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장 경제 시기 중국의 국가역할- 1990년대 국가발전계획위원회의 선도기구(Pilot Agency) 역할 분석 -1990년대 국가발전계획위원회의 선도기구(Pilot Agency) 역할 분석-

        서상민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1 아태연구 Vol.18 No.1

        This article focuses on the State Development and Planning Commission, which plays a role of ‘pilot agency’ in China, where the state-led development strategies have been adopted. This includes the Commission’s role in long-term planning and economy policymaking, as well as the mechanism how it has coordinated the macro-economic policies with other related governmental departments, especially the leadership of Chinese Communist Party, the supreme policymaking institution. For this purpose, firstly, this study will discuss how the Chinese leadership has recognized and modified the developmental state model in East Asia. And then, it will try to understand the role of state in the reform period from the view of developmental state theory, which can be followed by analysis of decision-making process and planning system of Chinese government focusing on the role of SDPC as a pilot agency. 2008년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중국식 발전모델’에 대한 관심이 높다. 본 연구는 중국식 발전모델에 관한 연구이다. 1980년대와 1990년대 국가발전계획위원회 역할을 동아시아 발전국가의 모델에 근거하여 분석했다. 발전국가론에서 논의되고 있는 '선도기구’(pilot agency)로서 국가발전계획위원회를 대상으로 하여, 제도적 차원과 행위자적 차원에서 분석하고 있다. 국가발전계획위원회는 비록 신중국 성립과 함께 구성된 계획기구이나, 시장경제 전환 후에도 중국경제를 이끌어 온 핵심 경제부처이다. 발전전략을 계획하고 경제정책의 부처 간 조율을 맡아 온 이 기구가 ‘사회주의 시장경제체제’가 갖는 계획과 시장의 내적 긴장을 해소하는 균형추 역할을 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충성심’(紅)과 전문성(專)을 겸비한 엘리트들의 충원, 그리고 그들의 정책능력이 주요인이었다. 이는 동아시아 발전국가들과 깊은 유사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중국적 특징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도시재생지원기구의 역할 및 지원방향에 관한 연구

        박성남(Park, Sungnam),서수정(Seo, Soojeoung),임강륜(Lim, Kangryu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5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6 No.4

        2014년 2월에 도시재생지원기구가 복수로 지정되어 운영중에 있으나 현재 세부적 기능 및 역할 설정은 미흡한 상황이므로, 향후 도시재생 제도의 발전과 도시재생 사업의 효율적 지원을 위해서는 도시재생지원기구의 세부적 역할 설정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련 전문가 그룹의 인식 분석을 토대로 도시재생지원기구의 기능 및 역할과 도시재생사업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도시재생지원기구의 향후 지원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지역 역량 및 지원 수요에 대한 맞춤형 지원방안의 필요성이 강조되었으며, 특히 도시재생 기반 구축이 미비한 시군을 중점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음이 강조되었다. 주민 및 공무원 대상 교육의 중요성이 지적되었으며, 경제기반형과 근린재생형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유형별 지원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였다. 아울러 도시재생지원기구 실무자 협의체, 사업 총괄코디네이터, 센터담당자 등 지역별 도시재생 담당자간 네트워크 구축 및 발전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지원기구의 향후 기능 발전을 위한 방향으로서 도시재생지원기구의 전문성, 권한, 역량 증대, 향후 사회변화에 부응하기 위한 기능 발전, 현장과 연계한 지속적 제도 발전을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tailed functions and roles of the National Urban Regeneration Assistance Agencies. It also seek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operational strategies for the agencies in the short- and also long-term perspectives. In-depth interviews with urban regeneration specialists, grouped into four, were conducted to collect various opinions on the future roles of the agencies. Interviewed specialists highlighted a partnership among the three current agencies established in the system. They also argued that supports from the agencies should be focused on local governments which lacks of urban regeneration capacity.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 and training on residents and on public officials was highlighted in the interviews, too. The majority of interviewees agreed that there is a need to differentiate assistance strategy between “city center regeneration projects”, and “urban neighbourhood regeneration projects”. In addition, it was highlighted that there is a need to create and enhance a cooperative network among stockholders and participants including the team staff members from the three agencies. This research concludes with following implications for the future: 1) enhancing the agencies’ specialties, authorities and capacity, 2) developing its functions responding to future socio-economic changes, and 3) developing its sustainable supporting system responding to local demands properly.

      • KCI등재

        도시재생지원기구의 역할 및 지원방향에 관한 연구 - 전문가 그룹별 인식 비교를 토대로

        박성남,서수정,임강륜 한국도시설계학회 2015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6 No.4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detailed functions and roles of the National Urban Regeneration Assistance Agencies. It also seek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operational strategies for the agencies in the short- and also long-term perspectives. In-depth interviews with urban regeneration specialists, grouped into four, were conducted to collect various opinions on the future roles of the agencies. Interviewed specialists highlighted a partnership among the three current agencies established in the system. They also argued that supports from the agencies should be focused on local governments which lacks of urban regeneration capacity. The significance of education and training on residents and on public officials was highlighted in the interviews, too. The majority of interviewees agreed that there is a need to differentiate assistance strategy between “city center regeneration projects”, and “urban neighbourhood regeneration projects”. In addition, it was highlighted that there is a need to create and enhance a cooperative network among stockholders and participants including the team staff members from the three agencies. This research concludes with following implications for the future: 1) enhancing the agencies’ specialties, authorities and capacity, 2) developing its functions responding to future socio-economic changes, and 3) developing its sustainable supporting system responding to local demands properly. 2014년 2월에 도시재생지원기구가 복수로 지정되어 운영중에 있으나 현재 세부적 기능 및 역할 설정은 미흡한 상황이므로, 향후 도시재생 제도의 발전과 도시재생 사업의 효율적 지원을 위해서는 도시재생지원기구의 세부적 역할 설정이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관련 전문가 그룹의인식 분석을 토대로 도시재생지원기구의 기능 및 역할과 도시재생사업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도시재생지원기구의 향후 지원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지역 역량및 지원 수요에 대한 맞춤형 지원방안의 필요성이 강조되었으며, 특히 도시재생 기반 구축이 미비한 시군을 중점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음이 강조되었다. 주민 및 공무원 대상 교육의 중요성이 지적되었으며, 경제기반형과 근린재생형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유형별 지원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였다. 아울러 도시재생지원기구 실무자 협의체, 사업 총괄코디네이터, 센터담당자 등 지역별 도시재생 담당자간 네트워크 구축 및 발전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지원기구의 향후 기능 발전을 위한 방향으로서 도시재생지원기구의 전문성, 권한, 역량 증대, 향후 사회변화에 부응하기 위한 기능 발전, 현장과 연계한 지속적 제도 발전을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The East Asian Developmental State and Its Economic and Social Policies: The Case of Korea

        김순양 한국행정학회 2008 International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Vol.12 No.2

        A concept ‘the developmental state’ was introduced to explain the rapid economic growth of East Asian countries. In Korea, the developmental state emerged in earnest from the early 1960s, and combined with authoritarian politics in the 1970s, labelling the 1970s Korea as a typical form of the authoritarian developmental state. Korea’s developmental state was successful in achieving its core goals: economic growth and industrialization. However, during the years of economic development, social policies were largely underdeveloped or functioned, at the most, as a subsidiary of economic and industrial policies. Against the backdrop of these circumstances,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s of the developmental state in the 1960-70s Korea. In detail, this article answer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hat was the performance of economic policy in the developmental state of Korea during the 1960-70s? Was there any meaningful social policy in these years? Did social policy function as an instrument of economic development? How and why was social policy excluded in these years of economic development?

      • KCI등재

        중국 발전모델의 특징 - 동아시아 발전 모델과의 유사성과 차이점 분석

        이민자(李民子)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8 신아세아 Vol.15 No.1

          그동안 중국 국내외에서 개혁기 중국 경제발전 방식은 기존 경험과 얼마나 유사하며, 다른가라는 논쟁이 제기되었다. 중국 발전모델은 동아시아 발전모델의 또 다른 한 형태라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다. 그러나 2004년 베이징 컨센서스(Beijing Consensus) 개념이 제기된 후, 새로운 ‘중국 발전모델’의 출현에 관한 논의가 주목받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중국 발전모델을 ‘동아시아 발전모델’과 비교하여 그 유사성과 차이점을 분석함으로써 중국 발전모델의 적실성 혹은 실체를 밝히고자 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중국 발전모델은 동아시아 발전모델과 유사성을 지님과 동시에 동아시아 발전모델로는 설명할 수 없는 중국적 특수성이 있다. 따라서 동아시아 모델과의 유사성 및 중국적 특수성이 공존하는 혼합적 발전 방식이 바로 ‘중국 발전모델의 특징이라 설명했다.   There have been debates over Chinese economic development pattern whether it is similar with former development pattern of other countries or not. Some scholars contended that Chinese development model is another version of East Asian development model. Since the concept of "Beijing Consensus" was presented in 2004, however, scholars have given attention to the new Chinese Development Model.<B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between Chinese Development Model and East Asian development model. The findings are Chinese Development Model has its own particularity which cannot be explained by East Asian Development model although it has some similarity. Consequently, Chinese Development Model is a mixed model where Chinese distinctiveness and general aspect of East Asian Development model coexi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