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기죄의 불법구조와 ‘재산상 손해’ 개념의 검토

        장승일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법학논총 Vol.35 No.2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fraud crime is the personal property. There is room for the secondary benefit and protection to be granted to the principle of trust and freedom of economic decision-making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types of and legal penalties for the property crime ar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behavioral aspects. However, such interpretation leaves room for the nature as property crime of the fraud crime to be denied, and for the formation of the fraud crime to be affirmed even without any property damage. Therefore,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fraud crime should be viewed as limited to the property right. Unlike in the cases of misappropriation, property damage is not defined in expressive terms in the fraud crime, so there is a conflict of views as to whether ‘property damage’ can be seen as the element of Consensu Corpus delicti. If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fraud crime is largely seen as the property, the occurrence of the property damage should be a prerequisite for the formation of the fraud crime. As the fraud crime is a depriving crime with the entire property as its benefit and protec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raud crime cannot be formed unless any damage is done to property. Therefore, it is inappropriate for the Supreme Court to view property damage as unnecessary to the formation of the fraud crime. It is thought to be inappropriate to judge that fraud crime has been formed even in the case of a considerable amount of price being paid because this view weakens the property criminality of the fraud crime and degenerates it into the crime of protecting the freedom of decision-making. The Supreme Court should judge only concerning the extent of the deceitful deed without mentioning whether damage has been done to property in recognizing the fraud crime resulting from the use fabrication. In other words, whether the fraud crime is formed or not should be discussed with the reference to whether the deceitful deed has gone beyond the scope of the social reasonability in the case where benefit in return has been received by means of fabricating the original use. It stems from the fact that the Supreme Court does not require property damage when judging the fraud crime. As the fraud crime is a depriving crime with the entire property as its benefit and protection, it cannot be formed unless any damage is done to property. Therefore, it is inappropriate for the Supreme Court to view property damage as unnecessary to the formation of fraud crime. As far as the concept of property in the fraud crime actually brings economic benefits even though it is not a legally protected right, it is worth to be protected as a property in the criminal law. Therefore, even though a property is illegal or is not approved, the crime against the property itself should be punished in an independent view of the criminal law. This view is consistent with the attitude of recognizing the fraud crime in payment in illegal causes. A normative evaluation is needed for what can be seen as property damage. In order to review this, some recent precedents in the Japanese Supreme Court were examined. Property damage is seen to have been affirmed mindful of the punishment of the deceitful deed though it would have been denied in the past. The freedom of decision-making and the principle of good faith in transactions were not recognized independently as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fraud crime. However, apart from the set of the amount of damage resulting from the violation of the good faith in the transactions, the attitudes of the Japanese precedents of recognizing the nominal property damage will be a reference point to forming the scope of property damage in interpreting the fraud crime. 본고는 사기죄의 성립요건으로서 ‘재산상 손해’개념을 중심으로 그 불법구조를 검토하였다. 사기죄는 개인의 재산을 보호법익으로 한다. 신뢰의 원칙, 경제적 의사결정의자유도 부차적인 보호법익이 인정된다고 볼 여지도 있으나, 이렇게 해석하면 사기죄의재산범죄로서의 성격이 부정될 여지가 있고, 재산상 손해가 없는 경우에도 사기죄 성립을 긍정할 여지가 있다. 따라서 사기죄의 보호법익은 재산권만이라고 보아야 한다. 사기죄의 주된 보호법익을 재산으로 본다면 당연히 재산상의 손해발생은 필요하다고 보아야 한다. 사기죄는 전체재산을 보호법익으로 하는 침해범이므로 재산상의 손해가 발생하지 않으면 사기죄는 성립할 수 없다. 따라서 대법원이 사기죄의 성립에 재산상의손해가 발생할 필요가 없다고 보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또한 사기죄는 전체재산을 보호법익으로 하는 침해범이므로 재산상의 손해가 발생하지 않으면 사기죄는 성립할 수없다. 따라서 대법원이 사기죄의 성립에 재산상의 손해가 발생할 필요가 없다고 보는것은 타당하지 않다. 법률상 보호되는 권리는 아니더라도 사실상 경제적 이익을 가져오는 한, 형법상 재산개념에 포함시켜 그 침해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법상 비록 불법이거나승인되지 않는 재산이라도 이에 대한 범행 자체는 형법의 독자적인 견지에서 처벌하는것이 타당하다. 이렇게 보는 것이 불법원인급여에 있어 사기죄를 인정하는 태도와도 부합한다. 무엇을 재산상의 손해라 볼 건인가에 대해서는 규범적 평가가 필요하며 학계의논의도 정리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를 검토하기 위해 최근 일본 최고재판소의 판례를 살펴보았다. 탑승권발급, 통장개설 등의 행위는 직접적으로 사기죄에서의 재산상손해가 부정되었을 사안이었음에도 불구하고, 행위자의 기망행위의 처벌을 염두에 두고 재산상의 손해를 긍정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사기죄의 해석에 있어 재산상 손해의범위를 해석하는데 참고가 될 것이다.

      • KCI등재

        The Effect of Property Value on Crime - A Case Study of the City of Dallas, Texas -

        박윤환 서울연구원 2010 서울도시연구 Vol.11 No.3

        Urban crime undermines the safety of a community and ultimately leads to depressed property values. Consequently crime is seen as a critical determinant of property values. Meanwhile, the causal effect of property values on crime appears to be something of a mystery. Higher property values ma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environment of a neighborhood and mitigating the occurrence of crime, while at the same time increasing area’s attractiveness as a target to potential criminals. Interestingly, most prior literature has focused merely on the impact of crime on property values and has never clearl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any reverse causality which may exist between property values and crime.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 of property values on crime in the City of Dallas, Texas in 2002. Through two stages least squares regression models that control endogeneity of property values and crime, the present study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property values influence crime rate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impact of property values on crime rates varies according to the type of property values. Regardless of the types of crime, higher residential property values lead to lower crime rates whereas higher commercial property values are found to cause higher crime rates.

      • KCI등재

        재물과 재산상 이익의 관계 정립과 관련 문제

        이학철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법학논총 Vol.40 No.2

        In this thesis, I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perty and property interests, which are the objects of property crime, and examined the legal issues related to them. While criminal law clearly distinguishes between property and property interests as objects of property crime, I concluded that it is reasonable to understand their relationship as mutually exclusive concepts that each constitute the property. On the other hand, the majority explains that the benefit of property crime against property is the ownership of property. However, they only describes the benefit of property crime committed against property interests is simply property (rights) or the the entirety of property (rights). When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operty and property interests, such explanation in not valid. Therefore, I proposed that the benefit of property crime against property interests to be specified as the “power to enjoy property interests”, similar to how the benefit of property crime against property is explained as ownership rights that signify the power to use, derive profit from, or dispose of the property. By doing so, we can more clearly identify the target that property crime against property interests seek to protect. Moreover, the systematic position of the intent to illegally profits was also discussed. It was argued that there is a mutually exclusive relationship between property and property interests. And the acquisition of property and the acquisition of property interests both signify obtaining the object of property crime.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gree with the argument that the intent to illegally profit only applies to property crime against property other than property interests, as the acquisition of profit interest is a constitutive element of the offense of the crimes. Unlike in the case of property crime against property, court precedents do not clearly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offense of the crimes and the intent to illegally profits in property crime against property interests. However, such an explanation is not valid. If the offense of the crime and the intent to illegally profits are separate element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property crime against property, then the intent to illegally profits should also be considered as a separate element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property crime against property interests. 본고에서는 재산범죄의 객체인 재산을 구성하는 재물과 재산상 이익의 관계를 연구하고 이와 관련된 형법적 문제를 검토하였다. 먼저 형법이 재산범죄의 객체를 재물과 재산상 이익으로 명확하게 구분하고 있는 한, 양자의 관계는 각자가 재산을 구성하는 상호 배타적인 개념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한편 다수의 견해는 재물죄의 보호법익을 재물에 대한 소유권이라고 설명하면서도, 이득죄의 보호법익은 재산(권) 또는 전체로서의 재산(권)이라고만 설명한다. 그런데 재물과 재산상 이익의 관계를 고려할 때 이러한 설명은 부당하다. 재산권은 소유권을 포함하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재물죄의 보호법익이 범죄의 객체에 해당하는 재물에 대한 사용・수익・처분 권능을 뜻하는 소유권으로 설명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이득죄의 보호법익을 ‘재산상 이익을 향유할 수 있는 권능’으로 구체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로써 이득죄의 보호법익을 현재와 같이 단순히 재산(권)이라고만 하는 것보다 이득죄가 보호하고자 하는 대상을 보다 명확하게 특정할 수 있다. 또한, 현행 형법이 규정한 재물과 재산상 이익의 관계를 재물죄와 이득죄의 보호법익의 관점에서도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불법이득의사의 체계적 지위에 관하여도 논하였다. 재물과 재산상 이익이 상호 배타적인 관계에 해당하고, 재물의 취득과 재산상 이익의 취득이 모두 재산범죄의 객체를 취득한 것을 뜻하는 이상, 유독 이득죄에 대하여 재산상 이익의 취득이 범죄성립의 구성요건으로 규정되어 있다는 점을 들어 이득죄의 고의가 불법이득의사를 포함한 것이라고 설명하는 견해에는 동의하기 어렵다. 판례 또한 재물죄의 경우와 달리 이득죄에 대해서는 고의와 불법이득의사의 관계를 명확하게 판단하지 않고 있는데, 이 또한 합당하지 않다. 적어도 재물죄의 고의와 불법영득의사가 범죄성립을 위한 별개의 주관적 구성요건요소라면 이러한 논리는 이득죄에서 고의와 불법이득의사의 관계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 타당하다.

      • KCI등재

        미국 형사법상 재산죄 통합의 의미

        하민경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24 비교형사법연구 Vol.25 No.4

        본 논문은 미국에서 재산죄를 통합하여 하나의 범죄로 취급하는 체계가 지니는 실체법적・절차법적 의미를 분석한다. 과거 커먼로에 따르면 절도죄, 사기죄, 횡령죄 등의 범죄가 개별적으로 존재하였기 때문에 우리와 유사한 논의들을 찾아볼 수 있었다. 그러나 절취이든 편취이든 횡령이든 타인의 재산을 침해한 행위들이 행위자의 책임이나 위험성, 해악을 초래한 중대성의 정도 등에서 구별 실익이 없다는 논의가 지배적이 되면서 모범형법전은 강도죄를 제외한 모든 재산 침해 행위를 하나의 ‘탈취’범죄로 통합하였고 대다수의 주법이 이를 따르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초기 커먼로에서 강도죄만이 범죄이고 다른 재산 침해 행위들은 불법행위로만 해결했던 초기 커먼로에서 중대한 신체적 폭력이 동반되지 않은 재산에 대한 침해 행위자들에게 결과적으로 동등한 책임이 있는 것이라는 공통분모를 우선시한 것으로도 평가할 수 있다. 필자는 미국 형사법 체계에 큰 변혁을 가져온 이와 같은 변화로 인해 실체법적으로는 객관적 요건이 간소화되고, 주관적 요건이 중시되었다고 해석한다. 정밀한 해석의 논의 대상이던 재물과 재산상 이익 등 객체의 구분이나, 점유 내지 소유에 대한 침해의 구별, 점유의 타인성의 구별 등은 더 이상 면밀한 검토를 요하지 않게 되었기 때문에 객관적 요건은 재산죄의 성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을 설명한다. 그럼으로써 재산죄의 성부를 결정짓는 것은 주관적 요건이 되었는데, 이는 미수론의 주관주의적 변화와 맥이 통해 있는 것으로 해석한다. 커먼로에서 미수범은 결과반가치가 없다는 이유로 경죄에 불과한 것으로 취급되었는데, 모범형법전은 미수범을 원칙적으로 기수범과 동일하게 처벌하는 것으로 명시하였다. 물론 양형에서 범죄의 중대성에 따라 감경 여부를 판단하고 있지만 미수범 역시 기수범과 동등한 고의책임이 있다는 점이 강조되었고, 원칙적으로 불능미수의 항변을 폐기하고 중지미수의 항변은 인정하는 것으로 완전히 선회하였다. 객관주의 범죄이론은 미수범을 처벌하는 근거를 보호법익에 대한 객관적 위험을 야기함으로써 초래된 사회적 해악에서 찾는 반면, 주관주의 범죄이론은 실행행위에 의해 표현된 행위자의 반사회적 위험성 내지 법적대적 의사에서 그 근거를 찾는다. 범죄에 대한 단속과 예방 차원이 중시되는 것은 현대 미국법제의 경향이기도 한데, 재산죄의 통합과 미수론의 주관주의적 변화는 큰 틀에서 이와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단일한 범죄로의 통합으로 인해 재산죄의 성립이 용이해지고 처벌의 범위는 확대되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에 대해 형법의 최후수단성과 정형화원칙을 근거로 한 비판이 존재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변화의 계기는 절차법적 이유에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살펴봐야 한다. 과거에는, 재산죄 중 하나의 유형에 해당하는 것으로 기소되어 재판을 받는 피고인이 1심에서 재산죄 중 하나의 범죄 유형으로 유죄판결을 선고 받고도 항소심에서 다른 유형의 재산죄를 범한 것에 해당할 수는 있어도 기소된 범죄의 요건에 해당하는 행위는 하지 않았다는 항변이 받아들여지면 피고인은 이중위험금지원칙을 근거로 유죄 판결을 받을 가능성에서 벗어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불합리를 시정하기 위해 재산죄 통합의 논의가 시작된 것이기 때문에 본 연구는 절차... This article analyzes the substantive and procedural meaning of a system that integrates property crimes in the United States and treats them as a single crime. According to Common Law in the past, similar discussions to ours were found because crimes such as larceny, false pretenses, and embezzlement existed separately. However, it became the dominant view that there are not many differences found in those in terms of the actor’s dangerousness, harmfulness and wrongdoing. As a result, the Model Penal Code which most state laws have followed has integrated all property criminal activities except robbery into one crime of “theft.” Integrated property crime is classified into eight types: unlawful taking or disposition, deception, extortion, theft of property lost, theft of service, theft of funds and nauthorized use of vehicles. This change can also be evaluated as prioritizing the common denominator that crimes against property without significant physical violence are consequently equally responsible, like in early Common Law, which saw only robbery is a crime and other property infringement acts were resolved by torts. The author points to simplification of objective elements and emphasis of subjective elements in substantive law as shifts that have led to major changes in the US criminal law system. The article explains that objective elements do not affect the establishment of the theft crime because the distinction between tangible property and property interests, the distinction of infringement on possession or ownership, and the distinction of the otherness of possession, which were the subject of precise interpretation, no longer require close examination. As a result, it became the subjective elements which establish property crimes, which is interpreted as being in line with the subjective change of attempt theory. In Common Law, attempted crimes were treated as nothing more than misdemeanors by emphasizing the results, but the Model Penal Code stipulated that attempted criminals are in principle penalized in the same way as completed offenses. Of course, the sentencing is reduced according to the seriousness of the crime, but it was emphasized that there was equal intentional responsibility on the premise of intent, and in principle, the defense of impossibility was abolished and the defense of renunciation was recognized. Objectivist attempt theory finds the basis for punishing attempts in social harm caused by causing objective risk to protective legal interests, while subjectivist attempt theory finds the basis in the actor’s dangerousness expressed by the act. It is the trend of current American criminal law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reventing crime, and the integration of property crimes and subjective changes in attempt theory are in line with. It can be said that the integration into the ‘theft crime' made it easier to establish property crimes and expanded the scope, but criticism exists based on criminal law as ultima ratio and the principle of formalization such as nullum crimen, nulla poena sine lege. However, it is also necessary to examine such changes in light of procedural law, as this huge change started basedn on procedural considerations. This was because, when the defendant charged and tried as a type of property crime is recognized as not having committed the property crime the actor was charged during an appeals trial after being convicted of the crime in the first trial, even if the actor may have committed another property crime, such a defense was accepted, and the defendant was unreasonably able to escape the possibility of being convicted on the basis of the double jeopardy principle.

      •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Factors on Violent and Property CRIMES

        Sung Yong-eun,Back Sin-chul,Torres Christopher J-INSTITUTE 2017 Public Value Vol.2 No.1

        Due to poor socioeconomic conditions such as declining wages and high unemployment rates, unskilled young people may be drawn to the commission of crime. Several recent studies have found that worsening economic conditions cause social disorder and cr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whether various socioeconomic indicators have a positive impact on both violent and property crime rates at the county level within the state of Texas in the United States. The present study hypothesizes that: 1) violent and property crime rates are higher in counties with high levels of poverty; 2) violent and property crime rates are higher in counties with high levels of unemployment; 3) violent and property crime rates are higher in counties with low levels of median household income; 4) violent and property crime rates are higher in counties with low levels of educational attainment.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was collected from the Uniform Crime Report (UCR) and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Economic Research Service (USDA) for the year 2015. Within the present study, the total enumeration of counties (254) located in the state of Texas (United States) was designated as the units of analysis. This study measures two dependent variables: violent crime rates and property crime rates. Four unique independent variables were chosen for the analysis based off findings in the current body of literature: (a) poverty, (b) unemployment, (c) median household income, and (d) educational attainment. An Ordinary Least Squares (OLS) regression model is employ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oec-onomic indicators and crime rates. In additi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were employed to demonstrate the link between unemployment, violent crime, and property crime.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reveal that (1) violent crime rates are on average higher in counties with high levels of unemployment; (2) property crime rates are higher on average in counties with higher levels of unemployment. To clarify, a 1 Standard Deviation (SD) unit increase in unemployment predicts a 6% increase in the expected count of violent crime (p < .001). Also, a 1 SD unit increase in unemployment predicts a 29% in-crease in the expected count of property crime (p < .001). Unemployment is the only significant independent variable and can thus be viewed as a possible source of criminality within the counties in Texas. One method of reducing unemployment and ultimately reducing crime is by implementing a community development model. This will lead to the creation of a “community network” that draws local resources, services, and facilities to-gether for the creation of more jobs. The contribu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were discussed in conclusion.

      • KCI등재후보

        현행 형법상 재산범죄 정비방안에 대한 연구

        송진경 가천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가천법학 Vol.6 No.3

        과거 전기가 발명되기 이전에는 전기에 대한 절도는 생각할 수 없었을 것이나 전력이 생산되고 공급되면서 전력의 도용(盜用)이라고 하는 새로운 형태의 범죄가 출현하였다. 한편 오늘날 GPS의 발달은 경계침범죄의 존속필요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게 한다. 하지만 경계침범죄의 해석상 단순한 경계표의 손괴, 이동 또는 제거만으로는 처벌되지 않고 ‘토지의 경계가 인식불능’하게 되었을 때 처벌된다는 것이 학설과 판례의 태도이다. 특히 경계침범죄는 미수범에 대한 처벌규정이 없다는 점에서 기수시기가 단순손괴죄를 적용하는 경우에 비해 늦추어지는 것은 처벌의 범위를 축소하게 된다는 점에서 여전히 해당 조문은 의미 있다고 판단된다. 1953년 제정된 형법은 일제식민지 이후 한국전쟁까지 거치면서 우리말로 된 법전편찬이 시급한 상황에서 불가피하게 일본개정형법가안을 주된 참고자료로 삼았고, 이는 재산범죄의 행위객체로서 재물과 재산상 이익이 등장하게 된 배경이 되었다. 재물과 재산상 이익이 일본 형법과 일본개정형법가안에 규정되게 된 원류를 찾아보면 프랑스 형법상 물건(chose)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프랑스 형법에 있어서 물건은 동산을 지칭하는 것이었으며, 절도죄의 행위태양인 절취는 행위객체의 장소적 이전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의 절도죄 규정에서 행위객체인 재물 역시 동산에 한정된다고 여겨진다. 다만 타인의 토지를 불법으로 점거하여 주택을 건축하는 경우 등에 대해 부동산침탈죄를 신설하여 넓은 의미에서 부동산에 대한 절도를 처벌할 것인지가 향후 재산범죄 중 절도죄에 관한 장의 개정에서 논의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위와 같은 경계침범죄의 존치 여부, 부동산침탈죄 신설 여부 그리고 재산범죄의 행위객체로서 재물과 재산상의 이익에 대한 해석의 문제가 상대적으로 볼 때 과거와 관련된 논의라고 한다면, 게임아이템, 게임머니 나아가서 전자화폐 등은 재산범죄의 행위객체로 새로 등장하고 있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가상공간에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사이트에 접속하고 관리한다. 이처럼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까닭은 해당 계정에 대한 타인으로부터의 침입을 막고 배타적으로 지배·관리하기 위해서라고 할 것이다. 그렇다면 향후 동력에 대한 규정을 일부 수정하여 재물로 간주되는 것의 하나로 사이버재를 추가하는 방안을 모색해 볼만 하다고 여겨진다. 우리는 지불수단으로 현금, 신용카드를 지나 전자화폐를 사용하기에 이르고 있다. 지금까지는 현금은 재물, 예금 채권은 재산상 이익이라고 해석하여 왔으나, 전자화폐가 보편화되어 현금을 대체하는 상황에 이르게 되면 교환가치에 중점이 있는 화폐의 특성이 더욱 두드러지게 될 것이다. 그 외에도 보험사기에 대응하기 위해 보험남용죄를 도입하자는 형법개정안도 제출되고 있으나, 보험남용죄는 사기의 예비단계에 해당하는 행위를 처벌하려는 것으로 그 가벌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음이 확인된다. 더구나 보험금의 부당청구라고 하는 일종의 사기를 목적으로 살인, 상해 등을 한 경우에는 사기죄와 함께 해당 범죄로 처벌하고 있다는 점에서 굳이 사기의 예비단계에 대해 보험남용죄를 신설하여 규율할 필요성을 긍정하기는 어렵다.마지막으로 재산범죄는 재산에 대한 범죄이며 재산은 개인이 보유한 유형의 가치뿐만 아니라 무형의 가치도 포함된다고 볼 때 무체재산, 지적 재산 혹은 지식재산으로 지칭되는 저작권, 특허, 상표, 실용신안, 디자인 등에 대한 침해행위를 처벌하는 실질적 의미의 형법규정들을 형법전 안으로 포섭할 수 있는 가능성 여부를 검토한 바 침해행위의 공통된 유형에 따라 법정형이 유사하게 규정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향후 지식재산권을 침해하는 행위에 대한 형벌규정을 형법전 안으로 충분히 포섭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efore the invention of electricity, it was impossible to imagine electricity theft, a new type of crime electricity theft appeared with producing and supplying electric power at that time. In these days, the advanced Global Positioning System makes us have a doubt about the need for maintaining the crime of trespassing boundary. However, according to scholars’ theories and precedents, destroying, damaging, altering or removing a boundary sign would not be punished, these acts should be punished only if we are not able to identify a boundary sign. There is no punishment for an attempted trespassing boundary in criminal law. The range of punishment for trespassing boundary could reduce if the article 370 trespassing boundary is maintained.Legislators establishing korean criminal law referred to inevitably a draft for revising the japanese criminal law because a codification of criminal law in Korean was an important task after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Korean War. It led to the appearances of property and pecuniary advantage as the objects of property crimes. Chose, the origin of property and pecuniary advantage written at Japanese Criminal law and the draft for revising the law, is found at the French criminal law. Chose of the French criminal law meant movable properties. Stealing another’s property involves moving the objects of larceny. So I think that a property as the object of larceny in current provision is limited to movable property. However, we could discuss whether to punish disseizin - for example, a person occupies other person’s real property and builds construction illegally - as a crime stipulated in the Criminal Code. Theses issues - maintaining or abolishing the crime of trespassing boundary, whether the crime of disseizin would be established or not, and the interpretation of property and pecuniary advantage - are comparatively related to the past. Game items, game money and electronic money are new objects of property crimes.We can access and control internet sites by input of ID and passwords. To prevent another person from invading, we set up ID, passwords and can control internet account exclusively. It can become a way to add cyber-property considered as a property when the article 346 of energy is revised. We have used cash, credit card and also use electronic money. Although we have interpreted that cash is property and the deposited money is pecuniary advantage, it will become revealed that the important point of the specific character of money is the exchange value if electronic money is common as the substitution of cash. Furthermore, a revised bill for introducing a crime of abuse of insurance has been submitted. But a question is rising over the punishment for the crime of abuse of insurance as an act in a preliminary stage. Moreover, it is difficult to the need for establishing the crime of abuse of insurance because the court now punishes a person for committing murder, injury, etc. and fraud to demand unreasonable insurance benefits.Lastly, personal properties include intangible assets as well as tangible assets. It seems possible that we bring the punishment provisions for violating intellectual property into the Criminal Code because it is affirmed that there are similar statutory punishments by common types in copyright act, patent act, trademark act, utility model act, and design protection act.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범죄취약성이 재산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문화 수용을 중심으로

        이규범 한국치안행정학회 2022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9 No.3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fear of crimes of North Korean defectors as part of the Korean people. North Korean defector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economic concepts such as difficulties in living standards and lack of economic independence, and re-election crimes that take advantage of them are constantly occurring. Therefore, in this study, among the fear of cr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study on the fear of property crime experienced by North Korean defectors. In particular, this study tried to verify the vulnerability of North Korean defectors to crime and their fear of property crime, and also to check how the acceptance of culture in a new society affects their fear of property crime. In order to carry out this research purpose,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North Korean defectors, and it was conducted for about two months from August to October 2017.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criminal vulnerability of North Korean defectors affects their fear of property crimes. And as a result of confirming whether cultural acceptance according to whether North Korean defectors accept South Korean society's culture, which we want to confirm in this study, has an effect on fear of property crime, cultural acceptance in Korean society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erms of fear of property crime. No significant results were present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criminal vulnerability was identified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fear of property crimes of North Korean defect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tried to suggest security policy data that can alleviate the fear of property crimes of North Korean defectors. 이 연구는 우리 국민의 일환으로써 북한이탈주민의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 악하고자 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은 생활기반의 어려움과 경제적 자립의 부족 등 경제 관념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를 악이용한 재산범죄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범 죄두려움 중에서도 북한이탈주민이 겪고 있는 재산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관하여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이 범죄에 대한 취약성과 재산범죄에 있어서 두려움을 검 증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새로운 사회에서 가지게 되는 문화수용이 재산범죄두려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수행하고자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2017년 8월부터 10월까지 약 2달 가량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북한이탈주민의 범죄 취약성은 재산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 최종적으로 확인하고자 하는 북 한이탈주민이 한국 사회의 문화를 수용하는가에 따른 문화 수용이 재산범죄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확인한 결과, 한국사회에 대한 문화수용은 재산범죄 두려움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제시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살펴보게 되면, 북한이탈주민의 재산범죄 두려움에 있어서는 범죄 취약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북한이탈주민 의 재산범죄 두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치안정책 자료를 제언하고자 하였다.

      • FDM 방식 3D 프린터에 대한 딥러닝 기반 물성 추정

        임주현(Joo Hyeon Im),김원곤(Wongon Kim),안성훈(Sung-Hoon Ahn),윤병동(Byeng Dong Youn) 대한기계학회 2022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22 No.11

        Additive manufacturing (AM) is playing a major role in Industry 4.0. AM can simplify the fabrication of complex shapes while minimizing manufacturing time and cost. However, the poor surface quality and weak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output hinder the broad application of AM. In this study, we propose a deep learning-based method for estimating the mechanical property in a fused deposition modeling-type 3D printer. Acceleration signals were acquired in the process of outputting a tensile specimen through construction of a test-bed. In addition, a tensile test was performed using the specimen to collect information on mechanical properties. After that, features were extracted from the divided signals to analyze the correlation with the mechanical properties. Finally, the quality of highly correlated property was estimated through deep neural network. We confirmed that deep learning-based method is good at estimating property through mean square error loss and root mean square error.

      • KCI등재

        미국의 범죄피해재산에 대한 형사몰수제도와 우리 법제와의 비교

        이흔재 ( Lee Heun-jae ) 연세법학회 2021 연세법학 Vol.38 No.-

        우리나라는 그동안 조직적 사기범죄나 대형재산범죄에 대한 범죄피해자의 권리보호에 미온적인 태도를 보여왔다. 범죄로 인한 재산피해에 대한 회복은 피해자인 사인이 민사절차를 통하여 해결해야 할 문제이지 공권력을 가진 국가가 사법절차에 개입할 이유는 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개인의 능력으로는 민사절차를 통해 재산의 반환을 받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 때가 많이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범죄자의 수중에 많은 범죄수익이 남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토대로 미국의 형사몰수제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미국과 우리나라의 범죄피해재산에 대한 몰수의 가장 큰 차이점은 부패재산몰수법에서 예외적으로 국가의 개입을 허용하고 있는 반면 미국은 원칙적으로 국가가 적극적으로 범죄피해재산에 대한 몰수에 개입하고 있다. 이는 피해자 보호의 측면도 있지만 피해자가 범죄자로부터 피해재산을 회복하지 못할 경우 범죄자에게 수많은 범죄수익이 남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 외, 몰수보전절차, 피고인 명의의 범죄피해재산에 대한 몰수, 제3자 명의의 범죄피해재산에 대한 몰수절차 등은 부패재산몰수법상의 몰수·추징제도와 큰 차이점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형사몰수라는 사법시스템의 이론적 유사성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제3자 명의의 범죄피해재산에 대해서는 큰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미국은 범죄행위 이후 거래를 통해 재산을 취득한 제3자의 악의를 추정하고 있다. 제3자에게 자신의 선의를 입증하도록 하여 입증책임의 전환을 하고 있는 것이다. 개선점으로는 범죄피해재산에 대하여 국가가 원칙적으로 개입하여 몰수·추징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제3자 명의의 범죄피해재산에 대해 악의를 입증하여야 하는 국가기관의 입증책임을 완화시키는 방향으로의 입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Korea has shown a lukewarm attitude toward protecting the rights of crime victims against organized fraud and large-scale property crimes. Recovery from the property of the victim caused by crimes was a problem that the victim had to resolve himself through civil procedures, because the state with public power was not supposed to intervene in the judicial process. However, it is almost impossible to get the return of property through a civil procedure with individual abilities, and as a result, a lot of criminal proceeds are left in the hands of criminals. In this article, based on these problems, I examined the criminal forfeiture system of the United States. The biggest difference between the forfeiture of crime-damaged property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is that the State's intervention is allowed as an exception under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Confiscation and Recovery of Stolen Assets whereas in the United States, in principle, the state actively intervenes in the forfeiture of the property of the victim of a predicate offense. This is not only in terms of protecting victims, but also seems to have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reality that numerous criminal proceeds are left in criminals if the victim cannot recover the damaged property from the criminal.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forfeiture system with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Confiscation and Recovery of Stolen Assets in the procedures for preserving forfeiture, forfeiture of crime-damaged property of the accused, and forfeiture of crime-damaged property of a third party. This appears to be derived from the theoretical similarity of the judicial system of criminal forfeiture. However, there is a big difference with regard to the crime victim property of a third party. The United States presumes the malice of a third party who acquired property through a transaction after the criminal act. The burden of proof is shifting by having a third party prove their good intentions. For improvement, the state can intervene to forfeiture of crime-damaged property in principle and to ease the burden of proof of state institutions that have to prove malicious intent against crime-damaged property of a third party.

      • 배임죄에서의 재산상 손해 개념과 그 판단기준에 대한 검토

        김윤민(Yun Min Kim),이하은(Ha Eun Lee) 서울대학교 법학평론 편집위원회 2019 법학평론 Vol.9 No.-

        대법원은 2017. 7. 20. 선고한 2014도1104 판결(이하 ‘대상판결’이라 한다.)에서 약속어음 발행행위가 대표권 남용에 해당하여 무효인 경우, 그 약속어음이 실제로 제3자에게 유통되기 전까지는 배임죄에서의 재산상 손해 요건이 충족된 것으로 볼 수 없다고 판시하였다. 약속어음이 실제로 제3자에게 유통되기 전까지는 발행 회사가 약속어음에 기한 어음채무를 부담할 위험이 구체화 · 현실화되었다고 보기 어려우므로 ‘재산상 실해발생의 위험’을 인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대상판결의 다수의견은 배임죄에서 말하는 ‘재산상 손해를 가한 때’에는 현실적인 손해가 발생한 경우뿐만 아니라 재산상 실해발생의 위험이 초래된 경우도 포함된다는 종래의 입장을 유지하면서도, 재산상 실해발생의 위험의 범위를 종전보다 침해범에 가깝게 구체화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전까지는 어음의 ‘유통 가능성’ 단계에서 배임죄의 기수 성립을 인정하였으나, 대상판결을 통하여 어음의 ‘실제 유통여부’가 기수 판단의 기준이 된 것이다. 대상판결의 다수의견과 별개의견의 대립에서도 나타나듯이, 배임죄의 법적 성격에 대하여 위험범설과 침해범설이 대립한다. 다수의견을 비롯한 법원의 일반적인 입장은 구체적 · 현실적인 실해발생의 위험이 초래된 경우에는 재산상 손해 요건이 충족된 것으로 보는 구체적 위험범설에 서있다고 판단된다. 이에 대하여 ‘재산상 실해발생의 위험’이라는 개념 자체의 불명확성으로 인해 배임죄의 가벌성이 지나치게 확장될 우려가 있다는 비판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는 재산상 실해발생의 위험의 범위를 보다 엄격하게 정립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한다. 아직 손해가 현실화된 것은 아니지만, 경제적 관점에서 볼 때 사실상 손해가 발생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경우가 존재하기 때문에 ‘재산상 실해발생의 위험’이라는 개념은 인정하되, 그 범위를 구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재산상 실해발생의 위험의 범위를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변제의사, 손해 발생의 확실성의 정도, 다른 채무의 부담 상황, 변제자력, 충분한 인적 · 물적 담보 존재 여부를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인 사안에서 이러한 요소들을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배임죄의 가벌성을 지나치게 확장하지 않으면서도 경제적 관점에 부합하는 재산상 손해 판단이 가능할 것이다. 특히 기업경영 과정에서 문제되는 업무상 배임죄에서 ‘재산상 손해’ 발생 여부를 판단할 때에는, 기업경영 과정의 특수성과 고유의 법리를 고려하여 그 기준을 입체화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기업집단 내 거래행위로 인해 실해발생의 위험이 초래된 경우에는 그 위험이 기업집단 공동의 이익을 위해 통상적으로 수반되는 것인지 여부 등을, 모험거래의 경우에는 거래로 인하여 발생하는 장 · 단기적 경제적 이익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위험이 현실화될 가능성을 더욱 실질적인 관점에서 판단할 필요가 있다. According to the en banc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2014Do1104, announced July 20, 2017 (hereafter referred to as the `en banc decision`), should the issuance of promissory notes be invalid due to abuse of representative power, the issuance of promissory notes itself does not constitute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The en banc decision states that the issuance of promissory notes which have not yet been distributed to a third party cannot constitute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on the grounds that ‘the likelihood of the actual damage to property" has not yet been realized. The majority opinion held that in the case of `when the property loss is caused,` the term `property loss` should include not only actual loss but also the risks of occurrence of actual property loss. Nonetheless, the significance of this decision lies in that the scope of the `risks of occurrence of actual property loss` has been narrowed down, reflecting the views that regard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to be an infringement crime. Thus, the en banc decision shifts focus from the issuance of promissory notes to the actual distribution of promissory notes in determining whether the corporate management’s issuance of the promissory notes constitutes a mere attempt of breach of trust or a fully completed one. As present in the majority opinion and the dissenting opinion, there are conflicting views regarding the legal nature of the crime of breach of trust; some view it as a crime that requires infringement of legal interests whereas others regard it as a crime constituted by the mere endangerment of them. The general view of the court, including the majority opinion, sides with the latter; in other words, property loss does not only deduce from the actual property loss but also the risks of occurrence of actual property loss. On the contrary, some have argued that the concept of `risks of occurrence of actual property loss` is rather broad and abstract. However, we argue that this conflict could be resolved by specifying the scope of the `risks of occurrence of actual property loss`. Because there are cases wherein the property loss can be deemed to have occurred from the economic point of view (although the actual property loss has not been realized yet), we argue that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concept of `risks of occurrence of actual property loss,` but specifying its scope is crucial. In order to specify the scope of the `risks of occurrence of actual property loss`, factors such as the willingness to reimburse, the degree of occurrence of loss, debt capacity, capacity to effect performance, and the amount of personal and proprietary securities, should be considered. By examining these factors in detail within specific cases, judgements on whether the property loss has been realized or not can be made by the court in accordance with the economic point of view. Furthermore, when judging whether property loss has arisen over the course of business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specificities of the business management process and its own legal principle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ransactions within corporate groups, factors such as whether the common interests of the entire group outweigh accompanying risks should be carefully examined in the assessment of the risks of occurrence of actual property loss, and in the case of adventurous transactions, factors such as short-term and long-term economic benefits occurring from the transaction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