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문화예산의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재원구조와 활동유형을 중심으로

        박윤환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2 행정논총 Vol.50 No.2

        Despite increased public attention to cultural policy, scholarly interest in budget allocations for cultural policy remains low. As an attempt to address this dearth in extant literatur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budget allocation for municipal cultural policies empirically, focusing in particular on budget structure and culture activity types that the previous literature has not considered. In pursuing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n exploratory approach based upon ArcGIS mapping techniques was used as well as a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2009 cultural budget data and various municipal statistics collected from 230 local governments from around the nation. The local government is the unit of analysis used in this study. Findings suggest that size of cultural budget in local governments vary according to budget structure and type of cultural activity. Moreover, there is a distinct spatial variation betwee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other regions.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the elements affecting the cultural budget differ according to budget structure and type of cultural activity. As such,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more micro-level analysis, focusing on budget structure and type of cultural activity, is needed. 최근 문화정책에 대한 관심은 꾸준히 증대하고 있지만 원활한 정책수행을 위해서 필수적인 문화예산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낮은 형편이다. 본 연구는 문화예산의 결정요인을 다룬 선행연구들이 주목하지 않았던 예산의 재원구조와 문화 활동 유형에 초점을 맞추어 지방자치단체 문화예산의 결정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전국 230개 기초자치단체를 분석단위로 2009년 문화예산자료와 다양한 시군구단위 자료들을 이용하여 ArcGIS의 지도그리기를 통한 탐색적 접근과 회귀분석모형을 통한 실증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자치단체 문화예산의 규모가 예산 재원구조와 문화 활동 유형에 따라서 다른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수도권 지역과 지방간의 공간적 편차가 두드러졌다. 또한 문화예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도 역시 예산 재원구조 및 문화 활동 유형에 따라 상이한 패턴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문화예산의 분석에 있어서 재원구조와 문화 활동 유형에 입각한 미시적 분석이 요구될 것이다.

      • 문체와 문채 그리고 문체적 공시의 개념과 영역

        박윤환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1998 外國文化硏究 Vol.21 No.1

        Le but de cette reflexion est d'analyser les concepts, les domaines du style, de la figure, de la connotation stylistique et de leurs relations internes. En bref, le style est la manie`re, et la figure la forme d'expression. La connotation stylistique informe sur l'appartenance du message a` telle langage ou sous-langue particulie`re. Les diffe`rents styles se de´finissent en m^me temps que leur syntaxe et d´une fac¸on ge´ne´rale par les figures. Alors, les figures et les connotations stylistiques, ce sont les e´le´ments de cre´er les styles des e´crivains. Mais leurs concepts, et les limites de leurs domaines peuvent e^tre tre`s vagues a` cause de caracte`res subjectifs et abstraits.

      • 개질된 폴리이미드 분리막의 특성과 탄화수소 혼합물의 분리

        박윤환,김득주,조민재,남상용 한국막학회 2015 한국막학회 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015 No.11

        분리막을 이용한 투과증발법은 에너지 소모가 적고 경제적이며 환경친화적이기 때문에 분자스케일 액체/액체 분리에 있어서 매우 주목 받고 있는 기술이다. 방향족 화합물과 지방족 화합물을 분리하는 공정은 석유정제, 석유화학공정 등에서 특히 중요한 분리공정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벤젠에 대한 고선택성을 나타내는 PEG가 함유된 폴리이미드 공중합체를 합성하였고, 1H-NMR 스펙트럼과 FT-IR 스펙트럼에서 PEG 특성 피크의 확인을 통하여 PEG가 도입되었음을 확인 하였다. 혼합물 분리를 위한 투과증발 실험 장치를 제작하여 PEG 함량이 다른 막을 제조하여 벤젠 조성 변화에 따른 투과증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투과유량 및 투과도를 계산하여 투과특성을 확인하였다.

      • Langage의 Cre'ativite' 考察 : Saussure의 langue, parole과 Chomsky의 compe'tence, performance를 中心으로 Centering on Saussure's langue and Parole and Chomsky's Competnce and Performance

        朴潤桓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1984 外國文化硏究 Vol.7 No.1

        Le but de cette dissertation, c'est d'e´claircir la cre´ativite´ du langage humain repre´sente´e dans la langue et la parole de Saussure et dans la compe´tence et la performance de Chomsky. Il y a trois types de cre´ativite´ du langage comme suivants: -cre´ativite´ gouverne´e par les regles, -cre´ativite´ qui change les re`gles, -cre´ativite´ esthe´tique exprime´e par l'imagination personnelle. Le premier type de cre´ativite´ est localise´ dans la parole et la compe´tence, le deuxie´me relevant de la performance et aussi de la parole, consiste en ces multiples de´viations individuelles dont certaines finissant en s'accumulant par changer le system; un exemple en est fourni par les changements par analogie. Le dernier type de cre´ativite´ peut e^tre localise´ dans la parole, crois-je, puisque la parole est un acte individuel de volonte´ et d'intelligence. Un certain linguiste soutient que la cre´ativite´ esthe´tique est exclue de la the´orie chomskienne, mais J. Mounin dit qu'on croit que la cre´ativite´ chomskienne tendrait a` en rendre compte. Je crois qu'il y a pas de cre´ativite´ dans la langue de Saussure, c'est que l'humain n'exite pas dans la conception du syste`me saussurien.

      • 佛語에 있어서 時間節의 proce`s와 그 主節의 proce`s의 時相關係 硏究

        朴潤桓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1982 外國文化硏究 Vol.5 No.1

        현대 불어에 있어서 시간의 종속어의 체제는 주절과 동시성, 선립성, 후행성의 시제 관계, 즉 상대시제와 상의 관계를 종속절의 proces로 하여금 이루게 하고 있다. proces의 개념을 동사의 동적인 면 만으로 한정하면서 동사의 상태적인 면과는 서로 대립 관계에 있다고 정의한 학자도 있지만 본고에서는 proces를 <술어로 쓰인 동사가 나타내는 모든 종류의 개념, 즉 능동적 동작, 수동적 동작 및 상태를 통틀어서 proces라 한다>라는 정의를 따르고 있다. 문(phrase)에 있어서 이차적인 기능을 갖고 있는 상황보어절은 주절의 proces가 생기는 시간이나 장소를 한정하거나 이유, 목적, 결과, 대립, 양보, 조건, 가정 등의 관계를 갖지만 그 중에서 주절의 proces의 시제관계를 한정해 주는 시간절(proposition temporelle)이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주지의 사실이다.

      • 同格의 機能 考察 : P. Blumenthal의 理論을 中心으로

        朴潤桓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1993 外國文化硏究 Vol.16 No.1

        En principe, le substantif mis en apposition n'a pas par lui-me^me de fonction syntaxique. Tout au plus pourrait-on dire 벼'il participe par re′fe′rence a、 celle du terme auquel il se rapporte. Mais, selon la the′orie de P. Blumenthal, l′apposition exerce quelques fonctions par rapport au reste de la phrase au point de vue stylistique et pradigmatique. Dans cette e′tude, il s′agit de l′application de cette the′orie a、 l′analyse de fonctions de l′apposition. Il analyse des e′nonce′s avec ses propres termes : the′matiques (les parties d′un message qui sont connues ou sans grand inte′re、t commucatif.), rhe′matique (les parties qui ve′hiculent l′information proprement dite.), DC(dynamisme communicatif), S.P (sujet psychologique, A, ―P.(arrie、re-plan), etc. Et, ici les appositions sont classe′es au point de la fonction : pre′dicative, circonstrancielle, de′terminative, the′matique et rhe′matique.

      • KCI등재후보

        외국인 주민의 거주지 분리에 대한 공간적 패턴

        박윤환,임현철 국회입법조사처 2015 입법과 정책 Vol.7 No.2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attern of immigrant segregation in Korea that previous literature has failed to pay scholarly attention to so far. In order to measure the level of immigrant segregation for entire 252 si-gun-gu units in the nation, the present research utilized 2014 population data including the number of local and foreign residents and then measured the residential segregation for foreign residents by focusing on the most important indices such as evenness, clustering, and concentration. Technically, we visualized the level of immigrant segregation for si-gun-gu units through mapping skill to explore the spatial variation of immigrant segregation in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s, a significant number of areas are currently struggling with a severe level of immigrant segregation which appears to come close to the level of racial segregation in US. In addition, the areas with high immigrant segregation are spatially clustered in not only Seoul Metropolitan region but also some southeastern region of Korea while the areas with high percentage of foreign population are highly concentrated in Seoul Metropolitan region. Thus, one-dimensional statistic showing the percentage of foreign population is difficult to pin down the trend of spatial separation and concentration with respect to residential pattern of immigrants in Korea. As a result, this paper emphasized the necessity of better indices to more accurately measure immigrant segregation which is likely to cause negative socio-economic effects.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가 주목하지 않았던 외국인 주민의 거주지 분리 패턴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4년 기준 전국 252개 시군구의 외국인 주민의 거주지 분리를 하위의 지리적 분석단위인 3488개 읍면동 단위의 내국인과 외국인 주민 인구수를 이용하여 거주지분리의 균일성(evenness), 군집성(clustering), 집중성(concentration) 지표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시군구 단위로 측정한 외국인 거주지분리 수준에 대하여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활용한 지도그리기(mapping)로 시각화시켜서 외국인 주민의 거주지 분리 현상의 공간적 변이를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균일성 차원의 거주지 분리 정도에 있어서 우리나라 상당수 시군구의 외국인 주민 거주지 분리의 수준은 주요 이민 국가의 거주지 분리 수준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민등록인구 대비 외국인 주민 비율이 높은 곳은 수도권에 집중되었던 반면에 외국인 거주지 분리가 높은 지역은 수도권은 물론 영남권 등 일부 지방에도 분포되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외국인 주민 인구 비율이라는 지표가 외국인 주민의 거주 패턴에 있어서 중요한 맥락을 지닌 공간적 분리와 집중을 효과적으로 보여주지 못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정적인 사회경제적 파급효과를 이끌 가능성이 높은 외국인 주민의 거주지 분리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지표가 활용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