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불교 부적의 확산과 다양화

        문상련,김연미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9

        In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24 to 26 kinds of talismans listed in “Jineon Jimmok” became the mainstream among Buddhist talismans. However, the “Gusasik” talisman from the Daoist scripture Okchu Gyeong was also used, likely a result of interactions between gyeongsaseung (monks in charge of reciting scriptures to dispel calamities) from Gwansanggam and doryu (Daoist practitioners affiliated with Sogyeokseo). Additionally, the seven kinds of “Chilseong Bu” (Talisman of the Seven Stars) listed in the Big Dipper Seven Stars Life-Extending Sutra, which originated from the Daoist scripture Taesang Nogun seol iksan sinbbu myeo gyeong, were included in ten publications starting with Jebanmun, published at Jungaes​a Monastery in 1560. This indicates that the “Chilseong Bu” originating from Daoism were also used as Buddhist talismans from the 16th to 19th centuries. On the other hand, seventeen of the mainstream talismans were used in various combinations according to their purposes in Avalokitesvara worship, Pure Land Buddhism, the Bokjang ritual, and other ceremonies. In particular, the “Wangsaeng Jeongto Bu” (Talisman for Rebirth in the Pure Land) was widely used in Pure Land Buddhism, the Bokjang ritual, and writings on Buddhist rituals. Moreover, instances were found where Buddhist talismans were used in folk practices, or talismans originating from folk beliefs were later adopted as Buddhist talismans. For example, the Buddhist talisman “So Samjae Bu” was combined with “Sam Eung Samjae Bu,” and the “Mantra of Bo Bumo Eun,” originating from the Sutra on Deep Indebtedness to One's Father and Mother, was transformed into a talisman. Alongside the Dano talismans, talismans like “Jungbok Bangbeop Bu,” adopted from Daoism or folk beliefs, were used, demonstrating the diversification of Buddhist talismans in various forms and uses.

      • KCI등재

        대장경 소재 부적의 내용과 의미- [대정신수대장경] 중 부적 수록 문헌을 중심으로 -

        문상련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3 佛敎學報 Vol.- No.103

        본 논문은 [대정신수대장경] 중 부적이 수록된 문헌들을 검토한 것으로, 이를 통해 ‘정장(正藏)’ 중 10종의 문헌에 부적이 실려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12종의 문헌에 부적이 실려 있다”는 기존 견해를 수정한 것이다. 한편 10종 문헌의 세부적 검토를 통해 ‘정장(正藏)’ 가운데 90종의 부적이 실려 있음을 확인했는데, 이는 ‘부적 형태의 도상은 약 130여 종’이라는 기존 연구와는 차이점을 보이는 것이다. 이어 기존 연구에서 간과한 - [대정신수대장경] ‘일본 전래부’와 ‘도상부’에 대한 검토를 통해 총 6종의 문헌에 부적이 수록된 것을 확인했으며, 이들 부적은 팔괘(八卦) 내지, 십이지(十二支) 및 십이궁(十二宮)과 관련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대정신수대장경] ‘도상부’ 중 5종과 ‘일본 전래부’ 중 1종 등 6종의 문헌 검토를 통해, ‘팔괘’ 부적 8종과 ‘십이지’ 및 ‘십이궁’ 부적 24종, ‘일본 전래부’ 중 <육자천>과 관련된 8종 등 총 40종의 부적이 실려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정장(正藏)’에 실린 90종의 부적과 함께 [대정신수대장경]에는 총 130종의 부적이 실려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추후 연구를 위한 지침이 될 것이다. 그럼에도 돈황 사본에 계도성(計都星) 부적이 실려 있음은 구요(九曜) 내지 십일요(十一曜) 관련 부적이 존재했음을 알려주는 것으로, 성수(星宿) 관련 부적뿐만이 아니라 여타의 부적이 아직 미발굴 상태임을 알려준다. 이에 추후 연구를 통해 좀 더 다양한 부적의 실체를 밝힐 수 있기를 바라며 본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This study reviewed pieces of literature containing talismans in Taishõ Shinshū Daizõkyõ and confirmed that ten works of literature in the Zhèngcáng contained talismans, revising the old opinion that twelve pieces of literature contained talismans. The study went further and performed a detailed review of the ten pieces of literature and confirmed that there were 90 types of talismans in Zhèngcáng. This finding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that reported “approximately 130 types of images in talisman form.” The study then reviewed the Japanese-transmitted and image sections in the Taishõ Shinshū Daizõkyõ that previous studies have neglected and found that six pieces of literature contained talismans, which were related to the Eight Trigrams or the Twelve Zodiacs. By reviewing six pieces of literature in Taishõ Shinshū Daizõkyõ, including five in the image section and one in the Japanese-transmitted section, the study found 40 types of talismans in total, including eight related to the “Eight Trigrams,” 24 related to the “Twelve Zodiacs” and “Twelve Houses,” and eight related to the “Yukjacheon” in the Japanese-transmitted section. When this number is combined with 90 types of talismans in Zhèngcáng, it becomes clear that Taishõ Shinshū Daizõkyõ contains 130 types of talismans in total. This study also provides guidelines for follow-up studies. Despite these findings, the fact that the Dūnhuáng manuscripts contain Ketu talismans indicates that there were talismans related to the Nine or Eleven Planets and suggests that other types of talismans have not yet been excavated, including the ones related to the constellations. This study ends with the hope that follow-up studies will shed light on the true nature of more diverse groups of talismans.

      • KCI등재

        밀교경전에 나타난 符印의 현황과 그 현실적 功能- 『대정장』 ‘밀교부’를 중심으로 -

        강대현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2

        There are not a few talismans in esoteric scriptures. This is a very wide range of concepts, including the meaning of amulets known as folk beliefs. The meaning of talisman that ‘accredited as a talisman’, it authorized the absolute power of talisman[the matter of psychic power] to all kinds of things. The words of talismans in the esoteric scriptures were derived from Taoist term talisman, a seal, mantra, and book of prophecy and dharana-matrika as one of the bāhya-vidyā known in ancient India, and it was applied to the secular reality, such as śāntika, puṣṭika, etc. or the astrology of Esoteric Buddhism based on 28 constellations. There are more than a hundred and fifty kinds of talismans in the esoteric scriptures, such as, maṇḍala-type talisman, the word of amitābha’s bīja-type talisman, exposition of the teachings of dhāraṇī and 28 constellations-type talismans for spiritual power and life etc. If we look at talisma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wo characteristics of teaching dealing with phenomena in esoteric scriptures, it can be seen as a pattern of performance that has not been systematized. In particular, the connection with the homa, which includes śāntika, puṣṭika, can be cited, in the case of a religious attendant used the talisman as a means to achieve the ultimate purpose of enlightenment, however, in the case of the general public, it can be said that talismans were used to promote the well-being of the individual body and mind, away from realistic diseases or enemies. 밀교경전에는 적지 않은 符印이 나타나고 있다. 부인은 민간 신앙으로 알려져 있는 부적의 의미를 포함한 매우 넓은 범위의 개념이다. ‘符로서 印한다.’는 의미의 부인은 절대적인 권능을 부[神物]로서 인가한 것이다. 이러한 부인은 도교의 符ㆍ印ㆍ呪ㆍ籙에서 왔으며, 呪符 내지 呪印에 관한 성취인 外五明 중의 符印明으로서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었고, 밀교의 수법인 식재ㆍ증익 등의 호마법 내지 28수를 기본으로 하는 밀교점성술 등으로 세간적인 현실 속에 적용하였다. 밀교경전에는 壇의 형식을 취하는 부인, 아미타불 종자자를 나타내는 hrīḥ 부인, 다라니설법부인, 28수 등을 통한 신통력과 연명을 위한 부인 등 백 오십여 종류의 부인이 나타나고 있다. 이들 부인을 밀교의 事敎二相으로 본다면 그것은 잡부밀교적인 事相의 체계화가 이뤄지지 않은 수행의 양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특히 식재ㆍ증익을 포함하는 밀교 호마법과의 연관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밀교 행자가 궁극의 목적인 보리의 성취를 위하여 부인을 방편으로 사용했다면, 세간에서는 현실적인 병고 내지 원적 등으로부터 벗어나 개개인 심신의 안녕을 도모하기 위해 부인에 의지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근대기 부적의 조형성 -개항 이후 일제강점기 동안 유통된 부적이미지를 중심으로-

        오주은 ( Oh Joo E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6

        본 연구는 한국의 전통 시각이미지로 자리해 온 부적의 근대적 조형성을 고찰하고 있다. 이는 일본에 의한 근대화 이후 전통의 가치가 굴절되었던 시기에 대중적으로 소비되었던 부적의 시각적 특징을 살펴 보는 것으로, 궁극적인 목적은 `전통적 가치의 지속과 현실적 재구성`이라는 관점에서 전통의 시각 언어를 이해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는데 있다. 근대 부적에 대한 분석은 일제강점기 일본 민속학자들에 의해 저술된 『조선의 귀신』, 『조선무속의 연구』, 작자미상인 『각양부적』에 실린 이미지를 대상으로 했다. 이들 자료는 모두 1920,30년대에 수집된 부적을 기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근대 이전시기 부적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볼 수 있는 주요 분석 지표로 작용했다. 이와 함께 부적이 사용된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무속신앙과 관련된 한국의 근대 일상사 연구 및 해당 문헌 등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근대 부적은 전통의 부적이 내재한 고유의 구성원리를 따르면서 부적 특유의 시각성을 강화하는 조형적 변이를 동반했다. 이전시기보다 한자부적의 자획(字劃)이 선적인 조형요소로 기능함으로써 회화적 형상을 띤 문자부적의 특성이 두드러졌으며, 초월적인 힘을 가시화하기 위한 방편으로 신체 일부를 문자와 연결시키거나 특정 도형과 결합하는 방식을 나타냈다. 이는 계몽운동과 식민정책의 영향으로 집단적 정서와 욕구를 공식화한 이미지로서의 기능은 사회로부터 배격되었으나 주술적 가치를 내재한 고유의 시각성은 오히려 개인의 목적에 따라 심화되었음을 나타낸 것이었다. 즉 근대 부적의 조형성은 근대 이전 집단적 소원에 기초해 형성되었던 특유의 조형성을 기반으로 `근대`라는 시대적 상황에 따른 시각적 구성의 변이를 동반하며 일상의 시각언어로 소용된 것이었다. 이처럼 본 연구는 전통의 가치를 내재한 시각적 형상이 시대적 현실에 반응하여 나타낸 조형적 특징을 고찰함으로써 전통의 시각언어를 새롭게 조명할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하고, 나아가 `디자인 분야에서의 한국적 조형의 모색`에 관한 기왕의 연구흐름에 또 다른 시각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The current paper studies the modern visuality of talisman, which has been a traditional visual image in Korea. Looking into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alismans that were popularly consumed during a period when the traditional values were inflected after modernization forced by Japan, this study ultimately aims to find a clue for understanding Korean traditional visual language in the perspective of "continuation of traditional values and their realistic restruc turing." Analyses on modern talisman were conducted by reviewing images reported in books written by Japanese folklorists during Japanese occupation, such as 『Ghosts in Joseon』, 『Research of Joseon Shamanism』, and 『Various Talismans』, The data in these books are major analytic indices because they contain images of talisman collected at the time, allowing researchers to compare modern talismans with pre-modern ones. In addition, literature on modern daily life in Korea related to shamanism were studi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ways in which the talismans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a modern talisman was accompanied by a formative variation intensifying a talisman-specific visuality while following a unique constituting principle inherent in a traditional talisman. Particularly, with the number of strokes of Chinese character talisman functioning as a more linear formative element in comparison with earlier times, the characteristic of a character talisman assuming a picturesque shape stood out, and a modern talisman represented a method of connecting a part of the body with a character, or combining it with a specific figure as an expedient for visualizing transcendental power. This shows that while the enlightenment and colonization policies rejected talismans as bearers of images that officialize group sentiments and desires, inherent visuality containing shamanistic values deepened in contrast, depending on individual objectives. Like thi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the beginning, which makes it possible to shed a new light on a traditional visual language, by considering formative characteristics represented by a visual shape embedding traditional value in response to reality of the times, and further provides another perspective to the past & gone research flow on `Inquiry into Korean Moulding in Design Field.`

      • KCI등재

        조선시대 불교 부적의 확산과 다양화

        문상련 ( Moon Sang-leun ),김연미 ( Kim Youn-mi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9

        In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24 to 26 kinds of talismans listed in “Jineon Jimmok” became the mainstream among Buddhist talismans. However, the “Gusasik” talisman from the Daoist scripture Okchu Gyeong was also used, likely a result of interactions between gyeongsaseung (monks in charge of reciting scriptures to dispel calamities) from Gwansanggam and doryu (Daoist practitioners affiliated with Sogyeokseo). Additionally, the seven kinds of “Chilseong Bu” (Talisman of the Seven Stars) listed in the Big Dipper Seven Stars Life-Extending Sutra, which originated from the Daoist scripture Taesang Nogun seol iksan sinbbu myeo gyeong, were included in ten publications starting with Jebanmun, published at Jungaes​a Monastery in 1560. This indicates that the “Chilseong Bu” originating from Daoism were also used as Buddhist talismans from the 16th to 19th centuries. On the other hand, seventeen of the mainstream talismans were used in various combinations according to their purposes in Avalokitesvara worship, Pure Land Buddhism, the Bokjang ritual, and other ceremonies. In particular, the “Wangsaeng Jeongto Bu” (Talisman for Rebirth in the Pure Land) was widely used in Pure Land Buddhism, the Bokjang ritual, and writings on Buddhist rituals. Moreover, instances were found where Buddhist talismans were used in folk practices, or talismans originating from folk beliefs were later adopted as Buddhist talismans. For example, the Buddhist talisman “So Samjae Bu” was combined with “Sam Eung Samjae Bu,” and the “Mantra of Bo Bumo Eun,” originating from the Sutra on Deep Indebtedness to One's Father and Mother, was transformed into a talisman. Alongside the Dano talismans, talismans like “Jungbok Bangbeop Bu,” adopted from Daoism or folk beliefs, were used, demonstrating the diversification of Buddhist talismans in various forms and uses.

      • 부적을 만나다: 조선불교에서의 안산(安産)부적

        김수정(Kim, Sujung)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22 미술사와 문화유산 Vol.10 No.-

        부적이 가진 역사적, 종교적, 의료적, 사회문화사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현재 부적에 대한 학문적 관심과 이해는 미진하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부적의 연구사를 살펴보고 또 논의를 좁혀 무엇이 불교 부적인지를 논의한 다음, 불교의 치병 부적을 예로 들어 부적 연구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고자 한다. 현존 최고의 부적은 고려시대의 부적으로, 조선시대 말까지 부적은 여러 종교와 민간 신앙, 물질문화 전반에 다양하게 수용, 발전되었다. 이 논문은 당시 크게 유행한 안산 부적을 살펴서 부적의 언어가 갖는 기호작용(semiosis)과 기술성(technicality)이 어떻게 오랜 기간 동안 의약의 대체제가 아닌, 총체적 의례를 통해 구현되는 치유(healing) 그 자체였다는 점을 보인다. 본 논문은 3장으로 구성되어있다. 첫 장에서는 먼저 한국 부적의 연구 현황을 살피고, 그 후, 불교 부적에 대한 개관을 한다. 일제시대부터 부적의 자료가 모아지기 시작했으며, 국내 학자의 연구로는 김민기의 80년대 연구가 가장 최초의 연구물이라고 할 수 있다. 가장 최근 발표된 김영자의 민속학적 부적 연구가 갖는 의의를 살핀다. 두번째 장에서는 논의를 조선시대로 좁혀 13세기 『불정심관세음보살대다라니경(佛頂心觀世音菩薩大陀羅尼經)』 속에 처음 나타나는 ‘비자인(秘字印)’ 부적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판본까지 두루 살피며, 안산 부적이 갖는 의미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또한 당나라 의서, 돈황 사본 등에 나타나는 부적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불정심다라니경』에 수록되어 있는 안산 부적은 관음신앙을 바탕으로 한 부적으로, 8세기 중국 당나라 의서에서 사용된 부적이 변용과 변형의 과정을 거쳐 조선시대의 안산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음을 살펴본다. 마지막 장에서는 결론을 대신하여 부적 연구의 중요성, 그리고 방법론상의 재고가 필요함을 지적하고, 부적 연구가 갖는 의의에 대해서 종교 연구에 있어서의 물질문화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This study problematizes the lack of the scholarly attentions on the study of talismans whose legacy left strong marks in history, religion, medicine, and social history. The paper, thus, starts with surveying scholarly reviews on Korean talismans. The discussion continues with contextualizing what Buddhist talismans are in the Korean religions.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t talismans begins in the Koryŏ period and throughout the Chosŏn period, talismans thrived. Focusing on the Chosŏn, the paper showcases a talisman popularly used for a safe delivery. By analyzing the language of talismans, its semosis and technicality, the present study argues that talismans did not simply function as a substitute. Rather, the holistic nature of its ritual helped talismans to be materialized and medicalized. The paper consists of three sections. The first section outlines the review of the scholarship on Korean talismans. Then, it moves onto the question of what “Buddhist” talismans are. The earliest academic approach to Korean talismans began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it was not until the 1980s that “academic” studies on Korean talismans emerged. Works by Kim Yŏngja should be the most comprehensive although her folkloristic approaches present some limitations as well. The second section analyzes a safe-delivery talisman, known as the pija-in(秘字印) talisman that is included in the Great Dhāraṇī Sūtra of the Heart of the Buddha Crown[Uṣṇ īṣ a] of Avalokiteśvara Bodhisattva(Foding xin Guanshiyin pusa da tuoluoni jing 佛頂心觀世音菩薩大陀羅尼經) whose oldest known edition comes from the thirteenth century in Korea. Comparing it with the later editions published in Chosŏn and other Tang medical texts and talismans from Dunhuang documents, the section demonstrates that the talisman in question, which became extremely popular throughout the Chosŏn period, is very possibly originated from the Tang medical text from the eight century. The last section concludes with several reflections such as the significance of the studies on talismans, methodological issues for the study of talismans,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the material culture in the study of religion.

      • KCI등재

        부적에 나타난 북두칠성의 조형성(造形性) 연구

        김만태(Kim Mantae) 한국무속학회 2007 한국무속학 Vol.0 No.15

        이 글은 오래전부터 우리민족의 매우 친숙한 섬김 대상이었던 북두칠성이 북두칠성 부적이란 추상적 조형물로 나타난 것에 주목하여 그 조형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부적은 단순히 복을 빌고 재앙을 쫓는 주물(呪物)만이 아니다. 부적의 제액초복 인식 뒤에는 인간의 간절한 염원과 이에 감응하는 하늘의 섭리가 자리하고 있다. 북두칠성 부적은 하늘의 별이 인간 운명을 다스린다고 여겼던 사람들, 그 중에서도 북두칠성을 유난히 소중히 했던 사람들의 신앙 에너지가 공경과 예배로 표출되고, 그것이 다시 조형적 상징체계로 화현(化現)된 것이다. 도·불교의 전래 이전부터 우리 민족은 북두칠성이 사람의 운명에 영향주고 있음을 인식하고서 고유의 칠성신앙을 갖고 있었는데 그 바탕 위에 도불이 교섭됨에 따라 독송하는 칠성경은 불경에서 조선 후기에 갈수록 점차 도경으로 바뀌었고, 북두칠성 부적은 도부(道符) 대신 불부(佛符)가 줄곧 사용되어왔다. 현재 우리 민간에서 사용하고 있는 북두칠성부는 당나라 때 바라문승이 번역한 『불설북두칠성연명경』에서 제시되고 있다. 이 경에서는 북두칠성의 일곱별에 탐랑·거문·녹존·문곡·염정·무곡·파군 등의 이름을 차례대로 붙이고서 이들을 동방의 일곱 세계를 주재하는 일곱 여래로 각각 묘사하며 그에 해당하는 부적도 함께 수록하고 있다. 북두칠성부의 조형적 특징은 '본명성(本命星)-예물(口誦·주문)-상(床)-예배자'라는 조형구조에서 '본명성'인 북두칠성의 일곱별을 부적에 시각적으로 직접 표현하지 않고 하늘에 실제로 떠있는 북두칠성으로 상정하고 있으며, 부적에서는 '예물(주문)-상-예배자'만 나타내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북두칠성 부적이 지니는 의미를 보다 온전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하늘의 실제 북두칠성과 북두칠성부를 결합시켜서 함께 고려해야만 한다. 북두칠성부의 조형구조를 '靈'(신령 령)으로 비유하자면, 雨는 생략된 채 예물과 주문을 의미하는 세 개의 口와 예배자인 巫만 시각적으로 표현되어 있는 형상과 매우 비슷하다. 따라서 북두칠성부에서 우리는 북두칠성에게 가족의 평안무사·수명장수 등을 축원하는 주부의 간절한 모습과 마음을 발견할 수 있다. Recognizing that the Ursa Major, which had long been one of the most familiar objects of worships for Koreans, took an abstract formative form of talismans,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formative implications of the Ursa Major talismans. Talismans do more than just praying for good luck and keeping off a misfortune as a fetish. Behind such fundamental functions lie people's strong wish and the Heaven's corresponding providence. The Ursa Major talismans were made as those individuals who believed that the stars in the sky controlled the fates of human beings and especially those who particularly valued the Ursa Major expressed their religious energy through respect and worship and embodied it as a formative symbol system. Even before Taoism and Buddhism were introduced to Korea, the Korean people thought that the Ursa Major affected the human destiny and developed their own unique Ursa Major religion. As Taoism and Buddhism began to spread wider, their Ursa Major books were gradually changed from the Buddhist scriptures in early Chosun to the Taoist scriptures in late Chosun. The Taoist Ursa Major talismans were eventually replaced with the Buddhist ones, which continued to be in use since then. The Ursa Major talismans currently used among the Korean public trace their origin back to the Bulseolbukduchilseongyeonmyeonggyeong translated by a Brahman monk in Tang Dynasty. In the book, the seven stars of the Ursa Major were named Tamrang, Geomun, Nokjon, Mungok, Yeomjeong, Mugok, and Pagun and depicted as the seven Buddhas ruling the seven worlds in the Orient. Also included in the book were their individual talismans. As for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Ursa Major talismans, the seven stars of the Ursa Major, which are the "life stars" in the formative structure of "life starsoffering(recitation·incantation)-table-worshiper," are not given direct visual descriptions but assume the existence of the actual Ursa Major in the sky. The talismans only contain the remaining "offering(recitation·incantation)-table-worshiper." Thus it's important to connect the Ursa Major talismans to the actual Ursa Major in the sky in order to have a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ir implications. When the formative structure of the Ursa Major talismans is compared to the letter '靈'(which means a divine spirit), it's like that 雨 is omitted with only the three 口s meaning offerings and 巫 meaning a worshiper visually express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Ursa Major talismans clearly reflect the strong wishes and hopes of housewives who pray to the Ursa Major for the well-being of the family, longevity, healthy and happy children, and realization of wishes, in which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 KCI등재

        학문의 사각지대 : 한국 불교부적의 지구사적 연구 가능성 탐색

        김연미,문상련 한국역사연구회 2022 역사와 현실 Vol.- No.124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behind the recent surge in the scholarly interest in "Buddhist talismans," the talismans made and used in the Buddhist context. Although talismans formed an essential part of Buddhist practice in East Asia, the study of Buddhist talismans has remained an intellectual hiatus for a long time. As Buddhologists began to more actively study various Buddhist practices rather than doctrines and scriptures in the early 21st century, things and monuments used for Buddhist practices became new objects of study in the field of Buddhology. In the larger picture, this change is related to the "material turn" that has impacted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since the 1990s. The "material turn" is an academic movement that examines the ways in which things affect human action and society. Bruno Latour's (1947-present) Actor-Network Theory and Graham Harman's (1968- present) Object-Oriented Ontology and Speculative Realism have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promoting this movement. With these academic changes, Buddhologists and art historians are now paying more scholarly attention to diverse materials as well as texts used outside canonical Buddhism. With such changes, "Buddhist talismans" have become an excellent tool to illuminate the actual practices done by premodern Buddhists and to reveal the porous boundary between Buddhism, Daoism, and shamanism. The Buddhist talismans included in the medieval Dunhuang manuscripts have been discussed by some leading scholars abroad. On the other hand, Buddhist talismans excavated from Buddhist statues and tombs from Koryŏ and Chosŏn have little been known outside of Korea. Because some of the Buddhist talismans used in Koryŏ show connections with those included in the Dunhuang manuscripts, they will be an appropriate object to explore from the perspective of global history. By adopting the global historical approach, we will be able to avoid the pitfall of simply assuming the latter as the origins of the former. Instead, we should consider them as traces of the extensive network of Asian Buddhist talismans that once covered a large area from west China to the Korean peninsula.

      • KCI등재

        선(線)의 예술로서의 그래픽아트 : 부적(符籍)의 그래픽을 중심으로

        오영재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2

        오랜 역사를 진닌 부적은 주술의 상징물로서 신과 인간을 매개하는 신의(神意)적 기도의 주문이다. 영적 메시지를 담은 상징적 증거로서의 부적은 고대로부터 사용하여 온 다채로운 그림과 문자의 그래픽들로 이루어진 상징의 조형으로서 비전(秘傳)적 특성에 의해 오늘날까지 그 원형으로 유지하며 전해지고 있다. 이러한 부적은 토속적 기층문화 속에 깃들어 있는 고대로부터의 철학적 사고와 미의식을 전승하는데 중추적 역할을 수행해 왔다고 할 수 있다. 독특한 조형체계를 구축하고 있는 부적은 인간과 철학과의 관계, 정신과 형상성과의 관계 등을 창조적 형태의 선의 예술로 승화시킨 풍부한 미적 세계를 보여준다. 하지만 이 세계 등을 창조적 형태의 선의 예술로 승화시킨 풍부한 미적 세계를 보여준다. 하지만 이 세계에 대한 연구가 주술에 대한 사회적 통념과 편견 혹은 이에 대한 무지 때문에 그 예술적 가치에 대한 정당한 조명을 받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부적이 선을 통한 예술이라는 측면에 주목하고 본격적으로 그 미적 세계를 조망하였다. 이러한 고찰은 부적의 조형언어에서 미적 가치를 지닌 그래픽 이미지들을 발견하고 이것에 조형적으로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는 토대를 마련한다는 의미를 지닐 것이다. 이는 곧 현대미술에서 새로운 그래픽아트로 재해석되고 탄생되는 풍부한 미적 질료의 레퍼토리를 제공하여 주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토대로 "상징성의 구현"과 "추상의 확립"이라는 측면에서 부적 그래픽들의 의미의 표현방식에 주목하고 부적 안에서 어떠한 조형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하여 후속연구에서 보다 상세히 다루게 될 것이다. The talisman, with its long history, is a kind of incantation as a symbolic charm that mediates between God and human beings. As symbolic proof containing spiritual messages, the talisman is a symbolic art form that consists of various literal graphics and images. it has retained its original forms up to today as it has been handed down in secret. The talisman has played a pivotal role in transmitting traditional Korean aesthetic and philosophical thought rooted in folk cultures through the generations, The talisman, with its unique formative system, shows rich artistic vision by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philosophy and psychology in a sublime art form using lines. However, in research on the aesthetic world of talisman its artistic value has been underestimated because of social conventions and prejudices or ignorance about shamanism.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talisman's aesthetic aspects by putting emphasis on the fact it is an art of lines. This discussion about the talisman's formative language has meaning as it provides the foundation on which we can discover graphic images that have aesthetic value and assign new formative values to these graphic images. That is to say, it provides a wide aesthetic repertoire which can be reinterpreted as new graphic art in modem art. We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representative way of meaning in graphic images of talisman in the aspect of "the fulfillment of symbolism"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abstract". Such studies will be discussed in more detail in subsequent studies.

      • KCI등재

        고려후기 불교 부인(符印)의 전개

        문상련(Moon, Sang-Leun),김연미(Kim, Youn-Mi)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21 佛敎學報 Vol.- No.96

        한국불교에서는 적어도 고려시대부터 다양한 부적(符籍)들이 사용되어왔다. 부적이라 하면 흔히 민속신앙에서 사용했던 부적만을 생각하기 쉬우나, 불교 전통에서 기원한 다양한 불교 부적들이 800년 이상 한국의 신앙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되어왔다. 이러한 불교 부적들은 중국에서 기원하여 전래되었으며, 원래 도장, 즉 인장(印章)에 부적을 새겨 찍었던 관습으로부터 발전했기 때문에 관련 유물들을 불교 부인(佛敎符印)이라 칭하는 것이 적절하다. 현재 해외 학계에는 중국의 불교 부인만이 알려져 있다. 또한 국내 학계에서 불교 부적이라는 연구주제는 불교학, 민속학, 미술사학의 사각지대에 방치되어 제대로 주목받지 못한 채, 조선시대 부인들만이 소략하게 연구되어왔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불교 부인들 중 고려시대 유물을 중심으로 그것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그 변화 과정을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8종의 고려 유물에 수록된 20종의 불교 부적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시대가 내려올수록 부인의 형태가 양식화(樣式化, stylization)되고 효험은 간략화되었으며, 간혹 부인의 효험이 부인의 명칭으로 변환되기도 하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13세기 후반부터는 여러 가지 종류의 부인을 한꺼번에 모아 종합해 판각하여 간행하는 예가 유행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다양한 종류의 고려 부인들 중에는 해외에서도 아직 발견되지 못한 종류들이 많기에, 본고에서 다룬 고려 부인에 대한 연구는 동아시아 불교 부인 연구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examines little-studied Buddhist puin (符印), or “talisman-seals”, from the Koryŏ dynasty. Various kinds of talismans have been used in the Korean Buddhist tradition since the mid Koryŏ period, if not earlier. Korean Buddhist “talisman-seals” have not received the academic attention that they may be due, and only some examples from the Chosŏn dynasty have been briefly mentioned in previous scholarship. A growing number of scholars across the globe began to study Buddhist “talisman-seals” in recent decades; however, they are mostly focusing on Chinese examples thereof.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the East Asian talisman-seal culture, this paper attempts systematic analyses of Korean “talisman-seals” from Koryŏ. This paper found 20 kinds of Koryŏ “talisman-seals” which have been discovered in the pokchang (腹藏) from inside Buddhist statues, as well as inside a silver bracelet. Through a careful visual analysis and examination of accompanying inscriptions, this paper explores the transformation of the shape, function, and usage of the “talisman-seals” during the Koryŏ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