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치판단의 정당화 모델로서 사회과 논쟁문제학습의 가능성

        장혁준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20 사회과교육연구 Vol.27 No.3

        현대사회는 개체의 자율성이 확대되면서 심각한 가치 갈등을 겪고 있다. 다양성 속에 갈등이 필연적이고 보편적인 현상이라면, 합리적인 가치판단 능력을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가치판단의 정당화 모델로서 사회과 논쟁문제학습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지금까지 가치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를 통해 가치교육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가치판단의 정당화 방안에 대해 이론적으로 논의하였으며, 가치판단의 정당화 모델로서 사회과 논쟁문제학습을 구체화하였다. 가치판단은 평가대상에 대한 가치의 척도를 규정하는 것으로, 이러한 평가적 추론은 합리적 근거에 따라 판단하는 인지적 가치교육인 가치탐구에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가치탐구로서 사회과 논쟁문제학습의 의의는 사실적 근거와 가치 원리에 기초한 합리성의 추구를 통해 가치판단의 정당성을 확보한다는 데 있다. 이에 논쟁문제학습의 특징을 논쟁문제의 구체화, 가치의 계열화, 이성적 합의로 이어지는 과정으로 구분하여 현대적인 사회과 가치교육의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The modern society is experiencing serious value conflicts as the autonomy of the individual expands. If conflict is a necessary and universal phenomenon in diversity, it is most important to have reasonable ability to judge values.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learning controversial issues in social studies as a model to justify value judgment. First, the direction of value education was established in terms of paradigm shifts in value education. Next, I discussed theoretically the justification method of value judgment and embodied learning controversial issues in social studies as a justification model of value judgment. Value judgment is about defining value scales for the object of evaluation. Such evaluative reasoning can be found in cognitive value education based on rational evidence, a way of which is value inquiry. The significance of learning controversial issues in social studies as a value inquiry is to secure the justification of value judgment in our pursuit of rationality based on factual basis and value principle. Accordingly, a process of learning controversial issues in social studies can be seperated as a clarification of controversial problems, a sequencing of values, and a creating rational consensus, and can be proposed as a method of value education in modern society.

      • KCI등재

        기여분 인정 요건으로서 「특별한 기여」의 개념 정리와 가치판단의 도입 ― 대법원 2019. 11. 21.자 2014스44 전원합의체 결정을 중심으로 ―

        이현재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법학논총 Vol.42 No.1

        The target decision is deemed to be the first Supreme Court decision to find the requirements for recognition of contributory portion in the two provisions of Article 1008-2 (1) and (2), and then to use “special contributions” as a requirement for recognition of contributory portion. In particular, it gave value to “special contributions” and made it clear that such general and abstract concepts are the responsibility of judges to actively make value judgments based on “guardian discretion” and the corresponding “need for purposeful judgment.” In addition, they were placed in place according to the meaning of their special characteristics in “special support” and “special contribution.” Special contributions were made as a higher concept and special support was placed as a lower concept. The judgment on whether or not to recognize contributory portion should be made by the judge to assess whether the claimant's claim is finally a “special contribution” and should not be limited to determining whether it is a “special support” that exceeds expectations. The target decision differs in that it was made clear that “special support” and “all circumstances” should be used as the basis for evaluation to determine whether the claimed support is a “special contribution” and should not be limited to determining whether it is a “special support” that exceeds expectations. In other words, the target decision emphasized the role of performing value judgment based on the guardian discretion of the “judge” and the necessity of a purposeful judgment accordingly for the value concept of “special contribution”. As a result,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the meaning, location, and status of the previous Supreme Court precedents to “special support” In order to recognize contributory portion, a value judgment or normative evaluation should be made based on whether the need to adjust the spouse's inheritance share to promote substantial fairness among co-inheritors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special support” as well as all circumstances. The basic legal principles of the previous Supreme Court precedents solved special contributions as a matter of de facto estimation or corresponding estimation principle and causal relations. However, the causal relationship is only a concept belonging to the area of fact recognition that is the basis of judgment, and it is different from making a valuation by synthesizing the recognized facts. It is interpreted that the subject decision itself uses the existence of a causal relationship as the basis for evaluation. In this respect, it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upreme Court precedents judging special contributions only by causal relations. Finally, at the end of the judgment, the target decision said, “Although the spouse of the inheritee cannot recognize contributory portion only by nursing and supporting the inheritee while living with the inheritee for a long time, there is room to improve the judgment of the contribution.” As long as a special contribution is regarded as a result of value judgment, the basic fact of the judgment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a “special” stimulus beyond what is usually expected from the status relationship, and even a support act that falls short of it can be an evaluation basis. As described above, the target decision differs in many ways from the basic legal principles adopted by the previous Supreme Court precedent. Nevertheless, the fact that the target decision did not change the precedent does not differ substantially enough to justify discriminatory treatment between the target decision and the previous Supreme Court precedent, and the legal principle of the target decision coexists with the previous Supreme Court precedent. I fully understand why the target decision did not change the precedent in a large framework, but at the same time, the target decision actually changed the b... 대상결정은 기여분 인정 요건을 제1008조의2 제1항과 제2항 두 조항에서 찾은 다음, 「특별한 기여」를 기여분 인정 요건으로 삼은 최초의 대법원 결정이라 본다. 특히 「특별한 기여」에 가치를 부여하고 그와 같은 일반・추상적 개념에 대하여 법관이 ‘후견적 재량’ 및 그에 따른 ‘합목적적 판단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적극적으로 가치판단을 해야 할 몫이라는 것을 분명히 하였다. 또한, ‘특별한 부양’과 ‘특별한 기여’에 그 특별성이 갖는 의미대로 각기 제자리에 위치시켰다. 특별한 기여를 상위개념으로 하고 특별한 부양을 하위개념으로 위치시켰다. 기여분 인정 여부에 대한 판단은 법관이 청구인이 주장하는 부양이 최종적으로 「특별한 기여」인지를 평가하는 작업이어야 하며, 통상 기대되는 정도를 넘는 ‘특별한 부양행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작업에 그쳐서는 안 된다는 것을 분명히 한 것이다. 대상결정은 「특별한 기여」여부에 대한 판단을 위하여 ‘특별한 부양’ 사실과 더불어 ‘일체의 사정’을 평가기초사실로 삼음으로써, 기여분 인정 여부에 대한 판단은 주장된 부양이 최종적으로 「특별한 기여」인지를 평가하는 작업이어야 하며, 통상 기대되는 정도를 넘는 ‘특별한 부양행위’인지를 판단하는 작업에 그쳐서는 안 된다는 것을 분명히 하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대상결정은 「특별한 기여」라는 가치개념에 대하여 ‘법관’의 후견적 재량 및 그에 따른 합목적적 판단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한 가치판단 수행의 역할을 강조한 것이다. 이로써 종전 대법원 선례들이 「특별한 부양」에 부여한 의미와 위치 내지 위상에서 큰 차이가 생기게 되었다. 기여분을 인정하기 위하여는 ‘특별한 부양’ 과 더불어 ‘일체의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공동상속인들 사이의 실질적 공평을 도모하기 위하여 배우자의 상속분을 조정할 필요성이 인정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삼아 가치판단 내지 규범적 평가를 하고 「특별한 기여」라는 결론을 도출하여야 한다. 종전의 대법원 선례들의 기본적 법리는 특별한 기여를 사실상의 추정 내지 일응 추정의 원리와 인과관계의 문제로 해결하였다. 그러나 인과관계는 판단의 기초가 되는 사실인정 영역에 속하는 개념에 불과하여, 그 인정된 사실을 종합하여 가치평가를 내리는 것과는 차원을 달리한다. 대상결정은 인과관계의 존재 여부 그 자체도 평가근거사실로 삼고 있다고 해석된다. 이 점에서 종전의 대법원 선례들이 특별한 기여를 인과관계만으로 판단한 것과 차이가 있다. 마지막으로 대상결정은 판시 말미에서, “피상속인의 배우자가 장기간 피상속인과 동거하면서 피상속인을 간호하여 부양한 사정만으로 배우자에 대하여 기여분을 인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기여분을 인정하는 요소 중 하나로 적극적으로 고려해 나가는 방향으로 기여분결정 심판 실무를 개선할 여지는 있다”고 한다. 특별한 기여를 가치판단의 결과라고 보는 이상 그 판단의 기초사실은 반드시 신분관계로부터 통상 기대되는 정도를 넘는 ‘특별한’ 부양행위일 필요는 없고, 그에 미치지 못하는 부양행위도 평가기초사실, 즉 평가근거사실이 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상과 같이 대상결정은 종전 대법원 선례가 채용한 기본적 법리와 여러 면에서 차이가 있다. 그럼에도 대상결정이 판례 변경을 하지 않은 것은 대상결정 사안과 종전 ...

      • 가치교육의 이론적 모형화

        최문기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교육논총 Vol.7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nstruct a theoretical model of value education upon moral philosophy or ethics. The value education aims to nurture the moral values, and to enlarge abilities to judge the moral values. According to phenomenological value theory, arguments about values are classified into quality of values, experiences of values, and ideas of values. And main issues of meta-ethics are ethical relativism and objectivism, origin of value terms and its meaning, justification of moral judgments and etc. Thus, we can construct a theoretical model of the value education from integrating these two sides. The word value can be indicated as a central concept of moral and ethical education. The scope of value education is wider than moral and ethical education. That is, moral and ethical education are included in value education, in terms of value. The various values are used in the statements of objectives,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contents, application of methods in value education. The arguments on ontology are useful for us to understand relativity and objectivity of values. The arguments on epistemology help us to structure a moral reasoning forms and its application methodologically. The arguments about theory of values contribute of systematize the contents of values. This theoretical modelling can provide value education with its theoretical rationale, and a comprehensive framework which is actually available in practice.

      • KCI등재

        헌법재판에서 가치판단과 비례성심사

        고봉진 한국법철학회 2015 법철학연구 Vol.18 No.3

        This article deals with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the constitutional decision as value trial. Four-stage model of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plays important role in presenting the degree of value judgment. Each phase of proportionality review represents the extent of value judgment. Constitutional Judge asserts the legitimacy of norm on the ground of value judgment.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seems to make the value judgment demonstrative. But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can't control the value judgment. When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s appearing in front, it don't show value judgement properly in some cases. The writer intends to show the role of value judgement and the principle of proportionality in the constitutional decision as value trial. 비례성 심사의 4단계는 가치판단의 정도(scala)를 말해 주는 척도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즉 강력한 가치 대립의 경우 목적의 정당성이나 수단의 적합성에서 다룰 것이고, 그보다 비교적 덜한 가치 대립의 경우에는 피해의 최소성이나 법익의 균형성에서 다룰 것이다. 섬세한 심사기준을 제시하는 ‘피해의 최소성’ 심사의 경우는 가치판단에 기초하여 섬세한 논증을 제시함으로써 자신의 가치판단이 옳다는 점을 증명하려 한다. 이 논문에서 필자가 제기하는 의문은 ‘목적의 정당성’, ‘수단의 적합성’, ‘피해의 최소성’, ‘법익의 균형성’ 4단계로 진행되는 심사를 통해 ‘심사의 정밀성’이 보장되지만, 이 또한 헌법재판관의 ‘가치판단’에 따른 판단이지 않은가 하는 의문이다. 비례성의 원칙은 가치판단을 논증 가능한 것으로 만들어 주는 것 같지만, 이 또한 가치판단에 종속되는 논증이다. 논증 자체가 가치판단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비례성의 원칙은 가치판단을 제대로 드러내지 못할 경우도 있다. 특히 목적의 정당성, 수단의 적합성, 피해의 최소성, 법익의 균형성의 4단계로 상세하게 구분하고 이에 맞추어 평이하게 서술하면 가치논증의 중요 논점은 흘려지게 된다. 가치판단에 따라 목적의 정당성, 수단의 적합성, 피해의 최소성, 법익의 균형성의 4단계 중에서 어느 단계에서 논증할 것인가를 정하고, 4가지 중 하나만을 집중적으로 논증하는 것이 타당해 보인다. 예컨대 ‘피해의 최소성’ 위반이라고 하면 목적의 정당성, 수단의 적합성 심사 통과는 아예 언급하지 않는 것이 낫지 않을까 생각된다. 목적의 정당성, 수단의 적합성, 피해의 최소성, 법익의 균형성 심사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면서, ‘목적의 정당성’ 심사 통과, ‘수단의 적합성’ 심사 통과를 간략하게 서술하는 것은 그리 큰 의미가 없으며, 가치논증의 초점을 흐리게 할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해석학의 입장에 따르면 선판단 후 해석방법이 정해지듯이, 가치재판에서도 가치판단이 먼저 선 후에 비례성 심사의 4단계 중에서 어느 단계에 해당하는지가 결정된다. 비례성 심사는 목적의 정당성 심사부터 법익의 균형성 심사까지 차례로 이루어지지만, 헌법재판관의 판단은 어느 단계에서 문제삼을 것인가를 먼저 정하고 이에 맞추어 법규범의 정당성을 문제삼는다.

      • KCI등재

        포퍼의 과학철학과 가치탐구 방법

        정호범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7 사회과교육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evance and the differences between Popper’s philosophy of science and value judgements in the theory of value analysis. In order to achieve it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following issues: Firstly, I reviewed the relevance between the Popper’s scientific explanation and the structure of value judgment. This investigation revealed that Popper’s scientific explanation is logically the same with the structure of value judgments. Secondly, this study examined the relevance between Popper’s scientific methodology and the process of value judgments.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showed that Popper’s hypothesis-deductive inquiry and the logic of justification of knowledge are closely related to the process of the justification of value judgments. Thirdly, the relevance between Popper’s logic of falsification and the acceptance test for the value principle was examined. The study suggested that Popper’s logic of falsification was implicated in the process of the acceptance test for the value principle. 본 연구는 포퍼의 과학철학과 가치분석 이론에서 제시한 가치탐구 방법으로서의 가치판단과의 관련성 및 차이점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다루었다. 첫째, 포퍼의 과학적 설명과 ‘가치판단의 구조’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이 작업을 통해서 포퍼의 과학적 설명 구조와 가치판단의 구조가 논리적으로 동일함이 밝혀졌다. 둘째, 포퍼의 과학방법론과 ‘가치판단 과정’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이 작업을 통해서 포퍼의 가설-연역적 탐구와 지식의 정당화 논리가 가치판단의 정당화 과정에 깊이 관련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셋째, 포퍼의 반증 논리와 ‘가치원리의 수용성 검사’ 사이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이 작업을 통해서 포퍼의 반증 논리가 가치원리의 수용성 검사 과정에 내포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 KCI등재

        김승옥 소설과 가치교육 - 「역사(力士)」와 「서울 1964년 겨울」을 중심으로 -

        정은주 한국문학교육학회 2019 문학교육학 Vol.0 No.64

        이 연구에서는 김승옥의 두 소설을 통하여 학습독자들이 가치체계를 경험할 수 있는 가치교육의 교수․학습 활동을 밝히려고 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독자들에게 소설적인 경험이 어떻게 가치의 문제를 담고 있으며, 교사가 어떤 소설교육의 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지에 대한 그 가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특히, 가치선택과 가치갈등에서 비롯되는 가치의 문제를 김승옥의 두 소설을 통하여 가치교육적인 측면에서 생각해 보고, 교수・학습 활동을 모색하였다. 가치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교수․학습 방법은 가치선택과 가치갈등에 놓여 있는 상황에서 합리적인 근거에 의거하여 가치판단과 가치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쿰즈와 뮤크스(Jerrold R. Coombs and Milton Meux)가 제시한 ‘가치분석’의 교수전략과 프랭클(Jack R. Fraenkel)이 제시한 ‘가치갈등’의 분석단계에 기대어 논의하였다. 덧붙여, 작중인물들의 가치를 비교・대조하면서 ‘가치추론’을 구성하였다. 이는 어디까지나 문학과 가치교육을 결합하여 그 연관성의 토대 위에서 밝혀내고자 한 연구였다. 본고는 두 소설의 ‘가치분석’과 ‘가치갈등’, ‘가치추론’의 과정을 통해 학습독자들에게 직접적으로 가치를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합리적으로 가치판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가치체험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데 의미가 있다. In this study examines the world of values in Kim Seung Ok’s two novels and tried to reveal the teaching learning activities of value education based on them. In order to do this, Kim Seung Ok’s two novels analyzed how the world of values emerge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promote valuation are focused on making value judgment and value decision based on reasonable grounds in the context of value choice and value conflict. we focus not on directly injecting values into learning readers through the process of 'value analysis', 'value conflict', and 'value inference' of two novels, but rather to intensify value experiences that enable them to reasonably value judgment. In this study,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wo novels was started from the viewpoint of the value world and sought the connection point with the value education. The learner presented the process of internalizing the problem of value through the two novels.

      • KCI등재

        대법원 판례에 나타난 비금융회사의 자본구조 경영판단과 배임죄에 관한 연구

        최경규(Gyoung-Gyu Choi),이영대(Young-Dae Lee) 한국기업법학회 2015 企業法硏究 Vol.29 No.4

        이 연구는 우리나라 비금융회사와 기업집단의 자본구조 의사결정과 관련한 대법원 판례를 중심으로 업무상 배임죄의 유형별 현황, 요인을 분석하여 ‘경영판단원칙’(business judgment rule)의 합리성 요소를 제시하고 업무상 배임과 관련된 기업범죄에 대한 합리적인 대응 및 개선 방안을 모색한다. 법원에서 인정되는 경영판단원칙은 기업의 임직원의 의사결정에서 적법성과 합리성을 담보함으로써, 기업성과의 양과 질을 제고하고자 한다. 경영판단원칙의 범위에 관하여는 각 입법례와 구체적 법원의 판례가 다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 비금융회사의 경영판단과 관련한 판례에 나타난 합리성 요소는 등가성, 유동성, 존속가치, 청산가치, 숨은 자기거래 등의 실체적 합리성과 적법절차와 전문성 확보에 따른 절차적 합리성이 공존한다. 대법원 판례를 분석하여 경영판단원칙의 요소를 도출하는 것은 경영자가 법적 위험을 낮출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함에 있어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기업의 의사결정 과정을 입체적으로 이해하여 회사가치의 극대화와 이해관계자의 이익극대화를 위한 건전한 지배구조 시스템의 정립에 시사점을 준다. 우리나라 기업이 국제자본시장 평가에서 국가위험(Korea Discount)으로 인해 기업의 성과가 제대로 평가를 받지 못하는 것은 불투명한 기업경영 및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후된 기업지배구조에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건전한 지배구조하의 합리적 의사결정은 기업이 보유하는 정보이용을 최적화하여 양적 질적으로 우월한 정보력을 기반으로 의사결정에 이르고 기업경영의 안정성을 제고하며, 이는 곧 윤리경영의 기반이 된다. 지배구조 선진화를 통한 기업범죄의 방지는 법적위험을 줄여서 기업경영성과에 긍정적 성과를 미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cases in Korean Supreme Court which adjudicate on the issues of breach of trust by directors or executives of non-financial firms and conglomerates. Business judgment rule states that if a director honestly makes decision based on the reasonable ground and independent judgment, the court will not judge by the ex-post interven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criteria to distinguish “business judgment” from the manager’s criminal responsibility with the intent on personal capital gain or causing damage to the principal. To be a “business judgment,” it is imperative that the decision should be made to improve firm’s value or financial structure. In the business judgment in capital structure management of the non-financial firms, the equivalence in value, liquidity, going-concern value, liquidation value, and hidden self-dealing are the major criteria in determining the substantive rationality. And the legality in decision-making process, and ensuring sufficient expertise are the major elements in the procedural rationality. Therefore, to avoid breach of trust,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the substantial rationality and procedural rationality in the whole process. To ensure the legal stability by reducing legal risks of directors in business activities, it is imperative to provide the major elements in determining business judgment rule identified from the analysis of court cases, which in turn suggests guidelines for legality. In the Supreme Court decision, there are cases which acknowledge the business judgment rule: The directors’ decisions were honest mistakes in the hindsight, which would be exonerated. On the other hand, some cases show that there were “breach of trust” without any harm or risk incurred to the principal, due to the unfaithful intention at the time of decision-making. The latter cases identify the unethical behavior by directors, although they may not be legally responsible for the “breach of trust crime.” The solution to this unfaithful activities is to establish the internal monitoring system by the sound corporate governance. The sound corporate governance to ensure rational decision-making procedure with substantive rationality is the keystones of global business standard, which is also the foundation of the business ethics. The proper monitoring system need to be firmly placed, which includes the internal oversight in board of directors’ meeting and the general meeting, the external oversight by institutional investors and stockholder activists on corporate governance system, and the enhanced roles of the regulatory agents and judicial body.

      • KCI등재

        가치분석 수업의 이론적 기초와 교수전략

        이재호,김항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4 敎員敎育 Vol.40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heoretically explore issues raised in the transition from traditional values education to values education based on Western liberal philosophy in the context of values analysis by focusing on theory and teaching strategies. Methods: Firstly, the researcher analyzed the research outcomes of values education as a direct target of curriculum education through investigating values issues. Three fundamental issues arising from the changing trends in values education were identified. Subsequently, to gain a detailed understanding of these issues the discussion focused on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values analysis and teaching strategies. The theoretical basis of this theory based on the good reasons approach in analytic ethics was then examined. Finally in relation to these three issues, teaching strategies of values analysis were explored. Results: The two safety devices applied in values analysis teaching strategies, practical judgment, and value judgment serve as educational prescriptions to minimize limitations that may arise in granting young students the freedom to choose values. Regarding the relativistic issue of value criteria inherent in values education based on liberal philosophy, the values analysis theory not only takes a critical perspective but also applies it as a target for overcoming and implementing teaching strategies. Lastly, concerning the compatibility issue between granting individuals the freedom to choose values andestablishing the universality of value judgment the values analysis theory applies to teaching strategies the possibility that both aspects can be pursued and implemented simultaneously, rather than being mutually exclusive. Conclusion: It cannot be denied that in the classroom, the act of judging and deciding values is given to students. The crucial point is to consider how the results of individual judgments can be universally accepted and to understand values education in the discourse of practice beyond the discourse of explanation.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인 가치교육에서 서구 자유주의 철학에 기반한 가치교육으로의 변화과정에서 제기되는 쟁점을 가치분석의 이론과 교수전략과 관련하여 이론적으로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먼저 가치문제를 직접적인 탐구 대상으로 하는 교과교육으로서의 가치교육에 관한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분석하고 가치교육의 변화 양상이 초래하는 근본적인 쟁점 세 가지를 도출하였다. 그런 다음, 도출된 쟁점을 면밀하게 이해하기 위한 논의의 거점을 가치분석의 이론과 교수전략에 두고 이 이론의 근거를 분석윤리학의 정당근거론에 입각하여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세 가지 쟁점과의 관련 속에서 가치분석의 교수전략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가치분석 교수전략에서 적용하고 있는 사실판단과 가치판단의 두 가지 안전장치는 가치의 선택권을 어린 학생에게 부여하는 과정에서 초래될 수 있는 한계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교육적 처방이다. 그리고 자유주의 철학에 기반한 가치교육이 안고 있는 가치 기준의 상대성 문제와 관련하여 가치분석이론은 분명하게 비판적인 관점을 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그것을 극복의 대상으로 삼아 교수전략을 적용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개인에게 가치의 선택권을 부여하는 것과 가치판단의 보편성을 확립하는 것의 양립 가능성 문제와 관련하여, 가치분석이론은 양자가 이율배반의 성격을 띠는 것이 아니라 양자를 동시에 추구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함을 교수전략에 적용하고 있다. 결론 우리는 수업에서 가치를 판단하고 결정하는 행위 주체가 학생에게 주어져 있다는 점을 부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중요한 것은 개인이 내리는 판단의 결과가 어떻게 보편성을 확보하는 가운데 수용 가능한지를 고려해야 한다는 점, 그리고 설명의 담론을 넘어 실천의 담론에서 가치교육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 사법제도의 사회적 가치 실현체계의 법적 기초 연구

        박기주 사법발전재단 2022 사법 Vol.1 No.59

        Social and economic changes based 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re also affecting the conservative judicial system. Online-based legal services are being developed one after another, and legal expert system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re also developing. Our judiciary is also promoting a ‘smart court building project’ with the goal of 2024. The meaning of the move to introduce the resul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development into the judicial system is that it raises a fundamental question about the judicial system that determines the value of our society. We are witnessing a situation in which people's trust in the justice system has sharply declined after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s manipulation of judicial affairs. The root cause of such low trust lies in overlooking the fact that the judicial structure is not simply a system formed by lawyers, but a complex system in which various values, facts, and norms of society interact. The ultimate end consumers of justice were the people, and the judicial system without their trust became a factor that raised questions about the fundamental role and meaning that determine the value of the society. The discussion of introduc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into the judicial system goes beyond the question of whether it is justified or feasible. It is based on a more fundamental sense of problem that seeks to innovate the distrusted current judicial system. The possibility that we may be more trustworthy of new technologies, especially the “judgment machine,” a mechanical algorithm without personal bias, may reflect the fundamental crisis of our judicial system. Artificial intelligence can give some degree of credibility to the judicial system, and a positive contribution is expected. However, the indiscriminate introdu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s without thinking about the fundamental structure and value of judicial decisions can undermine the ideological and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the judicial system itself. It is necessary to seek the direction of institutional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to promote the fairness of the judicial system without compromising the subjectivity of human judgment about norms, which is an essential area of ​​the judicial system. It is important to think about how artificial intelligence can be used in the process of trying to strengthen the subjectivity of norm judgment on legal and social values ​​by human beings themselves. Under such a premise, it will be possible to innovate the judicial system that realizes social value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n, the question is what role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represen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can play in the innovation of the judicial system. The standard of judicial judgment of ordinary people is influenced by uncertain information and public opinion. In order to overcome this, it is important for the general public to recognize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judicial judgment and to have the standard for correct judicial judgment. The general public should be able to clearly recognize the problem of structural uncertainty that appears throughout the judicial system and be able to overcome it through objective procedures. Therefore, the introduc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to the judicial system should begin in the field that can technically remove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the judicial system.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o provide more objective procedures and clarity in the recognition of facts and presentation of evidence. In order to innovate the more fundamental judicial system, social consensus on the social values ​​and moral orientation pursued by our society is necessary. Artificial intelligence is triggering institutional changes and development along with economic changes in our society. Although the magnitude and extent of the chan...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기반의 사회·경제 변화는 보수적인 사법제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온라인 기반의 법률서비스가 속속 개발되고 있으며 인공지능을 활용한 법률전문가 시스템도 발전하고 있는 중이다. 우리 사법부도 2024년을 목표로 ‘스마트 법원 구축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인공지능 발전의 결과를 사법체계에 도입하려는 움직임이 주는 의미는 우리 사회의 가치를 결정하는 사법체계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기 때문이다. 우리는 박근혜 정부의 사법농단 사건을 거치면서 사법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급격히 저하된 상황을 목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신뢰 저하의 근본적인 원인은 단순히 사법 구조가 법률가들에 의해 형성된 체계가 아닌 사회의 다양한 가치와 사실과 규범이 상호작용하는 복합적인 시스템이라는 사실을 간과한데 있다. 사법의 궁극적인 최종 소비자는 국민이었고 그들의 신뢰가 없는 사법체계는 그 사회의 가치를 결정하는 근본적인 역할과 의미에 대한 의문을 제공하는 요인이 된 것이다. 인공지능 시스템을 사법체계에 도입하려는 논의는 그것이 정당한가 혹은 실현가능한가의 문제를 넘어서 지금의 사법체계에 대한 불신과 이를 혁신하려는 보다 근본적인 문제의식에 기초하고 있다. 새로운 기술 특히 인격적 편견이 없는 기계적 알고리즘인 ‘판결기계’를 더 신뢰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이 우리 사법체계의 근본적 위기를 반영한 것일지도 모른다. 인공지능은 사법체계에 일정 부분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긍정적 기여도 기대된다. 하지만 사법판단의 근본적인 구조와 가치에 대한 고민 없이 무분별한 인공지능 시스템의 도입은 사법제도 자체의 이념적·철학적 토대를 무너뜨릴 수 있다. 사법의 본질적인 영역인 인간의 규범판단의 주체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사법의 공정성을 촉진할 수 있도록 제도적·기술적 발전의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인간 스스로 법적·사회적 가치에 대한 규범판단의 주체성을 강화하려는 노력의 과정에서 인공지능이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가의 문제를 고민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한 전제 위에서 인공지능 발전을 기초로 한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사법체계의 혁신이 가능할 것이다. 그렇다면 인공지능으로 대표되는 과학기술의 발전은 사법체계의 혁신에서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가 문제 된다. 일반인들의 사법판단의 기준은 불확실한 정보와 여론에 영향을 받는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일반인들이 사법판단의 구조적 한계를 인식하고 올바른 사법판단의 기준을 갖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법체계 전반에 나타나는 구조적 불확실성의 문제에 대해 일반인들이 확실히 인식할 수 있고 이를 객관적인 절차로 극복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사법제도에 인공지능의 도입은 사법제도의 구조적 한계를 기술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분야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특히 사실인정과 증거제시에 있어서 보다 객관적인 절차와 명확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보다 근원적인 사법체계의 혁신을 위해서는 우리 사회가 추구하는 사회적 가치와 도덕적 지향성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인공지능은 우리 사회의 경제적 변화와 함께 제도적 변화와 발전도 촉발하고 있다. 그 변화의 크기와 범위를 예상할 수는 없지만 지금과는 다른 근본적인 변화가 예측된다. 이러한 변화의 파고 속에서 우리가 지켜야 할 궁...

      • KCI등재

        A Social Satire or a Celebration?: The Ideological Working of Politeness in Alexander Pope's The Rape of the Lock

        민병천 한국18세기영문학회 2010 18세기영문학 Vol.7 No.2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how and why Alexander Pope's The Rape of the Lock both endorses and criticizes the society of Hampton Court by focusing on the notion of politeness in eighteenth-century England. In reading this poem, many critics have concentrated on its mock-heroic style, thus interpreting it as a satire of contemporary society represented by Hampton Court. But the poetic tone and narrative, in which this poem approvingly addresses the socio-cultural practices of Hampton Court's society, do not fit into this satirical reading, since most descriptions of these practices evade a clear value judgment of moral, political issues on which a working satire should depend. Drawing upon this critical problem immanent in a satirical reading of this poem, this study argues that the operational principle of Hampton Court's society, which underscores refined manners and material pursuits rather than moral, political correctness, derives from the notion of politeness that newly appeared in gradually commercialized societies of eighteenth-century England. The notion of politeness, which reflected the ethos of the growing merchant class and thus assumed a dominant position in eighteenth -century English society, functions as an ideological ground of The Rape of the Lock; that is, through the ideological working of politeness, cultural refinement and frivolous material pursuits of trivial things can be foregrounded in this poem without mutual contradiction and moral, political value judgment. Although the notion of politeness as a working ideology renders the world of this poem both amoral and apolitical, its vivid and ironical descriptions of social injustices complicate the way in which Pope's authorial position is manifested. And from this complicated authorial position, this poem provides abundant ambivalence for the reader. On this point, this study argues that this poem's ambivalence between satire and celebration attests to the extent to which eighteenth-century satirical writings were embedded in contemporary civil societies based on the notion of politeness, and thus they became both an accomplice and a debunker of these socie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