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시 문화기반시설 공간분포특성 분석

        이지윤(Lee, Ji-Yoon),최승담(Choi, Seung-Dam)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8 觀光硏究論叢 Vol.30 No.4

        본 연구는 여가시설 관점에서 서울시 문화기반시설의 공간분포를 인구와 이용밀도 분포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연구결과와 관련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문화기반시설은 지역민의 최소한의 여가문화선용을 보장하기 위해 조성되는 문화시설로, 지역단위에서 누구에게나 공정한 이용기회가 제공되어야 하는 공공시설로 정의되며, 최근 문화예술 관람 및 활동을 통해 여가활동의 장소로서 기능이 확대되고 있다. 여가시설 관점에서 문화기반시설 중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문예회관, 지방문화원, 문화의 집을 대상으로 군집성 분석, 표준편차타원체 분석 등 공간분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체시설, 도서관, 박물관에 군집성이 나타나, 수요와 이용밀도 분포와 비교하여 공간분포 특성을 도출하였다. 전체시설의 공간분포는 인구분포 및 이용밀도 분포와 상이하여 동북권, 서북권, 서남권에 여가시설로서 문화기반시설의 공급이 우선적으로 집행되어야 함을 시사하였고, 박물관은 이용밀도 분포와 비교해서 동북권, 서북권, 남서권 시설밀도가 이용밀도보다 높게 나타나 이용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시설 운영에 대한 지원정책이 검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미술관은 인구분포와 비교하여 도심권을 중심으로 동북권 및 동남권 방향으로 군집되어 있으나, 전반적으로 시설밀도와 이용밀도가 비교적 유사하게 나타나 공간분포가 균형을 이룬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여가시설 관점에서 서울시 문화기반시설의 공간분포를 거주인구 및 이용밀도 분포 중심으로 분석하여, 군집성이 나타난 시설에 대해 공급 및 이용 활성화 관점에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했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ultural infrastructure in Seoul Special City. During this process, emphasis was placed on population and density of use,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suggested. Cultural infrastructure is defined as facilities created to guarantee a minimum amount of leisure for local residents that provide fair access among users at the local level. Recently, cultural infrastructure is being increasingly used as places for watching and participating in arts and cultural activities. This study conducted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alysis such as cluster analysis and standard deviational ellipse analysis of leisure facilities including libraries, museums, art galleries, cultural halls, regional cultural halls, and cultural centers. The results found that cluster characteristics appeared in all facilities.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were drawn by comparing demand and usage density distribution. Differences betwee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all cultural infrastructure in Seoul and the population distribution and density of use distribution suggest that the supply of cultural infrastructure should be prioritized in the city’s northeastern, northwestern, and southwestern areas. For museums, facility density appeared high in Seoul’s northeastern, northwestern, and southwestern areas when compared to density of use distribution, underlining the need to support program development and facility operation for more active utilization. Art galleries are clustered in the northeastern and southeastern areas around the city center when compared to population distribution, but spatial distribution appears in balance, as facility density and density of use are relatively similar overall. Based on this analysis, this research presents policy implic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supply and promotion of utilization where facilities are clustered.

      • KCI등재

        세력권 방식의 공간적 연관성을 이용한 인구분포 변화 분석

        김호용 국토연구원 2012 국토연구 Vol.73 No.-

        Recently, there has been a wide range of research in space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spatial relationship such as spatial autocorrelation. It is very important to set a spatial-weighted value according to the analysis target since spatial effects differ due to a variable affecting space in the study of applying spatial relationship. It is, however, as a matter of fact that researches with regard to setting methods and usefulness of spatial-weighted values fit for the analytic purpose lack. Accordingly, this study presented an appropriate model for analyzing the population distribution change and spatial-weighted value setting by applying the concept of spatial relationship.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using the population data collected every 5 years for 50 years since 1970 interpreted the population distribution change as well as exploring urban planning backgrounds including a large scale development affecting chronological population change. In order to interpret population change and spatial relationship, Anselin’s local Moran’s I model useful for spatial cluster and outlier analysis and spatial-weighted value methods for the sphere of influence type regarding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ccumulation unit and applying the reaching distance of influence from each respective unit were well-suited. 최근 공간적 자기상관과 같은 공간적 연관성의 개념을 도입하여 공간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공간적 연관성을 적용한 연구에서 공간에 영향을 주는 변수의 특성별로 공간적 영향력이 다르므로 분석 대상에 따라 공간가중치의 설정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분석 목적에 맞는 가중치의 설정방안과 유용성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 연관성 개념을 적용하여 인구분포 변화를 분석하는 과정에 적합한 모델과 공간가중치 설정방안을 제시하였다. 1970년부터 5년 단위로 50년간 인구 데이터를 이용한 분석의 결과는, 각 시기별 인구 변화에 영향을 준 대규모 개발행위를 포함하는 도시 계획적 배경을 함께 살펴봄으로써 인구분포 변화를 해석하였다. 인구의 변화 및 공간적 관련성의 해석을 위해서는 공간적 군집성(cluster)과 이례치(outlier) 분석에 유용한 Anselin의 국지적 Moran’s I 모델과 집계단위의 공간적 분포특성을 고려하고 각 개체로부터 영향력이 미치는 거리를 적용한 세력권 방식의 공간적 가중치방법이 적합하였다.

      • Effect of rainfall spatial distribution and duration on minimum spatial resolution of rainfall data for accurate surface runoff prediction

        Kim, Changhwan,Kim, Dae-Hong Elsevier 2018 JOURNAL OF HYDRO-ENVIRONMENT RESEARCH Vol.20 No.-

        <P>The effect of rainfall spatial distribution and duration on determining rainfall spatial resolution for runoff discharge prediction and equilibrium time estimation was studied. We simulated hydrographs and equilibrium times of storms which have the same spatial averaged rainfall intensity with wide range of spatial distributions and durations under stationary storm conditions on an idealized plane. The equilibrium times under various rainfall conditions were estimated with an approximate solution based on the kinematic wave assumption. The runoff hydrographs were simulated using a-kinematic wave runoff model. The approximate and computed result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tial-temporal rainfall characteristics and rainfall spatial resolution. From the simulated results, it was found that (i) A required rainfall spatial resolution to achieve threshold accuracy depended on rainfall spatial distribution. For the simulated cases, the critical rainfall spatial resolution was higher as the slope of rainfall spatial distribution was steeper. (ii) The rainfall duration, as well as rainfall spatial distribution, was an important factor for determining a required rainfall spatial resolution for accurate flood prediction. The required rainfall spatial resolution to achieve threshold prediction accuracy was higher as the rainfall duration was shorter. (iii) The rainfall spatial distribution and duration which were traditionally neglected need to be considered in lumped runoff modelling or measurement as an important factor. Although limited to the ideal test cases, the maximum errors due to the low rainfall spatial resolution for the equilibrium time and peak discharge were about 25% and 35%, respectively.</P>

      • SCOPUSKCI등재

        Assess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tandard Lots Using the L-index

        Lee, Sang-Kyeong,Lee, Byoungkil Korean Society of Surveying 2013 한국측량학회지 Vol.31 No.6

        Standard lots, which are used to assess values of individual lots in Korea, have been criticized for their improper distribution. However, there has been very little evaluation for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tandard lots, and an evaluation method has never been developed. In order to overcome this situation, we attempt to assess the appropriatenes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tandard lots using the L-index and Monte Carlo simulation. The L-index is a well-known indicator of the complete spatial randomness (CSR) of points in spatial statistics. If the L-index of standard lots is similar to that of individual lots, the former is considered to be randomly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latter. By analyzing L-indices of two study areas, Gangnam and Seongdong, we fi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angnam area and a relatively small difference in Seongdong area. We confirm tha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tandard lots is not CSR and that the L-index is useful as an evaluation meth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tandard lot selection and management guidelines need to be modified to apply the spatial distribution of individual lots to the standard lot selection process.

      • KCI등재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도시공원 분포의 공간적 패턴탐색 연구-서울시를 사례로-

        김진원,윤병국,윤성식 한국관광학회 2014 관광학연구 Vol.38 No.6

        도시공원은 공공위락시설로서, 도시민들에게 다양한 위락적, 환경적, 교육적, 사회적, 경제적 가치들을 제공한다. 따라서 도시공원 분포의 공간적 패턴들을 탐색하는 것은 보다 효과적인 위락 계획 및 정책수립을 위한 핵심과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 도시공원들의 공간적 패턴들을 탐색하는 것으로서, 도시공원의 공간적 분포특징들과 전역적, 국지적 차원에서의 도시공원에 대한 지역별 접근성의 공간적 패턴들을 탐색하기 위하여 점 패턴 분석이나 탐색적 공간 자료 분석과 같은 다양한 공간통계기법들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서울시의 도시공원의 분포는 공간적으로 균등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도시공원의 접근성에 대한 많은 핫스팟 지역들은 주로 남쪽지역(송파구, 서초구, 강남구, 노원구(예외), 양천구)에서 관측된 데 비해, 콜드스팟 지역들은 주로 북쪽지역(종로구,성북구, 은평구)에서 관측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도시공원에 관한 보다 효과적인 여가계획 및 정책수립을 위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Urban parks have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important recreational facilities with recreational, environmental, educational, social, and economic significances. Exploring the spatial patterns of urban park distribution is an essential responsibility of public leisure providers for establishing better recreation policy and plan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patial patterns of the urban park distribution in Seoul Metropolitan City, South Korea. Several spatial statistical techniques based on point pattern analyses and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was employed to explore the spatial patterns of urban parks distribution and relevant area park accessibility at global and local sca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urban parks in Seoul were unevenly distributed. Specifically, a number of hot spots were located within Southern areas (Songpa-gu, Seocho-gu, Gangnam-gu, Nowon-gu, Yangcheon-gu), while the distribution of cold spots were observed within Northern areas (Jongno-gu, Seongbuk-gu, Eunpyeong-gu. These findings are useful in helping policy makers establish more effective recreation policy and planning through providing overall identification on distribution of urban parks.

      • KCI등재

        Assess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tandard Lots Using the L-index

        이상경,이병길 한국측량학회 2013 한국측량학회지 Vol.31 No.6

        Standard lots, which are used to assess values of individual lots in Korea, have been criticized for theirimproper distribution. However, there has been very little evaluation for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tandard lots,and an evaluation method has never been developed. In order to overcome this situation, we attempt to assessthe appropriateness of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tandard lots using the L-index and Monte Carlo simulation. The L-index is a well-known indicator of the complete spatial randomness (CSR) of points in spatial statistics. If the L-index of standard lots is similar to that of individual lots, the former is considered to be randomlydistributed according to the latter. By analyzing L-indices of two study areas, Gangnam and Seongdong, we find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angnam area and a relatively small difference in Seongdong area. Weconfirm tha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tandard lots is not CSR and that the L-index is useful as an evaluationmetho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tandard lot selection and management guidelines need to be modified toapply the spatial distribution of individual lots to the standard lot selection process.

      • KCI우수등재

        수도권 청년층과 고령층 일자리 분포의 특성과 변화 예측

        박소현(So Hyun Park),김경민(Kyung-min Kim),이금숙(Keumsook Lee) 대한지리학회 2018 대한지리학회지 Vol.53 No.1

        청년실업과 고령취업의 증가, 베이비부머의 고령층 진입 본격화 등으로 연령세대별 일자리 분포에 상당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수도권 청년층과 고령층 취업자를 대상으로 주요 산업별, 직업별 일자리 분포의 공간적 특성과 집중지역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들 연령세대별 일자리 분포와 학력수준과의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주요 일자리 분포 변화의 공간 마르코프 전이확률을 산출하여 향후 지역별 연령세대별 일자리 분포의 변동성을 예측하였다. 분석결과, 대졸 이상의 고학력 청년층과 고령층은 지식기반서비스업, 전문직과 강한 상관관계를 보이며 서울 디지털산업단지와 강남지역, 이와 인접한 경기남부일대를 중심으로 집중 분포하는 패턴이 관측되고, 향후 고령취업자 중 전문직 종사자의 분포확률은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반면, 고졸 학력의 청년층과 고령층 중 대졸 이상의 학력자에서 저숙련 일자리인 단순노무직과 연관성을 갖으며 분포하는 것으로 관측되고, 단순노무직에 종사하는 청년층과 고령층 취업자의 상위분포지역을 중심으로 향후 분포율이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학력수준과 일자리 숙련의 불일치를 감소하기 위해 연령세대별 맞춤식 일자리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특히 인천지역과 서울서남부지역 산업단지의 생산관련 일자리 분포에서 고령취업자의 공간적 집중이 관측되므로 이들 지역은 청년층의 취업유도를 위한 제조업의 고도화 및 고졸인력 활용 정책 수립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There has been a considerable alteration in the job distribution among age groups in Korea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youth unemployment and the elderly employment in the recent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job distributions for these two age groups(the youth and the elderly) and predict their spatial distribution. For the purpose, we analyze the spatial correlation between jobs and educational levels in the occupational employment of major industries for these two age group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 also estimate the spatial Markov transition probability of each job and predict the spatial distribution of jobs by age group. As the result, we found that highly educated persons in both age groups reveal strong correlation with knowledge-based service industries and professional jobs, while their spatial patterns show strong concentration at some specific regions. The probability of professional job distribution is predicted to increase slightly for both age groups. However, low-skilled simple job distribution of the youth is predicted to increase in some specific regions. Regional employment plan should be prepared by region to be customized jobs for each age group as well as to reduce the mismatch problem between the level of education and job skill.

      • KCI등재

        충청북도 문화기반시설의 공간분포특성 분석 -인구분포에 따른 시설 및 이용밀도를 중심으로-

        성보현 ( Seong Bo-hyun ),배명순 ( Bae Myong-soon ) 한국사진지리학회 2021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3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충청북도 문화기반시설의 공간분포를 인구와 이용밀도 분포를 중심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GI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문예회관, 지방문화원, 문화의 집 등 6가지로 분류한 총 131개 문화기반시설에 대한 군집성 분석, 표준편차원체 분석, 커널밀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군집성이 확인된 전체시설,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에 대하여 공간 방향성분포와 밀도(시설, 이용)를 분석하였다. 충청북도 문화기반시설(전체시설,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을 인구분포와 비교한 공간분포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표준편차타원체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시설과 인구의 표준편차타원체 크기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충청북도 문화기반시설의 확충은 인구분포에 부합하도록 적절히 이루어졌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미술관은 청주시에만 공급되었다는 점, 남부권 도시들은 문화기반시설이 전반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을 바탕으로 충청북도 문화기반시설 공급정책에 활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를 지적하고 후속연구과제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distribution of cultural infrastructure in Chungcheongbuk-do focusing on the distribution of population and usage density. Using the GIS program, cluster analysis, standard deviational ellipse analysis, and kernel density analysis were conducted on a total of 131 cultural infrastructure classified into six categories: libraries, museums, art galleries, literary centers, local cultural centers, and cultural houses. The spatial directional composition and density (facilities, use) were analyzed for the entire facilities, libraries, museums, and art galleries whose clustering was confirm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cultural infrastructure (all facilities, libraries, museums, art galleries) in Chungcheongbuk-do compared to the population distribution, the standard deviation ellipsoid size of the entire facility and population was similar.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positively evaluate that the expansion of cultural infrastructure in Chungcheongbuk-do was appropriately made to meet the population distribution. Based on the fact that the museum was supplied only to Cheongju-si and that cities in the southern region generally lacked cultural infrastructure, the implications that could be used in the Chungcheongbuk-do cultural infrastructure supply policy were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ointed out and follow-up research projects were proposed.

      • KCI등재

        자료생성방법을 사용한 강우의 공간분포가 첨두유량의 변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적 연구

        김남원,신문주 한국수자원학회 2017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0 No.6

        본 연구에서는 안동댐유역을 대상으로 분포형 모형과 미계측유역 자료생성방법인 공간확장자료 생성방법을 사용하여 47개 미계측유역에 대해 홍수유출 시계열자료를 생성하고 3개 관측유역을 포함한 총 50개 유역에 대해 첨두유량을 추출하여 분석함으로써 강우의 공간분포가 유출에 미 치는 영향을 실제유역과 실제사상에 대해 자세히 분석하였다. 20개 사상에 대해 GRM 모형의 매개변수 보정 및 검증결과 적절한 모형효율 통계결 과를 얻었다. 이 추정된 매개변수와 실제강우(강우의 공간분포를 고려한 강우) 및 공간평균강우(실제강우를 공간적으로 평균한 강우)를 사용하여 50개 유역의 홍수유출 시계열자료를 생성하였으며 이 시계열 자료 중 첨두유량을 추출하여 분석한 결과 공간평균강우에 의한 첨두유량의 분포는 실제강우에 의한 첨두유량의 분포와 차이가 있었다. 강우의 분포가 유역전반에 비슷한 경우에는 실제강우와 공간평균강우에 의한 첨두유량의 분 포가 비슷하거나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호우가 상류 또는 하류방향으로 이동하거나 강우가 무작위로 분포되는 경우에는 공간평균강우에 의한 첨두유량의 분포가 실제강우에 의한 첨두유량의 분포보다 크게 좁아지는 것을 보였다. 이러한 사상의 비율을 조사한 결과 강우의 공간적 변동 성을 고려하지 않고 홍수유출을 모의한다면 약 35%의 사상에 대해서는 적절하지 않은 첨두유량 모의결과를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 라서 홍수량 산정 또는 수자원 설계 시 강우의 시간분포 뿐만 아니라 공간분포 또한 고려해야 한다. 계측유역과 미계측유역의 첨두유량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낙동강 지류들에 위치한 미계측유역들의 첨두유량들은 그 크기가 넓게 분포됨에 따라 계측유역의 첨두유량을 사용하여 생성한 power law 관계를 이 미계측유역들의 첨두유량 추정 시 사용할 수 없었다. 또한 계측유역들의 첨두유량 또는 미계측유역 중 상하류로 연결된 비독립적인 소유역들의 첨두유량간에는 power law 가 존재하였으나 낙동강 지류들에 위치한 독립된 소유역들의 첨두유량들 간에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This study generated flood time series of ungauged catchments in the Andongdam catchment using a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and data generation method, and extracted the peak flows of 50 catchment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ainfall spatial variability on peak flow simulation. The model performance statistics for three gauged catchments were reasonable for all events. The flood time series of the 50 catchments were generated using distributed and mean rainfall time series as input. The distribution of the peak flow using the mean rainfall was similar or slightly different to that using the distributed rainfall when the distribution of the distributed rainfall was nearly uniform. However, the distribution of the peak flow using the mean rainfall was reduc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at using the distributed rainfall when actual storms moved to the top or bottom of the study catchment, or the rainfall was randomly distributed. These cases were 35% of total number events. Therefore, the spatial variability of rainfall should be considered for flood simulation. In addition, the power law relationship estimated using the peak flow of gauged catchments cannot be used for estimating the peak flow of ungauged independent catchments due to latter’s significant variation of the peak flow magnitude.

      • KCI등재

        수도권 외국인의 출신국적에 따른 거주지의 공간적 분포

        이자원,김혜진 국토지리학회 2017 국토지리학회지 Vol.51 No.2

        Since the late 1990s, the number of immigrants has increased rapidly, and international migrants have begun to be actively discussed from the viewpoint of 'multiculturalism'. Korea is also experiencing the phenomenon of immigration of metropolitan immigrants that had experienced earlier in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olicy for integrating the regional sociery. It is expected that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oreign migrants will be understood by analyzing the distribution of foreign reside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y their nationality. Therefore, this study classified the immigrants of the Seoul metropolitan area by nationality and map the distribution of residence to the immigrants of the nationality which occupy the highest ratio using statistical data of Ministry of Justice. The Global Moran's I and the 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 (LISA) were measured to examine the clusterability and spatial correlation of foreigners by nationality. Among the foreign residents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population of China is the largest, including Korean-Chinese, and the population has increased by more than 14 times from 1999 to 2015. They account for more than half of foreigner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y are concentr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local spatial associations between 2010 and 2015, Chinese residents have formed residential areas around Guro-gu, Yeongdeungpo-gu, and Dongjang-gu, and Korean Chinese have formed new clusters in Danwon-gu in Ansan city and Siheung city in 2015. Most of them are classified as unprofessional labor force, and it is remarkable that the distribution of settlement is formed based on nationality. The marriage migrants have more spreaded out compared to labor based migration, and the US, Europe, and Japan have formed hot spots due to cultural background rather than industrial distribution. 한국은 1990년대 후반 이후 외국인 이주가 급속하게 증가하면서 ‘다문화’라는 관점에서 국제이주민에 대한 논의가활발히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한국 역시 영국과 미국 등에서 경험한 외국인 이주자의 대도시권 집중 현상이 나타나고있고, 이들의 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정책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수도권 시·군·구 및 읍·면·동의 외국인 이주자의 거주지 분포와 국적별 외국인의 거주 중심성을 분석함으로써 외국인 이주자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이에 본 연구는 수도권 외국인 이주자들을 국적별로 구분하고, 법무부 통계 자료를 이용하여 상위 비율을 차지하는 국적의 이민자들에 대한 거주지 분포를 지도화 하였다. 또한 글로벌 모란 I지수(Global Moran’s I)와 로컬 공간연관성지표(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 LISA)를 측정하여 국적별 외국인의 군집성과 공간 상관성을 도출하였다. 한국계 중국인을 포함한 중국 국적 인구가 수도권의 외국인 분포 중 절반 이상을 점유하고 있고, 1999년 이후 2015년까지약 14배 이상의 증가를 보였다. 2010년과 2015년의 로컬 공간연관성 분석 결과, 중국인은 구로구, 영등포구, 동작구를 중심으로 거주지를 형성하고 있었고, 한국계 중국인의 경우는 2015년에 안산시 단원구와 시흥시에 새로운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다. 대부분 비전문직 노동력으로 분류되고 있는데, 국적을 기반으로 거주지의 분포가 형성되고 있음이 두드러진다. 결혼 이주자들은 노동이주에 비해 거주지의 분포가 확산되어 있음이 나타나고, 미국과 유럽, 일본의 경우는 산업의 분포보다 문화적 기반에 기인하여 핫스팟을 형성하고 있음이 분석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