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방기본법의 입법 개선 방안

        김원중 한국토지공법학회 2024 土地公法硏究 Vol.105 No.-

        국문초록 「소방기본법」은 목적으로 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 그리고 공공복리증진을 규정하고 있다. 소방기관의 소방사무는 그 목적을 단순히 소극적인 목적에서 벗어나 공공복리증진을 위한 적극적인 행정까지 그 사무 범위로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소방사무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을 정하고 있는 것이 「소방기본법」이다. 소방사무에 대하여 소방법은 1958년 제정된 후 소방환경 변화에 따라 2004년「소방기본법」으로 입법 개정되었다. 「소방기본법」으로 개정된 후 구조 및 구급에 대한 사항은 2011년 별도의 법률 제정으로 기본법에서 내용이 삭제되었다. 또한, 의용소방대의 경우는 의용소방대에 대한 개별 법률 제정으로 2014년 삭제되었으며, 화재의 예방과 경계 그리고 화재의 조사는 2021년 별도의 법률 제정으로 삭제되었다. 이처럼 「소방기본법」은 관련 규정들이 별도의 법률로 분법화 되고 필요에 따라 개별 조항들을 삽입함에 따라 기본법으로서 성격 외에 다양한 성격을 가지게 되는 입법체계 상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소방기본법」은 소방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만을 규정하여야 하나, 법률 내용의 분법화로 인한 삭제와 필요에 따른 추가 규정을 삽입함에 따라 기본법 성격 외에 개별적인 작용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소방기본법」이 기본법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입법적 체계 정당성의 한계와 기본법의 법적 성격의 범위를 벗어난 조직과 작용에 관한 규정들이 재정립되어야 한다. 입법체계 정립을 위해서는 「소방기본법」이 가지는 한계인 체계적 정당성 부재를 개선하여 기본법으로서 작용할 수 있게 법률 재정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방기본법」이 가지는 입법적 한계를 분석하여 입법적 체계 정당성 확보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Basic Law on Fire Protection stipulates that the purpose is to maintain public safety and order, and to promote public welfare. The scope of the firefighting affairs of the firefighting agency goes beyond the mere passive purpose and includes active administration for the promotion of public welfare. The Basic Law on Fire Protection stipulates the basic matters for firefighting affairs. The Fire Protection Act was enacted in 1958 and was legislated and amended in 2004 as the "Basic Act on Fire Protection"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firefighting environment. After it was amended to the "Basic Act on Fire Protection", the contents of the Basic Law on rescue and ambulance were removed from the Basic Law by a separate law in 2011. In addition, the case of the volunteer fire brigade was deleted in 2014 with the enactment of the Volunteer Fire Brigade Act, and the prevention and warning of fires and the investigation of fires were deleted by a separate law in 2021. As such, the "Basic Law on Fire Protection" has limitations in the legislative system that has various characteristics other than the nature of the basic law as the relevant regulations are divided into separate laws and individual provisions are inserted as necessary. The "Basic Law on Fire Protection" is supposed to stipulate only basic matters related to firefighting, but due to the deletion of the contents of the law and the insertion of additional provisions as necessary, it stipulates matters related to individual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nature of the Basic Law. Therefore, in order for the Basic Law on Fire Protection to function as a basic law, the limits of the legitimacy of the legislative system and the provisions on organization and operation that are beyond the scope of the legal nature of the Basic Law must be redefined. In order to establish a legislative system, it is necessary to redefine the law so that it can function as a basic law by improving the lack of systematic legitimacy, which is a limitation of the "Basic Law on Fire Protection".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legislative limitations of the 「Basic Law on Fire Protection」 and suggests improvement measures to secure the legitimacy of the legislative system.

      • KCI등재

        장애관계법령 체계화 방안-장애인기본법 제정 방안을 중심으로-

        전동일,임재현,원종필 사회복지법제학회 2018 사회복지법제연구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systemize disability related laws through the Basic Act on the disabled and includes the basic principles, directions and spirit of the law so that the state can effectively manage the social risks of disability. The results of study first, It is appropriate to accommodate the Basic Law system in systematizing disability related laws because that the Basic Law announces the direction of the major institutions and policies of the state, has a legal nature that directs the revision guidelines of individual laws. Second, It divided into narrow and broad disability related laws, described status and systematization of disability-related laws. Third, By analyzing the constitution system of the Basic Law, the Basic Law for the Disabled was composed Article 47, Chapter 6, and to have a higher legal character covering the disability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under the Constitution. Last, as a measure to improve disability related law, the basic legal nature of the contents of the Welfare Act for the Disabled is transferred to the Basic Law for the Disabled or reclassify to disability related laws. The remaining provisions, it proposes to enact the 「Act on Supporting the Independence for the Disabled」 and the 「Act on Advocating the Rights for the Disabled」. The meaning of the study, first, through the enactment of the Basic Act for the Disabled, it can be presented of the systematization of disability related laws and the directions and criteria of individual disability related laws. Second, it clearly clar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sability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through a un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Basic Law for the Disabled. Third, the Basic Law for Disabled will help to eliminate the barriers to the disabled in society, and to participate in society and to realize independence living for the disabled as an equal entitlement to the non-disabled. 본 연구목적은 「장애인기본법」 마련을 통해 장애관계법령을 체계화하고 국가가 장애라는 사회적 위험을 효과적으로 관리⋅대응할 수 있도록 법의 기본원칙과 방향, 정신을 담는데 있다. 연구결과 첫째, 기본법은 국가의 주요한 제도 및 정책의 방향성을 천명하고, 개별법의 제⋅ 개정 지침을 지시하는 법적 성격을 갖고 있어 장애관계법령 체계화에 기본법 체계를 수용하는것이 적합하다. 둘째, 장애관계법령을 좁은 의미의 장애관계법령과 넓은 의미의 장애관계법령으로 구분하고, 장애관계법령의 현황 및 체계화를 기술하였다. 셋째, 기본법의 구성 체계 분석을 통해 「장애인기본법」을 제6장 제47조 구성하였고, 헌법 아래 장애관계법령을 아우르는 상위법적 성격을 갖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장애인기본법」 제정에 따른 장애관계법령 정비 방안으로 「장애인복지법」의 내용 중 기본법적 성격은 「장애인기본법」으로 이동하거나 장애관련개별법으로 재분류하고, 나머지 조항들은 「장애인자립지원법」과 「장애인권익옹호법」을 대체입법으로 제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장애인기본법」의 제정을 통해 장애관계법령의 체계화와 장애관련개별법의 제⋅개정 방향과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둘째, 「장애인기본법」을 토대로 한 일원화체계를 통해 장애관계법령 간의 관계를 명료하게 정리하였다. 셋째, 「장애인기본법」을 통해사회전반에 걸친 장애인에 대한 장벽 제거 및 비장애인과 동등한 권리주체자로서 장애인 당사자의 사회참여와 이를 통한 자립생활 구현에 도움이 될 것이다.

      • KCI우수등재

        입법체계상(立法體系上) 기본법의 본질에 관한 연구 -일본의 기본법을 중심으로-

        박정훈 ( Jeong Hun Park ) 법조협회 2009 法曹 Vol.58 No.12

        Korea has adopted Japanese legislation of the basic act, and there are lots of laws named as basic act. Basic act in Japan, in general, means a form of law that has exceptional standing and legal effect compared by general law. Moreover, law named as basic act provides a basic guideline, a principle, a plan, a standard, a summary, and it has a fixed, common feature: law as an intermediary. Thus, the basic act has the purpose to connect the constitution and individual law, and it has a role to give a concrete form to the constitution. The constitution and basic act complement each other. The background of the basic act in Japan had arisen from the legislation policy to establish law and order by stages where Japan had the only constitution after the war, and there were no law in detail. Therefore, the basic act in Japan provides an ideology on the state system and policy, a basic guideline, and it provides that the government forces to do by its basic guideline. What is more, the basic act consists of elements to enforce administrative policy complying the purpose and content of the basic act. Thus, the basic act has the same, legal status as other laws since both the basic act and others are law. However, in practice, the basic act has a superior standing as a mother law since it suggests a directivity of policies in the said field, and it directs and induces other laws and administration. Furthermore, in the practice of Japanese policy of legislation, the principle of superiority of the basic act has established as a certified custom of legislation. Moreover, Korean legislation of the basic act is similar to one of the basic act in Japan. However, in addition to the purity as policy legislation in Japan, Korean basic act provides elements of regulation as applicant law. Thus, the basic act in Korea has the problem in the vagueness for the purpose of legislation, and loss of meaning as policy legislation by the provisions of regulation as a method. This dissertation concentrates on reviewing Japanese legislation of the basic act in the field of formality and content of provisions, a legal status, and the relationship with other laws to examine the problem of the basic act in Korea as a form of legislation, and grope for directivity to reform legislation.

      • KCI등재

        스포츠기본법 비교 연구

        손석정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4 스포츠와 법 Vol.17 No.3

        In order to promote a stable of sports policy, which is one of the main policy of the country, Sports Basic Law, which can be discipline systematically related laws which it is the legal basis must be establish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that can help to legislation sports Basic Law. Results for legislation of Physical Education Basic Law, was compared with the discussion of the basic law of the sport in Japan, it was concluded the following. First, Sports Basic Law of Japan and Physical Education Basic Law of Korean were differences in the name of the law, but the content was not able to find a big difference. Second, Korea while the method you chose to enact a new law, Japan adopted a method to amend all the sports promotion method. Third, Japan was approached in a bipartisan manner for the enactment of the Basic Law, but Korea failed to consensus for legislation in the initiative of members of a small number of ruling party affiliation. Therefore, we must also consider proposal to ensure the legal status all through the revision of the National Physical Education Promotion Act for the legislation of Physical Education Basic Law. In addition, it is not among the members belonged to the party of initiative, access to legislative initiative of government must also be considered.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의 스포츠 역할은 확대되고, 스포츠정책 비중은 커지면서 이에 따른 스포츠관련법도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국가 주요정책의 하나인 스포츠정책의 안정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그 법적 기반이 되는 관련 법률을 총괄하고 체계적으로 규율할 수 있는 스포츠기본법이 제정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스포츠기본법 입법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현재 국회에 발의되어 있으나 입법화가 다소 불투명한 체육기본법의 성공적인 법제화를 위하여 일본의 스포츠기본법과 비교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 및 시사점을 얻었다. 첫째, 일본의 스포츠기본법과 우리나라의 체육기본법은 법 제명에서 스포츠와 체육이라는 용어의 차이는 있었으나 그 담고 있는 내용에서는 큰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둘째, 법제정 방식에서 우리나라는 새로운 법률을 제정하는 방식을 택한 반면에 일본은 스포츠진흥법을 전부 개정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셋째, 일본은 스포츠기본법 제정을 위해 초당파적으로 접근하였으나 우리나라는 집권당 소속의 소수 의원의 공동 발의로 입법화를 위한 공감대 형성에 실패하였다. 체육기본법의 성공적인 입법화를 위해서는 새로운 법률을 제정하기 보다는 국민체육진흥법의 전부 개정을 통하여 기본법적 지위를 확보하는 방안도 검토되어야할 것이다. 또한 현 시점에서 초당파적 접근이 어렵기 때문에 특정당 소속의 의원발의보다는 상대적으로 여야 의원들의 공감대를 형성하기 쉬운 정부 입법 발의로의 접근도 고려되어야 한다.

      • KCI등재

        기초법학의 의의와 필요성

        양천수 한국법철학회 2022 법철학연구 Vol.25 No.1

        Recently, voices are heard everywhere that basic law is in crisis. In particular, it is convincingly argued that basic law may be in crisis because the next generation of academics in basic law will not grow properly. As a result, efforts are being made to rescue basic law from a crisis. However, if we look broadly, we will find that this is not just a problem with basic law. Beyond basic law, the crisis of law, the academic crisis, and the university crisis are argued throughout the academic and educational systems. If we look at the academic system about law as an example, the crisis is strongly mentioned in criminal law above all else. In other area of positive law, voices of crisis are also heard. A great crisis can be found across all academic disciplines and across the university. The following aspects also contributed to the crisis of law. Side effects appear as the law school system is operated differently from the original goal in South Korea. The most striking reality among these is that law education at law schools is subordinated to the bar exam. As the bar exam is strongly oriented toward practical ability, the negative effects of law education at law schools are emerging. Moreover, as a significant number of colleges or departments of law have been abolished or converted, the system for supporting the next academic generation is also facing a major challenge. As competition over the bar exam pass rate among law schools intensifies, the instrumental nature of law rather than its academic nature is highlighted again. A significant number of law professors at law schools have no choice but to focus more and more on education for passing the bar exam than on academic research on law. In this context, this article deals with what basic law is and why baㄴsic law is needed as part of responding to the crisis it faces. In particular, it demonstrates the usefulness of basic law from a theoretical and practical perspective. 최근 기초법학이 위기에 처해 있다는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린다. 특히 기초법학의 학문후속세대가 제대로 성장하기 못해 기초법학이 고사될 수 있다는 주장이 설득력 있게 주장된다. 그 때문에 위기에 처한 기초법학을 구해내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된다. 그런데 시야를 넓게 보면 이는 기초법학만의 문제가 아님을 발견한다. 기초법학을 넘어 법학의 위기가, 학문의 위기가, 대학의 위기가 학문체계 및 교육체계 전반에 걸쳐 주장된다. 법학을 예로 보면 무엇보다도 형법학에서 위기가 강력하게 언급된다. 기타 실정법학에서도 위기의 목소리가 들린다. 학문 전 분야에 걸쳐 그리고 학문을 가능케 하는 환경인 대학 전반에 걸쳐 위기가 닥치고 있다. 다음과 같은 측면도 법학이 위기에 처하는 데 기여하였다. 법학전문대학원 체제가 원래 추구했던 목표와는 달리 운용되면서 부작용이 등장하는 것이다. 그중 가장 눈에 띄는 현실로 법학전문대학원의 법학교육이 변호사시험에 종속되고 있다는 것이다. 변호사시험이 실무능력을 강하게 지향하면서 새로운 수험법학의 폐단이 나타나고 있다. 더군다나 상당수의 법과대학이 폐지 또는 전환되면서 후속세대 양성체계도 중대한 도전을 맞고 있다. 법학전문대학원 사이에서 변호사시험 합격률을 둘러싼 경쟁이 점점 치열해지면서 법학의 학문적 성격보다는 수단적 성격이 다시 부각된다. 상당수의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들은 법학에 대한 학문적 연구보다는 변호사시험 합격을 위한 교육에 더욱더 매진할 수밖에 없게 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 글은 기초법학이 처한 위기에 대처하는 일환으로 기초법학이란 무엇인지, 기초법학이 어떤 점에서 필요한지를 다룬다. 특히 기초법학이 이론적 차원과 실천적 차원에서 볼 때 어떤 점에서 유용한지 논증한다.

      • KCI우수등재

        중국의 기본법률과 비기본법률의 고찰

        이성연(Lee sungyeon) 한국공법학회 2020 공법연구 Vol.49 No.2

        중국의 법체계도 대륙법계 국가가 일반적인 체계와 같이 헌법, 법률, 행정법규, 지방성법규 등으로 법체계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입법권은 국민의 대표기관인 전인대가 행사한다. 중국은 전인대제도의 특성으로 인해서 입법권을 전인대와 전인대 상무위원회가 공동으로 행사한다. 따라서 법률도 기본법률과 비기본법률로 구분하여 전인대는 기본법률을 제정하고, 전인대 상무원회는 비기본법률을 제정한다. 기본법률은 중국특유의 사회주의 법률체계이고 중국의 법률형식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지위를 가지고 있다. 현행헌법과 입법법은 기본법률이라는 전문적인 개념을 사용하고 있지만, 기본 법률에 대한 명확한 개념정의, 기본법률의 범위 및 효력 등에 대한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 그 결과 전인대는 입법기관으로서의 주도적 지위를 상실하고, 전인대 상무위원회가 입법기관으로서의 주도적 지위를 실질적으로 행사하고 있다. 이는 법률의 민주적 정당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헌법 및 입법법의 개정을 통해서 기본법률의 개념, 범위, 성격 등을 명확히 확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중국의 입법체계상 전인대 상무위원회가 기본법률에 대한 보충과 개정을 하는 것은 불가피한 현상이다. 하지만 전인대 상무위원회의 과도한 개정권 행사로 인해서 최고권력기관인 전인대의 입법권이 침해되는 경우가 빈번이 발생한다. 따라서 전인대의 전인대 상무위원회에 대한 형식적 감독권을 실질화 시켜 전인대 상무위원회의 기본법률에 대한 개정권을 통제할 필요가 있다. The legal system of China is the same as that of the continental legal system. The legal system is formed by the constitution, law, administrative regulations, and local law, etc. And the legislative power is exercised by the NPC, the representative body of the people. In China, due to the nature of the NPC system, legislative power is jointly exercised by the NPC and the NPC Standing Committee. Therefore, the law is divided into basic law and non-basic law, and the NPC enacts basic laws, and the NPC Standing Committee enacts non-basic law. The basic law is China’s unique socialist legal system and has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China’s legal form. The current constitution and legislative law use the professional concept of basic law, but they do not mention a clear definition of the concept of basic law and the scope and effect of basic law. As a result, the NPC has lost its leading position as a legislative body, and the NPC Standing Committee is actually exercising its leading position as a legislative body. Thi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mocratic legitimacy of the law.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concept, scope, and character of the basic law through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and legislation. In addition, it is an inevitable phenomenon for the NPC Standing Committee to supplement and amend basic laws under the legislative system of China. However, the legislative power of the NPC, the highest authority, is often violated due to excessive exercise of the right to amend by the NPC Standing Committe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right to amend the NPC standing committee by converting the formal supervision to actual supervision of the NPC.

      • KCI등재

        희년법 원리의 제도적 구현 가능성에 관한 小考- 기본소득 제도를 중심으로

        조혜신 기독교학문연구회 2018 신앙과 학문 Vol.23 No.3

        Today, we cannot but turn our eyes to the Jubilee law of the Bible as a source of inspiration for our society to face situations such as unemployment, debt, poverty, exploitation. However, I think it is time for us to find a way to implement the idea of ​​the Jubilee law in our laws and institutions more effectively and in a more adequate way by adopting a different approach from the past in applying this Jubilee law to reality. The norm-addressee of Jubilee law is limited to the Israelite covenant community, and the legitimacy and effect of the law is fully secur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rm-maker and the norm-addressee, t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od and the Israelite covenant community. In this respect, attempts to universalize the Jubilee law only in its content are bound to have limitations, and thus, the spirit of the Jubilee law can still be meaningful today, only when applying, in addition to its contents, the principles of relationship and community responsibility, which are the premise of this norm. The logical consequence of the earlier discussion of seeking the contact between the Jubilee law and modern law is that there is not much room for contact between the two. Rather, considering the message given to the world of today by the Jubilee Law, I think the contact is the “restoration of lost relationship”. The relationship will refer to the totality of the whole relationship that human beings make with other human beings, the family, the region, the nation, and various levels of community, nature, and ultimately Creator God. And there will be a modern significance of the Jubilee Law in making progress in the direction of reviving the relationship of care and responsibility. As the basic income system challenges the fundamental limitations of the existing capitalist economic system and legal system, it is obvious that it mirrors the Jubilee Law in terms of its fundamental and reformational character of imagination. In other words, the basic income system is likely to be an attempt to systematically restore the community solidarity among members law and the relativity of ownership to shared assets of human beings, making it worthy of discussion and reflection. Of course, in the introduction of basic income,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 Jubilee Law and the Modern Law is obvious. Especially, the institutionalization of basic income does not keep pace with the existing legal system which has been established based on the rights and duties of ‘labor’, and furthermore, particularly with the work ethics of Christian Reformers that still have a profound influence to this day. This could also be a part of the difficulty of the institutional practice of the Jubilee Law. However, by thoroughly examining social and economic norms based on the Bible's genuine teachings, and by continuously seeking insights into the nature and structure of this era, I hope that we can find a direction for Christian practice. 오늘날 우리 사회가 처한 상황, 즉 실업, 부채, 빈곤, 착취 등을 보건대, 이를 타개할 영감의 원천으로서 성경의 희년법에 눈을 돌리지 않을 수 없다. 다만 이 희년법을 현실에 적용하는데 있어서 종래와는 다른 접근방식을 취함으로써, 좀 더 실효적이면서도 적실하게 우리의 법과 제도에 희년법의 이념을 구현해 나가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시점이 아닌가 생각한다. 희년법은 이스라엘의 언약공동체로 그 수범자가 제한되며, 이 법을 제정하고 이를 부여받은 제정자와 수범자의 특징, 즉 하나님과 이스라엘 언약공동체라는 관계성으로부터 그 규범의 정당성과 효력이 온전히 확보되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희년법을 오로지 그 내용적 측면에서 보편화시키고자 하는 시도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으며, 그 내용과 더불어 이 규범의 전제가 되는 관계성과 공동체 책임의 원리를 함께 적용할 때 희년법의 정신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의미할 수 있는 것이다. 희년법과 근대법 사이의 접점을 모색해 보고자 한 앞서의 논의에 대한 논리적 귀결은 바로 양자 사이에서 접점을 모색할 수 있는 여지는 그리 크지 않다는 것이다. 오히려 희년법이 오늘의 세계에 주는 메시지를 생각해 보면, 그것은 바로 ‘상실된 관계성의 복원’이 아닐까 생각된다. 그 관계성은 인간이 다른 인간, 그가 속한 가족, 지역, 국가 등 다양한 층위의 공동체, 자연 등,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창조주 하나님과 맺는 전면적 관계의 총체를 가리킬 것인데, 여기에서 돌봄과 책임을 주고받는 관계성을 되살리는 방향으로의 진전이 있도록 하는 것에 희년법이 갖는 현대적 의의가 있을 것이다. 희년법은 그 제정자와 수범자, 그리고 수범자 상호간의 ‘관계성’을 전제로, 공동체적 연대, 책임, 돌봄을 규범화 혹은 제도화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비록 오늘날의 근대법이 그 전제에 있어서 희년법과 접점을 모색하기 어려울만큼 거리를 두고 있지만,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근대법에 정초한 이 시대의 병폐는 그 전제를 전복하는 것에서부터 치료가 모색되어야 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이러한 점에서 기본소득 제도는 기존의 자본주의적 경제체제와 법체계가 갖는 근본적 한계에 도전하고 있기에, 그 상상력의 근본성과 개혁성에 있어서 희년법을 투영하는 측면이 분명히 있어 보인다. 즉, 기본소득 제도는 근대법에서 간과되고 있는 구성원간 공동체적 연대성, 그리고 전인류의 공유자산에 대한 소유권의 상대성을 제도적으로 복원하는 시도가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토론과 고민의 가치가 충분하다 하겠다. 물론 기본소득의 도입에 있어서도, 희년법과 근대법 사이의 근본적 상이 혹은 충돌은 여실히 드러난다. 특히, 기본소득의 제도화는 노동의 권리와 의무를 중심으로 구축된 기존의 법체계, 특히 사회복지체계와 정합하지 않을 뿐 아니라, 오늘날까지도 기독교 윤리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 종교개혁자들의 노동윤리와도 긴장이 발생한다. 이 또한 희년법의 제도적 실천이 주는 어려움의 한 가지 양상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성경의 가르침에 근거한 사회경제적 윤리 혹은 규범에 대한 철저한 연구, 동시에 이 시대의 본질과 구조에 대한 통찰을 지속적으로 추구함으로써, 기독교적 실천에 대한 방향성을 찾아나갈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독일 기본법 제104b조의 연방의 주에 대한 재정지원에 대한 검토

        박진완 韓國憲法學會 2013 憲法學硏究 Vol.19 No.2

        Article 91a paragraph 1 in the German Basic Law enumerates improvement of regional economic structure as one of joint tasks (Gemeinschaftsaufgaben) which is very important for the whole country und federal financial aid to states for making better living relation is required: "In the following areas the Federation shall participate in the discharge of responsibilities of the Länder, provided that such responsibilities are important to society as a whole and that federal participation is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joint tasks): 1. improvement of regional economic structures. preservation". In addition to it article 104b paragraph 1 in the German Basic Law mentions as follows "To the extent that this Basic Law confers on it the power to legislate, the Federation may grant the Länder financial assistance for particularly important investments by the Länder and municipalities (associations of municipalities) which are necessary to". It refers these three characteristics as reasons to Federal financial aid to states: "1. avert a disturbance of the overall economic equilibrium; 2. equalise differing economic capacities within the federal territory; or 3. promote economic growth". Article 104b Paragrah 1 sentence 2 regulated as Financial assistance without legislative powers (Gesetzgebungsbefugnis) in Emergencies "In deviating from the first sentence, the Federation maygrant financial assistance even outside its field of legislative powers in cases of natural disasters or exceptional emergency situations beyond governmental control and substantially harmful to the state's financial capacity". In Germany as federal State matter of improvement of states economic structures and federal financial help to states are provided as joint tasks in the constitutional law in the constitutional law. it sets forth the compentence of parliament to enact relevant law. South Korea is not a federal state but a unitary state. Article 123 paragraph 2 in the Korean Constitutional Law refers the duty of central government to improve of regional economic sturucture. For the meaningful study on improvement of regional economic strutures as a matter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it is necessary for us to take a comparative law analysis on federal financial assistance for investments to states according to article 104b in the German Basic Law. 제2006년에 기본법에 도입되고, 2009년에 개정된 기본법 제104b의 규정은 개정전의 기본법 제104a조 제4항을 구체화한 것이다. 이전의 기본법 제104a조 제4항은 1969년의 재정개혁(Finanzreform)의 구성요소로서 도입되었고, 당시에 논의의 대상이 되었다. 2006년의 연방주의개혁(Föderalismusreform)과 관련하여 그 당시의 기본법 제104a조 제4항의 본질적 내용들을 계속 수용하는 형태로 제104b조가 독자적인 규정으로 제정되었다. 따라서 기본법 제104b조는 연방주의 개혁 I(Föderalismus I)의 범위 내에서 이전의 기본법 제104a조 제4항의 중요한 본질적 내용을 그대로 수용하면서 독자적 규정으로 새롭게 제정된 것이다. 따라서 이전의 규정에 대한 비판은 새롭게 제정된 기본법 제104b조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기본법 제104b조의 연방의 재정적 지원은 무엇보다도 혼합행정(Mischverwaltung) 그리고 혼합재정(Mischfinanzierung)의 가능성, 주의 독자성의 상실의 위험, 공동체 업무의 비이성적이고 비효율적인 처리, 주의회의 배제의 위험 등과 같은 비판을 야기한다. 연방의 재정적 지원은 기본법 제104a조 제1항의 상호관련성 원칙(Konnexitätsgrundsatz)의 예외인 기본법 제104a조 제2항의 위임행정(Auftragverwaltung) 그리고 제3항의 재정지원법률들(Geldleistungsgesetze)과 별도로 인정되는 다른 예외의 형태이다. 따라서 이 규정은 연방이 자신의 업무영역(Aufgabengebiet)에 속하지 않는 분야에 대하여 자금지원자(Geldgeber)로서 행위하는 것을 금지하는 기본법 제104a조 제1항의 규정내용에 대한 예외적인 허가적 성격을 가진다. 개정전의 기본법 제104a조 제4항을 근거로 한 이 권한은 아주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통제되지 않고, 책임이 남발되는 정치적 관련성 때문에 이 규정은 자주 많은 비판의 대상이 되었고, 심지어 개별적으로 이 규정의 헌법위반성까지도 고려되었다. 이전의 기본법 제104a조 제4항을 새롭게 개정한 기본법 제104b조의 새로운 조항으로의 헌법개정의 목적은 이러한 연방의 재정적 지원의 확산에 대한 한계설정이다. 따라서 새로운 개정조항에 의한 연방의 재정적 지원의 전제조건은 보다 더 엄격하게 규정되었다. 이전의 기본법 제104a조 제4항과 비교해 볼 때 나타나는 새로운 규정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연방은 자신이 입법권한(Gesetzgebungsbefugnis)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만 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방이 지원하는 업무와 관련하여 최소한 자신이 이에 대하여 입법권한을 가져야 한다는 재정적 지원의 부가적 전제조건은 특별한 의미가 없다. 왜냐하면 연방은 기본법 제104b조 제1항의 요건이 충족되면, 연방은 주의 관할(Zuständigkeit)에 속하는 행정행위에 대해서도 지원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방의 입법권한을 요구하는 재정적 지원의 한계설정 요구 외에도 또한 재정적 지원은 기간을 정해서 행해서 매년마다 감소되는 형태로 행해져야만 하고, 기본법 제104b조 제2항에 의하여 정기적인 시간적 간격을 두고 심사를 받아야 한다. 더 나아가서 기본법 제104b조 제3항은 연방의회, 연방정부 그리고 연방참의원이 조치의 실행에 대한 요구 그리고 목적한 개선에 대해서 보고받을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본질적인 내용에 있어서 개정전의 제104a조 제4항 제1문에 상응하는 제104b조 제1항 제1문에 의하면, 전체경제의 균형의 교란을 방지하기 위하여(제1호), 연방의 전영역에 있어서 서로 다른 경제력의 조정을 위하여(제2호) 혹은 경제적 성장의 증진을 도모하기 위하여 재정지원이 보장되어야만 한다(제3호). 이러한 목적에 구속된 재정적 지원의 범위의 속하는 전체경제의 균형의 교란을 방지하기 위한 (기본법 제104b조 제1항 제1호) 대부분 단기간의 지원은 중요한 경기조정기능(konjunktursteuernde Funktion)을 수행한다. 이에 반해서 기본법 제104b조 제1항에 규정된 두 개의 다른 목적들(제2호 서로 다른 경제력의 조정; 제3호 경제적 성장의 증진)을 실현하기 위해서 행해지는 대부분의 장기간의 재정적 지원은 오히려 국가전체의 구조정책(Strukturpolitik)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연방의 재정적 지원 권한의 한계설정은 결과적으로 연방이 자연적 재해의 경우 혹은 그 이외의 나머지의 주의 비상적인 긴급상황에 대해서 더 이상 재정적 지원을 할 수 없도록 만들었다. 2009년 연방주의 개혁 II(Föderalismusreform II)의 영역 속에서 비상상황에 있어서 연방의 입법권한의 전제조건을 다시 해제하는 예외규정(Ausnahmeklausel)을 기본법 제104b조 제1항 제2문에 삽입하는 형태로 헌법개정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기본법 제104b조 제1항 제1문과 다르게 연방은 자연재해 혹은 국가의 통제력이 상실된, 국가의 재정상황이 중대하게 침해되는 비상의 긴급상황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입법권한 없이 재정적 지원을 할 수 있다.

      • KCI등재

        지식재산 기본법의 평가 및 발전과제

        신지연(Shin, Jee-Youn)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과학기술과 법 Vol.2 No.1

        The enact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Basic Law(hereinafter "Law"), as implemented on 2011. 7. 20, is a symbolic event representing implementation of comprehensive policies on intellectual property in Korea. Prior to the Law, there has been limited coordination among different governmental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s in pursuing their intellectual property related policies and regulations. As intellectual property has become a subject of national strategic plan, the Law now declares that the Government build a national system for effectively creating, protecting, and utilizing intellectual property under common spirits and principles on intellectual property. As a tool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e Law, the Law obliges the Government to implement "Intellectual Property Basic Plan", a pan-government intellectual property policy plan. As is often the case with the laws entitled "basic law", however, the Law does not have a statutory legal effect of being applied over other laws. Although the Law can be logically placed above other laws in the field of intellectual property, no such higher effect is recognized under legal hierarchy or the Constitution. Therefor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Law is highly dependent upon a firm and substantial operation of "Council on Intellectual Property"(hereinafter "Council"). Since the Council is advisory in nature, its influence on policies or budgetary programs would be limited. To overcome those constraints would be challenges for the Council.

      • KCI등재

        실정법철학의 가능성과 방법: 민법학을 예로 하여

        양천수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22 法學論叢 Vol.29 No.1

        Recently, voices are heard everywhere that basic law is in crisis. In particular, it is convincingly argued that basic law may be in crisis because the next generation of academics in basic law will not grow properly. A great crisis can be found across all academic disciplines and across the university. The following aspects also contributed to the crisis of law. Side effects appear as the law school system is operated differently from the original goal in South Korea. The most striking reality among these is that law education at law schools is subordinated to the bar exam. As the bar exam is strongly oriented toward practical ability, the negative effects of law education at law schools are emerging. As a result, basic law, including the philosophy of law, was excluded from the bar exam subjects, and the philosophy of law is rapidly losing power in the law school system. In this crisis situation, how to restore the academic status of the philosophy of law is urgently discussed. Several approaches can be considered for this. This article proposes a new approach to the philosophy of law as one of them. Unlike the traditional philosophy of law, which approaches law based on philosophy, the new approach seeks a philosophy of law that is more friendly to positive law or precedent. As an example, this article refers to the ‘positive law philosophy’. Here, positive law philosophy can be defined as a sub-division of legal philosophy that explores the philosophy of law with positive law as the starting point. Positive law philosophy can be understood as a field of legal philosophy that examines the basic concepts, systems, and principles that positive law studies are based on. This article explores how positive law philosophy can be made possible by taking the discussion made in civil law as an example. In particular, the possibility of positive law philosophy is explored by analyzing the basic principles of civil law developed by civil law scholar professor Kwon, Youngjoon. Among them, this article examines what kind of argument the positive law philosophy uses through the question of whether the right to claim for injunction can be recognized in torts. Through this, one way to overcome the current crisis of the philosophy of law is explored. 최근 법철학을 포함하는 기초법학이 위기에 처해 있다는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린다. 특히 학문후속세대가 제대로 성장하기 못해 기초법학이 고사될 수 있다는 주장이 설득력 있게 주장된다. 그 때문에 위기에 처한 법철학을, 기초법학을 구해내고자 하는 노력과 시도가 진행된다. 법철학과 같은 기초법학이 위기에 처하게 된 이유로는 여러 가지를 언급할 수 있다. 법학전문대학원 체제도 한 몫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법학전문대학원 체제가 원래 추구했던 목표와는 달리 운용되면서 여러 부작용이 등장하는 것이다. 그중 가장 눈에 띄는 현실로 법학전문대학원에서 이루어지는 법학교육이 변호사시험에 심하게 종속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법철학을 포함한 기초법학이 변호사시험 과목에서 배제되면서 법철학은 법학전문대학원 체제에서 급속하게 힘을 잃고 있다. 이러한 위기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법철학의 학문적 위상을 복원할 수 있는지가 절박하게 논의된다. 이에는 여러 가지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글은 그중 한 가지로 법철학에 대한 접근 방법을 새롭게 모색하는 것을 제안한다. 철학에 기반을 두어 법학에 접근하는 전통적인 법철학과는 달리 실정법이나 판례에 더욱 친화적인 법철학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예로 이 글은 ‘실정법철학’을 언급한다. 여기서 실정법철학이란 실정법 또는 실정법학을 출발점으로 하여 실정법의 철학을 탐구하는 법철학의 하부 분과로 규정할 수 있다. 실정법철학은 실정법학이 기초로 삼는 기본 개념이나 체계, 원리 등이 무엇인지를 규명하는 법철학의 분야로 이해할 수 있다. 요컨대 법철학과 같은 기초법학이 아닌 실정법학 내부에서 자신에게 적합한 법철학을 모색하여 형성된 것이 실정법철학이다. 이 글은 민법학에서 이루어진 논의를 예로 하여 실정법철학이 어떻게 가능할 수 있는지를 모색한다. 특히 민법학자 권영준 교수가 전개한 민법학의 기본원리를 분석함으로써 실정법철학의 가능성을 탐구한다. 그중에서도 불법행위에서 금지청구권을 인정할 수 있는지에 관한 문제를 통해 실정법철학이 어떤 논증을 구사하는지 살펴본다. 이를 통해 현재 법철학이 처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한 가지 방안을 탐색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