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화, 이야기의 결말과 열린 결말

        김삼력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7

        이 논문은 영화의 결말과 열린 결말에 관한 분석이다. 특히 열린 결말의 정의와 해석을 다루는 것이 이 연구의 핵심이다. '결말'에 대한 정의를 먼저 내리고, 데이비드 하워드와 로버트 맥키의 목표 추구모델로 결말을 ‘닫힌’과 ‘열린’으로 구분하는 작업을 진행했다. 연구 결과 창작자의 의도와 더불어 관객의 생각이 결말을 정의하는데 매우 큰 비중이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이야기는 창작자가 설계한 것이지만, 그것을 해석하는 것은 결국 관객의 몫이며, 관객은 자신이 가진 가치나 이야기에 대한 흥미에 따라 원하는 결말이 다를 수 있고 결국 결말의 정의 역시 결정할 수 있었다. 물론 열린 결말로 거론된 영화들을 포함하여, 대다수 영화가 닫힌 결말을 갖고 있는 것은 전통적 사실이며 앞으로 이런 이야기의 구조는 크게 변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창작자의 의도나 관객의 생각에 따라 닫힌 결말로 설계된 이야기도 열린 결말로 변모될 수 있으며, 열린 결말의 의도를 오히려 관객이 받아들이지 않을 수도 있다.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endings of films and open endings. Particularly, the key of this study is the investigation of the definition and interpretation of open endings. For this purpose, the 'ending' was defined first, and subsequently, endings were divided into 'closed' and 'open' endings with a goal pursuit model of David Howard and Robert McKee. Thus, it was found in this study that the thoughts of an audience as well as the intention of a creator are crucial in defining an ending. Although a story is designed by a creator, its interpretation is at the disposal of an audience in the end, and the audience may take an ending differently depending on their value system or interest in the story, which eventually leads to their own definition of the ending. For sure, a traditional fact is that most of films including those mentioned to have open endings have closed endings, and such a structure of stories will not change significantly in the future. However, the ending of a film designed to have a closed ending may be changed to be open ended depending on the intention of a creator or the thoughts of an audience, and furthermore, the intention of an open ending may not be readily accepted by an audience.

      • KCI등재

        열린 발문이 초등학생들의 수학적 창의력에 미치는 영향

        문지혜 ( Ji Hye Moon ),박만구 ( Man Goo Park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2 한국초등교육 Vol.2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수학적 창의력 신장을 위한 구체적 전략의 하나로서 열린 발문의 유형과 그 특성을 살펴보고, 열린 발문이 학생들의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7 개정 교육과정 수학과 4학년 2학기 ‘7. 꺾은선 그래프’ 의 교과서 발문 분석을 토대로 창의력 신장을 위한 열린 발문을 적용한 수업 자료를 개발하고 그것을 수업에 적용할 때 나타나는 교사의 발문 유형과 특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연구대상을 성취수준에 따라 상, 중, 하로 나누어 열린 발문이 창의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6가지 열린 발문의 유형이 창의력 신장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열린 발문이 모든 수준의 학생들이 자신의 수준에 맞는 창의력을 사용하여 응답하도록 돕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독창성, 민감성 부분에서는 하위권과 중상위권 사이에 질적인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창의력 신장을 위한 열린 발문은 교사의 수업 방법이나 추가 발문의 질에 따라 그 효과가 크게 달라졌다. 이에 교사들에게 수학적 창의력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열린 발문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고, 창의력 신장을 위한 교사의 세심한 발문 전략이 필요하며, 학생들의 수학적 토론을 적절히 이용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the open-ended mathematical questions as one of the specific strategies to improve student`s mathematical creativity and their attributes and how these open-ended questions affected student`s mathematical creativity depending on their mathematical levels. For this study, we analyzed the open-ended questions from a polygons in the 4th grader`s 2nd semester mathematics textbook and also developed the teaching materials for student`s mathematical creativity. We checked the types of teacher`s open-ended questions and the traits of the questions with 6 class hours, and analyzed how these different open-ended questions are affecting student`s mathematical creativity.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ose open-ended questions could be divided into six types; ①Asking fo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②Blank replacement ③Logical reasoning ④Changing the orientation of the question ⑤Asking why and ⑥Creating links among students answers. Second, open-ended questions provided students opportunities to use creativity to answer the questions regardless of their mathematical levels. Third, there were no big differences in fluency, flexibility and sophistication among students with different achievement level. Fourth, the effects of open-ended questions for student`s creativity could vary depending on the quality of teacher`s additional questions and teacher`s teaching method. For the enhancement of student`s mathematical creativity, various quality open-ended questions should be developed for teachers. In addition, teachers also need to adapat sophisticated and meticulous open-ended question strategies for student`s mathematical creativity. Overall, based on my study for general math class to be more of a help to increase student`s mathematical creativity, I think various open-ended questions should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more among teachers. And teachers also need to adapt sophisticated and meticulous open-ended questions strategy for student`s mathematical creativity as well. Last, I suggest that teachers should make a good use of student`s mathematical discussion.

      • KCI등재

        고등학교 수학교과서의 수열 단원에 포함된 개방형 과제의 특징 분석: 인지적 난이도 관점을 중심으로

        오영석,김동중 한국수학교육학회 2023 수학교육 Vol.62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open-ended tasks in terms of cognitive demand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characteristics of open-ended tasks presented in the sequence units of three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revealed that low cognitive demand levels of open-ended tasks had characteristics including procedures within previous tasks or within those tasks. On the other hand, high cognitive demand levels of open-ended tasks had characteristics of actively exploring new conditions to gain access to what is being sought, requesting a basis for judgement, linking various representations to the concepts of sequences, or requiring a variety of answers.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not only specified the characteristics of open-ended tasks with high cognitive demands in terms of the intended curriculum, but also provided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open-ended taks with high congitive demands. 본 연구의 목적은 개방형 과제의 특징을 인지적 난이도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수학교과서 3종을 대상으로 수열 단원에포함된 개방형 과제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인지적 난이도 수준이 낮은 개방형 과제는 이전의 과제 또는 해당 과제 내에 절차를 포함하고있는 특징이 있었다. 반면에 인지적 난이도 수준이 높은 개방형 과제는 구하고자 하는 것에 접근하기 위하여 새로운 조건을 능동적으로 탐구하거나판단 근거를 요구하는 과제 또는 다양한 표상을 수열의 개념과 연결 짓거나 다양한 해답을 요구하는 특징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의도된교육과정 측면에서 인지적 난이도가 높은 개방형 과제의 특징을 구체화하였을 뿐 아니라 인지적 난이도가 높은 개방형 과제 개발에 그 방향성을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일방향 수치한정발명과 명세서 기재요건

        김동준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23 성균관법학 Vol.35 No.3

        구성요소의 범위를 수치로써 한정하여 표현한 수치한정발명의 경우 청구범위 기재 수치의 상한과 하한을 모두 특정하는 것이 물론 바람직하다. 하지만 기술분야에 따라서는 상한 또는 하한이 없는 기술적 특징에 의한 발명의 한정이 흔한 경우도 있고, 발명 관련 파라미터 전부에 대해 명확하게 특정하여 기술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 측면도 있다. 일방향 수치한정발명의 경우 이러한 점을 고려한 명세서 기재요건 판단이 필요하다. 대법원 2013후525 판결은 수치범위 전체에 걸친 실시가능 여부를 실시가능요건의 원칙적 판단기준으로 제시한 다음 해당 사안은 실시가능요건 위반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는데, 이는 해당 사안의 특유한 사정으로 인해 실시가능요건이 부정된 것에 불과하므로 이 판결로부터 일방향 수치한정발명에서 내재적 한계의 개념이 부정된다고 보는 것은 타당하지 않을 것이다. 주요국의 법리를 보면, 미국, EPO, 일본의 경우 내재적 한계를 살펴 명세서 기재요건을 판단하고 있는 반면, 영국, 독일의 경우 일방향 수치범위 전체가 권리범위에 해당됨을 전제로 ‘일반화 가능 교시’ 여부로 명세서 기재요건을 판단하고 있다. 주요국의 법리를 참고하여 일방향 수치한정발명의 바람직한 명세서 기재요건 판단 기준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일방향 수치한정발명의 경우에도 해당 수치범위의 내재적 한계를 통상의 기술자가 인식할 수 있다면 해당 내재적 한계를 고려한 수치범위 내에서 명세서 기재요건을 충족하는 한 해당 수치범위는 명세서 기재요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취급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이 경우 내재적 한계 유무는 사안별로 판단해야 할 문제이지만 주요국 사례에 비추어 보면, 일방향 수치한정발명의 다른 구성이나 해당 발명의 기술적 의의 혹은 기술적 제약으로부터 도출되는 해당 수치범위의 다른 한계가 존재하는 경우에 내재적 한계가 인정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내재적 한계 여부를 검토한다고 하여 일반화 가능 교시에 따른 판단이 배제되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내재적 한계와 일반화 가능 교시를 모두 활용하여 판단 기준을 정립할 수 있을 것이다. 즉, ① 청구범위 해석을 통해 일방향 수치한정의 내재적 한계 유무를 확인하여 내재적 한계가 인정되는 경우에는 해당 내재적 한계를 고려한 수치범위를 기준으로 실시가능요건 충족 여부를 판단하되, ② 청구범위 해석의 결과 일방향 수치한정의 내재적 한계가 인정되지 않는 경우 일반화 가능 교시가 인정되는 경우에 한해 실시가능요건 충족을 인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In the case of an invention with numerical ranges, it is desirable to specify both the upper and lower limits of the numerical range stated in the claim.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a characterization of an invention by means of open ranges is common in some technical fields. Furthermore, the definition of an invention by all its structural parameters would clearly be impossible and moreover often not necessary in view of the object of the invention. These should be considered when determining whether the specification of an invention with open-ended numerical ranges satisfy the description requirements. The Supreme Court's 2013Hu525 decision held that a claimed invention must be enabled over the whole numerical range and held that the enablement requirement was not satisfied in that case. However, it would not be reasonable to view this ruling as denying the concept of an inherent limit in open-ended numerical ranges since the enablement requirement was denied due to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the case. Looking at the legal principles of other countries, in the United States, the European Patent Office (EPO), and Japan, open-ended claims may satisfy the enablement requirement if there is an inherent limit and the specification enables one of skill in the art to approach that limit, while in the United Kingdom and Germany, open-ended claims may satisfy the enablement requirement if the invention shows a teaching of general application. Referring to the legal principles of other countries,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whether the specification of an invention with open-ended numerical ranges satisfy the description requirements are suggested as follows. If one of skill would recognize that there is some inherent limit, it would be reasonable to treat the specification as satisfying the description requirements as long as it satisfies the description requirements within the numerical range up to that inherent limit. Although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inherent limit should be determined on a case-by-case basis, in light of the cases of other countries, an inherent limit may be recognized based on the existence of other features of the invention, the teaching of the invention and the realities of the technology. Since the description requirements determination based on an inherent limit does not exclude those determination based on a teaching of general application, both an inherent limit and a teaching of general application could be utilized. In other words, ① if an inherent limit is recognized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open-ended claim, description requirements are determined based on the numerical range up to that inherent limit, ② however, if an inherent limit is not recognized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open-ended claim, the description requirements are met only if the invention shows a teaching of general application.

      • KCI등재

        초등학교 3, 4학년 수학 교과서의 ‘열린 질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지도 실태 조사

        박정련,홍갑주 대한수학교육학회 2011 학교수학 Vol.13 No.2

        In this study, we surveyed on the 3rd and 4th grade teachers' perception and teaching practices towards open-ended question in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in the revised 7th curriculum. According to the result, teachers understood the purpose of open-ended question in general, but they recognized some problems in terms of open-ended question itself, difficulties found when they dealt with open-ended question in their classes, teacher's guide and teacher training. This research suggests ways of improvement of open-ended question on the basis of the survey results.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2007 개정 교육과정 3, 4학년 수학 교과서의 ‘열린 질문’에 대한 인식과 지도 실태를 설문조사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은 열린 질문의 취지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공감하고 있지만 교과서에 제시된 열린 질문과 그 지도상의 실제에 대해서는 교과서 열린 질문 자체, 교실 수업에서의 실행, 교사용 지도서와 교사연수 등에 걸쳐 여러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교과서 ‘열린 질문’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김유정 소설의 “열린 결말” 연구

        김승종 ( Seung Jong Kim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3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3

        김유정의 소설의 대부분은 열린 결말의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이중적인 아이러니 효과를 거두고 있다. 표면적인 차원에서의 수사적 아이러니는 김유정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이나 독자들이 애초에 기대하지 않았던 결과를 알게 됨에 따라 발생한다. 반전 효과를 수반하는 수사적 아이러니는 독자의 흥미를 유발하며 서사적 긴장을 형성하고 현실적으로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작품이 구조적으로 완결되는 데 기여한다. 이에 비해 사회·역사적 차원에서 발생하는 심층적 아이러니는 등장인물의 윤리적 규범에서 벗어난 일탈행위를 당 시대의 본질적 모순과의 연관성 속에서 파악할 때 인지된다. 생존 자체가 위협당하는 절박한 상황 하에서 민중들에 의해 불가피하게 행해지는 절도, 도박, 매춘 등은 근본적으로 체제 유지를 목적으로 하는 기존의 윤리적 규범을 해체하고 순박한 내면과 민중적 감각과 생존 방식에 바탕을 둔 대안적 윤리를 모색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이처럼 등장인물들의 일탈행위가 민중 내부의 시점을 통해 정당성을 획득함에 따라 김유정 소설에서의 이중적 아이러니가 성립된다. This paper deals with plot of novels written by Kim You Jung. And this paper focuses on open ending of Kim You Jung`s novels. His novels`s open ending creates the effect of ambivalent irony, which is not simple contrast between intentions and results, but reveal contradiction of tenant farming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situation of Kim You Jung`s characters of novels is getting worse when we compare ``end`` with ``beginning``. The characters of novels fall over themselves for improving their economic situation, but that situation would not improve absolutely. They were placed in extreme situation, and they do illegal acts, which is steal, gamble, prostitution for getting out from worst situation. But they always failed to escape from poverty because of the barrier of tenant farming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women traveler in ‘The traveler of mountains’ gets merry with Duc-Dol, the son of pub, but she got merry already, and had husband. She stoles winter clothes of Duc-Dol, and returns to sickly, poor husband. And Eung-O in ‘The Manmubang’ stole rices that he have cultivated himself, but is not his possession. They violets the laws of Japanese colonialism. But they did those action not for themselves but for others. Therefor their illegal actions is objets of sympathy, not of condemn. The characters of another rural novels drove out Delbyengiee who is wanderer prostitute for family`s living. Even they sold wife, or tried to follow Delbyengiee. Of course they failed and backs to situation of ‘beginning``. Or they betray friends, plow over pea patch, injures himself for taking gold. These novels reveal the fact, that contradiction of tenant farming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evastated not also their economic life but their inner world. The characters of urban novels of Kim You Jung are beggars, hostess of bar, unemployed person. They become lethargic or have a big crush elder women. They reveals ruined urban life, an trend of materialism, chronic poverty. Especially ‘The Blazing Sun’ is embodying the poor husband who is doing best to wife who is dying because of poorness. Likewise the ‘open ending’ of Kim You Jung`s novels show worsen aspects than ‘beginning’. The character of his novels try to get over their difficult position, but their attempt always fail. The open ending of These novels create ambivalent ironic effect. And ironic effect of these novels deconstruct existing morals and persue alternative morals for people class.

      • KCI등재

        현대표준중국어 개운미(開韻尾) 운모(韻母)의 형성과정 고찰

        홍현지 ( Hong Hyun Ji ) 한국중국언어학회 2021 중국언어연구 Vol.- No.93

        This study considered the formation process of an open ending of Mandarin Chinese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and explored the fundamental causes of phonological change using the distinctive feature in generative phonology. Assimilation is a phonological change that leads the changes in the Chinese phonological system. The final with the open ending in Middle Chinese, there is progressive assimilation influenced by the features of preceding sound, like the Change of [i] in Syllable with dorso-prepalatal plosives(Sheshangyin), retroflex sibilant(Zhengzhiyin), and dorso-nasal fricatives(Banchiyin) in the consonant, vowel rising and Hekouhua of Nucleus in GuoShe and change of onset which is in the second division(ErdengYun). Middle Chinese had stop ending with [p], [t], [k]. These three different final ending merged into the glottal stop [ʔ], and finally, they are lost stop coda and merged into open syllable. We call this change Yinshengyunhua which is one of the notable changes in Northern Chinese. Among them, semivowel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stop ending with [k] merged into open syllable coalesce with nucleus and change to the final with open ending.

      • KCI등재

        해법 공간 분석에 기반한 개방형 수업 실행 연구

        김남균,송동현,김수지,오민영,이현정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학교와 수업 연구 Vol.7 No.1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means for improving math classes using open tasks by reflecting on the experiences of teachers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open classes. Toward this end, the study reviewed the open-ended approach in Becker and Shimada(2004), the analysis framework of solution spaces in Kim, Nam-gyun et al.(2022), and five practices of planning and implementing math classes in Smith and Stein(2013). Against this background, four teachers planned and reflected on open classes based on analysis of the solution spaces out of which two teachers in charge of fifth and sixth graders each conducted instruction for 25 students per class. Afterward, analysis of the solution spaces to an open task served as the basis for the meaningful mathematical discussions of the teachers in the open class. The study examined the difficulties and challenges faced by the teachers in this process. In addition, the study presented suggestion on improving open classes while reflecting on this result. As such, the implementation process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by teachers who want to plan and implement open classes.

      • KCI등재

        개방형 문제해결학습이 초등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영민 ( Seo¸ Youngmin ),박만구 ( Park¸ Mangoo ) 한국수학교육학회 2021 수학교육논문집 Vol.35 No.3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개방형 문제해결학습을 진행하였을 때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과 수학적 태도에 대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시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9차시의 개방형 문제해결학습을 진행한 뒤 I-STATistics를 활용하여 사전 사후 t-검정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개방형 문제해결학습은 수학적 창의성 신장에 효과가 있었고, 특히 창의성의 하위 요소인 유창성에는 유의미한 결과가 없었지만, 융통성, 독창성 신장에 효과가 있었다. 또한, 개방형 문제해결학습은 수학적 태도 향상에 도움이 되며 특히 하위 요인 중 수학적 태도, 인정욕구, 동기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개방형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생들은 다양한 반응을 공유하고 생각을 확장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교 현장에서 개방형 수학 문제해결을 활용을 위한 양질의 자료 개발 및 교사 연수를 지속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problem solving learning with open-ended mathematics proble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fects their mathematical creativity and mathematical attitudes. To this end, 9 problem solving lessons with open-ended mathematics problems were conducted for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eoul,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I-STATistics program to pre-and post- t-test. As a result of the study, problem solving learning with open-ended problems was effective in increasing mathematical creativity, especially in increasing flexibility and originality, which are sub-elements of creativity. In addition, problem solving learning with open-ended problems has helped improve mathematical attitudes and has been particularly effective in improving recognition needs and motivation among subfactors. In problem solving learning with open-ended problems, students were able to share various responses and expand their though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earchers propos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he development of quality materials and teacher training to utiliz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with open-ended problems at school sites.

      • KCI등재

        서베이조사실험을 통한 폐쇄형과 개방형 설문 응답 차이: 2016년 한국종합사회조사

        김지범 ( Jibum Kim ),김솔이 ( Sori Kim ),강정한 ( Jeong-han Kang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7 조사연구 Vol.18 No.4

        한국에서는 조사의 가장 근본적인 도구인 설문지 설계에 관한 조사방법론 연구가 거의 없다. 본 연구는 2016년 한국종합사회조사의 표본분할을 통한 조사실험을 통하여 한국의 가장 중요한 문제에 대한 폐쇄형 질문과 개방형 질문에 대한 응답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폐쇄형과 개방형에서 모두 경제(35% 대 33.2%)가 가장 많이 언급되었고, 폐쇄형 설문에서는 범죄(24.4%), 교육(15.4%), 빈곤(6.3%)순으로, 개방형에서는 정치(10.8%), 범죄(9.5%), 교육(7.6%)순이었다. 즉, 정치가 포함되지 않은 폐쇄형 질문 응답과 개방형에서 응답순위가 일관성이 있었다. 최대 응답범주였던 경제를 답한 응답자의 특성이 폐쇄형과 개방형에서 인구학적 변수 중 연령과 가구소득 그리고 경제상태만족도 측면에서 제한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타국의 설문문항을 수용할 때 한국적 맥락에서 설문의 질문 부분뿐만 아니라 응답범주의 적정성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고, 사전조사에 조사실험이 더 많이 시도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Despite the importance of questionnaires, little survey methodology research on questionnaire design has been conducted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ether two questionnaire forms (close-ended vs. open-ended questions) about ‘the most important problem in Korea’ elicited similar responses. During the 2016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a random half of respondents were asked the open-ended question form and the remaining half were asked the close-ended question form. While the economy is the most mentioned response (35% vs. 33.2%) to both close-ended and open-ended question forms, there is similarity in the order of highly mentioned responses if we consider that ‘politics’ is not provided as one of response categories in the close-ended question form. The order of second to fourth response category is crime (24.4%), education (15.4%), and poverty (6.3%) to the closed-ended question form, and politics (10.8%), crime (9.5%), and education (7.6%) to the open-ended question form. Also,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who responded with the economy as being the most important are sligh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halves in terms of age, household income, and satisfaction with economic condit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we need to be careful when we adopt questions developed in other countries and to consider using survey experiments in pre-testing questionnaire i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