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임금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도 변화궤적 연구

        전동일,서정민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2 장애와 고용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vertical effect of wages, work-site accommodation and ages on the employees with disabilities of job satisfaction trajectory. To the end, the trajectories of change in the employees with disabilities was explained through a latent growth model based on disabilities panel surveys using 3year data and the effects of wages, work-site accommodation and ages on the trajectories of change of the employees with disabilities of job satisfaction was reviewed. The imputation of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Job satisfaction has been changed over years and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s in the employees with disabilities of job satisfaction were statically significant. Predicting factors for the employees with disabilities of job satisfaction were reviewed a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wages and work-site accommodation significantly affected both initial level of the employees with disabilities of job satisfaction and change rate. On the other hand, it was indicated ages significantly affected initial level of the employees with disabilities of job satisfaction bu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change rate of the employees with disabilities of job satisfac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effect wages, work-site accommodation are relatively more important to the employees with disabilities of job satisfaction than ages. 임금근로 장애인의 연차별 직무만족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직무만족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임금과 배려 그리고 연령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잠재변화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직무만족도의 변화궤적을 살펴보기 위해 무조건 모델과 선형 모델을 비교하여 선형모델을 선택하여 분석한 결과, 임금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도 수준의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직무만족도는 모두 증가하되 격차는 시간에 따라 간격이 좁혀졌다. 둘째, 임금의 초기치와 변화율, 배려의 초기치와 변화율, 연령의 초기가 직무만족도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과 배려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증가하고, 변화율은 완만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 효과는 초기의 직무만족도 수준은 차이가 있었으나, 시간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변화를 가져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임금근로 장애인에게 단순한 일자리의 제공으로 주어지는 임금 보다는 전문 직종에 종사할 수 있도록 지원하거나 임금 보존 정책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 장애자녀를 둔 가족의 행복한 삶에 대한 연구

        전동일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9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2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자녀를 둔 가족의 행복을 종단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장애자녀를 둔 가족을 대상으로 행복한 삶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 횡단적 자료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장애인 가족의 행복에 대한 해석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애자녀를 둔 부모의 행복에 대해 종단적 분석을 통해 살펴보는 탐색적 시도를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장애자녀를 둔 가족 유형별 분포와 종단적 행복 수준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 과, 장애인 가구 유형은 단독가구(1인가구)의 급격한 증가(15.5%p 증가)와 2세대(6.2%p감소)와 3세대(5.6%p감소)의 감소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또한, 가구유형별 행복 수준은 단독가구가 일관되게 행복 지수가 낮게 나타났다. 가족구성별 행복 수준은 초기 조부모의 행복 수준이 낮았으나 최근 가족구성원간 행복 수준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장애 자녀를 둔 가족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 그를 통해 장애인 가족지원 사업이 진행되기를 희망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ally explore the well-being of families with disabled children. There were limitations in interpreting the happiness of disabled families, given that most studies of happy lives for families with disabled children were based on transversal data.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happiness of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through a final analysis. To this end, we looked at the distribution by type of family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level of ultimate happiness. The study showed that the types of disabled households showed a rapid increase (15.5%p increase) in single households, a decrease in second generation (6.2%p reduction) and third generation (5.6%p reduction). In addition, the level of happiness for each type of household was consistently low for single households. The level of happiness among family members was low in early grandparents, but the level of happiness among family members has not shown any difference in recent years. We hope to find a factor that affects the well-being of families with disabled children and to carry out a family support project for the disabled through him.

      • KCI등재후보

        정보통신산업기술분야 지체장애인 친화적 직종 개발 연구

        전동일,오봉욱,임재현,홍현근 한국장애인개발원 2018 장애인복지연구 Vol.9 No.2

        This study aims at developing new types of occupations in the industrial technology sector suitable for the disabled and discovering job tasks. The method was carried out to draw disabled-friendly occupations to use a literature search, focus group interview (FGI),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he disabled workers in the industrial technology sector and those responsible for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had a high demand on field-type training, project-type training, and online technical training as well as on introduction of coordinators in charge of such training. And they requested the system that provides field-type training within the company so that it can lead them to employment later on for further career, rather than establishing a separate institution. And, by AHP for drawing the disabled-friendly occupations in the industrial technology sector, IT & knowledged-based, suitability to perform, and availability of employment, and possibility of continuous work were selected as the components of the disabled-friendly occupations in the industrial technology; and 111 disabled-friendly occupations were drawn.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discussion in this study proposed plans to develop training course and contents, plans to provide career information and publicize, and plans. 본 연구는 사회 환경 변화에 따라 장애인에게 적합한 정보통신산업기술분야의 직종을 개발하고 근속가능성이 큰 직무를 발굴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문헌조사와 표적집단 면접조사(FGI), 계층분석법(AHP)을 통해 장애인 친화적 직종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정보통신산업기술분야에서 근무 중인 근로장애인과 직업재활 실무자들은 현장형 교육, 프로젝트형 교육, 온라인 기술교육 및 이와 관련된 코디네이터 도입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고, 교육훈련을 위한 별도의 기관 설립보다는 기업체내 현장형 교육이 실시되어 차후 채용으로 연결되어 경력을 쌓을 수 있는 방식을 요구하였다. 또한 정보통신산업기술분야 장애인 친화적 직종의 구성 요소는 IT·지식기반성, 수행적합성, 취업용이성, 근무지속성이 선정되었으며, 장애인 친화적 직종으로는 111개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교육과정 및 콘텐츠 개발 방안, 진로정보 제공 및 홍보방안, 활용을 위한 법제도 정비 방안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