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고 국어 교과서 토론 논제의 적절성 고찰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토론 논제의 변화 양상과 학교급별 토론 논제의 계열성을 중심으로-

        서영진 ( Seo Youngjin ) 청람어문교육학회 2023 청람어문교육 Vol.- No.94

        본 연구는 초·중·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토론 단원에 제시된 논제의 적절성을 교육과정 시기별 교과서 논제의 변화 양상과 학교급별 논제의 계열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국어 교과서 토론 단원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 및 2015 개정 교육과정 따른 초·중·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와 ‘화법과 작문’ 교과서 총 58권의 토론 단원에 제시된 논제 총 175건을 수집하고, 논제의 요건 충족 여부, 논제의 유형, 논제의 주제 분야, 논제의 영역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09 개정 교과서 토론 논제에서 평서형 긍정문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문제는 2015 개정 교과서에서 개선되었으나, 그 외 요건의 개선을 확인하기는 어려웠다. 전반적으로 정책 논제의 활용 빈도가 매우 높았으며, 논제의 주제 분야 다양성이나 논제의 영역 확장성에 비추어 볼 때, 학교급에 따른 계열성이 충분히 구현되지 못한 상태였다. 이에 학교급이 올라감에 따라 논제 유형에 따라 요구되는 사고력과 논증의 강도를 고려하여 논제의 유형 선택하기, 학습자들의 배경지식과 경험 범위를 고려하여 주제 분야의 다양성을 확장하기, 논제의 영역을 학교 영역, 지역 공동체 영역, 국가·사회 전반의 영역 순으로 확장하기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bate proposition presented in the debate units of Korean textbooks and find ways to improve the contents of the debate unit.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75 debate propositions presented in the debate units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58 textbooks of ‘Korean’ and ‘Speech and Composition’ textbooks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t analyzed whether the requirements of the debate proposition were met, the type of the debate proposition, the topic area of the debate proposition, and the domain of the debate proposition. As a result, there were some debate proposition that did not meet the requirements of a debate proposition. Overall, the frequency of use of policy proposition was very high. The sequence of debate proposition was not sufficiently implemented.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o expand the diversity of the topic areas of the debate proposition considering the range of background knowledge and experience of the learners. And, this study suggested expanding the domain of debate proposition in the order of school, local community, and national/social domains, as well as to selecting the type of debate proposition based on learner's thinking ability and the strength of the argument.

      • KCI등재

        초·중·고 국어 교과서 토론 논제의 적절성 고찰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토론 논제의 변화 양상과 학교급별 토론 논제의 계열성을 중심으로-

        서영진 청람어문교육학회 2023 청람어문교육 Vol.- No.9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bate proposition presented in the debate units of Korean textbooks and find ways to improve the contents of the debate unit.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75 debate proposition presented in the debate units were collected from a total of 58 textbooks of ‘Korean’ and ‘Speech and Composition’ textbooks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t analyzed whether the requirements of the debate proposition were met, the type of the debate proposition, the topic area of the debate proposition, and the domain of the debate proposition. As a result, there were some debate proposition that did not meet the requirements of a debate proposition. Overall, the frequency of use of policy proposition was very high.The sequence of debate proposition was not sufficiently implemented.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o expand the diversity of the topic areas of the debate proposition considering the range of background knowledge and experience of the learners. And, this study suggested expanding the domain of debate proposition in the order of school, local community, and national/social domains, as well as to selecting the type of debate proposition based on the strength of the argument. 본 연구는 초·중·고등학교 국어 교과서 토론 단원에 제시된 논제의 적절성을 교육과정 시기별 교과서 논제의 변화 양상과 학교급별 논제의 계열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국어 교과서 토론 단원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 및 2015 개정 교육과정 따른 초·중·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와 ‘화법과 작문’ 교과서 총 58권의 토론 단원에 제시된 논제 총 175건을 수집하고, 논제의 요건 충족 여부, 논제의 유형, 논제의 주제 분야, 논제의 영역 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09 개정 교과서 토론 논제에서 변화 지향성 요건과 평서형 긍정문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문제는 2015 개정 교과서에서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전반적으로 정책 논제의 활용 빈도가 매우 높았으며, 논제의 주제 분야 다양성이나 논제의 영역 확장성에 비추어 볼 때, 학교급에 따른 계열성이 충분히 구현되지 못한 상태였다. 이에 학교급이 올라감에 따라 학습자들의 배경지식과 경험 범위를 고려하여 주제 분야의 다양성을 확장하기, 논제의 영역을 학교 영역, 지역 공동체 영역, 국가․사회 전반의 영역 순으로 확장하기, 논제 유형에 따라 요구되는 사고력과 논증의 강도를 고려하여 논제의 유형 선택하기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명제가 지시하는 사태의 실재성

        이동혁 우리말글학회 2019 우리말 글 Vol.82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problem of traditional proposition theory that claims to judge the truth and false of propositions through direct correspondence with the state of affairs that exist in the outside world, and to see where the situation based on judging the truth and false of propositions exists. In studies dealing with sentence meaning, the meaning of the sentence was perceived as a proposition. It is known that the truth and false of a proposition is determined by directly responding to state of affairs that exists in the outside world and is within a particular model. A proposition with these features has several problems. First, judgments of truth and false on proposition can be fluid. Second, depending on the world behind the existence of the state of affairs, the judgment of truth and false on the proposition may be flexible. The judgment of the truth and false of proposition does not depend on the existence of the state of affairs in the outside world, but on whether the state of affairs exists in the world that the speaker has conceptualized. Although Frege was concerned that communication would not be able to be successfully carried out with psychological concepts, speakers and listeners wishing for the success of communication can use the proposition as a common ground by mutually coordinating their individual actions. 이 글은 바깥 세계에 존재하는 사태와 직접적인 대응을 통해 명제의 참과 거짓을 판단한다고 주장한 전통적인 명제론의 문제를 살펴보고, 명제의 진위 판단에 근거가 되는 사태가 어디에 실재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문장 의미를 다루는 연구에서는 문장 의미가 곧 명제라고 인식하는 편이었다. 외부 세계에 존재하면서 특정한 모형 안에 있는 사태와 명제를 직접 대응시켜서 명제의 참과 거짓을 판정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지닌 명제는 몇 가지 문제가 있다. 첫째, 명제에 대한 참과 거짓의 판단이 유동적일 수 있다. 둘째, 사태의 존재 배경이 되는 세계에 따라 명제에 대한 참과 거짓의 판단이 유동적일 수 있다. 명제의 참과 거짓의 판단은 외부 세계의 사태 존재 여부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 화자 자신이 개념화한 세계에 사태가 존재하느냐에 달려 있다. 비록 프레게가 심리적 개념으로는 의사소통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지만, 의사소통의 성공을 바라는 화자와 청자는 각자의 개별 행위를 상호 조율함으로써 명제 내용을 공통기반으로 삼을 수 있다.

      • KCI등재

        국어과 수업 목표와 수업 절차

        이대규 ( Dae Gyu Li ) 한국어교육학회 2015 국어교육 Vol.0 No.151

        Many types of taxonomy of instructional objectives have been introduced to this country from the US since over 50 years. But we have not had any taxonomy created by ourselves in this country. So maybe this is the first taxonomy of instructional objectives established in this country. Instructional objectives presented in this article consists of two aspects: the one is content, the other behaviour or performance. Content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such as concept, proposition, and procedure. These categories can be classified into subcategories more in detail. The concept can be classified into such subcategories as subordinate concept, coordinate concept, and superordinate concept. A coordinate concept can contain subordinate ones, a superordinate concepts can contain coordinate ones. The proposition also can be classified into such subcategories as subordinate proposition, coordinate proposition, and superordinate proposition. A coordinate proposition can contain subordinate ones, a superordinate concept can contain coordinate ones. Merrill classified the behavioral aspect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into three categories such as ‘remember, use, and find’. ‘Remember’ is to recall a concept, a proposition, or a procedure from the memory which a student has obtained from the previous learning. ‘Use’ is to for a student to utilize the concept, the proposition, or the procedure that he recalls by himself for interpreting or creating a discourse or a text in language arts study. ‘Find’ is to invent a concept, a proposition, or a procedure different from, and better than those ones that the student has learnt before. But the author of this article thought the ‘use’ and ‘find’ are basically the same behavior, because ‘find’ is possible only when the student use the previous learning. So the behavioral aspect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presented in this article can be reduced to two categories such as ‘remember’ and ‘use’. The combination of the contents and behaviour makes six categorie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as follows: 1. remember of concepts 2. use of concepts 3. remember of propositions 4. use of propositions 5. remember of procedures6. use of procedures The taxonomy of objectives can aid in determining sequence in developing curriculum and can be utilized to plan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of learning estimated to be required for successful learning.

      • KCI등재

        상징적 이미지의 구조와 생성에 관한 연구

        고재성(Jae Sung Koh)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6 No.2

        고구려 고분벽화 남신,여신 이미지는 고대 한국인의 관념체계가 직접적 또는 상징적으로 표현된 결정체이다. 고대인의 상징체계는 물질문명이 고도로 발달한 지금에도 디자인의 상징체계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구려 고분벽화 남신,여신 이미지를 분석하여 고대 한국인의 통합 상징적 이미지의 결합에 관한 관념적인 범주와 형상을 고찰함과 동시에 상징적 이미지의 비율 및 구조와 생성에 관한 탐구에 있다. 연구 대상은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합성된 이미지가 뚜렷한 남신,여신 이미지와 이미지의 윤곽선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2장 구조는 음양오행과 심리, 기호­코드, 메타포공식, 상형분석, 이진논리, 명제결합도식과 그리드 분석으로 한다. 3장 생성은 이미지­기억, L 도식과 그리드 분석으로 한다. 분석을 통해 고찰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고구려 고분벽화 남신,여신 이미지는 역(易)의 기호­코드인 사람­도마뱀의 이미지가 중첩된 반인반수의 형상으로 상기되어 음양의 변증법적 명제로 코드화된 상징이다. 음양의 체계에 의한 변증법적 명제는 다음과 같다. 양→음의 운동에 의한 명제는 양 음이다. 음→양의 운동에 의한 명제는 음 양이다. 양→음의 명제는 범주로 존재하며 음→양의 명제에 의해 존재는 부정된다. 특히 음→양의 운동에 의한 음의 명제에서 여성의 이미지만 존재하는 것은 오행의 상징에서 대지의 의미를 강하게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양→음의 존재는 음→양에 의해 부정되고 부정된 음양의 존재는 양→음의 운동으로 합성되어 생성된 음양의 존재 즉, 음양사상(陰陽四象)으로 정립된다. 양→음의 운동으로 생성된 형상의 분석은 다음과 같다. 음의 명제 의 비율은 0.508로 완벽한 대칭이다. 양의 명제 의 비율은 0.417로 대칭에 근사하다. 특히 음의 명제 의 비율이 0.508로 완벽한 대칭인 것은 여성과 도마뱀의 의미를 동일시 한 것으로 이는 이미지가 갖는 종교적 상징에서 재생의 의미를 강하게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칭인 음과 대칭에 근사한 양의 합은 0.925로 1에 근사하다. ‘1’ 즉, 하나는 상징의 단위이다. 상상 속에 지각된 상징의 비율은 음 1:1 양 1:1.4 음양의 비율은 1:1.4이다. 1.4의 비율은 한국적 황금비율의 원형이다. The god,goddess image in old tomb mural of the Koguryo is the very core of direct or symbolic representation of the conceptual system of ancient Koreans. The symbolic system of ancient people is utilized as a symbol system of design even today as the material civilization is highly advanced. Thu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age of god,goddess in old tomb mural of the Koguryo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deological category and shape of the integrated and symbolic images of ancient Koreans, and at the same time, to examine the ratio, structure, and creation of the symbolic image. The study object is the god,goddess image and outline composed in old tomb mural of the Koguryo. The study methods are as follows: Chapter 2 -Structure analyzes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psychology, symbol­code, metaphor function, hieroglyphic analysis, binary logic, propositional connection diagram, and grid analysis. Chapter 3 - Creation analyzes image-memory, L diagram, and grid analysis. The conclusion based on the analysis is as follows: the god,goddess image of old tomb mural of the Koguryo recall the shape of a half-beast man that combines the images of man-lizard, the sign-code of exchange. In other words, it is a symbol coded with the dialectical proposition of Yin­Yang. The dialectical proposition based on the structure of Yin­Yang is as follows: The proposition of the movement Yang→Yin is Yang: Yin: p⊃q yin: q,p. The proposition of the movement Yin→Yang is Yin: (p.~q) Yang: (~(p,q)). The proposition of Yang→Yin is stated as a category, and the existence is denied by the proposition of Yin→Yang. Especially, there is only an image of women: p in the proposition of Yin by the movement of Yin→Yang since it involves the significance of the earth among the symbols of the Five Elements to an outstanding extent. Thus, the existence of Yang→Yin is denied by Yin→Yang, and the denied existence of Yin­Yang is combined with the movement Yang→Yin, which creates Yin­Yang, and thesis Four Emblematic Symbols. The shape created in the movement of Yang→Yin is analyzed as follows: The ratio of the proposition: q.p of Yin is 0.508, which is of complete symmetry. The ratio of the proposition: p⊂q of Yang is 0.417, which is almost symmetrical. Especially, the fact that the ratio of the proposition: p.q of Yin is 0.508 in the perfect symmetry indicates the identification of women: p with lizard: q. This outstandingly reveals the meaning of recreation in the religious symbol of the image. The sum of Yin, which is of complete symmetry, and Yang, which is almost symmetrical, is 0.925, an approximate value of 1. `1` or one is a unit of symbol. The proportions of a symbol recognized in imagination are Yin 1:1 Yang 1:1.4 and Yin­Yang 1:1.4 respectively. The proportion of 1.4 is the archetype of Korean Golden Ratio.

      • KCI등재

        선천적 지식에 관한 전통적 이론과 언어적 이론

        한상기 범한철학회 2008 汎韓哲學 Vol.49 No.2

        There have been many views about the nature of a priori knowledge. The views about it by Plato, Descartes, Leibniz, and Kant can be called the traditional view. The traditional view holds that a proposition knowable a priori is necessary as opposed to contingent, that a cognitive agent’s grasping it or seeing it amounts to a justification for it, and that the justification is derived from reason, not from experience. The traditional view culminates in Kant’s assertion about synthetic a priori knowledge, viz., we can grasp the truth about the world without observing it. But the traditional view received severe attacks, especially from logical positivists. For example, A. J. Ayer criticized Kant’s view on the basis of the linguistic theory.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main points in the debate over the nature of a priori knowledge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traditional view and the linguistic view. In order to achieve the aim, I first explain and expose the connections among the three distinctions: a priori knowledge vs. a posteriori knowledge, necessary proposition vs. contingent proposition, and analytic proposition and synthetic proposition. Next, I discuss the content and the problems of the traditional view, and move onto the linguistic view that was proposed as a replacement of the traditional view. Finally, I show that the linguistic view has its own problems. 선천적 지식의 본성에 대해서는 많은 견해가 있어 왔다. 플라톤으로부터 데카르트, 라이프니츠를 거쳐 칸트로 이어져 온 견해는 선천적 지식에 관한 전통적 이론이라 부를 수 있다. 전통적 이론은 (1) 선천적으로 알려지는 모든 명제는 필연명제이어야 하고, (2) 어떤 명제의 필연성을 “파악하는 일”이나 “보는 일”이 어떤 사람에게 그 명제의 선천적 정당화를 제공하는 데 충분하다고 주장한다. 전통적 이론에 따르면, 선천적 정당화의 원천은 순수하게 이성에 기초를 두고 있다. 그래서 전통적 이론은 칸트의 선천적 종합명제에 대한 주장, 즉 감각의 도움 없이 세계에 관한 진리를 파악할 수 있다는 주장에서 정점을 이룬다. 하지만 전통적 이론은 나중에 심각한 공격의 표적이 되는데, 특히 논리 실증주의자들에 의해 집중 공격을 받았다. 그 중에서도 에이어(A. J. Ayer)는 그의 언어적 이론에 기초를 두고 칸트의 견해를 비판했다. 이 논문은 선천적 지식에 관한 전통적 이론과 현대의 언어적 이론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선천적 지식을 둘러싼 논쟁의 초점을 명료화하려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세 종류의 구별, 즉 선천적 지식 대 후천적 지식, 필연명제와 우연명제, 분석명제와 종합명제의 구별을 설명하고, 각 구별 간의 연관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런 다음 세 종류의 구별을 통해 선천적 지식에 관한 전통적 견해의 요점과 난점을 드러내고, 전통적 견해를 비판하면서 제시된 언어적 이론을 살필 것이다. 마지막으로 언어적 이론 역시 궁극적으로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 KCI등재

        중등학교 국어 교과서 토론 단원에 제시된 정책 논제의 적합성 분석

        박재현 한국국어교육학회 2013 새국어교육 Vol.0 No.9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policy propositions in the current Korean textbooks for secondary schools. The proposition of policy debate presents the confrontation of each side and determines the scope and the range of the debate contents. In this study, except the fact propositions and value propositions, policy propositions were examined to test the appropriateness.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confrontation’, ‘change directivity’, ‘balance’ were the criteria that were used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propositions. 31 policy propositions in the current secondary school Korean textbook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data analysis showed that 28 propositions did not meet the basic requirements. In particular, ‘change directivity’ turned out to be a lot of proble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select and present the policy propositions and will be an important reference point for developing Korean textbooks. In addition, the requirements related to the selection of policy propositions would be helpful to provide educational contents. Lastly, instructional implications for the debate education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also discussed. 이 연구는 현행 중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토론 단원에 제시된 정책 논제의 적합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토론의 논제는 토론의 본질인 양측의 대립이 드러나는 시작점이며 토론 전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논의의 내용과 범위를 결정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사실 논제와 가치 논제를 제외하고 정책 논제에 초점을 두어 그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토론 논제의 적합성을 판단하기 위해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대립성’, ‘변화 지향성’, ‘균형성’을 평가 기준으로 삼았다. 현행 중․고등학교 교과서 32권 중 정책 논제를 다루고 있는 토론 단원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상당수가 기본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였다. 특히 ‘변화 지향성’ 부분에서 문제가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국어 교과서에 제시된 구체적인 사례도 함께 포함하여 다루었다. 이 연구를 통해 밝힌 정책 논제 판단의 요건과 실제 사례는 교과서 집필의 중요한 참고점으로 기여할 것이다. 또한 논제 선정과 관련된 교육 내용 마련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결론에는 논제 선정과 관련된 기존 논의를 바탕으로 논제 선정의 방향에 대한 제언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 올림픽 상업주의 비판에 대한 메타윤리학적 접근

        오현택 ( Oh Hyun-taek ) 인천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14 스포츠科學硏究誌 Vol.27 No.0

        이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철학의 윤리학 연구 분야에서 메타윤리학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 올림픽이라고 하는 대표적인 스포츠 현상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철학적 담론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이러한 비판적 고찰을 통해 메타윤리학적 분석이 가능한 텍스트를 도출하여 그 명제의 의미와 정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올림픽 상업주의에 대한 담론 분석을 통해 상업주의는 올림픽 이상의 구현을 어렵게 한다'는 문장을 도출하였다. 이 문장에 대하여 메타윤리학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진위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논리적 구조를 분석할 수 있는 명제로 성립하였다. 둘째, 이 명제의 논리적 구조를 파악한 결과 종합판단명제로 판명되었다. 결국 이 문장은 경험에 의존하는 비논리적 텍스트로써 상업주의와 올림픽 이상 구현 사이의 필연적 관계를 규명해 주지 못하는 논리적 난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ive an example how meta-ethics could be applied to sport philosophy in studying an ethical issue. To achieve this purpose, Olympic Games was selected as a typical phenomenon of sports and a philosophical discourse about that phenomenon was critically reviewed. A text that could be analyzed by meta-ethics was drew through the critical review, and then the meaning and logical justification of that proposition were analyzed. A sentence that “Commercialism make it difficult to the realization of ideal of the Olympic Games” was deduced through the discourse analysis. The results of meta-ethical analysis to this sentence were as follows: First, this sentence proved as a proposition that its logical structure could be analyzed because the truth or untruth of that sentence could be discriminated. Second, this proposition proved as a synthetic proposition, not an analytic propos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logical structure of that proposition. Finally, this sentence had a logical difficulty to reason the logical necessity between commercialism and the realization of ideal of the Olympic Games because this proposition was a illogical text that depend on sensuous experiences.

      • Семантика уступки в корейском языке

        Цыденова Д. С. 고려대학교 러시아 CIS연구소 2018 Acta Russiana Vol.10 No.-

        The paper aims at giving an overview of the concession semantics in Korean language and analyzing the meanings of concessive affixes each of which have specific linguistic maintenance. Distinctive feature of concession in Korean language lies at the status of proposition. There are two types of proposition: “real” and “unreal”. Real proposition type means fact proposition or such one that considered by the speaker as real fact. Hypothetical proposition type means possible situations of future and impossible situations as well. According to the proposition status all affixes can be divided on two large groups. There are only one basic affix -adeo with basic concession meaning of “disappointed expectation” when the semantic discrepancy between the situations in the main clause and expectations of the speaker are take place. We suppose that speaker’s relation to the situations and his evaluation of that situations is crucial for defining the semantic of concessive relations. So concessive semantics includes an organic combination of several meanings, such as “probability” (= potentiality, possibility / impossibility), “desirability / undesirability” and “degree of situation’s realization”. Different combinations of these meanings determine both the synonymy of the affixes and although their specificity.

      • KCI등재

        성경적 설교를 위한 명제형 주제의 이론적 타당성과 실천적 활용법 연구

        채경락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7 복음과 실천신학 Vol.43 No.-

        본 논문은 강해설교의 명제형 주제 설정의 해석학적 타당성을 논증하고, 실 제 설교에서 그것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명제 형 주제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설교학자들 사이에 만장일치가 이루어진다고 해 도 과언이 아니다. 설교 작성법의 중심에는 거의 예외 없이 주제 설정 단계가 자리하고 있다. 그러나 그것의 해석학적 타당성에 대해서는 충분한 논의가 이 루어지지 않았다. 성경에는 내러티브와 시 등의 다양한 장르가 활용되는데, 모 든 장르를 초월하여 명제형 주제를 설정하는 것이 해석학적으로 타당한가? 본 논문은 강해설교자가 추구하는 저자-지향적 해석학에 기초하여, 명제형 주제의 설정은 해석학적으로 타당하다고 주장한다. 저자-지향적 해석학에 의 하면, 본문의 의미는 곧 저자의 의도다. 인격자인 저자의 의도가 곧 본문의 의 미라는 말이다. 여기에 인격자의 의도는 명제형 문장으로 가장 잘 표현된다는 철학적 논의를 도입하면, 인격자자인 저자의 의도로서의 본문의 의미는 명제 형 문장으로 가장 잘 표현된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여기서 명제형 설교와 명제형 주제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명제형 주제는 설교 전체를 명제로 채우는 것이 아니라, 설교의 중심에 선 주제를 명제로 기 술하는 것이다. 내러티브 본문과 명제형 주제는 양자택일의 관계가 아니라, 효 과적 설교를 위한 협업의 관계다. 내러티브와 시는 정서적인 파워는 강하지만, 의미의 선명성에 있어서는 약점을 보이는 수가 있는데, 명제형 주제의 선명성 이 약점을 보완한다. 더욱이, 명제형 주제는 그 선명성으로 인하여 청중의 설 교 참여, 즉 반응 참여를 위한 토대를 제공한다. 청중은 설교 작성자가 아니라 반응자로서 설교에 참여한다. 청중이 설교에 반응하려면, 먼저 메시지를 분명 하게 이해해야 하는데, 명제형 주제가 설교에 선명성을 공급한다. 본 논문은 원포인트 설교와 대지형 설교를 중심으로 명제형 주제의 구체적 인활용방안을제언한다.‘ 주제개설-해석-적용-결론’구도의원포인트형식 을 사용하면, 설정된 명제형 주제를 네 번 강조할 수 있다. 대지형 설교에서도, 전통적인 대등형 흐름보다 점층형 흐름을 활용함으로써, 보다 선명하게 명제 형 주제를 선포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강해설교자에게 선명한 명 제형 주제를 설정하고 설교의 중심에 세울 것을 강력하게 권한다. This paper aims to show the hermeneutical validity of the propositional theme in expository preaching, and its practical usage for powerful preaching.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homileticians are unanimous about the necessity of the propositional theme, so that every sermon preparation procedure has the determining of the sermon theme at its center. But there has not been enough discussion about its hermeneutical validity. Bible makes use of a variety of genres including narrative, poem, etc. Is it hermeneutically valid to establish a propositional theme regardless of the textual genre?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expositors’ establishment of the propositional theme is hermeneutically valid on the basis of the authororiented hermeneutic that expositors pursue. According to the authororiented hermeneutic, the meaning of the text is equal to the author’s intention. In other words, the personal intention of the author is what the text means. By combining the philosophical demonstration that a person’s intention can be best expressed in the propositional sentence, we come to conclude that the textual meaning as the personal intention of the author is best expressed in a propositional sentence. Here we must distinguish the propositional theme from the propositional sermon. To establish a propositional theme is just to establish a central theme of the sermon at its center, but not fill the whole sermon with propositions. Preachers do not need to choose between the narrative text and the propositional theme because the two are cooperative partners to each other for powerful preaching. Narratives and poems are very strong in terms of emotional power, but a little weak in terms of clarity, for which the propositional theme can compensate. Moreover, the propositional theme’s clarity encourages the audience’s reactional participation to the preaching. Audience participates in the sermon, not as the producer of it but as the reactor to it. In order to react, they must clearly understand what the sermon says, and the propositional theme is the foundation of the sermon’s clarity. This paper suggests two sermon structure for clear proclamation of the propositional theme: one-point structure, and intensifying structure. By using what this paper calls the one-point structure with the flow of ‘the theme presentation-textual interpretation-audience applicationconclusion’, preachers can emphatically proclaim the propositional theme, at least four times. Three-point preachers also can clearly proclaim it by using the intensifying structure. In conclusion, the paper encourages strongly those expositors to establish a clear propositional theme, and to place it at the center of sermon preparation and deliv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