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인의 사회관계(社会关系)에 작용하는 체면과 그 표현방식에 관한 논의

        주민욱 한국중국언어문화연구회 2016 한중언어문화연구 Vol.- No.41

        Face is one of the concepts of psychosocial value to Chinese people and it is easy to find face behavior in their daily lives. Making observations of this concept can effectively be able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process of Chinese people. Face is the main social element to understand Chinese people. Face issue is generally studied in China. Because face is closely related to Chinese people's daily lives and these kind of studies are relatively easy to understand.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face which plays an important part in Chinese social relations. This study also focused on the ways of face expression that are usually used in their daily lives. The definition of face is divided in two ways, face as the morality and face as the fame and honor. Chinese people attach great importance to their face and they recognize face as one of their essential inherent values. The ways of expressing face are as varied as the importance of face. The research showed that such expressions are basically classified by moral Lian and social Mian of face. This study also confirmed that the frequency in use of Mian is a little bit higher than using moral Lian but the strength of expressions of Lian, such as 'a shame', 'an embarrassment' and 'a dishonor' is much stronger than Mian is.

      • KCI등재

        대면교육 공백에 따른 평생교육 담당자의 인식과 역할 변화

        이경화,윤창국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lifelong educators’ dilemma and change of role and perspective in the era of covid-19 that has caused the absence of face-to-face education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researchers adopted the case study methods. Researchers analyzed lifelong educators’ realities and dilemma in the recent rapid environmental change and explored how they responded to them. Results As results, researchers found that lifelong educators faced dilemma related with managing programs, using educational methods and developing educational capacities. Facing dilemma, they tried to investigate and apply alternatives o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During these processes, lifelong educators changed and reestablished their roles and perspectives related with lifelong education.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researchers discussed the future direction of lifelong education. 목적 본 연구는 평생교육 담당자들이 코로나19 시대에 직면하게 된 딜레마 상황과 그에 대한 대안모색 과정에서 경험한 역할 및인식의 변화과정을 전환학습 관점을 통해 탐색해 보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해 5년 이상 경험을 가진 평생교육 담당자 6명과 5년 미만의 경험을 가진 담당자 1명 등 경력 및 농촌, 도시, 복합지역등 지역적 요소를 고려하여 총 7명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참여관찰 및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를 주제분석기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최근의 급격한 환경 변화 속에서 평생교육 담당자들은 학습 방법의 변화에 따른 학습 접근성과 기회의 측면에서 시작하여, 주요 영역의 변화와 학습의 질적 측면 등 다양한 영역에서 혼란과 딜레마 상황을 경험하게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평생교육 담당자들은 대안을 모색하고 실행하는 과정 속에서 자신들의 역할을 다시 재구성하였으며, 기존의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을 변화및 확장시켜 나갔다. 결론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삶의 필수적 영역으로서의 평생학습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이를 위한행⋅재정적 지원과 평생교육 담당자들의 전문성과 영역별 세분화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A Case Study of <Understanding Culture and Philosophy> Using PBL

        Park, Hae Rang The International Promotion Agency of Culture Tech 2021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 Vol.9 No.3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y through a case of PBL(problem-based-learning) class conducted in a balanced culture course called <Understanding of Culture and Philosophy> at 00- University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0. The effects of learning are as follows: First, PBL(problem-based-learning) has sufficient active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learner. In the face of prolonged non-face-to-face learning, the PBL teaching method has sufficient interaction between the professors-learner and the learner. Second, PBL learning can actively utilize various problems that f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and actively utilize the process of role sharing and collaboration. By presenting various problem situations suitable for the subject, students will be able to share roles individually or as a team, and fully experience the process of collaboration and discussion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the data. Third, critical perceptions of problem situations can be extended. In modern times, a variety of problem situations arise and critical perceptions of them must be fully learned. In a mass production and mass consumption society, students should develop the ability to blindly recognize and distinguish between real and fake information in a flood of information. The limitations identified in this class case are, first, the nature of the subject, "Understanding Culture and Philosophy," which makes it possible to discuss the global cultural phenomenon, but it should be discussed in terms of philosophy. Second, it is not easy to work as a team on non-face-to-face online. Nevertheless, PBL is a very effective method of learning in which active interactions and learning activities take place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whether face-to-face or face-to-face online learning.

      • KCI등재

        비대면 학습공동체의 역동성 향상을 위한 교수 중심 튜터링의 교수전략 연구

        이종민 ( Lee Jong Min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21 성경과신학 Vol.100 No.-

        코로나19로 인하여 급격하게 변화된 교육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다양한 교육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그중에서 역동적인 학습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하여 대면교육과 비대면교육에서 공통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튜터링 학습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튜터링 학습전략은 “학습자지원체제”(Student Support System)의 일환으로 활용되는 보조 교육프로그램으로 운영되거나, 비교과프로그램들 중에서 “학습역량강화 프로그램”으로 운영되거나, 텔레튜터링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원격교육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운영되어 왔다. 그리고 대학에서는 학교에서 선정한 동료학생이 튜터가 되어 학교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거나 학습부진으로 어려움을 겪는 학생을 돕는 튜터링 활동이 주류를 이루었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동료튜러팅의 한계를 극복하면서 보다 역동적인 학습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한 “교수 중심의 튜터링”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튜터링 전개과정에 따른 튜터의 필요성과 다양한 역할을 규정하고, 각 과정에서 요구되어지는 교수전략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C대학교 “종교교과교육론”에서 실시했던 교수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대면교육과 비대면 교육이 혼재하고 있는 교육환경 가운데서 자기주도적인 학습동기를 유발함으로써 역동적인 학습공동체를 형성하고자 하는 기독교교육적 함의를 교수 튜터의 네 가지 역할―내용전문가, 촉진자, 안내자, 관리자―을 중심으로 고찰해보고자 한다. Various educational methods are being tried to effectively respond to the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due to COVID-19. Among them, this study proposes a tutoring learning strategy that is commonly used i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education in order to form a dynamic learning community. In general, the tutoring learning strategy is operated as a supplementary education program used as part of the “Student Support System”, and as a “Learning Competency Strengthening Program” among non-curricular programs. Also, it has been operated as a “Distance Education Program” based on Tele-Tutoring System. And in colleges, the mainstream tutoring activity was to help students who could not adjust to school life or had difficulties due to poor learning as fellow students selected by the school became tu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professor- centered tutoring” model to form a more dynamic learning community while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peer tutoring. For this purpose, the necessity and various roles of the professor tutor according to the tutoring development process are defined, and the teaching strategies required in each process are presented. Then the teaching strategies implemented in “Religious Subject Education Theory” at University C are presented in the four roles of the professor tutor―content expert, facilitator, guide, and administrator. In conclusion, the Christian educational implications of creating a dynamic learning community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face-to-face education and non-face-to-face education are mixed can be found by inducing self-directed learning motivation.

      • KCI등재

        온라인 분쟁해결의 새로운 패러다임 출현에 관한 소고

        김선광(Sun-Kwang Kim)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1 전자무역연구 Vol.9 No.2

        ODR은 그동안 이메일이나 채팅에 기반을 둔 시스템의 방법으로 제한되어 온 기술적 한계 때문에 상대적으로 열악하다는 제약을 받아왔다. 조정에 관한 한, 이러한 이메일이나 채팅에 기반을 둔 비동시적 방법들은 생생한 면대면 조정방법에 비해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그 경쟁력이 떨어지는 것처럼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통적인 문서기반의 ODR에 비해 동시적 시청각 ODR의 장점을 중심으로 검토하였고, 또한 조정인의 역할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문서기반 ODR방법의 단점들을 극복하면서 온라인상에서의 기존의 전통적인 면대면 만남과 유사한 방법을 서비스 해주기 위해 2008년 1월부터 AADROL사에 의해 개발ㆍ운영되고 있는 “동시적 수단의 시청각 온라인 조정방법(SAOIMM)”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SAOIMM의 제시되고 있는 단점들은 그리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SAOIMM은 격지자간의 만남을 위해 당사자들이 여행할 필요 없이 온라인상에서 실시간으로 그들의 조정을 통한 분쟁해결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동시적 온라인 시청각 조정방법을 제공해주고 있으며, 그 결과 시간과 비용을 절약해주고, 스트레스를 최소화시켜 주며, 또한 보안유지 및 실질적인 친환경적 혜택을 제공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의 조정에서는 특히 조정인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ODR has been until now confined to the relative sidelines because of technological limitations, which have generally restricted ODR to email and chat-based systems or methods. At least in the case of mediation, these emails and chat-based asynchronous methods seem to be less than competitive for a variety of reasons when compared to live, face-to-face mediations. This article describes the benefits of synchronous audiovisual ODR verses traditional text-based ODR and the role of mediators. Especially this article examines the business method called “Synchronous Audiovisual Online Immediate Mediation Method (SAOIMM)”, which has been developed and placed in operation by AADROL Inc., starting in January 2008, to provide an online analog to the traditional old fashioned face-to-face meeting while avoiding the shortcomings of strictly text-based ODR. In conclusion, the supposed disadvantages to SAOIMM are demonstrated to be relatively immaterial. On the other hand, SAOIMM provides a business method for synchronous audiovisual online mediation which enables parties at remote distance to mediate together in real time, online without the need of traveling to a remote location to meet face-to-face, thus saving time and expense, minimizing stress, enhancing security and providing a substantial environmental benefit. And this article reviewed the importance of the roles of mediators.

      • KCI등재

        중한 시나리오 대화문 번역 연구 -체면 손상 효과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자양판 한중인문학회 2021 한중인문학연구 Vol.72 No.-

        본 논문은 중국어로 된 시나리오 대화문과 그에 상응하는 한국어 번역본 두 편을 선정하여 체면 손상 효과에 영향을 주는 세 가지 요인을 중심으로 화용론적 관점에서 이들의 체면 손상 효과의 크기를 측정하여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여러 연구들을 살피면 서 공손 이론 중 체면 손상 효과가 번역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규명할 것이다. 3장에서는 체면 손상 효과에 영향을 주는 세 가지 요인을 구체적으로 계량화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4장 에서는 체면 손상 효과 측정의 공식을 적용하여 중국어 대화문과 그에 대응하는 한국어 번역 대화문의 체면 손상 효과를 측정하고 분석한다. 분석 결과를 통해 경어 표현 적용 여부는 체 면 손상 효과의 크고 작음과 필연적 관계가 없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공손 이론을 바탕으로 체면 손상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번역 분석의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것이 본고의 의의 이며 본 연구를 통해 번역자의 역할 또한 더욱 명확하게 제시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ize of the face damage effect from a pragmatic point of view, focusing on the three factors affecting the face damage effect by selecting the scenario dialogue in Chinese and the corresponding Korean translation. do. To this end, Chapter 2 examines several studies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e-damaging effect of politeness theory and translation. Chapter 3 presents a method to specifically quantify the three factors that affect the face-damaging effect. In Chapter 4, the face damage effect measurement formula is applied to measure and analyze the face damage effect of the Chinese dialogue text and the corresponding Korean translation dialogu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whether or not the expression of honorific words was applied was not necessarily related to the large or small size of the face damage effect.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hat it presented a new method of translation analysis by analyzing the effect of face damage based on politeness theory, and the role of the translator could also be presented more clearly through this study.

      • KCI등재후보

        세대갈등과 문화생활 - 시민성 구현과 관련하여

        유병래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5 철학·사상·문화 Vol.0 No.19

        This paper explores what values, ways of thinking, and action patterns related to civility needed for today’s Korean society should there be, while considering various preceding research on generational conflicts as well as generational gaps visualized from the existing social condition and social phenomenon in Korea. This paper proposes the possibility of making a co-existing generational culture by adding humanistic solutions to the existing study results. Generational conflicts, one aspect of Korea's social conflicts, are gradually increasing in an apprehensive way and degree. Generational problems provoke social conflicts by hindering the communications between members from each sector of modern society. Resolving a conflict in civil society is a common task for all the citizens. What matters in the present situation is to secure both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and the co-existence of inter-generations based on civility. By the way, the nature of generational gaps and conflicts are directly connected to culture because it is also a source of expressing all the human consciousness and values. Therefore, this paper searches for solutions of generational conflicts, by means of relating the double-sidedness of culture as well. It generally develops the discussion mainly on the plan for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and co-existence between ‘youth generation’ and ‘old age generation’, and this paper suggests a face-to-face dialogue and the role-playing activity done by changing positions as a solution. This is the major issue for the cultural life of generations. 이 논문은 한국의 기존 사회실태와 사회현상에서 가시화된 세대차이 및 세대갈등에 대한 다양한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요구되는 시민성과 관련한 가치관 ‧ 사유방식 ‧ 행위양식이 어떠해야 하는가에 관해 탐구한다. 그리고 기존의 사회과학적 연구 성과들에다 인문학적 측면에서의 해법을 첨가하는 방식을 취하면서 상생의 세대문화를 이루어갈 수 있을 가능성이 무엇인지를 제시한다. 한국사회의 여러 갈등 양상들 가운데 하나인 세대갈등은 점차 우려스러운 방향과 수준으로 진행되고 있다. 세대차이는 급변하는 현대사회의 각 부문에서 구성원들 간의 소통을 가로막아 사회갈등을 일으킨다. 시민사회에서 이런 갈등을 풀어내는 것은 시민들 모두의 공통된 과제이다. 우리의 현재적 화두는 시민성 구현을 통한 세대 간의 상보 ‧ 상생이다. 그런데 세대차이 및 갈등의 특성은 곧 인간의 모든 의식과 가치가 표출되는 원천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문화와도 직결된다. 따라서 이 논문은 세대갈등의 해결 방안을 문화의 양면성과도 관련지어 모색한다. 이 논문은 전반적으로 ‘청년세대와 노인세대’의 상보 ‧ 상생의 방안을 위주로 논의를 전개하며, 그 해법으로써 대면 대화와 처지를 바꾸어 실천해보기를 제시한다. 이것이 곧 세대적 문화생활의 핵심 내용이다.

      • KCI등재

        제주도 개신교 교회건축의 입면 특성 연구 - 1950~1970년대를 중심으로 -

        김형남,신석하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9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1 No.1

        In Jeju Island, Protestant churches have begun to be built mainly in coastal villages where people are crowded and traffic is convenient. The time for the establishment of a church and the construction of a church in the mid-mountain villages where access is difficult is late. The protestant church in Jeju Island rented a private house or warehouse when it was founded, and later built a church with a building in Choga(草家), Waga(瓦家) and stone. Especially, in the 1970s, cement brick or block church was built mainly, and in particular, the church began to be built with reinforced concrete. There are currently about 30 Protestant churches in Jeju Island, which were built in the 1950s and 1970s, and about 10 Catholic buildings(the Secondary Stations of Catholic church) at the same time remain. There is also a church that has a the reinforcing post for structural stability, resulting in a solid feel and a face-shaped split effect as well as a structural role. In the 1950s and 1970s, the Protestant Church in Jeju Island had the value of architectural history in connection with the dissemination of Protestants in the early Jeju. 제주도에서 개신교 교회당은 인구가 많고 교통이 편리한 해안마을에 주로 세워지기 시작하였으며, 접근성이 어려운 중산간마을은 교회 설립과 교회당 신축 시기가 늦었다. 제주도 개신교 교회는 설립 당시 개인주택이나 창고를 빌려서 예배를 드렸으며, 이후에 초가나 와가 그리고 석조 건물로 교회당을 신축하였다. 특히 1970년대가 되면 시멘트벽돌이나 블록조 교회당이 주로 건축되며, 특히 철근콘크리트조로 교회당이 건축되기 시작한다. 1950년대에서 1970년대에 건축된 제주도 개신교 교회는 현재 약 30여개 정도 남아 있으며, 같은 시기의 천주교 공소 건물 또한 10여개 정도 남아 있다. 조적조 교회당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위해 측면에 돌출된 덧기둥을 설치한 교회도 있는데, 결과적으로 구조적 역할뿐만 아니라 견고한 느낌과 입면 형태의 분절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1950년대에서 1970년대 제주도 개신교 교회는 초기 제주지역의 개신교 전파와 연계하여 그 건축적인 특성을 간직하고 있기 때문에 건축 역사적인 가치가 있다.

      • KCI등재

        D대학교 교수들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살펴본 비대면 수업에 대한 인식연구

        김민정,송연주,이은주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A Study on the Perception on Non-face-to-face Classes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D University Professor Minjung Kim, Yeonjoo Song, & Eunju Le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sight into the non-face-to-face classes that will be expanded by identifying the perceptions and improvement points of non-face-to-face classes of professors at universities.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rofessors who had been worked for more than 10 years at university 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ofessors were using non-face-to-face classes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lectures, and they showed their willingness to use them continuously. In particular, although learners gave positive evaluations in that they could increase their understanding through repetition, they expressed concern that the gap according to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ould further widen. Finally, for non-face-to-face classes that can guarantee quality, It was suggested that support from universities and government policies as well as professors is needed for non-face-to-face classes that can guarantee quality. Key Words: COVID-19, Non-face-to-face Classes, Role of Professor, Role of Learner, Non-face-to-face Class Support System D대학교 교수들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살펴본비대면 수업에 대한 인식연구김 민 정*ㆍ송 연 주**ㆍ이 은 주***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교수자들의 비대면 수업 인식과 개선점, 그리고 전망을 확인함으로써 비대면 수업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이를 위하여 D대학에서 10년 이상 재직한 교수들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교수자들은 비대면 수업을 강의과목의 성격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었으며, 지속적으로 활용할 의지가 있다고 평가하였다. 특히 학습자들이 반복을 통해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지만, 학습자들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따른 격차가 더 확대됨에는 우려를 표하였다. 결론 및 제언: 연구 내용을 종합하여, 질을 담보할 수 있는 비대면 수업을 위해서는 교수자뿐만 아니라 대학과 정부 정책의 지원이 필요함을 제기하였다. 핵심어: COVID-19, 비대면 수업, 교수자의 역할, 학습자의 역할, 비대면 수업 지원 시스템 □ 접수일: 2022년 9월 30일, 수정일: 2022년 10월 16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8일* 주저자, 동의대학교 광고홍보학과 조교수(First Author, Professor, Dongeui Univ., Email: minjungk@deu.ac.kr) ** 공동저자, 동의대학교 평생교육・청소년상담심리학과 조교수(Co-author, Professor, Dongeui Univ., Email: songyj@deu.ac.kr) *** 교신저자, 동의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조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Dongeui Univ., Email: ejulee@deu.ac.kr)

      • KCI등재

        日本人学生における「断り」表現

        ?英秀(Kwon Young-Su) 대한일어일문학회 2008 일어일문학 Vol.37 No.-

        This paper discusses??Refusal??expressions of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my Discourse Role Tests show: 1.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use negative face of selfish-face with??alternative??for older brothers and sisters. But high school students use negative face of selfish-face with??insult??when they refuse. 2. University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use mutual face with??apology??for close seniors. 3. University students change selfish-face in the first refusal into mutal face in the second refusal for older brothers and sisters. But High school students do not change their strategies. They use selfish-face in the same way in the second refusal . 4. In the second refusal for close seniors, Japanese students use negative face of mutual face more often. But high school students use hearer's face more oft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