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90년대 트렌디 드라마와 청년의 연애 -<사랑을 그대 품 안에>를 중심으로-

        문선영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23 인간연구 Vol.- No.51

        Trendy dramas was a genre of TV dramas that emerged in Korea in the 1990s. Also called "new generation dramas” or “new style dramas,", they were immensely popular throughout the 1990s and formed the mainstream of Korean dramas in that era. In addition, they continue to influence Korean romance dramas that have been made after the 2000s. In the 1990s, young Korean people's tastes were heavily influenced by trendy dramas. These dramas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preferences and lifestyle of a the 1990s generation and era. <Love in Your Arms>, which aired in 1994, was a turning point in Korean television that transform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endy dramas. <Love in Your Arms> is a typical romance in which the protagonist falls in love by leaning on a chance encounter with a girl and overcomes the difference in their social statuses. It featured a full-fledged Cinderella character, which is why it is also called the first trendy Cinderella drama. However, the show does not deal in detail with the process of solving hardships or the fruits of love that occur in the process of starting a relationship. It chooses to fas- cinate the audience through a sensuous production that emphasizes the materiality of the visual image rather than the content or ideological meaning. This was possible because of the prevalent social atmosphere at that time, in which trust or desire for a capitalist society was positive and the younger generation valued individual desires and happiness more rather than the needs of the community. After <Love in Your Arms>, trendy drama began featuring strong female characters, typically featuring conflicts between good and evil women. The period from 1994 to 1997 featured dramas that highlighted social issues. However, after 1997, the combination of Cinderella and evil women was established as a typical characteristic of Korean dramas. The era of Korean trendy dramas continued from the early 1990s until the 2000s; however, there still exist such drams with certain various variations. The flow will be an important factor in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elevision romance dramas. 1990년대 형성된 TV드라마 조류 중 하나이며 ‘신세대 드라마, 뉴스타일 드라마’ 등으로 불렸던 트렌디 드라마는 1990년대 전반에 걸쳐 유행하며 90년대 한국 드라마의 주류를 형성하였으며, 2000년대 이후에도 한국 로맨스 드라마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었다. 1990년대 청년의 취향과 트렌디 드라마는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트렌디 드라마는 당대 젊은 층에게 연애뿐 아니라 삶의 메뉴얼을 제공했다는 의미에서 특정 세대의 취향과 시대적 유행을 가늠해볼 수 있다. 1994년 방영된 <사랑을 그대 품 안에>는 한국형 트렌디 드라마의 특성을 드러내는 전환점이 되는 드라마이다. <사랑을 그대 품 안에>는 우연한 만남에 기대어 사랑에 빠져 신분 차이를 극복하는 전형적인 로맨스물이다. <사랑을 그대 품 안에>는 본격적인 신데렐라 캐릭터가 등장한 드라마로, 최초의 트렌디형 신데렐라 드라마라고 불리기도 한다. 하지만 이 드라마는 두 사람이 연애를 시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난이나 사랑의 결실을 이루기까지의 해결 과정을 섬세히 다루지 않는다. <사랑을 그대 품 안에>는 내용보다는 형식, 이데올로기적 의미보다는 시각적 이미지의 물질성이 강조되는 감각적인 연출을 통해 수용자를 매혹시키는 방법을 선택하고 있다. 이는 당시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신뢰나 열망이 긍정적이었던 사회적 분위기와 공동체보다 개인의 욕망이나 행복을 더 중요하게 생각했던 젊은 세대의 가치관이 전제되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사랑을 그대 품 안에> 이후 트렌디 드라마는 착한 여주인공과 이를 시기하는 악한 여성 인물이 한 남자를 사이에 두고 대립하는 이야기의 경향이 강해진다. 1997년 이후 신데렐라와 악녀의 결합은 한국의 트렌디 드라마의 전형적인 성격으로 정착된다. 1994년 <사랑을 그대 품 안에>에서 1997년 변형된 트렌디 드라마는 사회적 변화와 연결되어 있다. 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까지 이어졌던 한국 트렌디 드라마는 적극적으로 호명되지 않지만, 다양한 변형과 함께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그 흐름은 현재 한국 텔레비전 로맨스 드라마의 성격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1990년대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의 변천과 <질투>(MBC, 1992)의 위상

        임미주 한국드라마학회 2023 드라마연구 Vol.- No.69

        Jealousy is a new style of television drama in the 1990s and acquires historical meaning. Unlike previous television dramas, Jealousy was evaluated as new by presenting a light relationship beyond melodramatic development. In addition, it was pointed out both novelty and limitations in that it reflected the consumption culture as it was while actively appearing in the work. However, it should not be missed that behind the love narrative of Jealousy is the drama creation period of the main character's mother. It can be seen that the original novel and the perception of the genre of 'trendy drama' introduced from Japan are complexly linked he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problem consciousness that Jealousy is taking in the original novel, and to look at the self-consciousness that it has as a television drama. It adds to the concern about a relatively new format called 'miniserie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reconsider the allegations of plagiarism against Japanese dramas that have been continuously raised by Jealousy. In terms of including the status of popular narratives transitioning from novels to television dramas, Jealousy already shows the peculiarity of Korean television dramas. <질투>는 1990년대 등장한 새로운 방식의 텔레비전 드라마로 화제를 모았다. 이전까지의 텔레비전 드라마와 달리 <질투>는 멜로드라마적 전개를 벗어난 가벼운 연애 관계를 제시함으로써 새롭다는 평가를 얻을 수 있었으며, 당시 트렌드의 적극적인 활용으로 소비문화를 동시대적으로 제공한다는 점에서 참신함과 한계를 동시에 지적받기도 했다. 그러나 <질투>의 연애 서사의 다른 한 축에는 주인공 어머니의 드라마 각본 창작기가 등장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원작 소설과 일본으로부터 유입된 ‘트렌디 드라마’라는 장르에 대한 인식이 복합적으로 결부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질투>가 원작 소설에서 취하고 있는 문제의식과 텔레비전 드라마로서 가지는 자의식을 살펴보면서, ‘미니시리즈’라는 비교적 새로운 포맷에 대한 고민을 더해 어떤 서사가 탄생했는가를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를 통해 <질투>에게 지속적으로 제기된 일본 드라마에 대한 표절 혐의 역시 재고의 여지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소설에서 텔레비전 드라마로 이행하고 있는 대중 서사의 위상을 드라마 창작 과정에 대한 자기반영적 서사로 제시하면서 <질투>는 이미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만의 특수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한국 TV 드라마에 나타난 ‘디자인’과 ‘디자이너’의 이미지 연구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트렌디 드라마를 중심으로-

        안영주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19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15 No.3

        By analyzing the images of design and designers shown in the TV drama, this study was attempted to identify the actual public-recognized ‘design’ and ‘designer’ entities, prepare basic data on the direction of image construction, and further establish desirable awards. To this end, four TV dramas featuring designers were analyzed, examining the role of ‘design’reproduced in the drama and the way they express their work, and analyzing the look, professionalism, and role of ‘designer.’ As a result, ‘design’ in the drama was first represented by visual images that could be seen as synonymous with ‘sketch’, secondly, it was an effective means for generating profits for companies, and thirdly, design as a means of expressing social class. Despite the diverse roles of ‘design’ in society, the design that the drama was represented was converging in this way. Next, the designer's image is divided into a brilliantly trained designer and a simple, passionate and talented designer. This representation creates a typical image of a female designer. In addition, the designer's professionalism made sketching a top priority in all four dramas. This seems to be based on reality, but as John Fiske puts it, it is a fragmentary representation of the ‘coded reality’. The images of designs and designers produced through drama are repeated in a customary and standardized form. Therefore, more thorough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practical observation are required in drama reproduction.

      • KCI등재

        발신되는 트렌드와 세계화 대응: 한국과 일본의 항공 관련 드라마 비교

        임미주 동악어문학회 2023 동악어문학 Vol.91 No.-

        The 1990s in Korea was a time when changes stemming from democratization began politically. At the same time, in world history, it was also a time when awareness of internationalization or globalization was required amid changes in the reorganization of the world order due to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In the context of globalization in which television dramas were placed in the 1990s, this paper seeks to explain each locality transmitted by the East Asian narrative style classified as trendy dramas. We tried to grasp this through the reproduction of television dramas based on ‘aviation’. The protagonist of Pilot (MBC, 1993) is set as a person who goes beyond the Cold War or anti-Japanese ideology, which has been a long-time wound to Korean society. As a civilian aircraft pilot, the places he visits are relieved of old emotions and transformed into tourist destinations and unfamiliar cultural experiences. This is different from Japanese television drama, which was created against the backdrop of high economic growth, embodying its own country as an immature but possible female character and presenting a confrontation structure with the world. Pilot refers to Japanese dramas,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seen that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are set as two pillars of globalization and the world is deployed as a contemporary transmittable area. On the narrative level, trendy dramas present history beyond the convention of existing television dramas, and in addition, Pilot also seeks visual stimulation at the technical level of special filming and computer graphics. It will be proven that Korean trendy dramas are a response to imported American culture, and at the same time show the process of cultural transmission through vigilance and acceptance of Japan.

      • KCI등재

        ドラマを通じてみた敬語の誤用分析

        白同善(Baek, Dong-Sun) 동아시아일본학회 2018 일본문화연구 Vol.0 No.67

        본고에서는 드라마의 대사분석을 통하여, 오용으로 취급되고 있는 경어표현의 실태와 그 해석상의 문제를 화자의 인식에 근거하여 재해석하였다. 그 결과, 일반적으로 오용 취급되고 있는 표현 중에는 인식적인 해석이나 구문적인 해석으로 보더라도 오용으로 볼 수 없는 경우가 상당수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오용인지 오용이 아닌지의 판단기준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화자가 해당 구문을 구조적으로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거기에 어떠한 해석을 가할 수 있는가이다. 특히 대화체에서는 조사생략에 대한 인식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오용으로 취급받아온 겸양어Ⅱ에 속한 용어의 성격변화도 확실히 감지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인식의 변화가 명확하게 보이는 것은 정중어로서의 역할이 겸양어로서의 역할을 거의 대체하고 있고, 나아가 단순하게 공손어화까지 진행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중경어의 문제는 존경표현에 있어서의 오용이 겸양표현에 있어서의 오용보다 다용되고 있음이 관찰의 결과 나타났다.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error on using Japanese honorifics. There are many indications on error of Japanese honorific expression. But, according to the method of analysis, some cases were not found to be an error but suitable. I have re-analyzed these kinds of expressions on the viewpoint of speaker’s recognition and sentence structure through Japanese trendy dramas. The most important point on the standard of judgment on misuse or right use is the recognition of speakers. Especially on the conversational situations,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abbreviation of the objective particle. Alteration of function on humble-words which are treated as error appears in various situation. The most remarkable alteration of all is the change from honorific meaning to polite expression. Furthermore, there are much more excessive honorifics on honorific expressions than on humble expressions comparatively. The matter of distinction on absolute and relative honorifics and grammatical error sometimes occurs ceaselessly.

      • KCI등재
      • KCI등재

        19세기 일본 근세소설 속에 등장하는 실존 상인들의 묘사

        崔泰和 한국중국소설학회 2015 中國小說論叢 Vol.46 No.-

        다메나가 슌스이(為永春水, 이하 슌스이)는 작품 당 1만부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던 근세 후기의 소설장르를 석권한 작가이다. 슌스이가 집필하던 소설은 가로 약 18센티미터, 세로 약 13센티미터의 판형사이즈를 가지는 중본(中本)이라 불리던 장르였다. 이러한 중본은 크게, 독자에게 웃음을 주는 내용이 주가 되는 골계본이라는 장르와 남녀 간의 사랑을 그리는 소설로서 그 엔딩이 주인공의 자살과 같은 비극으로 끝나는 내용이 많아 나키본(泣本)이라 불리던 장르로 나눌 수 있다. 슌스이는 남녀간의 사랑을 다루고는 있으나 마치 현대의 트렌디 드라마가 그러하듯이 당시의 다양한 유행을 소설 속에 묘사하는 ‘유행체’라는 기법을 사용하여 독자들에게 환영을 받게 된다. 또한 남녀의 삼각관계를 갈등의 주된 소재로 다루고 있으나 무겁지 않으며, 결말 또한 해피엔딩으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같은 연애담을 다루 고 있으나 독자의 눈물을 유도한다는 의미의 나키본이라는 이름은 어울리지 않았으며, ‘유행체’를 처음으로 시도하였던 《 매화꽃 필 무렵》 (1832, 이후 《 매화꽃 》 )이 커다란 인기를 얻게 되자, 이듬해인 1833년에 간행된 《 우메고요미 》 4편의 서문에서 ‘닌조본 (人情本)의 원조’라고 자칭함과 동시에 중본에는 닌조본이라는 새로운 하위 장르가 생겨나 게 되었으며, 닌조본의 커다란 인기 속에서 나키본은 닌조본으로 흡수되어 간다. 슌스이의 ‘유행체’는 고소설의 일반적인 여주인공의 전형인 현모양처를 등장시키는 대신에 당시의 유행을 충실히 따르는 세련된 인물들을 주인공으로 내세운다. 세련된 인물을 등 장시켰기에, 그들이 입거나 소비하는 물건들도 당시에 유행하던 것들로, 이를 묘사하는 것 으로 당시의 유행을 소설 속에서 그리고 있는 것이다. 슌스이는 최첨단의 유행을 묘사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광고를 통해 유행을 창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슌스이는 마치 현대의 PPL(product placement)과 같은 방식으로 실제 로 존재하는 상품으로 등장인물들이 입고 먹고 마시는 화장품이나 과자, 음식점 등을 묘사 하여, 광고의 효과와 함께 소설의 리얼리티도 살리는 효과를 획득하였다. 슌스이는 상품뿐만 아니라 실존하던 인물 또한 선전의 효과를 노리고 작품 속에 등장시키 고 있다. 결과적으로 슌스이닌조본에는 실존인물과 허구의 인물이 같이 등장하게 되며 , 이 를 통해 독자는 스토리를 더욱더 개연성이 있는 이야기로 받아들이게 되는 소설적 효과도 얻게 된다. 본 고에서는 슌스이닌조본에 등장하는 실존인물 중에서 분테 아야쓰구(文亭綾継), 쓰노 쿠니야 도지로(摂津国屋藤次郎), 조쇼(調松) 등의 실존하던 상인들에 초점을 맞추어, 그들의 멋스러운 모습과 사건을 해결하는 능력, 상인으로서 갖추어야 될 미덕 등이 어떻게 묘사 되고 있는지를 확인하여, 당시 상인들의 도덕률과 이상형에 대해서 확인하고자 한다. Tamenaga Syunsui is a bestselling writer of contemporary Japanese literature, each of his work sold more than 10,000 copies. His works are classified as ‘Chubon’, whose size was approximately 7 inches by 5 inches. ‘Chubon’ is again divided into comical ‘Kokkeibon’ and ‘Nakibon’, a love story that usually ends tragically. Although Syunsui discusses romantic love, he utilized ‘Ryukotai’ in his novels that depicts the trends at that time, which is similar to modern TV dramas. Also, he playfully describes the love triangles and finishes a story as a happy ending. Therefore, the title ‘Nakibon’ that means bringing tears to readers does not suit Syunsui’s works, even though the genre is the same. After his first attempt of ‘Ryukotai’ in 《 Syunsyoku Umegoyomi 》 (1832) made a huge success, Syunsui introduced a new genre called ‘Ninjobon’ and credited himself for its creation in the preface of 《 Umegoyomi 》 , which was released in the following year. Eventually, the popularity of ‘Ninjobon’ led to replacement of ‘Nakibon’. Instead of employing a traditional stereotype as a heroin of the story, Syunsui’s ‘Ryukotai’ has stylish characters who lead the latest fashion. He describes the trends by mentioning the products that characters consume, which are thought to be brand-new. Not only merely portraying the trends, Syunsui also attempted to create a new trend through advertisement. The cosmetics, snacks, and clothes consumed by the main characters in his works are real products. This use of PPL had an advertising effect and enhanced the reality of the novels. Furthermore, Syunsui advertises historical figures in his works, creating both fictional and non-fictional characters. The advertised historical figures make readers perceive the story as more realistic. Among real figures in Syunsui’s works, the article focuses on the merchants -‘Buntei Ayatsugu’, ‘Tsunokuniya Tojiro’, and ‘Chousyo’. How they deal with crisis and the virtue they have as merchants will be examined through the stories in order to explore morality and ideals of merchants in the past.

      • KCI등재

        일본 드라마 속 젠더 담론의 변화 - 홈드라마에서 트렌디 드라마로 전환되는 시점을 중심으로 -

        이윤주 한국일본어문학회 2017 日本語文學 Vol.74 No.-

        ドラマは特定のイデオロギ?を再現する社?化の道具として機能し、視?者に視?的に具現されて?面化する。同じ時代の人の間で暗?的に共有されているジェンダ?談論はドラマの物語の構造の中で社?的な議題を作り出す。ホ?ムドラマは家父長制の秩序を存?させるメッセ?ジを?える空間として機能している代表的なジャンルである。1970年代までのホ?ムドラマのジェンダ?談論は?業主婦として描かれた女性の役割と公的領域の主?でなければ男性の役割に?する疑問は解決されないまま、?一化された性別分業の役割を忠?に再現する。1980年代後半のバブル??の消費が急?する?況でホ?ムドラマは徐?に減少して、若い男女の?愛と仕事、生活を描いたトレンディドラマが出現する。トレンディドラマで表現するライフスタイルは特に現代の女性たちに大きな共感を得られて、生活の?化に大きな影響を及ぼす。トレンディドラマは?時のイデオロギ?をよく反映して、メッセ?ジを?えている。日常生活と最も似ているドラマというジャンルは私たちが知らず知らずのうちに生活のモデルとして規範を作り上げるに至ったのである。?存の社?システムを支えていた家族の構造についての疑問、規範的なジェンダ?談論の?裂が生じる。女性は自分たちの母親世代が夢見た安?な家庭の主?ではなく、社?的な主?となるために努力する積極的な女性キャラクタ?に共感し、自己を投影する。 Dramas serve as a tool for socialization representing certain ideologies and are visually implemented and internalized by their viewers or audiences. The gender discourses implicitly shared among contemporary people are naturally revealed in the narrative structures of dramas and turned into social agenda.Home dramas are part of a genre functioning as a space for delivering the messages sustaining the patriarchal order. Until the 1970s, the gender discourse in home dramas was focused on representing the uniform gender-specific roles without raising questions over the roles of males supposed to be the agents in the public domain as well as over those of females depicted as stay-at-home housewives.In the late 1980s, against the backdrop of overheated consumption in tandem with the bubble economy, home dramas declined whereas trendy dramas portraying young people’s love affair, work and life sharply increased. The lifestyle presented in trendy dramas won modern women’s empathy and impacted on the change of life to a great extent. Trendy dramas best described the ideologies and delivered messages of the time.As a genre akin to people’s everyday life, dramas knowingly and unknowingly prescribe some models and norms of our life. They question the conventional family structure underpinning the wider Japanese society, rupturing the normative gender discourse. Women choose to project and empathize with the images of progressive female characters exerting efforts to take the initiative in society instead of dreaming at home as the generation of their mothers used to do.

      • KCI등재

        남성패션의 성이미지 유형분석 - TV 트렌디드라마를 중심으로 -

        윤지영 ( Yoon Ji-young ),유태순 ( Yoo Tai-soo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1 한국디자인포럼 Vol.31 No.-

        2009년 1월에서 7월 사이에 방영된 TV 트렌디드라마를 대상으로 시청률이 30%를 넘고 전 연령층에서 인기를 모은 3개 드라마 꽃보다 남자, 내조의 여왕, 찬란한 유산을 선정하였다. 각 드라마에서 캐릭터 차이를 보이는 9명의 남자배우들을 선정하여 패션스타일을 분석하였다. 패션스타일은 실루엣, 디테일, 소재, 색상, 액세서리, 헤어스타일 유형별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 TV 트렌디드라마 속 남자 배우들의 성이미지 유형분석 결과 9명의 남자배우들이 드라마 속에서 다양한 성이미지들을 표현하고 있었으나, 레트로섹슈얼, 크로스섹슈얼, 개스트로섹슈얼은 캐릭터 특징이 도드라지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여성성을 겸비한 남성의 개념인 메트로섹슈얼과 과거 남성성의 개념을 바탕으로 변화하는 위버섹슈얼이 현대 패션에서 가장두드러지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gure out the type of modern male`s sexual image which is the key clue to predict 21c men`s fashion market by analyzing men` s fashion through recent TV trendy drama programs that will work as a basic data to dominate the advantage in marketing by dealing with the fast transferring men`s fashion market. Three drama were selected with a program ratings that exceeds 30% and popular among various range in age through TV trendy dramas from January to July of 2009. Nine male celebrities with distinct characters in each of the drama were selected and their sexual image was analyzed. The sexual image type was analyzed by silhouette, details, materials, color, accessories, and hairstyle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ed.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exual image patterns of male celebrities of domestic TV trendy dramas shows that nine of the male celebrities expressed diversified sexual images in dramas but the Retro sexual, Cross sexual, and Gastro sexual trait of character were not salient. Rather the Metro sexual with a concept of femininity combined on masculinity and Uber sexual based on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concept are most prominent in modern fashion.

      • KCI등재

        트렌디 드라마에 나타난 톰보이 룩을 응용한 디자인 개발

        권수희 ( Sue Hee Kwon ),이인성 ( In Seong Lee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4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4 No.1

        현대 사회에서 각종 매체를 통해 중성적인 이미지의 여성상이 대중들에게 이슈화 되고 있다. 이러한 관심은 톰보이 룩이라는 하나의 트렌드를 생산해 냈으며, 톰보이 룩은 개인의 개성을 중시하는 현대 여성들에게 자신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하나의 도구가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톰보이 룩의 개념을 정립하기 위해서 톰보이 룩의 발생 배경과 시대별 양상 및 특징에 관하여 이론적 배경을 정립하고자 한다. 트렌디 드라마 속 톰보이 룩이 대중에게 이슈가 되었던 드라마 『커피프린스 1호점』, 『미남이시네요』, 『부탁해요 캡틴』, 『난폭한 로맨스』,『넝쿨째 굴러온 당신』을 선정하여 드라마 속 톰보이 룩을 분석한 결과, 직선적인 실루엣과 무채색, 활동적이고 캐주얼한 디테일 등을 많이 사용되었으며, 이를 토대로 톰보이 룩에 관한 시각적 요소를 정립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중성적인 개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여성을 위한 톰보이 룩을 개발하였다. In the era of mass media, the public is living amid abundant information and images. As a neutral image of women appeared, the public`s interest in their costumes in TV drama series increased. This interest created a tomboy look trend, and the tomboy look became a tool for modern women who regard individual personality as important to expressing their personal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tomboy look and the age-specific patterns and features in order to establish the concept of the look. Several dramas such as “The 1st Shop of Coffee Prince,” “You`re Beautiful,” “Take Care of Us, Captain,” “Wild Romance” and “My Husband Got a Family,”』 which showed a tomboy look and was an issue with the public were selected. The tomboy look in TV drama series was analyzed based on fashion design factors, and the visual factors of the tomboy look were establi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