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헬스케어디자인 연구의 방법론적 특징

        이은정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0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9 No.2

        연구배경: 본 연구는 국내 헬스케어디자인(healthcare design) 연구의 방법론적 특징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는 저자의 선행 메타분석(이은정 외 3, 2019a; 이은정 외 2, 2019b)을 심화한 후속 연구시리즈 논문으로, 메타분석(meta analysis)의 초점을 연구방법에 맞춘다. 이를 통해 국내 헬스케어디자인 연구에서 주류적인 연구방법은 무엇인지, 그리고 구체적으로 어떤 연구들에서 어떤 연구방법들이 선호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1차 메타분석(이은정 외 3, 2019a)에서 수집된 국내 헬스케어디자인 연구논문 총 1,117건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분석을 수행한다. (1) 연구방법을 선행 메타분석에서보다 더욱 세분화하여 유형화한다. 우선 한 가지 방법만을 사용한 단일 연구방법(single-method)과 두 가지 이상의 방법을 동시에 사용한 다중 연구방법(multi-method)으로 구분한 후, 각각을 다시 몇 개의 세부 유형들로 구분한다. (2) 연구방법과 연구주제 간 교차분석을 통해 연구주제별로 어떤 유형의 연구방법이 가장 선호되는지를 파악한다. (3) 본 연구가 새롭게 조명하는 다중 연구방법들의 특징과 대표 연구사례를 분석한다. 연구결과: 국내 헬스케어디자인 연구의 방법론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디자인영역으로 대별되는 연구주제에 따라 주류적인 연구방법이 상이한데, 공간 연구들은 사례분석을, 시각정보 및 제품 연구들은 실험⋅제작을 가장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2) 다중 방법을 사용한 연구들도 상당수 존재하는 가운데, 가장 선호되는 다중 방법의 세부 유형 또한 연구주제에 따라 상이하다. 제품 연구들에서 실험제작을 중점으로 한 다중 방법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다중 방법의 연구는 다양한 양적⋅질적 자료들을 풍부히 수집하여 분석을 다각화하고 심화할 가능성이 크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헬스케어디자인 연구의 방법론적 특징을 처음으로 조명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이를 통해 연구영역 전반에 걸쳐 실증주의적 지향성이 있다는 점과 복수의 방법을 동시에 사용하는 다중 방법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점을 보였다. 후속 연구를 통해 더욱 다양한 조합의 다중 방법들을 고안하고, 연구를 안내하는 길잡이로서 리서치디자인의 모델들을 제시한다면, 방법상의 획기적 전환을 통해 헬스케어디자인 연구가 더욱 발전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This paper purports to analyze the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healthcare design research. This is a follow-up research series paper that deepens the author’s preceding meta analysis (Lee et al., 2019a; Lee et al., 2019b), focusing the analysis on the research method. With this, I identify what the mainstream research method is in Korean healthcare design research and what research methods are preferred in specific studies. Methods: This study performs the following analysis on a total of 1,117 Korean healthcare design research papers collected by the first meta analysis (Lee et al., 2019a). (1) Research methods are further subdivided and categorized than in preceding meta analysis. First, they are divided into a single-method using only one method and a multi-method using two or more methods simultaneously. Each method is then divided into several detailed types again. (2) Through cross-tabulation between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subjects, I identify which type of research method is most preferred for each research subject. (3) The characteristics and representative research cases of the multi-methods that this study newly highlights are analyzed. Result: The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healthcare design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mainstream research methods differ depending on the research subjects classified into design areas. Spatial studies tend to favor case analysis, and visual information and product studies prefer experiment and production. (2) While there are a number of studies using multi-methods, the subtypes of the most preferred multi-methods also differ depending on the research subject. (3) The multi-method study is likely to diversify and deepen the analysis by richly collecting variou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Conclus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hat it was the first to highlight the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healthcare design research. Through this, it showed that there is an positivistic orientation throughout the research field and that multi-methods can be effective. If multi-methods of various combinations are devised and research design models are presented as a guide for research through follow-up studies, a breakthrough in methodology will provide a chance for further development of healthcare design research.

      • KCI등재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혼합방법연구의 질 평가

        신현석,주영효,정수현,윤혜원 한국교육행정학회 2022 敎育行政學硏究 Vol.40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of mixed methods research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al administration. After reviewing previous studies, the quality evaluation domain, criteria, and detailed standards were devised. Four types of journals were selected for collection and analysis of mixed methods research data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administration, and the quality evaluation of 77 papers was conducted. The conclusions are drawn by dividing them into four research stages. First, at the planning stage, the majority of domestic mixed method research papers do not reveal the nature of mixed method research. Second, in the undertaking stage, the majority of domestic mixed method research papers overlook the importance of research design types. Third, in the interpreting stage, the majority of domestic mixed method research papers do not guarantee the strictness of interpretation. Fourth, in the stage of the disseminating and application of results, the majority of domestic mixed method research papers overlook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results obtained through mixed method studies, reporting the results or suggesting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 suggested the need for mixed method researchers to change their thinking about mixed method research, and the need to consider and understand the unique research method procedures an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mixed method research. 본 연구는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혼합방법연구의 질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혼합방법연구 질 평가 관련 선행연구 고찰 후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혼합방법연구 질 평가 영역, 준거, 세부 기준을 구안하였다. 다음으로 한국 교육행정학 분야 혼합방법연구 자료 수집 및 분석 대상 학회지를 『교육행정학연구』,『교육학연구』,『한국교육』,『한국교원교육연구』 등 네 종류로 선정하고, 학회지별 창간호부터 2022년 8월까지 발행된 77편의 혼합방법연구 활용 논문에 대한 질 평가를 실시하였다. 국내 교육행정학 분야 혼합방법연구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네 가지 연구 단계별로 구분하여 결론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획 단계에서 국내 혼합방법연구 논문의 대다수가 혼합방법연구의 성격을 드러내지 않고 있다. 둘째, 수행 단계에서 국내 혼합방법연구 논문의 대다수가 연구 설계 유형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다. 셋째, 해석 단계에서 국내 혼합방법연구 논문 대다수가 해석의 엄격성을 담보하지 않고 있다. 넷째, 결과 확산 및 적용 단계에서 국내 혼합방법연구 논문 대다수는 결과 보고, 정책적·실천적 시사점 제시에 있어서 혼합방법연구를 통해 얻게 된 연구 결과의 의의를 간과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상의 결론에 기초하여 혼합방법연구자의 사고 전환 필요, 혼합방법연구 고유의 연구 방법 절차와 방법론적 특성에 대한 고려 및 이해 등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의 연구 유형 분류와 연구 방법의 동향 분석

        나원주,주현하,김영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7 한국어 교육 Vol.28 No.1

        Wonju Na, Hyunha Joo, Youngkyu Kim. 2017. A Classification of Research Types and Trend Analysis of Research Methods in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28-1: 79-111. This study is a trend analysis study that discusses the current status and directions of research methods of KAP research. The existing trend ana lysis studies dealing with research methods have problems in that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the studies used are rough and different from each other, rendering comparison between studies being difficult, and do not comprehensively cover research methods of diversified KAP research.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research methods of KAP research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and suggested a set of classification criteria and an analysis framework that can be used consistently in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future KAP research method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econd language studies and applied linguistics, this study revised and supplemented Brown (2015)’s research method types and selected 289 journals and theses/dissertations from 2012 to 2016 and classified them into a new analysis framework. The primary and secondary studies, which are the major categories, were 219 and 70, respectively, so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much more primary studies. The primary studies then were subdivided into 128 qualitative research studies, 142 survey research studies, and 23 quantitative research studies, pointing to the trend that survey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preferred. In the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there were 21 action research studies, which were used the most. In addition, such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as case studies and narrative inquiries which were difficult to find in the past, have gradually increased, confirming that the diversification of research methods is becoming common. However, there were still many studies that did not explicitly put forward research questions and there were many studies that did not report reliability and effect sizes in quantitative research. Of the 23 quantitative studies, only 50% reported reliability, and only three reported effect sizes. In order to enable systematic reviews (meta-analysis) of quantitative research and expect quality improvement of research in future KAP research, reporting of quantitative research should be done more systematical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a systematic and detailed analysis framework was proposed to classify various research methods in the future and that the problem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the KAP research methods were discuss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 of the KAP studies for the last 5 years. (Ewha Womans University)

      • KCI등재

        디자인 분야 융합연구의 방법론적 특징

        김덕수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9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8 No.1

        <Background> This study aims, while analyzing convergence research articles of JIDR(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to provide fundamental understandings regarding convergence research trends an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and works as a reference for conduction convergence research. <Methods> This study, utilizing a meta-analysis method, was conduct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o distinguish the convergent characteristics of JIDR articles. A research frame was developed to introduce philosophical assumptions working as the base of research methods, while briefly presenting ontological, epistemological, and methodological perspectives. The type, at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 methods were analyzed. The convergence articles of JIDR were selected as a unit of analysis. <Result> First, a single method research design, utiliz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as more dominant research type than convergence research design. A mixed methods research was uncommon yet. Secon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similarly found to convergence research conducted with a mode of single method research. The purposes of convergence research with a quantitative research design were the evaluation and suggestion of alternative solutions, while the counterpart is more likely to prefer the evaluation and suggestion of alternative solutions to theory and model building. Third, the convergence research articles of JIDR with a mixed methods research design were categorized as exploratory, embedded, explanatory mixed methods. Fourth, the majority of convergence research articles were published by researchers with a design background. Fifth, constructivist and emancipatory perspectives in the philosophical assumptions of research methodology were mostly found. The assumptions recognize the plurality of truths and respects inductive logic. <Conclusion> Philosophical assumptions regulates the compatibility of research methods to research problems. This study systematically analyzes the methodological trends of convergence research in the field of design and provides understandings about relationships between them to convergence researchers. <연구배경> JIDR(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에 게재된 연구문헌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디자인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융합연구의 특성을 파악하고, 방법론적 지향을 분석하여, 융합연구의 방향성 정립에 참조할 수 있는 기초자료의 제공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론적 지향은 메타분석으로 JIDR 게재논문들의 융합적 특성을 변별하기 위해 체계적 문헌조사를 시행한다. 연구방법론의 전제가 되는 인식론적, 존재론적, 그리고 방법론적 입장에 대한 개론적 소개를 통해 분석의 틀을 구성한 후, JIDR 게재논문들 중 융합연구를 중심으로 하여 디자인 연구방법론의 유형과 속성 및 연구의 성격을 분석한다. <연구결과> 첫째, 융합연구보다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한 단일방법연구 디자인에 의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통합방법연구 디자인에 의한 연구는 아직 미분화 상태다. 둘째, 단일방법연구에 의해 진행된 융합연구는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가 대등한 빈도로 수행되고 있다. 양적 연구에 의한 융합연구 경향은 평가/제안형이었으나,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는 융합연구 성격은 평가/제안형이 이론/규범형보다 두 배 이상 많았다. 셋째, 통합방법연구에 의한 융합연구 논문들에서 발견되는 연구 디자인은 기본 통합방법연구 기법인 탐색적 통합연구, 내재적 통합연구, 그리고 설명적 통합연구로 이루어졌다. 넷째, 융합연구의 학제 간 협력은 디자인 학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다섯째, 연구방법의 철학적 가정에서는 구성주의나 해방적 연구의 진리의 복수성을 인정하고 상호작용을 권장하고 귀납적 접근을 존중하는 태도가 가장 많이 발견된다. <결론> 연구문제와 연구방법의 정합성을 규정하는 철학적 가정에 기반을 두고 디자인 분야 융합연구의 방법론적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이해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기독교사회복지 연구방법에 관한 소고 -이론적 고찰 중심으로-

        강상우 ( Sang Woo Kang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2 신앙과 학문 Vol.17 No.1

        본 연구는 기독교사회복지 연구방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이다. 오늘날 사회복지는 실증주의 연 구 방법에 경도(傾量)되어 있다(이른바 methodolatry= method+ idolatry라고 불리는). 실증주의는 계량(計量)화로 인해 영성이나 종교를 배제한다. 그러나 기독교사회복지는 기독교와 사회복지의 통합을 추구한다. 그렇기 때문에 영성이나 종교를 배제하는(논리)실증주의 연구방법은 기독교사회복지의 연구방법으로서 한계를 지닌다. 그렇다면 기독교사회복지 연구방법은 어떠해야 하는가? 다음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 (1) 실증주의 연구방법이 유일한 연구방법이 아니라는 점이다. 사회복지에 있어서 ``않은 종류의 앎이`` 존재하기 때문에 사회복지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않은 연구방법들에 대해서 고려해야만 한다. (2) 기독교사회복지학은 신앙에 근거한 학문적 정체 성을 지닌다는 점이다. (3) 그리고 연구자(윌버와 윌슨의 경우)들이 자신들의 세계관에 근거하여 자신들의 세계관(신앙)과 학문의 통합을 꾀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기독교사회복지 연구방법은 특정한 연구방법에 경도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학문적 정체성을 유지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서는 기독교세계관을 고수해야 할 것이다. ``모든 진리가 하나님의 진리이다``라고 한 것처럼, 모든 연구방법 또한 하나님의 것"인 점을 기억하자.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hristian social welfare research method, which is based on the theoretical approach. In the present days, most of the social welfare research methods are inclined to the research method of positivism (so-called, methodolatry method + idolatry). Because the method of (logical) positivism pursues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it excludes concept of religion and spirituality. On the other hand, since Christian social welfare seeks the integration of faith and social welfare, applying the research method of positivism to develop a method of Christian social welfare would not be suitable. How should we approach Christian Social Welfare research method? There are three considerations to follow. (1) Method of positivism is not the only approach to this research. Since there are ``Many ways of knowing`` in social welfare, we should consider other approaches of method in order to develop the knowledge of social welfare. (2) Significantly, Christian Social Welfare has distinct academic identity based on Christian faith. (3) Many Researchers such as Ken Wilber and Edward 0, Wilson, based their world-views to integrate between their faith or belief and the academic knowledge. Therefore Christian Social Welfare research method should not be inclined to specific approach of research methods, but adhere to true academic identity. Christian social welfare researchers should base their Christian faith as their world-views. Keep in mind that as all truth is God`s truth, all research methods are God`s.

      • KCI등재

        지적 관련 연구의 접근방법 적용분석에 관한 연구

        김영학(Kim Young Hag) 한국지적정보학회 2010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2 No.1

        연구의 접근방법에 관하여 오랫동안 관심이 결여되었고 지적학 발전에 부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지적정보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접근방법을 조사 및 분석하여 향후 연구수행과정에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접근방법을 적용하는데 일조하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연구접근방법의 의의 및 유형, 적용경향 분석, 적용 한계 및 대응 등으로 구분하여 연구의 접근방법을 조명하였다. 연구범위는 한국지적정보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의 연구접근방법으로 한정하고, 조사방법은 문헌조사를 통한 2차 자료를 수집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분석의 틀을 정립하였으며, 접근방법은 계량적 접근방법과 비교론적 접근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세부적인 내용을 검토하였다. 첫째, 접근방법 적용의 분석틀은 접근방법의 정의, 유형, 분류기준 관점에서 언급하였다. 둘째, 접근방법 적용의 경향분석은 한국지적정보학회지 게재논문을 대상으로 연구방법, 연구초점, 연구유용성에 따른 접근방법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셋째, 접근방법 적용 한계 및 대응은 접근방법의 중요성 인식, 연구방향의 불확실성, 접근방향의 편중적 적용, 접근방법의 융화차원에서 검토하였다. It was an actual circumstance not to coincide with the development of land management by lacking a concern for a while about the approach method of research.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ort the approach method that is applied logically and rationally in the process of research performance in future b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approach method that appeared in the JKCIA.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the approach method for research has been reviewed in terms of the definition and type, the analysis of application tendency, the application limitation and issue, and the desirable direction of it. The research rage is limited to the approach method for research that appeared in the JKCIA. As the research method, the secondary data are collected through the reference of literature and the analysis framework established with the data. And the quantitative and comparative approaches are applied concurrently.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framework of the application of approach method was reviewed in terms of the definition, the type, and the classification standard. Second, the tendency analysis of application conducted as a viewpoint of the approach method based on the research method, research focus, and research utility about the subject of research. Third, the limits of approach method application and its alternative was referred to the recognition of approach method importance, the unreliability of research direction, the partial application of approach direction, and the reconciliation of research method.

      • KCI등재

        漢文敎育學 硏究方法論

        김왕규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7 No.-

        There are two perspectives on methodology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tudies. One is unilateral acceptance of teaching methodology and the other is the review to expand and improve methodology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tudies. This paper adheres closely to the later. I propose a system of classification in a discussion of methodology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tudies and present epistemology, a method, an object of study, a purpose of study and so on as a criteria of the category. This aims at the organic relationship to the purpose of study, the object of study and the research method. I look at the achievements in the meanwhile. The expansion of the research method application is noticed. The achievements of qualitative research are amazing. Making use of an integrated research method, I shed light on the current situation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from various angles. Methods like item analysis, statistical analysis and think-aloud are new things. The kernel of the research method resides in a choice of suitable research method and a scientific application. A new prospect in the field of the research could be opened if proper research method was used. For this reason, a connection between two things is important. Ultimately, the focus of argument is down to an academic perspective o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tudies. Under the viewpoint that Chinese literature is in a superior position to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tudies and recognition that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tudies is an integration of pedagogy and Chinese literature, the academic establishment will not be easy. Chinese literature and subject matter education are not divided up into Learning contents and method. As a researcher’s capability is high, learning contents will integrate with method in the field of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tudies. At that point, its academic foundation would be possible. 한문교육학 연구방법론에 대한 논의 經路는 두 가지이다. 하나는 교육연구방법론의 일방적 수용이라는 시각이다. 다른 하나는 한문교육학 연구방법론의 擴大와 提高를 위한 비평이다. 이 글은 후자의 시각을 堅持한다. 한문교육학 연구방법론에 대한 논의에서 분류 체계를 먼저 제안했다. 인식론, 방법, 연구 대상, 연구 목적 등을 분류 체계 및 범주의 기준으로 제시했다. 분류와 체계 수립의 목적은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의 유기적 관련성에 있다. 그 간의 성과를 점검했다. 우선, 이전에 비해 연구방법 運用의 확대가 주목된다. 질적 연구의 성과는 놀랍다. 통합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한문교육 현상을 다각도에서 조명했다. 문항 분석, 통계 분석, 사고 구술 등의 방법이 새롭다. 연구 방법의 핵심은 연구 목적에 적합한 연구 방법의 選擇과 과학적 適用에 있다. 연구 목적에 적합한 연구 방법을 운용한 경우,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다. 그래서 둘 사이의 連繫가 중요하다. 결국, 논의의 초점은 한문교육학에 대한 학문적 觀點에 歸結된다. 한문학을 절대 優位에 두는 관점, 교육학과의 단순 結合이라는 認識과 慣行 아래에서는 학문적 정립이 요원하다. 내용과 방법, 곧 한문과 교육은 둘이 아니다. 연구 주체의 力量이 높을수록 한문교육학 안에서 내용과 방법은 상호작용하고 統合된다. 바로 그 지점에서 한문교육학의 학문적 定立이 가능하다. 우리 同學들의 任務이다.

      • KCI등재후보

        Designing a Rigorous Mixed Methods Research Study

        Timothy C. Guetterman 질적연구학회 2017 질적연구 Vol.18 No.1

        Mixed methods research involves the integration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By combining methods, we are able to yield meta-inferences beyond with either approach could alone. Simply, synergy arises from mixed methods research. Designing mixed methods studies, however, is complicated because it requires considerations beyond those of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used. Therefore, this article presents rigorous components of a mixed methods research design to achieve integration and maximize meta-inferences to address research questions. After providing an introductory overview of mixed methods, I describe the mixed components to consider when designing a study. The components to consider are: 1) identifying a rationale for using mixed methods, 2) writing research questions and a mixed methods title, 3) using rigorous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4) employing a mixed methods design, 5) using intentional sampling strategies, 6) conducting mixed methods integration including meta-inferences, 7) representing the results of integrated mixed methods research in publications, and 8) identifying methodological validity and legitimation issues. The article closes with strategies for writing for publication. A reader can use this article to conceptualize a mixed method study and develop a research design.

      • KCI등재

        호적의 연구방법론 성립 과정, 응용 및 그 양향에 대한 고찰

        양태근 ( Tae Keun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2 동방학지 Vol.157 No.-

        중국 근현대사를 이해하는 여러 가 지 연구 경항에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최근 과거와의 단절이라는 시각 에서 벗어나 어떻게 중국 전통과 서구 사상이 접목되었는지에 대해 본각적인 연구들이 많아지고 있다는 사실이다. 본고에서 논의하려고 하는 호적과 관 련한 연구에서도 이미 상당수 기존 연 구들이 호적과 중국 전통 학술 사상과 는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상당히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호적 의 연구방법론 형성 과정에서 실험주 의는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 또 어떻게 호적 자신의 연구에 적용되었는지 에 대해서는 논의가 부족한 것이 사실 이다. 중국 학술사, 문학사, 사상사 등각 영역에서 현대의 시中1라고 볼 수 있는 호적의 영향력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호적 연구방법론과 그 영향에 대한 이해를 통해 그 의 안구방뱝론의 형성과정과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어떻게 그의 연구방 법론이 실제로 자신의 연구에 사용되었는지, 또 호적의 연구방법론이 어떻게 당시 사회에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었는지를 미시적 분석을 통해 알아보려고 한다. 이러한 분석 작업을 통해 우리는 호적의 안구방법론이 결국 중국 고전이 가지고 있는 권위에 대한 도전이었으며 중국 현대 학술계 태동을 가져온 결정적인 원인을 제공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민국 초기 새로운 현대적인 서구식 학술 규범을 만들어 가던 중국 학술계에 전통과 구미 방법론의 통섭의 가장 중요한 업적이 바로 호적을 통 해 이루어지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호적의 연구방법론은 그 자신뿐만 아니라 고면강(顧緬剛) 왕중민(王重民) 라이강(羅爾鋼) 등의 연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며 결 국 호적 자신이 진행한 중국과 구미 연구방법론의 비교와 검토를 통해 향후 중국 학술계가 어떠한 갈을 걸어야 하는지 현대적 표준을 보여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A prevalent perspective regarding "traditional Chinese and Western modernity" as a past and present, or in other words a divided historic fault line, is gradually declining, Now, academia is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integration process of traditional Chinese and modern Western thoughts. Through the theme of this paper, Hu Shth (호적(胡適), 1891-1962) and research related to his research method, we also see the same trend. With regard to Flu Shih`s research method, most studies have attempted to discern how Dewey`s pragmatism and traditional Chinese academic thought impacted him;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show how Hu Shth initiatively chose these methodologies to develop his own research method, Furthermore, how Hu Shift used his research method in his own research works and how this may impact other major scholars are topics that still need microscopic analysis. We can see in the histories of Chinese philosophy and Chinese literature that Hu Shth`s works undoubtedly were the starting point of modem scholarship in China, However, because Flu Shih introduced the methodology of Dewey`s pragmatism (instrumentalism) into China, a lot of criticism focused on flu Shth and his misunderstanding of the methodology of pragmatism. But, the actual content of Hu Shih`s research method and the positive social impact of related issues stilt require in-depth microscopic discussion and analysis. This paper will discuss the process through which flu Shih established his research methods. For this reason, we first try to understand the functional relation between Hu Shih`s research method and Dewey`s pragmatism. We also try to understand how to apply Hu Shih`s research method to his own research works, and learn more about how his research method has impacted other famous scholars. We also have to recognize that Hu Shih`s research method and the process through which it was established was not only was an integration process between Chinese and western academic tradition but also a reconstruction proposal and standard for modern Chinese academia.

      • KCI등재후보

        한국어 교수법 연구 동향 분석: 주제와 교수법을 중심으로

        원운하 ( Yuan Yunxia ) 인천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7 사회과학연구 Vol.10 No.2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은 한국어 교육의 대조 연구 분석, 발음 교육연구 분석, 연결어미 관련 연구 분석, 읽기 연구 분석, 쓰기 연구 분석, 오류 연구분석 등이 두루 발표되어 학계에 기여한 바가 크다. 그러나 한국어 교수법에 관한 분석 연구는 아직 미진한 편이다. 이에 본고는 한국어 교수법에 대한 연구 동향이 어떠한지에 대해 연구 자료를 시기별로 구분하여 분석 고찰하였다. 분석된 연구자료는 2017년 5월까지 한국 RISS에 수록된 한국어 교수법에 관한 논문 107편이다. 한국어 교수법 연구의 동향을 밝혀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첫째, 주제 면에서 화용 및 4가지 기능에 관한 교수법 연구가 부족하다. 둘째, 교수법 면에서 한 가지의 교수법에 치우치는 것보다 절충식, 보완식, 혼합식 교수법이 더 바람직하다는 연구 경향이다. 그리고 이론적 수준으로서의 접근법에 못지않게 실제적 수준으로서의 교수 기법들을 많이 개발하였다. 이론 적 수준으로서의 접근법으로 외국어 교육에 주로 소개한 접근법은 거의 한국어 연구에 활용되었다. 셋째, 최근 시기에 들어오면서 다양한 교수법 들이 현장에서 적용하는 양상을 밝혀주는 실증연구가 등장하여 교수법 연구의 새 지평을 열었다. Analysis on tren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have made impressive contributions to the academia as an extensive range of studies from comparative research analysi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pronunciation education research analysis, connective endings-related research analysis, reading research analysis, writing research analysis, error research analysis and others are released. Despite that, analytic research on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s has been hardly satisfactory. Here, this study analyzed and considered the research trend of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 according to the period of the research material. Analyzed research materials are 107 papers regarding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 included in Korea RISS until May, 2017.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future research trend by researching the trend of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 research. As the research result, first, research on teaching method related to speech and four functions in the aspect of theme is insufficient. Second, the research trend regards that compromised, complementary, and mixed teaching method are more desirable rather than focusing on one teaching method. Also, practical teaching techniques were developed a lot in practical level, not only theoretical level approach. Theoretical level approach that was introduced to foreign language education was mostly utilized in Korean language research. Third, recently a new prospect of teaching method research was opened as the empirical study appeared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of various teaching methods to education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