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주공화국과 헌법교육의 과제

        오승호 ( Seung Ho Oh ) 한국법교육학회 2014 법교육연구 Vol.9 No.3

        민주공화국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요구되는 것은 민주공화국 시민성의 함양이다. 민주공화국 시민성을 함양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헌법교육이다. 하지만 민주공화국을 국가형태로만 인식하는 일반적 경향 때문에 민주공화국 시민성을 함양하기 위한 헌법교육이 제대로 전개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민주공화국의 의미를 국가형태로만 인식하는 경향을 극복하고자 하는 논의들을 검토함으로써 헌법교육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민주공화국 시민성 함양을 위한 헌법교육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형태로 인식하는 헌법학계의 일반적인 경향으로부터 탈피하는 것이다. 둘째, 민주공화국의 본질적 의미를 인식하는 것이다. 셋째, 민주공화국 시민성을 목표로 제시하는 것이다. 넷째, 민주공화국의 가치 및 시민성을 학습내용으로 구성하여 심층학습을 실행하는 것이다. What is needed to overcome the crisis of democratic republic is to foster democratic republic citizenship. Constitutional education plays important roles in fostering a democratic republic citizenship. However Constitutional education for building democratic republic citizenship has not been unfolded properly because of the general tendency to be recognized as state form about democratic republic. The research presents assignments of Constitutional education by examining debates to overcome the general tendency of constitutional academia to be recognized as state form about democratic republic. Assignments of Constitutional education for democratic republic citizenship are as follows. First it is to do away with the general tendency of constitutional academia to be recognized as state form about democratic republic. Second it is to recognize the essential meaning of democratic republic. Third it is to presents democratic republic citizenship as goal. Fourth it is to practice in-depth stuty to constitute values and citizenships of democratic republic.

      • 헌법과 공화국

        강경선(Kang, Kyong-Son) 전남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2019 인권법평론 Vol.- No.23

        우리 헌법은 건국헌법 이래 헌법 제1조에 민주공화국을 줄곧 규정하고 있다. 민주공화국의 헌법적 연혁은 1919년 4월 11일의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임시헌장에서 시작된다. 임시헌장에서의 민주공화국 규정은 다시 조선왕조말기 근대화를 위한 사회변화와 운동에 맞닿는다. 이렇게 길게는 150여년, 짧게는 100년 동안에 걸친 민주공화국과의 조우에서 실제로 우리 사회가 실제로 민주공화국이 된 것은 지난 30년 이내의 일이다. 그 이전에는 명목적 헌법에 지나지 않았던 것이다. 규범헌법국가가 된 것은 사실이지만, 여전히 우리는 헌법의 완성도는 7부 능선을 넘지 못하고 있다. 우리에게는 앞으로도 더욱 노력을 해서 9부 능선을 넘어 정상에 도달할 헌법적 과제가 주어져 있다. 앞으로 우리가 집중해야 할 부분은 사회복지국가에 관련된 제도와 문화를 실현하는 일이다. 사회복지국가는 실질적 국민주권, 실질적 민주주의, 실질적 법치주의, 사회권의 향상, 문화국가와 평화국가를 현실화하는 일이다. 우리는 현재 강대국의 패권 다툼의 한복판에 있기 때문에 주권의 위협을 받고 있다. 그래서 우리의 헌법적 과제는 일차적으로 주권수호에 있다. 다른 한편 우리는 헌법 전문이 말하는 바와 같이 ‘세계평화와 인류공영에 이바지해야’ 하는 주권실현의 과제도 부여받고 있다. 이같은 주권수호와 주권실현의 두 가지 과제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우리는 주변국가들과 차별되는 헌법국가를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일종의 국가전략과제이기도하다. 헌법국가를 만드는 것은 바로 민주공화국을 만드는 일이다. 이 지점에서 필자는 민주공화국을 민주와 공화국의 두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기로 했다. 민주주의는 그동안 많이 발전을 했고, 앞으로도 계속 확대되어 나갈 것이다. 지금 꼭 필요한 것은 확대되는 민주주의를 정돈하는 일이다. 바로 공화국을 만들어야 하는 것이다. 공화국은 세련된 민주주의, 정돈된 민주주의, 질서있는 민주주의의 단계이다. 공화국에 이르지 못하면 민주주의도 실패한다. 그래서 우리는 꼭 공화국을 만들어야 한다. 이 글은 공화국이 일반적으로 갖추어야 할 요건들과 다음 우리나라에서 특별히 요구되는 요건들을 나누어 살피고자 한다. 일반적 요건들은 세계의 공화국 역사와 공화주의 연구에서 교훈을 얻고, 특별 요건들은 우리나라의 사회현실에 공화주의의 일반원리들을 적용할 때 고려해야 할 내용들이다. “The Republic of Korea shall be a democratic republic.” The statement has steadfastly kept its place as Article 1 since the First Constitution of 1948 up to now. The constitutional history of democratic republic found its origin from the Provisional Constitution of 11th April, 1919. The expression of democratic republic was firstly introduced into Korea around mid 19th century and it was used as a catch phrase in many movements to modernize the Chosun Dynasty. Likewise, during the past 150 years at the maximum or 100 years at the minimum, democratic republic has been alive among our history. However, the shaping of democratic republic had not been accomplished until the current Constitution of 1987. For a long time, our constitution never existed normatively but nominally only. As we are now entering into normative constitution stage, we are still at the three quarter marks of the realization of the constitution. We are endowed with the mission of fulfilling the constitution. We now have to be focused on the social welfare state making. It means that we must be assiduous to realize the substantive national sovereignty, substantive democracy, substantive Rechtsstaat(rule of law), promotion of social rights, construction of cultural and peaceful state. Our sovereignty is severely threatened as we are in the middle of conflicts arising from hegemonic war among super powers. Therefore the first constitutional mission we have lies in protection of sovereignty. On the other hand, there is another mission, which is more valuable than the one, to realize the sovereignty according to the preamble ‘contribute to lasting world peace and the common prosperity of mankind’. We have to build constitutional state to such high a degree that it can be distinguished conspicuously from neighboring countries. This work can be carried out as a national strategy to survive. Constitutional state building is in another words making a republic. At this point it is needed to break down the phrase democratic republic in two words, democratic and republic. Democracy in this country is relatively well advanced, ranked around in the twentieth place in the world, and it will be surely expanded and enlarged in the future. It is to tidy it up that we should do at the moment. To make democracy much polished, refined, ordered one is the way to republic. If we fails to reach there our democracy also will fail. Republic making is a must for us. This article will treat with the requisite elements general as well as specific for our republic. General elements are learned from the theories by so many scholars of the republicanism and specific ones are thought out while we try to apply the general republican principles to our own society.

      • KCI등재

        階級과 共和 : 중국공산당의 '共和國' 구상의 변천

        朴尙洙(Park Sang-Soo) 중국근현대사학회 2011 중국근현대사연구 Vol.52 No.-

        This article examines the Chinese Communist Party's evolutive ideas on the republican state building from it's foundation to present time. The keyword which the author uses for the analysis is 'class'. Though the Communists' pertinent ideas changed successively through various stages, the class perspective was consistent factor covering the entire changing revolutionary process, assumes the author. The article divides the evolutionary process of the CCP's conception on the republic into five stages. The first one ranges from around its creation to 1927, during which the CCP conducted the National Revolution with the Nationalist Party(KMT). The CCP conceived, at the time, the 'genuine democratic republic' including the bourgeoisie. But the CCP, still under the ideological and organizational weakness, left the problems of class composition of the republic and proletarian leadership unsolved. The second, the period of soviet regime from 1927 to 1936, during which Soviet Republic of China was established. The CCP set up workers' and peasants' republic under the proletarian leadership excluding all the bourgeoisie. The citizenship of the republic was confined to working class and peasant class, with the workers being given mor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compared to the peasants. The third, the period approximately from 1936 to 1938 during which the rising 'national contradiction' against Japan made the CCP ease the strict class perspective. The name of Soviet Republic changed into Soviet People's Republic, whose 'people' included petite bourgeoisie and national bourgeoisie. This change led to, though temporarily, complete abandonment of class perspective with a new conception of Democratic Republic of China presented after the outbreak of Sino-Japanese War. Under the Democratic Republic of China, all people supporting anti-Japan war are to enjoy status citizenship "without distinction of class and political party". The fourth stage corresponds to the period from 1939 to 1946, during which emphasis on class perspective was put again with Mao Zedong's Theory of New Democracy. This reconversion was closely related to the strengthening of Communist forces and the struggle of political lines within the Party since the beginning of the Sino-Japanese War. Mao assumed that the Republic of New Democracy, as a republic of joint dictatorship of different classes, would be based on workers-peasants alliance under proletarian leadership. The focus of emphasis was put on unification of different classes including the bourgeoisie due to the need of Chinese unity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The final stage was the period of People's Democratic Republic from 1948 on. This period saw a new term 'People's Democracy' which progressively replaced New Democracy' that had been used frequently from 1940. People's Democratic Republic, renamed simply 'People's Republic' in October 1949, re-formulated 'joint dictatorship of different classes' above mentioned into 'people's democratic dictatorship', whose emphasis was put on worker-peasant alliance under proletarian leadership rather than unification of different classes. According to the author, the class perspective in the republican state building continued to be present even nowadays, which is clearly showed in the current Constitution of the CCP: The Four Cardinal Principles to keep to the socialist road and to uphold the people's democratic dictatorship, leadership by the CCP, and Marxism-Leninism and Mao Zedong Thought are the foundation on which to build the Republic.

      • KCI등재

        공화국원리와 한국헌법의 해석

        김선택(Kim, Seon-Taek) 한국헌법학회 2009 憲法學硏究 Vol.15 No.3

        1987년 민주화이후 20년의 헌정경험을 기반으로 하여 헌정체제에 대한 비판 및 개헌논의와 더불어, 공화국 내지 공화주의에 대한 관심이 떠오르고 있다. 한국은 유사이래 전제군주제 국가형태를 지속하여왔으나, 구한말 서양의 정치사상의 전래와 함께 국가형태의 변경가능성이 논의되었고, 1919년 임시정부헌법에 이르러서 대한민국이 민주공화국임을 명시함으로써 한반도 최초의 공화국을 건설하였다. 공화국조항은 1948년 제헌헌법 제1조에 그대로 반영되었으며, 현행헌법에 이르고 있다. 국호와 국가형태를 규정한 헌법의 근본적 결단사항임에도 불구하고, 제헌헌법의 기초자들은 ‘공화국’에 대하여 단지 군주국이 아닌 국가형태로서 형식적으로 이해하는 데 그치고 있었으며, 오늘날 한국헌법학계의 주류적 입장 역시 이러한 좁은, 소극적인, 형식적인 이해방식에 그치고 있다. 그러나 국민주권이 확립된 오늘날 공화국개념에 대한 종래의 이해는 더 이상 실익을 갖지 못하는 바, 동 개념이 실질적인 내용을 가지는 원리로 이해될 수 있는지, 만약 그것이 가능하다면 헌법해석에 어떠한 구체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지 모색하는 것은 당면한 헌법학의 과제이다. (민주)공화국은 헌법원리규정으로서 대한민국이라는 국가를 구성하는 구조적인 원리로서 비군주국이라는 형식원리를 넘어서 국가 및 공직제도의 본질과, 국가와 국민의 관계를 이해하는 패러다임의 전환을 요청하는 실질원리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공화국의 실질적 이해를 기초로 한국헌법의 재해석을 시도해보면 다음과 같은 가능성들이 있다: ① 국가의 정당화원리로서의 민주공화국; ② 헌법적 관계로서의 국가-국민관계; ③ 공화국적 국가상과 인간상; ④ 기본권의 공화국적 이해; ⑤ 국가조직-공직질서의 공화국적 이해; ⑥ 시민의 덕성과 공화국시민교육. 그러나 공화국적 헌법해석이 개인보다 공동체를 우선시하는 논거로, 즉 국가에 유리한 추정(in dubio pro auctorität)의 근거로 확장될 경우, 그러한 해석이 한국의 후진적인 정치ㆍ사회 문화와 결합하여 ‘민주’공화국이 그 역으로 타락할 우려가 있음을 명심하여야 한다. Recently, Korean people pay attention to ‘Republic’ or ‘Republicanism’. In history Korea has adhered to the absolute monarch. At the end of Chosun-dynasty, western political ideas were introduced into Korea and then the changeability of State form could be discussed for the first time. In 1919, ‘Republic’ was provided in the Constitution of provisional government, so we established the first republic in the Korean peninsular. ‘Republic’ was also provided in the Article 1 of 1948 Constitution of Korea. The Article 1(1) of the present Constitution (1987) provides: “Korea is a democratic republic.” The drafters of 1948 Constitution understood formally that ‘Republic’ was a state form which was not monarch. Up to now most Constitutional scholars in Korea have understood the ‘Republic’ in a narrow, passive and formal way. But today such understanding is no more of use for we already have established the people's sovereignty and democratic system. It is a present task of Constitutional jurisprudence to examine whether ‘Republic’ in Constitution can be interpreted as a principle with concrete substances, and if so, what kind of effect can be brought to the interpretation of Constitution. The Republic as a constitutional principle should be understood not only as formal principle of non-monarchy, but as substantial principle which asks for paradigm-shift in explaining the nature of the state and public service system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e and nation(people). In consideration of this substantial understanding of Republic there could be some possibilities in re-interpretation of the Korean Constitution like: ① Democratic republic as a justifying-principle of State; ②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citizens as constitutional (legal) relationship; ③ Understanding of state and human being in the republican way; ④ Republican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rights; ⑤ Republican understanding of State organization and public service order; ⑥ Civic virtues and republic civic education. However, we must keep in mind that: if republican interpretation of Constitution extends to the argument that the community has priority over individual, that is, the argument of ‘in dubio pro auctorität’, it will be mixed with underdeveloped political & social culture in Korea and consequently ‘democratic’ republic will go astray.

      • KCI등재

        공화국원리와 한국헌법의 해석

        김선택(Kim Seon Taek) 한국헌법학회 2008 憲法學硏究 Vol.14 No.3

          1987년 민주화이후 20년의 헌정경험을 기반으로 하여 헌정체제에 대한 비판 및 개헌논의와 더불어, 공화국 내지 공화주의에 대한 관심이 떠오르고 있다. 한국은 유사이래 전제군주제 국가형태를 지속하여왔으나, 구한말 서양의 정치사상의 전래와 함께 국가형태의 변경가능성이 논의되었고, 1919년 임시정부헌법에 이르러서 대한민국이 민주공화국임을 명시함으로써 한반도 최초의 공화국을 건설 하였다. 공화국조항은 1948년 제헌헌법 제1조에 그대로 반영되었으며, 현행헌법에 이르고 있다.<BR>  국호와 국가형태를 규정한 헌법의 근본적 결단사항임에도 불구하고, 제헌헌법의 기초자들은 ‘공화국’에 대하여 단지 군주국이 아닌 국가형태로서 형식적으로 이해하는 데 그치고 있었으며, 오늘날 한국헌법학계의 주류적 입장 역시 이러한 좁은, 소극적인, 형식적인 이해방식에 그치고 있다. 그러나 국민주권이 확립된 오늘날 공화국개념에 대한 종래의 이해는 더 이상 실익을 갖지 못하는 바, 동 개념이 실질적인 내용을 가지는 원리로 이해될 수 있는지, 만약 그것이 가능하다면 헌법해석에 어떠한 구체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지 모색하는 것은 당면한 헌법학의 과제이다.<BR>  (민주)공화국은 헌법원리규정으로서 대한민국이라는 국가를 구성하는 구조적인 원리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헌법에 수용된 공화국원리는 그 기원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그리스-로마 전통에 닿을 수 있으며, 원칙적으로 그로부터 실질적 내용을 추출할 수 있다. 그에 따르면, 공화국은 ⅰ) 시민권을 가진 시민이 누구의 지배에도 예속되지 않은 주인으로서 자유를 가지며, ⅱ) 법과 제도로 잘 정비된 공직제도하에서 선출된 대표들이 공공복리를 실현하는 정치체제로서, ⅲ) 시민들은 존엄과 명예를 존중하고, 공동체에 참여하며, 공동체 전체에 대한 책임을 지는 시민적 덕성을 가져야 한다.<BR>  이러한 내용들을 기초로 한국헌법의 재해석을 시도해보면 다음과 같은 가능성들이 있다: ① 국가의 정당화원리로서의 민주공화국; ② 헌법적 관계로서의 국가-국민관계; ③ 공화국적 국가상과 인간상; ④ 기본권의 공화국적 이해; ⑤ 국가조직-공직질서의 공화국적 이해; ⑥ 시민의 덕성과 공화국시민교육.<BR>  그러나 공화국적 헌법해석이 개인보다 공동체를 우선시하는 논거로, 즉 국가에 유리한 추정(in dubio pro auctorit?t)의 근거로 확장될 경우, 그러한 해석이 한국의 후진적인 정치ㆍ사회 문화와 결합하여 ‘민주’공화국이 그 역으로 타락할 우려가 있음을 명심하여야 한다.   Recently, Korean people pay attention to ‘Republic’ or ‘Republicanism’. In history Korea has adhered to the absolute monarch. At the end of Chosun-dynasty, western political ideas were introduced into Korea and then the changeability of State form could be discussed for the first time. In 1919, ‘Republic’ was provided in the Constitution of provisional government, so we established the first republic in the Korean peninsular. ‘Republic’ was also provided in the Article 1 of 1948 Constitution of Korea. The Article 1(1) of the present Constitution (1987) provides: “Korea is a democratic republic.”<BR>  The drafters of 1948 Constitution understood formally that ‘Republic’ was a state form which was not monarch. Up to now most Constitutional scholars in Korea have understood the ‘Republic’ in a narrow, passive and formal way. But today such understanding is no more of use for we already have established the people"s sovereignty and democratic system. It is a present task of Constitutional jurisprudence to examine whether ‘Republic’ in Constitution can be interpreted as a principle with concrete substances, and if so, what kind of effect can be brought to the interpretation of Constitution.<BR>  The concrete substances of Republic as a constitutional principle can be traced back to the Greco-Roman republicanism tradition. According to this tradition, Republic is a political system ⅰ) of citizens who have liberty without any domination over themselves in which ⅱ) representatives who are elected in the well-designed laws and institutions are serving the commonwealth and ⅲ) the citizens respect dignity and honor as highest values, participate in the public affairs and share the responsibility for their community.<BR>  In consideration of such substances there could be some possibilities in re-interpretation of the Korean Constitution like: ① Democratic republic as a justifying-principle of State; ②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citizens as constitutional (legal) relationship; ③ Understanding of state and human being in the republican way; ④ Republican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rights; ⑤ Republican understanding of State organization and public service order; ⑥ Civic virtues and republic civic education.<BR>  However, we must keep in mind that: if republican interpretation of Constitution extends to the argument that the community has priority over individual, that is, the argument of ‘in dubio pro auctorit?t’, it will be mixed with underdeveloped political & social culture in Korea and consequently ‘democratic’ republic will go astray.

      • KCI등재

        바이마르 공화국의 司法의 성격에 관한 小考

        金彦植(Kim Eon-Sik) 역사교육연구회 2003 歷史敎育 Vol.87 No.-

        Cruel Judges of Nazism were people who had already been in offices since the years of the Weimar Republic. This continuous process from the age of the Weimar Republic as a constitutional state to the dictatorship of Nazism may suggest the theme that judges of Weimar were already state-socialistic. therefore they decisively contributed to the collapse of the Weimar Republic and the rise to power of Hitler. I cannot sympathize with such a historical interpretation. The role of justice should be viewed through the varied views of spectrum in the Weimar Republic. Today the course from the Weimar Republic to the Nazism may incorrectly be mono-causal to us. Anyway it is certain that the Weimar Republic cannot be remidied any longer after the year 1932. But I can never say that the rise to power of Hitler was inevitable. Therefore, our interest does not lie in the issue whether the justice of the Weimar Republic was state-socialistic anyway or not, but in the question "Did the justice of the Weimar Republic contribute to the collapse of the Weimar Republic?" Of course the justice of the Weimar Republic contributed to the end of the Republic. But, was the contribution of the justice over the collapse of the Republic conclusive? I cannot think so. It seems that the role of the justice was not very significant in the collapse of the Weimar Republic. Probably, it seems that something more meaningful was increasingly occurring for the german justice. It is the fact that the german justice experienced the tragedy in the age of Nazism. The justice of Nazis made us be aware of the ways how judges acted in harmony with a dictator. The justice of the Weimar Republic did not almost take part in the rise to power of Hitler. But at once the german justice was concerned with the maintenance of the power of Nazis ciosely. The judges of the Weimar Republic immediately became those of Hitler, and they sentenced 32,000 persons to death during the regime of Nazism.

      • KCI등재

        우주피스공화국의 현장과 문학적 형상화 연구

        민병욱 한국문학회 2020 韓國文學論叢 Vol.85 No.-

        본고는 하일지의 소설 <우주피스 공화국>(2009)이 라투아니아 빌뉴스에 실재하고 있는 우주피스 공화국을 서사의 대상이나 영역으로서가 아니라 그 재현의 조건을 탐색하고 있으며, 예술과 예술가의 의미를 재해석하고 있음을 살펴본 것이다. 우주피스 공화국은 리투아니아 수도 빌뉴스 구시가지에 위치하고 있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역사지구에 인접하고 있다. 1995년 빌뉴스 예술가들과 지식인들은, ‘문화생활을 풍요롭게 하고, 주민과 모든 연령 및 사회적 상황에 대해 눈에 띄고, 개방적이며, 매력적이며, 창의성을 장려하고, 전문 제작자, 아마추어, 청소년을 예술가 데뷔시키며 관광객을 유치’하고자 공화국을 선포한다. 이를 형상화한 텍스트는 조국에 아버지의 유골을 묻으러 온 인물을 중심으로 공화국의 실재/부재, 위치, 정체성에 관련된 이야기이다. 공화국의 실재는 공화국에 묻어달라는 아버지의 유언 및 유품들과 가족사진을 매개로 하여, 그 위치는 ‘운명의 점’으로 인하여 확인된다. 그 정체성은 우주피스어를 매개로 하여 공화국과 그곳을 찾아가는 인물 간의 객관적 실재와의 거리를 지우게 됨으로써 그 인물은 그 존재를 존재하게 하는 주관적 조건을 탐색한다. 공화국의 실재에 대한 확신은 등정인물 할과 요르기타(노파) 간에 공유하고 있는 공화국의 독립시절에서 겪었던 개인 경험과 가족경험을 통하여 더욱더 강화 된다. 그 확신의 궁극적인 증거는 망명객이었던 아버지의 유골을 조국에 묻어달라는 유언이며, 그렇게 유언을 남긴 이유가 시의 부재가 공화국의 부재이며, 시의 실재가 공화국의 실재라는 것에 기인한다. 시와 공화국 간에 시인이 존재하지도 개입하지도 않는다. 시인의 부재는 공화국이라는 추상적인 공간에 대한 시인에 의해 형상화된 주관적 미적 거리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며, 시의 존재는 주체로서의 시인과 그 대상으로서의 공화국 사이에 있는 객관적 사회적 거리도 허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공화국이 공화국을 찾는 사람들의 어떤 목적에 따라서 조직되고 변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과 같이 시도 존재론적 주체로서 있는 그대로 있는 것이다. 유언에 따라서 공화국을 찾아가려는 현재의 인물과 공화국을 찾아갔다가 되돌아오지 못하고 죽었던 과거의 인물이 서로 다른 존재인지 아닌지는 그들이 공유하고 있는 미래/과거의 연극 팸플릿에서 확인된다. ‘연극 팸플릿’에서 제기되는 물음은 공화국을 찾아 가고 있는 자신과 똑같은 연극의 한 장면과의 사실성을 묻는 것이다. 관극을 하고 나서 연극이 있는 그대로의 사실성(‘아웃사이드 뷰’)을, 시인의 삶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지 못한다(‘인사이드 뷰’)고 한다. 정체성은 연극을 매체로 하여 사실성에 의하여 회복된다는 것이다. 텍스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정체성이란 있는 그대로의 사실이며, 공화국과 공화국의 예술도 그 정체성도, 그 실재함도 드러내지 못하고 있다고 여긴다. 공화국의 실재를 확인하고 그 정체성을 찾기 위하여서는 탐색의 출발점을 되돌아가는 것이다. 그 출발점에서 공화국을 찾아가는 여정을, 공화국에서 겪었던 가족사의 이야기는 다시 시작되어야 한다. 그 시작은 다음 세대에 이어주려는 현 세대의 죽음(권총 자살)으로, 현 세대가 남겨 놓은 흔적들(유품들)을 진열장에 전시하는 것이다. 텍스트는 우주피스어를 매체로 하여 공화국의 존재를, 시를 매체로 ... This article examined the novel The Republic of Uzupis(2009), published in Hailji, which embodies The Republic of Uzupis in Vilnius, Lithuania. The novel text does not use the actual The Republic of Uzupis as an object or domain of mimesis, but explores the conditions of its reproduction and reinterprets the meaning of art and artists. This text is a story related to the existence/absence, location, and identity of the Republic, centered on a person who came to bury his father's ashes in his country. The reality of The Republic is confirmed by the father's willingness to bury in the republic, relics, and family photos, and the location is confirmed by ‘fortune-telling’. By eradicating the distance of the objective reality between The Republic and the people who visit it, using the Uzupis language as its medium, its identity is to explore the subjective conditions that make the existence of The Republic exist. Conviction of The Republic's reality is further strengthened through the personal and family experiences of The Republic's independence, which is shared between the characters Hal and Yogurta (old woman). The ultimate proof of that conviction is the willingness to bury the remains of a father who was an exile abroad. The reason for leaving such a testament is that the absence of the poetry is the absence of The Republic, and the reality of the poetry is the existence of The Republic. Between poetry and republic, poets do not exist or intervene. The absence of poets means that there is no subjective aesthetic distance to the abstract space of The Republic. The existence of poetry does not allow an objective social distance between a poet as a subject and The Republic as its object. Just as The Republic is not organized and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people who visit The Republic, poetry remains as an ontological subject. It is confirmed in their same play pamphlet(Future/Past) whether the current person who visits The Republic according to his father's will and the past person who died after returning to The Republic are different. The question raised in the 'Theatrical Pamphlet' is to ask about the reality of a scene from the same play as you are visiting The Republic. After watching the performance, it is said that the play does not reveal the scene as it is or the poet's life. The identity of The Republic is that it is restored by reality through the use of theater. The identity that the text is trying to say is true as it is, and neither The Republic nor The Republic's art nor its identity nor its reality are revealed. In order to confirm the existence of The Republic and to find its identity, it is to return to the starting point of the search. The journey to The Republic, the story of family history in The Republic begins again, leading to the display of the traces(relics) left by the current generation on display, as the death of the current generation(pistol suicide) to continue to the next generation. As we have seen so far, the text tried to reproduce the identity of The Republic as the ontological subject by using the Uzupis language as a medium, exploring the reality of the republic, poetry as the medium, and drama as the medium. Restoring the reality and identity of The Republic and the arts is achieved by accepting ‘the reality as it is’.

      • KCI등재

        민주헌정의 관점에서 본 대한민국임시정부헌법과 제헌헌법의 관계

        김수용 한국헌법학회 2019 憲法學硏究 Vol.25 No.1

        비교헌정사적으로 근대 민주국가는 봉건질서를 타파하고자 하는 민주시민의 탄생과 민주시민에 의한 시민혁명 발발, 민주시민들을 대표하는 의회 조직, 의회에서 민주시민들의 요구를 반영한 헌법 제정, 헌법에 입각한 민주국가 수립, 민주국가를 실현할 구체적인 법령 마련, 헌법 제정과 실천 과정에서 미흡했던 내용을 반영한 헌법 개정 등의 과정으로 진행된다. 1919년 4월 11일에 건립된 민주공화국 대한민국도 이러한 과정을 거쳐 탄생하였다. 즉 1919년 3.1혁명 이전에 민주시민들이 탄생하였고, 그들이 중심이 되어 1919년 3.1혁명을 일으켰다. 1919년 4월 10일 저녁 10시경에는 민주시민의 대표자들이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을 개원하였다.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은 1919년 4월 11일에 대한민국헌법(대한민국임시헌장)을 제정하였다. 1919년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은 1919년 4월 대한민국헌법에 따라 1919년 4월 11일에 건립되었다. 이후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은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법령 등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1919년 9월 11일에는 1919년 4월 대한민국헌법 이후 미흡한 내용들을 반영하여 제1차 헌법 개정을 하였다. 대한민국임시정부헌법은 총 5차에 걸쳐 개정이 되었는데, 해방 이전 마지막 개정은 1944년 4월 22일에 이루어졌다. 1944년 대한민국헌법은 제61조에서 헌법 개정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48년 7월 12일에 제정되고 7월 17일에 공포된 제헌헌법(1948년 대한민국헌법)은 1944년 대한민국헌법을 개정하는 방식이 아니라 헌법 제정 절차에 따라 새롭게 제정되었다. 그러나 1944년 대한민국헌법과 1948년 제헌헌법은 기본편제가 유사한 점, 두 헌법 모두 제1조에서 대한민국이 민주공화국임을 규정하고 있는 점, 1948년 7월 7일 국회 본회의에서의 대한민국 정체성 논쟁과 결정 내용 등을 종합할 때, 1948년 제헌헌법은 헌법 제정 절차에 따라 제정되었지만 실질은 1944년 대한민국헌법의 개정 또는 전면 개정이라고 할 수 있다. On April 11, 1919, the first Constitut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hereinafter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19”) was enacted and was promulgated in Shanghai, China. The Article 1 of the Constitution says “The Republic of Korea shall be a democratic republic.”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hereinafter “the Republic of Korea of 1919”) was established by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19 in the course of the March 1st Revolution caused by democratic citizens.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19 was revised five times until liberation from Japanese imperialism. The last Constitution(hereinafter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4”) was revised on April 22, 1944.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imperialism,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hereinafter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8”) was enacted on July 12, 1948 and was promulgated on July 17, 1948. On August 15, 1948, the Republic of Korea(hereinafter “the Republic of Korea of 1948”) was established by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8. The Article 1 of the Constitution also says “The Republic of Korea shall be a democratic republic.” like that of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19. On July 7, 1948, the National Assembly of 1948 decided the identity of Republic of Korea of 1948 as follows. “We, the people of Korea, proud of a resplendent history and traditions dating from time immemorial, upholding the great spirit of independence, as manifest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course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now at this time engaged in reconstructing a democratic, independent country are determined.” In other words, the Republic of Korea of 1919 was established by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19 on April 11, 1919, then it was reestablished by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8 on August 15, 1948. In summary,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imperialism,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8 was made by new process even though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4 had the process of revision. But I think that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8 was the revised constitution of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4 based on the deci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of 1948 on July 7, 1948, the same Article 1 of two Constitutions(the Korean Constitution of 1919 and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8) and the similar formation of two Constitutions, etc.

      • KCI등재

        민주공화주의에 대한 헌법적 고찰

        신용인(Shin, yong-in)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법학논총 Vol.28 No.3

        우리 헌법은 제1조 제1항에서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민주공화국은 대한민국이라는 정치공동체의 국가형태로서 헌법의 본질적 내용을 이룬다. 그러나 민주공화국의 구체적 의미와 내용에 대해서는 견해가 분분하다. 역사적으로 살펴보면 구한말 ‘민주’와 ‘공화’의 개념을 처음 수용할 때 민주공화국을 군주국과 대립되는 개념으로 그 의미를 협소하게 이해했다. 임시정부 시기에는 민주공화국 개념이 정치적균권, 경제적 균부, 교육적 균지를 내용으로 하는 삼균주의를 이념적 기반으로 하는 나라를 뜻하는 차원으로 확장되었다. 해방 이후에는 민주공화국의 ‘민주’는 정체를 ‘공화’는 국체를 규정한 것이라고 풀이하는 것이 주류 견해였고, 인민민주주의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용되며 권력분립이 강조되었다. 유신헌법시대에는 민주공화국이 국가기강과 도의의 확립, 멸사봉공의 정신, 그리고 국민적 단결이 요구되는 개념으로 변질되었다. 그 후 2000년대에 들어서게 되자 공화 개념을 중심으로 민주공화국의 의미를 새롭게 규명해 보려고 하는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민주공화국이란 민주주의와 공화주의를 양대 이념으로 하는 국가로 본다. 즉 민주주의란 정치형태로서의 국민주권과 정치이념으로서의 인간의 존엄을 본질로 하는 이념으로, 공화주의란 법치, 비지배 자유, 시민적 덕성등 공화적 요소의 구현을 통해 인간의 존엄을 실현하려는 이념으로 각각 정의한 다음, 민주공화주의란 법치, 비지배 자유, 시민적 덕성을 바탕으로 국민주권을 올바르게 실현함으로써 헌법상의 최고이념인 인간의 존엄을 구현하고자 하는 이념이라고 통합적인 정의를 시도했다. 한편, 우리 헌법상의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는 헌법 제1조 제1항 및 민주공화주의와 조화롭게 해석할 필요가 있다는 전제 하에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서의 자유는 간섭의 배제를 뜻하는 소극적 자유나 자기실현을 뜻하는 적극적 자유가 아니라 공화주의에서 말하는 비지배 자유라고 보고, 자유민주적 기본질서 또는 민주적 기본질서라는 용어는 모두 공화민주적 기본질서로 바꾸는 것이 헌법의 체계성에 합치된다고 본다. 우리 헌법상 민주공화주의의 기본요소로는 정치적 기본권의 보장, 국민주권, 선거제도, 의회제도, 복수정당제도, 권력분립, 사법권의 독립, 지방자치제도 등을 들 수 있다. Article 1, Section 1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states that “The Republic of Korea shall be a democratic republic.” The idea of democratic republic forms the core content of the Constitution, but different views have been presented about its concrete concept and meaning. Historically, when the concept of the democratic and the republican was first introduced in Korea in the late 19th century, it was understood as the opposite of a monarchy. In the era of the Interim Government, its concept was extended to refer to a state with Three Principles of Equality (which indicates a state based on political equality, economic equality, and educational equality). After Liberation of Korea in 1945, ‘democratic’ of the democratic republic mainly referred to a political system while ‘republic’ referred to a national system. At this period, a democratic republic was contrasted with a people’s democracy, with emphasis on division of powers. In the era of Yushin Dictatorship, the concept of the democratic republic turned into a governance tool, demanding law and order, national solidarity, among others. In 2000s, new attempts have been made to examine the meaning of a democratic republic in terms of the concept of a republic. This study views a democratic republic as a state built on the two ideologies, democracy and republicanism; democracy is the ideology in which national sovereignty is an essential political system and human dignity is an essential political philosophy. Republicanism is the ideology which accomplishes human dignity through rule of law, freedom as non-domination, and civil moral character. Democratic republicanism is the ideology which accomplishes human dignity (the highest value of the Constitution) through realization of national sovereignty with implementation of rule of law, freedom as non-domination, and civil moral character. In addition, the meaning of freedom in the principles of freedom and democracy in the Constitution should be translated in harmony with the democratic republicanism. The freedom is not a passive freedom nor a positive freedom, but freedom as non-domination. The constitutional law should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the ideology of the Democratic Republic and for the basic conditions of democratic republicanism. Elements of the democratic republic in our constitution are guaranteed political rights, national sovereignty, electoral system, parliamentary system, plural political party system, check and balance of powers, local autonomy system, judicial independence, and others.

      • KCI등재

        중요사항별로 살펴본 헌법전사

        허완중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법학논총 Vol.41 No.3

        Constitutional history generally takes as a starting point the enactment of the constitution in the modern meaning, which contains content on the protection of basic rights and separation of powers. The Constitut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corresponds to the constitution in the modern meaning. Therefore, the history of the Korean constitution must be traced back to at least April 11, 1919, when the Provisional Charter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enacted. The historical process directly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the constitution in the modern meaning is called pre-constitutional history. In this respect, the pre-constitutional history is a link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constitution in the modern meaning. Joseon and the Korean Empire were tyrannical monarchies. However, on April 11, 1919, the Provisional Charter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drafted and the Republic of Korea was founded, and a democratic republic was proclaimed. There was a civil revolution that moved from empire to republic. Therefore, korean pre-constitutional history i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Republic of Korea as a democratic republic in which the subjects who have awakened to the people overcame the old system of secular politics. A constitutional code and a meaningful document containing constitutional matters are called a constitutional document. Contemporaneous thinking on the Constitution is expressed not only in the Constitutional Code, but also in various forms of documents. In this respect, constitutional documents are useful guides for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the Constitution, especially the pre-constitutional history. Several constitutional documents are related to the pre-constitutional history. The country's name,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determination of the people and territory, and expresses the basic character of the country, was confirmed as the Republic of Korea through Joseon and the Korean Empire. The Republic of Korea refers to a country for all people, composed mainly of the korean nation. The form of state established by the Constitution was established as a democratic republic from the Provisional Charter of the Republic of Korea in 1919 and maintained until now. Republicanism emerged in earnest after efforts to change the tyrannical monarchy into a constitutional monarchy failed, overcoming the challenge of bluntism and becoming the basic principle of the Constitution. The subject of constitutional enactment emerged as the people built the Republic of Korea after a long struggle. The state domain is the basis of the people's living and the spatial scope of the state's power. Joseon and the Korean Empire did not give up their territories even in the face of constant threats and invasions from powers, so the terri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inherits the original territories of Joseon and the Korean Empire. The constitution in the modern meaning was enacted to guarantee the freedom and rights of the people. In Korea, the concept of equality has traditionally emerged, and the people have constantly fought for the abolition of the class system and realized it. And the concept of freedom imported from the West was immediately understood and put into practice. So, when the Provisional Charter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drafted, freedom and rights were specifically stipulated. Therefore, when the Provisional Charter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enacted, freedom and rights were stipulated in detail.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after several attempts to establish a government in exile and a provisional government. 헌법사는 일반적으로 기본권 보호와 권력분립에 관한 내용을 담은 헌법인 근대적 의미의 헌법 제정을 출발점으로 삼는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헌법은 근대적 의미의 헌법에 해당한다. 따라서 한국 헌법사는 최소한 대한민국 임시헌장을 제정한 1919년 4월 11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근대적 의미의 헌법 제정과 직접 관련이 있는 역사적 과정을 헌법전사라고 한다. 이러한 점에서 헌법전사는 근대적 의미의 헌법 제정 이전과 이후를 연결하는 고리이다. 조선과 대한제국은 전제군주국이었다. 그런데 1919년 4월 11일 대한민국 임시헌장을 만들고 대한민국을 건국하면서 민주공화국이 선포되었다. 제국에서 공화국으로 넘어가는 시민혁명이 일어난 것이다. 따라서 한국 헌법전사는 전제군주정 아래에서 삼정문란을 가져온 세도정치라는 구체제를 어떻게 극복하고 인민으로 각성한 신민이 민주공화국인 대한민국을 세우는 과정이다. 헌법전과 헌법사항을 담은 의미 있는 문서를 아울러 헌법문서라고 한다. 헌법에 관한 당대의 사고는 헌법전뿐 아니라 다양한 형식의 문서로 결집하여 표출되기도 한다. 이러한 점에서 헌법사, 특히 헌법전사를 이해하는 데 헌법문서는 유용한 길잡이가 된다. 헌법전사와 관련이 있는 헌법문서에는 혁신정강 14조, 12개 폐정개혁안, 홍범 14조, 헌의 6조, 국태민안・칙어, 대한국 국제, 성명회 선언서, 대동단결선언, 무오독립선언서, 2・8 독립선언서, 3・1 독립선언서 등이 있다. 국민 및 영토 확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나라의 기본성격을 표현하는 국호는 조선과 대한제국으로 거쳐 대한민국으로 확정되었다. 대한민국은 한민족을 중심으로 구성된 국민 모두를 위한 국가를 가리킨다. 헌법이 창설하는 국가 형태는 1919년 대한민국 임시헌장부터 민주공화국으로 확정되어 지금까지 유지된다. 공화주의는 전제군주제를 입헌군주제로 바꾸려는 노력이 무산되고 나서 본격적으로 등장하여 복벽주의의 도전을 물리치고 헌법의 기본원리가 되었다. 헌법을 만들고 고치는 주체는 인민으로 각성한 신민이 오랜 투쟁 끝에 시민으로 각성하고 나서 대한제국이 국가로서 기능하지 못하면서 나타난 자연상태를 민족으로 뭉쳐 극복하여 대한민국을 건설하면서 국민이 되어 나타났다. 국가영역은 국민이 사는 토대이면서 국가권력이 미치는 공간적 범위이다. 조선이 청나라와 백두산정계비를 세운 이후에 조선과 대한제국은 열강의 끊임없는 위협과 침략 속에도 영토를 조금도 포기하지 않아서 대한민국의 영토는 조선과 대한제국의 고유영토를 그대로 계승한다. 근대적 의미의 헌법은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보장하려고 제정되었다. 한국에서는 전통적으로 평등 개념이 등장하여 인민이 끊임없이 신분제 폐지를 위해서 싸워 실현하였다. 그리고 서양에서 수입한 자유 개념도 곧바로 이해하여 실천하는 데 이르렀다. 그래서 대한민국 임시헌장을 만들 때 자유와 권리가 구체적으로 규정되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광무 황제(고종)의 7차례 국내 망명 시도에 이은 국외 망명정부 시도와 미주에서 싹튼 임시정부 수립 노력이 발전적으로 결합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