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취약계층 아동ㆍ청소년 종단조사 Ⅱ

        황진구,이혜연,유성렬,박은미,장소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조사의 중장기적인 목적은 취약계층 아동·청소년의 성장발달 과정에 대한 장기적인 추적조사를 실시하여, 이들의 성장과정에서 나타나는 발달특성이나 생활변화와 더불어 관련정책과 사업이 지닌 효과 등에 대한 자료를 종단적으로 수집ㆍ분석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2011년에는 지역아동센터와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아동양육시설에서 생활하는 아동과 청소년 1,000명을 패널로 구축하여, 이들의 일상적인 생활과 의식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특히 2010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된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의 데이터와 비교를 통해 전체 아동ㆍ청소년과의 차이를 파악하고,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 조사대상 중 저소득층과의 비교분석도 병행하였다. 또한 시설 종사자 517명을 대상으로 시설운영과 관련된 전반적인 내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취약계층 아동ㆍ청소년패널과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 및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 중 저소득층과 비교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약계층의 경우 부모와 함께 거주하는 비율이 낮고 부모의 교육정도도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교육 이용의 경우 취약계층패널의 76.8%,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 중 저소득층의 24.2%,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 전체에서는 11.5%가 전혀 다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셋째, 건강상태와 관련하여 모든 집단의 주관적 평가 정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는 시설에서 제공하는 급식이나 생활관리가 취약계층 아동ㆍ청소년의 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넷째, 미디어 이용과 관련하여, 컴퓨터를 전혀 이용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학생의 비율이 취약계층패널의 10.4%로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 저소득층의 2.9%, 일반패널 3.5%보다 높게 나타나 정보격차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취약계층패널의 아동들이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과 저소득층의 아동들보다 학교규칙을 준수하고자 하는 경향이 높은 것도 확인되었다. 여섯째,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이 취약계층패널의 아동들보다 높은 수준의 자아탄력성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밖에 지역아동센터나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가 방과후 부모가 안심하고 일에 전념할 수 있는 여건을 제공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취약계층패널 아동과 청소년이 봉사에 대해 더 적극적인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차원의 보호를 필요로 하는 아동과 청소년에 대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성장과정에 대한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조사가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장기적 관점의 정책수립과 사업의 효과성 검증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longitudinal survey on the developmental process among the children and youths in socially disadvantaged families and welfare facilities and to collect and analyse the data on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life changes in their growth proces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ies and programs for them. For this purpose, 1,000 children and youths from the Community Child Centers, After-School-Academies, and Residential Care Facilities nationwide were selected to establish the study panel in 2011, and the data on their everyday life and attitud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Especially, this data were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KCYPS) in order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these two samples. The comparative analyses with the participants from the low income families in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were also conducted. In addition, the survey on 517 workers in these facilities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overall features on facility managements. The main results from the comparison of this panel with that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those in the KCYPS panel, the proportion of those living with parents in the socially disadvantaged families and welfare facilities was lower, and the educational attainments of their parents were found to be lower. Second, the percentage of those who did not attend any private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socially disadvantaged panel was 76.8%, while the percentage in the low income families in KCYPS was 24.2%, and that in the general KCYPS was 11.5%. Third,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their own health statu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across those comparison groups, which implies the positive influence of meals and activity-managements provided in the facilities on the health of children and youths. Fourth, in relation to the media use, the percentage of those who did not use computers at all was 10.4 in the socially disadvantaged panel, while they were 2.9% in the low income families in KCYPS, and 3.5% in the general KCYPS. This shows the information divide across the socioeconomic status of families. Fifth, those in the socially disadvantaged panel were found to have higher tendency to observe school rules compared to those in other panels. Sixth, those in KCYPS have higher levels of resilience than those in the socially disadvantaged panel. In addition, the Community Child Centers and After-School-Academies were found to have the trusting environments in which parents could leave their children after school, and those in the socially disadvantaged panel had more active attitudes towards participating in volunteer activities.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cares and services to the children and youths from the socially disadvantaged backgrounds, it is imperative to conduct a systematic longitudinal study on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through which the national policies on them should be established from the long-term perspective and the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se policies should be continued.

      • KCI등재

        한국청소년패널조사에서의 종단적 최초표본이탈에 영향을 미치는 표본특성요인

        이경상(Lee, Kyeong-Sang),이순래(Lee, Soon-Rae)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연구 Vol.28 No.2

        이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 중2패널 1∼6차년도, 초4패널 1∼5차년도 데이터에서의 종단적 최초표본이탈에 영향을 미치는 표본특성요인에 대해서 경험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분석을 통해 성별, 학업성적, 부(남자보호자)학력, 모(여자보호자)학력, 부모(보호자)취업여부, 한부모가구여부, 가구원수, 월평균가구소득, 자가거주여부, 거주지규모의 독립변수가 청소년최초표본 이탈, 부모(보호자)최초표본이탈, 청소년부모(보호자)동시최초표본이탈의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모형으로 설정한 후, 생존분석기법(survival analysis) 중 콕스의 비례위험 회귀분석 모형(cox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적용해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2패널에서는 여성에 비해 남성일수록, 학업성적이 낮을수록, 모(여자보호자)학력이 높을수록, 월평균가구소득(log)이 높을수록 최초표본이탈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초4패널에서는 모(여자보호자)학력이 높을수록, 양부모가구에 비해 한부모가구일수록, 자가거주에 비해 자가거주가 아닐수록, 거주지가 중소도시에 비해 대도시일수록 최초표본이탈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2패널과 초4패널의 최초표본이탈위험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변수는 모(여자보호자)학력 변수뿐이었고, 중2패널에는 남성더미(여성기준), 학업성적, 월평균가구소득(log) 변수가, 초4패널에는 한부모가구더미(양부모가구기준), 자가거주아님더미(자가거주기준), 거주지대도시더미(중소도시기준) 변수가 각각 따로 최초표본이탈위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향후 아동 및 청소년 대상의 패널데이터를 구축할 때 표본이탈을 최소화하기 위한 표본관리방법 강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empirically analyze the sample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longitudinal initial sample attrition in data taken from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The data was taken from the 1st through to the 6th annual datasets of the second grade junior high school youth panel data and the 1st through the 5th annual datasets of the fourth grade elementary school youth panel data. The independent variables consisted of gender, academic performance, father(male guardian)’s level of education, mother(female guardian)’s level of education, parental(guardian’s) employment status, single parent households, number of household members,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whether the primary property is owner occupied or rented, and size of the primary property. The dependent variables consisted of the adolescent’s longitudinal initial sample attrition, the parent(guardian)’s longitudinal initial sample attrition, and the adolescent- parent(guardian)’s concurrent longitudinal initial sample attrition.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was applied for the purposes of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males compared to females, the lower the level of academic performance. Similarly, the higher the level of the mother(female guardian)s level of education.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the higher the risk of longitudinal initial sample attrition was in the analysis of the 1st through to the 6th annual datasets of the second grade junior high school youth panel data. The following relationships led to a higher risk of longitudinal initial sample attrition in the analysis of 1st through the 5th annual datasets of the fourth grade elementary school youth panel. The higher the mother(female guardian)s level of education, the higher the single parent households compared to the two parent households,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primary properties being rented rather than owner occupied, and the higher proportion of metropolitan city residence compared to small-medium city residence –all led to higher risks of attrition. The only variable that had a common effect on the risk of longitudinal initial sample attrition of the second grade junior high school youth panel and fourth grade elementary school youth panel was the variable of the mother(female guardian)’s level of education. The variables such as the proportion of males compared to females, the level of academic performance, and the monthly average household income affected only the risk of longitudinal initial sample attrition of the second grade junior high school youth panel. The variables such as single parent households compared to more conventional two parent households, ownership status of the primary property and the proportion of metropolitan city residence compared to small-medium city residence affected only the risk of longitudinal initial sample attrition in the fourth grade elementary school youth. panel.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uld help to strengthen sample management methods to minimize sample attrition when creating panel data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e future.

      • 한국아동 · 청소년 패널조사Ⅴ: 기초분석보고서Ⅰ - 청소년 생활시간 추이 분석

        정은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생활시간 사용 형태 및 연도별 추이를 살펴봄으로 향후 관련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 KCYPS)의 초4 패널과 중1패널의 제1~3차년도 조사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초4 패널의 1차년도(2010년) 원표본인 2,378명과 중1 패널의 1차년도(2010년) 원표본인 2,351명을 세부적인 배경변인별로 횡단면 표준화 가중치를 적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생활시간을 세부 9개 영역인 ①수면시간, ②학원 및 과외시간, ③학교숙제 시간, ④학원 및 과외 숙제 시간, ⑤기타공부 시간, ⑥독서 시간, ⑦컴퓨터 및 게임기 오락 시간, ⑧TV 및 비디오 시청 시간, ⑨친구들과 노는 시간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으며, 학교 등교일과 비등교일로 구분하여 생활시간 형태를 살펴보았다. 주요 분석결과, 첫째, 초4 패널과 중1 패널의 수면시간은 학년이 올라 갈수록 줄어들었으며, 중학생의 경우 평균 8시간 이하의 수면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4 패널과 중1 패널 모두에서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업관련시간은 줄어들고 여가관련시간은 늘어나는 추이를 보였다. 둘째, 청소년은 학업관련시간 중 등교일에는 학원/과외 활동에 가장 많은 시간을 활용하였고 비등교일에는 기타공부나 독서에 시간을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지역 청소년이 시군구, 광역시 지역 청소년에 비해, 가구소득이 높고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많은 시간을 학원/과외 활동에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경우 여가관련시간 중 컴퓨터/비디오 오락에는 남학생이, TV/비디오 시청에는 여학생이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소득이 낮고 부모의 학력이 낮을수록 청소년이 컴퓨터오락이나 TV시청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patterns of daily activities of the children and the youth and the changes in patterns in these activities over 3 years. The study utilized the data from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KCYPS, and used data from‘elementary 4 panel’and‘middle school 1 panel’from Time 1(2010) to Time 3(2012). The analysis were carried out based on the starting sample of 2,378 from the‘ elementary 4 panel’of the first year (2010) and 2,351 from the‘middle school 1 panel’ of the first year (2010) and by applying cross section weighted standard value according to detailed background factors. The study looked at nine categories of activities and separately analyzed the school days and non-school days. The nine categories are ① sleeping ② extra curricular lessons such as after-school (Hakwon) and being tutored ③ homework for school ④ homework for the Hakwon and tutoring lessons ⑤ other study time ⑥ book reading ⑦ playing on the computer and games ⑧TV and video watching ⑨ hanging out with friends. The result shows that first, the time spent on sleeping gradually declines as the children and youth go to higher grade as shown in‘middle school 1 panel’and‘elementary 4 panel.’ The middle schoolers are shown to sleep less than 8 hours in average. Both in‘elementary 4 panel’and‘middle school 1 panel’, as the grade goes up, the time on academic activity decreases while time spent on leisure activity increases. Second, the children and youth spent most time on Hakwon and tutoring during school days, and on extra study and reading on non school days. The children and youth living in Seoul spend more time on Hakwon and tutoring than those living in the other areas. The children and youth in higher income families with better educated parents also spend more time in Hakwon and tutoring than those who are not. Third, in case of middle schoolers, boys tend to spend more time on computer and video games than girls do, while girls spend more time on TV and video watching than boys do. The children and youth from lower income families with less educated families tend to spend more time on computer games and TV watching than those who are from families with higher income and better educated parents.

      • 청소년의 체험활동 참여변화와 자아인식·사회적 발달

        황진구,허효주,안현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 KCYPS) 의 중1 패널 제1~3차년도 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청소년이 중학교 시절 3년간 체험활동 참여 정도 변화 추세를 파악하고, 중학교 1학년부터 2학년까지(2010년부터 2011년)의 2년간 참여한 체험활동 참여 정도가 중학교 3학년(2012년)에서의 사회?정서발달이나 사회 관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청소년 체험활동이 지닌 의미를 찾아보려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험활동 영역별 청소년 참여정도 변화를 살펴보면, 중학교 3년간의 9개 체험활동 영역별 참여율과 시간은 전체적으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봉사활동과 직업체험활동은 중학교 2학년에 감소했다가 3학년에 다시 증가하는 형태를 보였다. 대부분의 체험활동 참여율이 청소년이 거주하는 지역의 규모가 클수록, 가구 소득 규모가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이 참여한 체험활동 영역 수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남자보다는 여자가, 도시규모가 클수록,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참여한 체험활동 영역 수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이 중학교 1학년(2010년)부터 2학년(2011년)까지 2년간 참여한 체험활동 영역 수, 참여 시간, 참여에 따른 만족도와 중학교 3학년 시기의 다양한 자아인식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참여영역 수나 시간, 만족도가 높은 집단일수록 자아존중감, 진로정체감 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청소년의 친구와의 의사소통 능력이나 신뢰감, 학습활동, 지역사회 인식, 공동체 의식 등도 중학교 1학년부터 2학년까지 청소년의 체험활동 경험(참여율, 참여시간)이 높은 집단일수록 중학교 3학년 시절의 사회적 관계의 발달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hanges in youths’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ies over time during their middle school year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ir level of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ies in their first and second years (2010 and 2011) and their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nd social relationships in their third year in middle school, and ultimately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youth activities, using the first to third year survey data of the middle school year 1 panels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The key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changes in youths’ participation in each area of youth activities, participation rates in the nine activity areas during the three years in middle school and the amounts of time they spent decreased over time, save for voluntary activities and vocational experience activities that decreased in the second year and rebounded in the third year. For most youth activities, the bigger the community they lived in and the higher their family income, the more youths participated in youth activities. Second, as for changes in youths’ participation in youth activities, the number of youth activity areas they were involved in the first year decreased over time. Male students participated in more areas than female students did, and students in bigger cities and richer families participated in more youth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satisfaction with youth activities went up over time. And female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youth activities than male students were, and students in bigger cities and richer families were more satisfied. Third, the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time spent in, and satisfaction with youth activities involved in the first and second years (2010 ? 2011) and various aspects of their self-recognition in the third year showed that groups that had participated in more areas, had spent more time, and had been more satisfied had higher self-esteem, self-respect and career identity. Fourth, as for youths’ communication skills with friends, trust, academic activities, recognition of the community and community spirit, groups that had more participated in youth activities (higher participation rates and longer time spent) in the first and second years showed higher social relationship development in the third year.

      • KCI등재

        다문화청소년 유형에 따른 여가문화활동 및 사회적 역량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임은의,박미현 한국다문화복지학회 2023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Vol.5 No.3

        This study divides multicultural youth into three types: domestic-born youth from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immigrant youth from international marriage family, and youth from foreign family, examines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leisure & culture activities, social competence, and self-esteem depending on the type, and determines whether the independent variables for each type are related to self-esteem. The purpose is to explore the impact. For this purpose, the first data from the second period of the Youth Policy Institute's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was used, and 1,834 multicultural youth were analyzed.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 evaluation, household average monthly income, regional size, leisure & culture activities, and self-esteem depending on the type of youth from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the variables affecting self-esteem were foun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ype of multicultural youth. Health evaluation, leisure & culture activities, and social compete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ll families, health evaluation, household average monthly income, leisure & culture activities, and social competence in the case of domestic-born youth, and health evaluation and social competence in the case of immigrant youth and foreign families youth.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is paper presented academic suggestions for research by type targeting youth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also proposed practical measures to improve self-esteem by promoting leisure & culture activities and social competencies of youth from multicultural families.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을 국내출생 청소년, 중도입국 청소년, 외국인가정 청소년으로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에 따른 여가문화활동, 사회적 역량, 자존감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며, 이들 유형별로 독립변인이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2기 제1차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다문화청소년 1,834명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평가, 가구 월평균소득, 지역규모, 여가문화활동, 자존감이 다문화청소년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다문화청소년 유형에 따라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전체 가정의 경우 건강평가, 여가문화활동, 사회적 역량이, 국내출생 청소년의 경우, 건강평가, 가구 월평균소득, 여가문화활동, 사회적 역량이, 중도입국 청소년과 외국인가정 청소년의 경우 건강평가, 사회적 역량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다문화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유형별 연구에 대한 학술적 제언을 제시하였으며, 아울러 다문화청소년의 여가문화활동과 사회적 역량을 증진하여 자존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데이터를 활용한 연구의 동향에 관한 분석

        문성호,문호영,한지연 한국청소년학회 2008 청소년학연구 Vol.15 No.5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end of study in which Korea Youth Panel Survey (KYPS) data that were provid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and then grope after the direction of future panel study. Study subjects were 148 articles―71 scientific ones presented in scientific conferences and 77 ones published in journals―out of 223 ones, which were listed as panel data-used articles on the NYPI homepage, over the period from 2004 to March 2008.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the panel of junior high schools, that of primary schools is rarely used. Second, interoperability is low, for staffs in charge do not take part in. However, interdisciplinarity is relatively high, for a number of joint researches among a variety of specialties are carried out. Third, as for the theme of panel data, youth's delinquent behavior sphere occupies 41.9%, and it is followed by occupation/course sphere (27.7%), psychology sphere (18.9%), others (7.4%), and leisure sphere (4.1%) in order. Fourth, as for sub-categories, studies on part-time jobs are far insufficient in the sphere of occupation/course. In the sphere of psychology, youth's self, adaptation, and internal problem are indiscriminately analyzed, but compared to other thematic spheres, this sphere has been studied less. And in the sphere of delinquent behavior, youth's delinquency and deviation have been studied most, whereas youth's specific delinquent behavior has been rarely studied.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as discribed above, implications and direction are discussed for further researches.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데이터를 활용한 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패널데이터의 효과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논문은 2004년부터 2008년 3월 말까지 패널데이터 활용 논문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홈페이지에 게시된 223편의 논문 중 학술대회 주제발표 논문 71편과 학회지 게재논문 77편을 포함한 총 148편이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연구대상을 분석한 결과 중학교 패널에 비해 초등학교 패널의 사용 빈도는 미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무자의 참여가 없어 협업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다양한 전공간의 공동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이 이루어져 학제성은 비교적 높게 조사되었다. 셋째, 연구 주제는 청소년의 문제행동 영역이 41.9%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직업·진로영역(27.7%), 심리영역(18.9%), 기타영역(7.4%), 여가영역(4.1%)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직업·진로영역에서는 아르바이트 관련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영역은 청소년의 자아, 적응, 내적문제관련 주제가 고루 분석되었지만, 다른 주제영역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적게 연구되었다. 그리고 문제행동영역에서는 포괄적인 청소년의 비행 및 일탈을 주로 연구하였고, 청소년의 특정 비행 및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기초한 연구 함의는 결론 및 논의에서 제시하였다.

      •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0 III 사업보고서

        이경상,서정아,배상률,성은모,김지영,강현철,한영근,장주희,이재연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0 III에서는 첫째, 전년도말에 조사된 2차년도 조사결과를 펀칭, 데이터 클리닝, 가중치 부여 등의 과정을 거쳐 통계자료로 구축하고, 둘째, 1~2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여 리서치브리프와 데이터분석보고서를 발간하고, 제2회 한국아동청소년패널학술대회를 개최하며, 셋째, 전년도의 2차 추적조사 실시에 이어 패널표본으로 구축된 청소년 및 보호자들을 대상으로 3차 추적조사를 실시하였다. 2차년도 조사결과, 초1 패널의 경우, 청소년 96.7%, 보호자 96.0%의 표본유지율을 나타내었고, 초4 패널의 경우, 청소년 95.2%, 보호자 94.2%의 표본유지율을 나타내었으며, 중1 패널의 경우, 청소년 97.0%, 보호자 94.4%의 표본유지율을 나타내었다. 조사후 펀칭된 데이터를 대상으로 데이터 클리닝을 실시하고 횡단, 종단적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데이터 이용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유저가이드와 코드북을 작성하여 배포하였고, 최종데이터는 SPSS, SAS, STATA등 세 가지 파일로 제작되어 관련 학계에 제공하였다. 데이터 활용과 관련하여 콜로키움을 2회 개최하였고 다층모형과 잠재성장모형을 주제로 패널데이터분석방법론 세미나를 1회 개최하였다. 관련 학회들과 공동주최로 제 2회 패널 학술대회를 개최하였다. 리서치 브리프를 4회 발간하고, 데이터분석보고서를 4권 발간하였다. 최종데이터를 공개하여 유저들의 논문작성에 자유로이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설문내용을 3차년도 조사에 맞게 수정하였다. 초1, 초4, 중1 패널의 1차년도 확정표본들을 대상으로 3차년도 조사를 9월 말~11월 말에 실시하였다. 표본관리방법과 자료수집방법은 전년도인 2차년도 조사와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In this study,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 III, the following has been performed. First, the statistical data have been constructed after going through the processes of punching, data cleaning and weighting on the second year investigation results investigated at the end of previous year. Second, the research brief and data analysis report were published using the data of first and second year and the second panel symposium was opened up. Third, the third follow-up research was performed targeting the youths and guardians constructed with the panel sample followed by performance of the second research of the previous year. As a result of second years investigation, the sample maintenance rate of youth 96.7% and guardian 96.0% was shown in case of first grade panel, the sample maintenance rate of youth 95.2% and guardian 94.2% was shown in case of fourth grade panel while the sample maintenance rate of youth 97.0% and guardian 94.4% was shown in case of seventh grade panel. Data cleaning was performed targeting the punched data after the investigation whil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weight have been assigned. The users guide and code book have been prepared to be distributed to strive for convenience of using data while the final data have been provided to the related academic circles after being produced as three types of files of SPSS, SAS and STATA, etc. The colloquium was held twice in relation to using the data while The panel data analysis methodology seminar was held under the theme of HLM and LGM. The second panel symposium was held by joint sponsorship with the related societies. The research brief was published four times and four volumes of data analysis report was published. The final data was made public to be freely used in writing thesis by users. The inquiry contents were modified to become the third year investigation. The third year investigation was performed from end of September to end of November targeting the definite samples of first year in first grade, fourth grade and seventh grade panels. The sample management method and data gathering method were performed the same way as the second year investigation which is the previous year.

      • 청년 핵심정책 대상별 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Ⅲ : 청년 이직자 - 심층분석보고서

        김기헌,신동훈,고혜진,신인철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보고서는 ‘청년 핵심정책 대상별 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Ⅲ : 청년 이직자’의 심층분석 연구를 담고 있다. 사업체패널조사, 인적자본기업패널, 한국노동패널조사, 청년패널 등의 2차 자료를 분석하여 청년층이 주로 근무하는 기업의 특성과 이들의 이직 사유, 그리고 이직 경로에 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크게 3개의 연구로 구성된 이 보고서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들은 임금이 높고 초과근무가 적은 직장에 재직하는 경우 이직 의사가 낮게 나타났으나, 실제로 청년층에 일자리를 주로 공급하는 직장은 청년층이 원하는 근무 환경을 갖추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년층이 원하는 양질의 일자리를 확보하는 작업과 청년 친화적인 기업문화를 갖추기 위한 변화를 지원하는 작업이 함께 수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둘째, 최근 세대의 첫 일자리 근속연수는 이전 세대와 비교하여 단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첫 직장을 정규직으로 일한 경우 두 번째 직장 역시 정규직으로 입사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세대가 겪고 있는 어려움을 보여줌과 동시에 청년층이 첫 직장으로 나가는 데 제도적 지원이 요청됨을 확인한다. 셋째, 청년들은 갖추고 있는 교육 및 기술 수준에 비해 낮은 수준의 직무를 수행할 때 적극적으로 이직을 준비하고 실행에 옮겼다. 유사하게 전공과 무관한 업무를 수행하는 청년층의 이직 가능성도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청년층이 역량에 맞는 직장에 취업해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관련된 지원대책 마련이 필요함을 드러낸다. 심층 보고서의 결과는 본 보고서에서 분석한 청년층의 이직 사유가 2차 자료에도 적용됨을 확인한다. 더불어 현 사회경제적 여건이 청년층의 구직과 이직에 긍정적이지 않음을 드러내 청년 지원 정책에 다각적 노력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This report contains an in-depth analytical study of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and Support Plan for Youth Core Policy Object III: Youth Turnovers’. Secondary data such as the Workplace Panel Survey,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and Youth Panel were analyze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companies in which young people mainly work, the reasons for their turnover, and the path to turnover. The results of this report can be summarized in three distinct findings as follows. First, when young people are employed in jobs with high wages and low overtime, they have less motivation to change jobs, but normally these types of jobs where young people work do not offer the type of working environment that they want. This implies that securing the quality jobs that the young people want and supporting change in order to have a youth-friendly corporate culture must be carried out together.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years of service for the first job of the recent generation was shortened compared to the previous generation.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if the first job was held as a permanent employee, the second job was more likely to be held as a permanent employee. These results show the difficulties facing the recent generation and at the same time confirm that institutional support is required for young people to go to their first job. Third, when young people performed jobs at a lower level compared to the level of education and skills they had, they actively prepared for changing jobs. Similarly, the likelihood of turnover among young people who perform tasks not related to their major was also high. These results reveal that there is a need to prepare relevant support measures so that young people can start a career at a job suited to their capabilities and perform their duties. The results of the in-depth report confirm that the reasons that were analyzed for young adults changing jobs in this report also apply to the secondary data. In addition, it shows that the current socio-economic conditions are not positive for young people’s job search and turnover, suggesting that multilateral efforts are required for youth support policies.

      • KCI등재

        한부모 가정 아동·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시계열적 연구: 양부모 가정 아동·청소년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소진 ( Kim So-ji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6 열린부모교육연구 Vol.8 No.3

        이 연구는 한부모 가정 아동·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문제를 다룬 것이다. 특별히, 연구는 양부모 가정 아동·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실태와의 비교를 통해, 한부모 가정 아동·청소년들의 학교생활적응 실태를 파악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또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이 두 가정 아동·청소년들 간의 학교생활적응 격차를 감소시키는지 확인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초1, 초4, 중1 패널로 구성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의 주요한 결과들이 확인되었다. 첫째, 아동·청소년은 전반적으로 학년이 증가할수록 학교생활적응에 더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청소년들 간의 학교생활적응 격차는 성장기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에는 격차가 그리 크지 않았지만, 이들이 성장하면서 그 격차는 커졌으며, 고등학교 시기부터는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개인별 시계열적 변화도 개인간 격차가 커지는 시기에 같이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아마도 사춘기 문제에서 비롯되는 현상인 것으로 추측된다. 셋째, 한부모 가정과 양부모 가정 아동·청소년들 사이의 학교생활적응 수준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만, 아동이 초등학교 저학년 시기에는 차이가 미미했으며, 이들이 성장하면서 그 차이가 두드러지는 양상을 보였다. 하지만, 이 역시 고등학교 시기부터는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넷째,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태도는 아동·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한부모 가정과 양부모 가정 아동·청소년들의 학교생활적응 격차를 일부 상쇄시키는 효과도 있었다. 그러나 두 가정의 아동·청소년들 사이에서 격차가 컸던 시기에는 그 효과가 제한적이어서 격차를 줄이지 못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들은 비록 동일한 조건이라 하더라도 아동·청소년의 성장기에 따라 그 영향과 결과가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school life adjustment in children and youth from single parent families. In particular, this study gave main focus on exploring adaptation level of single parent families` children and youth by comparing with two-parents families. And we also intended to ascertain whether the difference in school life adjustment level between single and two parent families is reduced by parenting attitude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it used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And to cap it all, the following results are drawn. First, most of children and youth experienced more difficulty as they grew up. Second, the school life adjustment gap among children and youth was very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growth phase. Third, there was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level of school life adjustment between single and two parent families. However, this difference varied by their growth phrase,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a first grade panel of middle school. Forth, the parenting attitudes had positive effect on the school life adjustment of children and youth. But, it did not reduce the gap between single and two parent families in 4th grade panel of elementary school, specifically a first grader of middle school. These results mean that the gap between two groups and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s on this gap vary by their growth phrase, even though the same conditions.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탐색활동이 학업 및 직업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

        임한려(Hanryeo Lim),홍성표(Sungpyo Hong) 한국진로교육학회 2021 진로교육연구 Vol.34 No.2

        이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탐색활동이 학업 및 직업 활동 참여를 촉진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학업중단청소년패널 2~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2차년도 기준 17세 이상 262명의 학교 밖 청소년(총 1,048명)을 대상으로 전이확률 및 패널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모델에는 개인, 가족, 교우관계, 사회인식 영역의 변인과 진로탐색활동 변인을 포함했으며, 각 변인들이 학업 및 직업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은 상담, 진로체험, 현직자 만남과 같은 진로탐색활동의 수행 수준이 전반적으로 낮은 편이었다(평균 1.92). 둘째, 학업 및 직업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학교 밖 청소년들은 이후에도 해당 활동에 참여하지 않을 확률이 48.24%로, 미참여 상태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탐색활동은 학업 및 직업 활동 참여를 촉진한다. 고정효과모형을 기준으로 연령과 자아탄력성, 진로탐색활동은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진로탐색활동이 1단위 증가할수록 학교 밖 청소년이 학업 및 직업 활동에 참여할 가능성은 2.002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들에게 체험과 경험 중심의 진로교육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학교 밖 청소년의 심리적 자원을 강화하고, 그들이 흥미를 가지고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들이 진로미결정 상태를 벗어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학교 밖 청소년 맞춤형 진로교육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analyze whether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of out-of-school youth promote participation in academic and vocational activities. Using the 2nd~5th data of Dropout Youth Panel Survey, 262 out-of-school adolescents aged 17 years or older (a total of 1,048 students) were subjected to a transition probability and pan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long with the variables of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variables influencing participation in academic and vocational activities were analyzed, including variables in the fields of individual, family, friend, and social awareness. The main results derived through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ut-of-school youth had a lower level of experience-base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The overall average of active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consisting of counseling at public institutions, interview with incumbent worker, and job experience was 1.92. Second, out-of-school youth who did not participate in academic and vocational activities were relatively more likely to maintain this state. Youth who participating in academic and vocational activities had a 91% probability of maintaining the same status afterwards, but the probability of transitioning from the non-participating status to the participating status was 51.76%. Third, active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promote the participation of out-of-school youth in academic and voc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fixed effect model, age, self-resilience, and active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effect, and as the number of active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increased by 1 unit, the likelihood of youth outside of school participating in academic and vocational activities increased by 2.002 times. The implications suggested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career education centered on experiences for out-of-school youth. Second, career education and programs need to be structured to reinforce psychological resources and interest of out-of-school youth.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prompt, demand-tailored career education so that out-of-school youth do not continue to be undecided on their career pa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