범하는 이른바 “서해사태”를 일으키면서 북방한계선을 지속적으로 침범해왔다. 1999년 이후, 북한은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형태로 북방한계선을 침범해오고 있다. 북한은 1999년 6월에 서해 북방한계선 인근 해상에서 남한 함정을 선제 공격하는 “1차 연평해전”을 일으켰다. 이후, 북한은 2002년 6월에 “2차 연평해전”과 2009년 11월에 “대청해전”을 일으켰다. 또한, 북한은 2010년 3월 백령도 남서쪽 2.5km 지점에서 잠수정에 의한 어뢰발사로 남한의 천안함을 공격하였고, 2010년 11월에 해안포로 남한 해역과 연평도를 공격하는 만행을 저지르고 있다. 1973년 “서해사태”이후, 북한은 수차례에 걸쳐 북방한계선을 단순히 침범해왔다. 그러나, 1999년 이후 북한의 북방한계선 도발은 기존과는 다른 형태이다. 즉, 북한은 과거처럼 북방한계선을 단순히 침범만 하는 것이 아니라 전략적 의도를 가지고 북방한계선을 침범 후 남한 함정에 무력에 의한 선제공격을 하였다. 북한의 핵과 대량살상무기 다음으로, 북한의 이런 서해 북방한계선상 도발은 남한에게 주요한 위협이다. 북한은 이를 남한의 안보를 위협하고 남북관계의 긴장을 조성하고 있다. 또한, 서해 북방한계선 무력충돌은 한반도의 화약고와 같은 것으로, 이런 무력충돌이 남북한의 지역적인 분쟁에서 전면전으로 확대될 수 있기에,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을 위협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3가지의 상황결정요소인 북한 내부상황, 남북관계, 북미관계를 연구하여 북한의 서해 북방한계선 도발의 상황적 배경과 전략적 의도를 도출한다. 본 논문은 북한의 서해 북방한계선 도발과 관련된 4가지 전쟁이론(힘의 전이이론, 전환 이론, 오지, 선제이론)의 이론적 함의를 알아본다. 또한, 본 논문은 북한의 도발에 대한 남한의 효과적인 대응의 방향을 제시한다. 이 연구의 범위는 1999년부터 2009년까지이다. 이 범위의 선정 이유는 2가지로, 첫째, 북한의 서해 북방한계선 도발의 형태가 단순한 북방한계선 침범 자체에서 남한 함정에 대한 무력 공격으로 바뀌었다. 북한은 이 시기에 기존의 경우와 같이 북방한계선을 침범만 하지 않고, 전략적 의도를 가지고 남한 함정에 대해 선제 공격을 가했다. 이런 해상 무력 충돌은 남북한의 생명과 재산의 손실을 가져왔고,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을 위협하는 새로운 요소가 되었다. 둘째, 북한은 이시기에 다양한 대내외적 상황에 도전하고 대응하였다. 이시기에, 탈냉전과 김일성의 사망에 따라, 북한은 외부적 위협을 제거하면서 김정일 정권을 유지하고 체제의 생존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선군 정치아래 2012년까지 강성대국 건설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북한의 이런 목표는 북한 내부 상황, 남북관계, 북미관계와 같은 상황 결정요소를 고려한 북한의 대내외 정책과 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한편, 본 논문은 2010년 3월 천안함 사건과 2010년 11월 연평도 포격 사건을 포함하지 않았다. 그 이유로, 두 사건은 북한의 침투작전과 기습포격에 의한 일방적인 공격으로 기존의 해전과는 성격과 형태가 다르기 때문이다. 또한, 이 두 사건에 대한 연구의 시간적 제한과 연구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본 연구의 객관성이 결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북한은 1999년에서 2009년까지 서해북방한계선 인근 해상에서 3회에 걸쳐 무력 도발을 하였다. 북한의 서해 북방한계선 도발 횟수는 남한 정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즉, 북한의 서해 북방한계선 도발은 김대중 정부 시기(1999-2003)에 2회, 노무현 정부 시기(2003-2008)에는 없었고, 이명박 정부시기(2008-2009)에 1회였다. 3가지 상황 결정 요소를 고려한, 북한의 서해 북방한계선 도발의 전략적 의도는 아래와 같이 요약된다. 1999년 6월 15일 1차 연평해전 발생 당시에, 북한의 내부상황은 안정, 남북관계는 대립, 북미관계는 협력에 있었다. 북한의 도발은 대립의 남북관계와 관련이 있다. 새로 등장한 남한의 김대중 정부는 기존 정부와 다르고 북한에 이익을 줄 수 있는 대북 포용정책을 추진하였다. 따라서, 북한의 서해 북방한계선 도발의 전략적 의도는 남북 당국자 회담의 선도적 역할을 확보하여 남북관계의 주도권 확보와 남한으로부터 경제적 이익을 얻고자 함이었다. 2002년 6월 29일 2차 연평해전 발생 당시에, 북한의 내부 상황은 안정, 남북관계는 화해와 협력, 북미관계는 갈등에 있었다. 북미관계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 문제로 갈등을 빚고 있었기에, 북한의 도발은 협력적 남북관계와 관련이 있다. 북한의 서해 북방한계선 도발의 전략적 의도는 2002년 4월 3일 임동원 특사의 방북 이후, 정치, 경제, 군사, 인도, 사회문화의 의제로 개최될 남북 당국자 회담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북한은 향후 개최되는 남북 당국자 회담의 주도권 확보가 남한으로부터 경제적 이익을 포함한 국가 이익을 가져올 것으로 판단하였다. 한편, 남북 해전이 없었던 노무현 정부시기(2003-2008)에, 북한의 내부 상황은 안정, 남북관계는 화해와 협력, 북미관계는 갈등에 있었다. 북한의 도발은 협력적 남북관계와 대립하는 북미관계와 관련이 있었다. 북한이 서해 북방한계선 도발을 억누른 전략적 의도에 있어서, 북한은 2차 연평해전 이후 남북 당국자 회담의 개최뿐만 아니라 회담 자체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고 있었기에, 북한은 이런 남북관계의 주도권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자 하였다. 또한, 노무현 정부 출범 이후, 남북 교류와 경제 협력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기에, 북한은 남한으로부터 더 많은 경제적 이익을 증가시키려고 하였다. 또한, 대립하는 북미관계는 노무현 정부시기(2003-2008)에 북한이 서해 북방한계선 도발을 자제하는데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북한은 이시기에 국제사회로부터 정치, 경제적 제재를 받아 국가이익을 추구하는데 어려움이 많았다. 예를 들면, 2006년 북한의 핵과 미사일 실험으로 인해, 북한에 대한 유엔안전보장이사회의 “1718” 결의안이 채택되었다. 또한, 북한은 남북해전이 없는 가운데 기존의 협력적 남북관계 하에 남한으로부터 국가 이익을 얻고 있었다. 따라서, 북한은 핵과 미사일 개발에 따른 어려운 국제적 환경 속에서 국가 이익을 얻는 남한과는 군사적 도발을 억누르면서 협력관계를 유지하였다. 2009년 11월 10일 대청해전 발생 당시에, 북한의 내부 상황은 안정, 남북관계는 대립, 북미관계는 갈등에 있었다. 북한의 도발은 안정적인 내부상황과 대립하는 남북관계와 관련이 있다. 2008년 8월 김정일의 건강이상 이후, 김정은에 의한 후계계승정치는 북한에서 가장 긴급한 과제로 등장하였다. 후계계승정치는 정치, 군사 분야의 이념적 정통성과 인민 경제 향상 통한 경제분야의 실질적 정통성을 요구했다. 북한 내부의 상황에서, 북한의 서해 북방한계선 도발의 전략적 의도는 경제난에 대한 북한 주민의 불만을 외부 무력 충돌로 전환하여 해소하고, 내부적인 통합을 이루어 실질적 정통성을 확보하는 것이었다. 남북관계에서, 북한은 군사 도발 자체, 남북 대화의 주도권을 재 확보, 남한으로부터 경제적 이익의 증가를 통한 이념적, 실질적 정통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한, 도발과 억제에 관한 4가지 전쟁 이론들은 북한의 서해 북방 한계선 도발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함의를 가지고 있었다. 즉, 4가지 이론들 모두가 북한의 서해 북방한계선 도발을 설명하기에 적절하고 적합하였다. 한편, 3가지 상황 결정 요인을 고려한, 북한의 서해 북방한계선 도발의 전략적 의도에 기초하여 볼 때, 북한은 2009년에 북한내부 문제와, 1999년, 2000년, 2009년에 남북관계 문제를 해결하고자 서해 북방한계선 도발을 통한 벼랑끝 외교를 구사하였다. 노무현 정부시기(2003-2008)에, 북한은 북미관계에서 핵과 미사일 문제를 활용한 벼랑끝 외교가 서해 북방한계선 도발이 없어도 남북관계에서 충분히 효과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2009년 11월 10일 대청해전 이후, 북한은 2010년 3월 천안함 사건, 11월 연평도 포격 도발을 통해 표면적으로는 북방한계선 일대를 분쟁 수역화하면서, 서해상에서 군사적 긴장을 조성하였다. 그러나, 서해 대청해전과 최근 두 사건에 대한 공통된 북한의 전략적 의도는 남한과의 군사적인 무력 대립을 조성하여 김정은 후계계승정치의 정치, 군사적인 이념적 정통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끝으로, 본 논문은 북한의 서해상 무력도발의 전략적 의도를 기초로 하여, 남한이 북한에 취해야 하는 효과적인 대응의 방향을 제시한다. 군사적인 면에서, 남한은 북서해상에 군사적인 제도를 포함한 군사력을 강화해야 하고, 어떠한 북한의 도발에 대해서도 그 도발 의지를 제거할 때까지 강력하게 응징해야 한다. 정치, 경제적인 면에서, 남한은 북한의 군사 도발과 정치, 경제 분야의 밀접한 연관성을 기초로 한 상호주의 원칙을 철저하게 추구해야 한다. 이러한 원칙하에, 북한은 남한에 대해 또 다른 군사도발을 일으킨다면 남한으로부터 어떠한 정치,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없다고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북한은 현재 김정은에 의한 후계계승정치의 정통성과 안정을 지속적으로 추구하고 있기 때문에, 남한의 이런 강력한 대응에 대하여서는 추가적인 군사도발을 자제할 것이다.

      • Path dependence approach to the six-party talks : prospects for multilateralism in Northeast Asia

        백찬영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55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ix-Party Talks process using Mahoney’s path dependence theory as its theoretical framework and explore the prospects for multilateralism in Northeast Asia. This study presents an overview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path dependence theory and its various applications. This study then demonstrates that path dependence theory can explain how the Six-Party Talks have been established, maintained, and discontinued. This theoretical approach utilizes four elements for analysis: initial conditions, contingency and critical juncture, self-reinforcing sequences, and negative feedback. The period of Kelly’s visit to Pyongyang in 2002 is explained as a period of contingency in the Six-Party Talks process. It is the critical juncture that the Six-Party Talks were selected as the dialogue process for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crisis. This study also demonstrates that the initial conditions of the Six-Party Talks process are highly influential in determining the consequences of the process’ path. Moreover, this study highlights how negative feedbacks have influenced the dynamics between the two self-reinforcing sequences that defined the process to this day. Finally, this study examines four strategic proposals: the Bosworth Process, the Jeju Process, the Peace Roadmap presented by the East Asia Institute, and Charles Pritchard’s a Permanent Security Forum, and the prospects for such efforts to achieve multilateralism in Northeast Asia. A path dependence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Six-party Talk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iming in a path dependent process and the limitations of self-reinforcing sequences. 2002년 10월, 제2차 북핵위기를 촉발시킨 농축우라늄 의혹문제가 제기될 때까지만 해도, 아무도 제네바 합의가 파기되고 다자회담으로 대체될 것으로는 예상하지 못했다. 북핵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다자회담의 틀로 6자회담이 채택되었고, 한반도 평화협정 및 동북아 평화안보 메커니즘과 같은 중요한 합의에 도달했다. 하지만 6자회담이라는 다자회담은 중요한 합의 중에서 아직도 한반도 비핵화 과정의 이행조차도 하지 못하고 있다. 그렇다면 동북아지역의 6개국이 어떻게 6자회담에 참여하게 되었는지, 합의에는 어떻게 도달할 수 있었으며, 그 합의를 이행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그리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인지를 마호니의 경로의존성이론으로 모색하는데 이 논문의 목적이 있다. 마호니의 경로의존성이론은 우연성과 결정적 국면으로 6자회담의 채택과정을 설명하고 있으며, 자기강화과정으로 6자회담이 지속되는 이유와 재개되는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또한, 합의사항이 이행되지 못하고중단되는 원인을 초기조건의 민감성과 부정적 피드백으로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경로의존성이론만으로는 경로에 있는 모든 사건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향후 6자회담의 진로를 예측하는데 제한이 따른다. 또한 협상의 틀로서 6자회담 자체가 가지고 있는 한계성도 있다. 한편, 북핵문제가 외교적인 방법을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된다는 전제하에 동북아지역 다자안보협력을 위한 4가지 제안을 검토하였다. 그 중에서 6자회담의 성공여부에 관계없이 상설안보포럼으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프리드먼의 제안은 지역 내 위기관리 및 예방과 동시에 기존문제의 해결을 촉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보았다. 무엇보다도 동북아지역의 다자주의를 위해서는 2.13합의에 따른 5개 실무그룹을 활성화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참가국들은 자국의 이익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동북아 지역의 안정을 조성하기 위한 공동의 이익을 우선 고려해야 한다. 특히, 한국은 북핵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한반도 통일문제를 함께 고려하는 외교적 역량을 발휘해야 한다. 현재 6자회담은 중단되고 있지만, 현재까지 북핵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유용한 다자회담의 틀로 채택되고 있다. 그러나 6자회담이 재개되는 조건에서 또 다른 합의에 도달하더라도, 6자회담이 가지고 있는 자기강화메커니즘을 강화시키지 못하고 부정적 피드백의 영향을 줄이지 않은 상태에서는 북핵문제 해결과 동북아 지역안정이라는 목표달성은 어렵다. 따라서, 회담의 외교적 성과와 더불어 전체 경로에서 시기와 과정의 문제도 함께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