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주류 계층과 포용적 정치의 승리: 2012년 미국대선 분석

        임성호 세종연구소 2012 국가전략 Vol.18 No.4

        This article analyzes the votes that Obama and Romney received in the 2012 U.S. presidential election and identifies the social groups in support of each candidate. It then explores the reasons for Obama's victory and puts into perspective the Second Obama Administration. The findings are fourfold. First, the exit polls indicate that Obama won thanks to an overwhelming support from various non-mainstream lower social strata and groups despite the mainstream sectors' favor for Romney. Second, the electoral win by a loose coalition of non-mainstream lowly groups was possible due to the fundamental changes in American social structures. Third, Obama actively courted various non-mainstream groups through appeasing policies and shrewd electoral strategies, while Romney rather alienated and antagonized them with rigid exclusionist ideological stances. Fourth, Obama needs to take bipartisan postures and reach out for Republicans and so-called mainstream voters in order to solve a host of difficult tasks in line. 이 글은 2012년 미국대선의 오바마와 롬니 지지계층에 대한 분석을 통해 오바마 승인(勝因)을 찾아보고 향후 미국 국정을 전망한다. 먼저, 오바마는 미국사회의 여러 비주류 계층이 압도적 지지를 보내준 결과로 주류 측이 선호한 롬니에 앞설 수 있었다는 점을 출구조사 자료를 통해 살펴본다. 다음으로, 비주류 계층의 지지로 주류 측 반대를 극복해 재선할 수 있었던 근저에는 미국사회의 근원적 시대변화가 자리 잡고 있음을 여러 자료로써 밝힌다. 또한 오바마와 민주당이 포용적 정치와 전략으로써 비주류 유권자의 지지범위를 확대시킨 반면 롬니와 공화당은 배타적 이념에 발목 잡혀 지지층을 협소화시키는 우를 범한 점도 오바마 승리요인으로 논한다. 마지막으로, 오바마가 포용적 정치로 비주류 계층에 다가가 재선에 성공했지만 앞으로 공화당과 주류 계층까지 포용하는 초당파적 적극성을 키워야 그의 집권 2기 국정운영이 각종 난제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을 제시한다.

      • KCI등재

        韓中의 비주류 인생, 이야기로 소설문화를 주도하다

        고숙희 한국중문학회 2020 中國文學硏究 Vol.0 No.80

        This paper is the study on the non-mainstream life of Korean-Chinese society lead the Novel culture through storytelling. The story is fascinating. The word ‘story’ reminds of a novel first. A novel is a collection of interesting and fascinating stories. There must be a storyteller and story distribution space in ‘story’. This study started from the interest in the non-mainstream life of Korea and China, which focused on the power of attractive ‘story’ and ‘story sprea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ir life and activities, their influence on novels and popular culture. Those who focus on spreading stories are referred to as ‘story propagators’ for convenience. They are China’s Shuohuaren and Shuoshujia, Korea’s Jeongisu, Book-Broker and a woman who reads books. In addition, the book transportation ship in China and the book rental store in Korea, which are story distribution spaces, contributed to the spread of stories. Such various ‘story propagators’ and their method and process of spreading stories brought a new turning point to the Korean-Chinese novel culture. The story propagator of the Korean-Chinese society was mostly a non-mainstream life. They were historically and socially minor, but with passion they led to the popularization of story culture. The ‘story propagators’ of the Korean-Chinese society have lived a neglected life that has not been illuminated in history, so the related materials are quite fragmentary. In the fragmentary records shown in various literatures, most of the ‘story propagators’ are minor, such as disadvantaged intellectuals, lower management, underclass, and women. However, they created profits by providing ‘story’ products to the public based on artistic and cultural qualities and doing economic activities. In other words, they emanated unique qualities and charms through the story propagation process and built a new topographic map of popular culture centered on novels. 본 연구에서는 영원불변의 매력을 지닌 ‘이야기’의 힘과 ‘이야기 전파’에 주력한 한중 비주류 인생들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여 그들의 삶과 활동 양상, 당시 소설 및 대중문화에 끼친 영향력을 읽어내고자 했다. 이야기 전파에 주력한 이들을 본 연구에서는 편의상 ‘이야기 전파자’로 지칭한다. 중국의 說話人과 說書家, 한국의 傳奇叟와 冊儈 및 冊婢 등이 바로 그들이다. 아울러 ‘이야기’ 유통 공간으로서 중국의 書船과 한국의 貰冊店 역시 이야기 전파에 있어서 그 역할을 간과할 수 없다. 이처럼 한중의 ‘이야기 전파자’와 그들의 ‘이야기 전파’ 양상 및 과정은 한중 소설문화에 새로운 전환점을 가져왔다. 옛날 한중사회에서 ‘이야기’를 낭독하고, ‘이야기’를 생동감 있게 구연하며, ‘이야기’ 매력에 빠진 대중에게 소설을 제공한 이들은 대부분 비주류 인생이었다. 이들은 역사적⋅사회적으로 비주류에 속했으나, 열정과 재능으로 이야기 문화의 대중화를 이끌었다. 한중사회의 ‘이야기 전파자’들은 역사적으로 조명받지 못한 소외된 삶을 살았기에, 관련 자료가 상당히 단편적이며 지엽적이다. 여러 문헌에 등장하는 단편적인 기록을 통해 볼 때, ‘이야기’를 다양한 양상으로 전파하던 ‘이야기 전파자’들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사회적으로 비주류에 속하는 소외된 계층이다. 불우한 지식인, 하급관리, 중인이나 하층민, 여성이 그 대표적인 경우이다. 그러나 이들은 예술적이며 문화적인 소양을 바탕으로 대중에게 ‘이야기’ 상품을 제공하여 경제 활동을 하면서 이윤을 창출했다. 바로 이들에 의해 한중의 다채로운 이야기들이 전파되면서, 그 과정 중에 이들 특유의 자질과 매력이 발산되어 소설을 중심으로 한 대중문화의 새로운 지형도를 구축했다고 볼 수 있다. 앞으로, 이들을 비롯하여 역사 속 비주류 인생으로 사라져 버린 수많은 ‘이야기 전파자’ 관련 사료가 점차 발굴되어 한중 소설문화와 대중문화에 끼친 이들의 문화적 역량을 고찰할 기회가 오기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가믄장아기>와 <자청비>의 겨루기 양상과 다문화성 연구

        권복순 배달말학회 2012 배달말 Vol.51 No.-

        이 연구는 가믄장아기와 자청비를 대상으로 이들이 외부세계로 진출하는 과정에서 겪는 문화적 충돌과 융합과정을 추출하여 다문화적 특성을 밝히고,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살아가는 결혼이주민들의 현실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논의의 주된 대상은 제주도 일반신 본풀이 가운데 여성 주인공인 <삼공본풀이>의 가믄장아기와 <세경본풀이>의 자청비다. 이들은 사회적 약자인 여성으로 태어나 남성 중심의 가부장적 사회에 맞서서 끊임없이 자신의 삶을 개척한 인물들에 해당한다. 이들이 겪는 고난은 신화적 측면에서는 신이 되기 위한 통과의례의 과정이지만, 다문화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혼인을 하는 과정에서 수반되는 타문화권과의 충돌과정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여성 주인공들이 겪는 고난의 공통점은 주류문화권의 인물들과 관계에 있어 정체성의 혼란을 겪는다는 점이다. 이들은 문화적 우위를 앞세운 주류계층의 횡포 앞에서 겨루기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한다. 이들을 둘러싼 세계는 현실세계와 겨루기 세계로 양분된다. 현실세계에서는 주류계층이 우세하지만 겨루기의 세계에서는 비주류계층인 여성주인공들이 우세하다. 정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두 여성 주인공들의 양상은 다르다. 가믄장아기는 여성이라는 성적 정체성을 지키면서 주류와 비주류계층간의 벽을 허물고 주체로서의 삶을 개척한다. 반면 자청비는 성적열세를 만회하고자 남장을 하는 등 적극적으로 주류문화권으로의 진입을 시도하나 기존의 벽을 허물지 못한다. 두 여성인물들이 펼치는 겨루기의 특징과 다문화적 특성을 관련지어 볼 때 가믄장아기는 다문화주의 중에서도 주류문화와 비주류문화를 동등한 위치에서 인정하는 다문화주의적인 특성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자청비는 주류문화와 비주류문화간의 차별이 존재하는 문화다원주의 특성이 내재한다고 할 수 있다. 전자는 문화적 평등을 추구하고 후자는 문화적 차별이 존재한다. 두 주인공들의 삶의 여정에서 드러난 서로 다른 다문화적 특성은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겪는 결혼이주민들의 삶과 관련지어 볼 수 있다. 결혼이주민 대다수가 자신이 살던 고향을 떠나 타국인 한국사회에서 정착하고자 하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정착과정에서 가믄장아기와 같이 타자로서의 삶을 벗어나 주체로서의 삶을 누리는 경우도 있고, 자청비와 같이 인종 차별을 당함으로써 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이들 모두가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공존하기 위해서는 스스로의 노력이 중요하지만 주변의 따뜻한 관심과 정부의 지속적인 정책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find multi-cultural features by examining cultural conflict and process of syncretism from the case of <Kamoonjang-ahgi> and <Jachengbi> when they enter the outside. By doing this, the practical problems of the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people who live in Korea society can be recognized. Main objects of discussion are <Kamoonjang-ahgi> from <Samgongbonpuli> and <Jachengbi> from <Sekyeongbonpuli> who are the main characters of general god <Bonpuli> of Jejudo. They are born as a woman who is a second-class citizen and they constantly built their lives against a male-centric patriarchal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mythology, the hardships that they went through are a rite of passage to become goddess. But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ple cultures, these hardships can be recognized as a conflict with other cultures in the process of the marriage. The common point of hardship that the heroines go through is the identity confusion in relationships of the characters of mainstream culture area. They build up their identity through the compeition in the tyranny of mainstram power, preceded by cultural supremacy. The world surrounding them is divided into the real world and the competition world. The mainstream power in the real world is dominant. On the other hand, the heroines of non-mainstream in the competition world are dominant. The aspect of two heroines is different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identity. <Kamoonjang-ahgi> protects the sexual identity of female, tears down a wall of the mainstream and the non-mainstream. And she pioneers the life of the main stream. On the other hand, <Jachengbi> dresses a male attire to recover sexual inferiority and try to enter the mainstream society actively. But she doesn't tear down the existing wall and exists as a foreigner. Life of two heroines has a resemblance to life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people who live in Korea society. Some people live like <Kamoonjang-ahgi> who establishes a subjectivity. The others live like <Jachengbi> who loses subjectivity. So, a proper government policy and caring of society are necessary for them to coexist as members in Korea society.

      • KCI등재

        고전문학 : <가믄장아기>와 <자청비>의 겨루기 양상과 다문화성 연구

        권복순 ( Bok Soon Kwon ) 배달말학회 2012 배달말 Vol.51 No.-

        이 연구는 가믄장아기와 자청비를 대상으로 이들이 외부세계로 진출하는 과정에서 겪는 문화적 충돌과 융합과정을 추출하여 다문화적 특성을 밝히고,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살아가는 결혼이주민들의 현실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논의의 주된 대상은 제주도 일반신 본풀이 가운데 여성 주인공인 <삼공본풀이>의 가믄장아기와 <세경본풀이>의 자청비다. 이들은 사회적 약자인 여성으로 태어나 남성 중심의 가부장적 사회에 맞서서 끊임없이 자신의 삶을 개척한 인물들에 해당한다. 이들이 겪는 고난은 신화적 측면에서는 신이 되기 위한 통과의례의 과정이지만, 다문화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혼인을 하는 과정에서 수반되는 타문화권과의 충돌과정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여성 주인공들이 겪는 고난의 공통점은 주류문화권의 인물들과 관계에 있어 정체성의 혼란을 겪는다는 점이다. 이들은 문화적 우위를 앞세운 주류계층의 횡포 앞에서 겨루기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한다. 이들을 둘러싼 세계는 현실세계와 겨루기 세계로 양분된다. 현실세계에서는 주류계층이 우세하지만 겨루기의 세계에서는 비주류계층인 여성주인공들이 우세하다. 정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에서 두 여성 주인공들의 양상은 다르다. 가믄장아기는 여성이라는 성적 정체성을 지키면서 주류와 비주류계층간의 벽을 허물고 주체로서의 삶을 개척한다. 반면 자청비는 성적열세를 만회하고자 남장을 하는 등 적극적으로 주류문화권으로의 진입을 시도하나 기존의 벽을 허물지 못한다. 두 여성인물들이 펼치는 겨루기의 특징과 다문화적 특성을 관련지어 볼 때 가믄장아기는 다문화주의 중에서도 주류문화와 비주류문화를 동등한 위치에서 인정하는 다문화주의적인 특성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자청비는 주류문화와 비주류문화간의 차별이 존재하는 문화다원주의 특성이 내재한다고 할 수 있다. 전자는 문화적 평등을 추구하고 후자는 문화적 차별이 존재한다. 두 주인공들의 삶의 여정에서 드러난 서로 다른 다문화적 특성은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겪는 결혼이주민들의 삶과 관련지어 볼 수 있다. 결혼이주민 대다수가 자신이 살던 고향을 떠나 타국인 한국사회에서 정착하고자 하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정착과정에서 가믄장아기와 같이 타자로서의 삶을 벗어나 주체로서의 삶을 누리는 경우도 있고, 자청비와 같이 인종 차별을 당함으로써 사회 적응에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이들 모두가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공존하기 위해서는 스스로의 노력이 중요하지만 주변의 따뜻한 관심과 정부의 지속적인 정책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find multi-cultural features by examining cultural conflict and process of syncretism from the case of <Kamoonjang-ahgi> and <Jachengbi> when they enter the outside. By doing this, the practical problems of the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people who live in Korea society can be recognized. Main objects of discussion are <Kamoonjang-ahgi> from <Samgongbonpuli> and <Jachengbi> from <Sekyeongbonpuli> who are the main characters of general god <Bonpuli> of Jejudo. They are born as a woman who is a second-class citizen and they constantly built their lives against a male-centric patriarchal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mythology, the hardships that they went through are a rite of passage to become goddess. But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ple cultures, these hardships can be recognized as a conflict with other cultures in the process of the marriage. The common point of hardship that the heroines go through is the identity confusion in relationships of the characters of mainstream culture area. They build up their identity through the compeition in the tyranny of mainstram power, preceded by cultural supremacy. The world surrounding them is divided into the real world and the competition world. The mainstream power in the real world is dominant. On the other hand, the heroines of non-mainstream in the competition world are dominant. The aspect of two heroines is different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identity. <Kamoonjang-ahgi> protects the sexual identity of female, tears down a wall of the mainstream and the non-mainstream. And she pioneers the life of the main stream. On the other hand, <Jachengbi> dresses a male attire to recover sexual inferiority and try to enter the mainstream society actively. But she doesn`t tear down the existing wall and exists as a foreigner. Life of two heroines has a resemblance to life of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people who live in Korea society. Some people live like <Kamoonjang-ahgi> who establishes a subjectivity. The others live like <Jachengbi> who loses subjectivity. So, a proper government policy and caring of society are necessary for them to coexist as members in Korea society.

      • KCI등재

        미학적 우스꽝스러움과 기대 규범의 위반 - 손창섭의 문학세계 -

        오창은 ( Oh Chang-eun ) 세계문학비교학회 2022 世界文學比較硏究 Vol.80 No.-

        한국문학사에서 손창섭은 서사 미학적 성취가 돋보이는 작가다. 그는 예외적 작가, 별종적 개성을 지닌 작가라는 문학사적 평가를 받을 만큼 문학적 개성이 강했다. 손창섭은 1950년대 비극적 현실을 재난·이주·난민이라는 테마로 깊이 있게 형상화해냈다. 그의 소설에서는 서사적 의외성, 우스꽝스러운 상황 설정이 특징적이다. 주요 인물들도 무력한 성격으로 그려지거나, 현실의 부조를 비약하는 무관심성을 보이기도 한다. 의외성의 서사와 미적 우스꽝스러움, 그리고 비주류적 세계관은 1950년대 독자들로부터 열렬한 호응을 불러일으켰다. 손창섭 소설은 기존체제의 윤리를 낯선 시선으로 바라본다. 이 독특한 시선은 기존의 사회체제를 해체적으로 재구성하는 힘을 지닌다. 이는 1950년대 비극적 현실에 대한 거리두기이면서, 비주류적 인간이 바라본 세계를 형상화함으로써 기성 체제를 비판하는 것과 같다. 그 핵심에 ‘우스꽝스러움의 미학’이 자리하고 있다. 손창섭의 소설세계는 기존 체제 비판, 낯선 시선, 비주류적 세계관를 그려냈기에 민중성과 현재성을 갖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손창섭의 독특한 미학 세계는 1950년대 한국문학의 성취로 평가받았다. 하지만, 그가 갑작스럽게 1973년 말 일본으로 이주한 후, 그의 문학은 애석하게도 잊혀지고 있다. 필자는 손창섭이 1958년부터 1973년까지 거주했던 ‘흑석동 산4번지’를 발굴했다. 손창섭의 문학 공간을 되실림으로써 손창섭의 문학을 재해석하려는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한국문학사에서 소중한 ‘미적 성취’를 이룬 손창섭의 소설세계는 ‘서사의 의외성’, ‘우스꽝스러움’, ‘비주류적 세계관’으로 의미부여할 수 있다.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Son Chang Seop is a writer whose narrative aesthetics are outstanding. His literary personality was strong enough to receive a literary historical evaluation of an exceptional writer, a writer with a distinct personality. Son Chang Seop deeply embodied the tragic reality of the 1950s under the themes of disaster, migration, and refugees. His novels are characterized by narrative unexpectedness and ridiculous situation settings. Their main characters are also portrayed as helpless, or show indifference to the abordities of reality. The unexpected narrative, aesthetic ridiculousness, and non-mainstream worldview aroused enthusiastic response from readers in the 1950s. Son Chang Seop’s novels look at the ethics of the existing system from an unfamiliar perspective. This unique perspective has the power to deconstruct the existing social system. While keeping distance from the tragic reality of the 1950s, this appears to criticize the established system by shaping the world viewed by non-mainstream humans. At the heart of it lies the ‘aesthetic of ridiculousness’. Son Chang Seop’s novel world is evaluated as having folklore and currentity because the novels depict the criticism of the existing system, an unfamiliar perspective, and a non-mainstream worldview. Son Chang Seop’s unique aesthetic world was evaluated as an achievement of Korean literature in the 1950s. However, after he abruptly moved to Japan at the end of 1973, his literature is sadly forgotten. This writer explored ‘San 4 Heukseok-dong,’ where Son Chang Seop lived from 1958 to 1973. By reviving the literary space of Son Chang Seop, it is expected to reinterpret the literature of Son Chang Seop. Son Chang Seop’s novel world, which has accomplished a precious ‘aesthetic achievement’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can be given the meaning of ‘the unexpectedness of the narrative’, ‘ridiculousness’, and ‘non-mainstream worldview’.

      • KCI등재

        ‘비주류’의 개념미술가, 성능경의 ‘망친’ 모더니즘 미술

        조수진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22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44 No.-

        SUNG Neung Kyung(b. 1944-) is a renowned conceptual artist who led the experimental art movement in South Korea. His artwork uses nontraditional methods such as newspaper, photography, and performance. In 1973, he appeared in the art scene as a member of ST, a avant-garde art group. Until the late 1980s, he showcased newspaper-related installation art and performance which challenged government censorship of media and press’s power to edit. He was also one of the first artists to use photography in fine art in the 1970s. He began with photographs that explored tautology as a concept. He then presented photography installation art which took pictures of the newspaper itself or used his personal life as motif. Sung is also well known as a pioneer of Korean performance art starting in the mid-1970s, which then was referred to as “events.” From his earlier self-referential events to his post-1990s artwork which express the complex nature of life in a distinct manner, the world of his performance art has not only been colorful but also extremely unique. Sung, who has been dedicated to creative production for the last fifty years, has produced artwork essential to understanding the trajectory of South Korean art history—including avant-garde, experimental art, modernism, art for art’s sake, realism, and postmodernism. Sung’s approach to art has not been properly evaluated, however, in mainstream Korean art history or even within 1960-70 experimental art itself. This essay seeks to study Sung’s oeuvre, periodize and characterize his work,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periods, and locate its place in Korean art history. As a minority conceptual artist, Sung has remained in the periphery of Korean art scene. This project then aim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his artistic expression. This research finds that Sung, as a conceptual artist, always distanced himself from the mainstream and reified the attitude of the minority. What he sought as conceptual art was anti-modernism, which stood outside of the inside of Korean modernism. His artwork, which 227 crossed newspaper, photography, and performance, and aimed for realism, rejected the purity and medium-specificity of modernism and challenged norms of Minjung art. Furthermore, his photo installations from the 1980s onward or his performance from the late 1980s onward, by definition, lacked marketability. Such works remained in the peripheries of art, outside of the institutions of art. This research considers the non-mainstream character of Sung’s conceptual art as fundamental to his approach to art, and as an opening for a new interpretation of post-1970s South Korean art history. When locating Sung within modernism, much fruitful and varied discussion emerges on conceptual art within Korean modernism, that is, experimental art outside of genre boundaries. When placing Sung within realism, historical avant-garde’s precedence on purity meets that of Minjung art to expand the horizon of purism in Korean art history. Sung’s conceptual art, which offers a minority’s alternative view, allows a reconsideration of Korean art beyond the dichotomies of modernism and realism, modernism and postmodernism, and center and periphery. 성능경(Sung, Neung Kyung, 1944~)은 비전통적 미술 창작의 수단인 신문, 사진, 행위 등을 이용한 작품으로 실험미술의 흐름을 주도한 한국의 대표적인 개념미술가이다. 그는 1973년 전위미술 단체 ‘ST’의 회원으로 미술계에 본격적으로 등장해, 정부의 대중 매체 검열이나 언론의 편집 권력에 도전하는 신문 관련 설치와 행위를 1980년대 말까지 선보였다. 그는 또 1970년대에 사진을 순수미술의 영역에서 처음으로 다룬 작가 중 한 명으로서, 초창기의 동어반복 개념을 다룬 사진들에 이어, 신문 자체를 촬영하거나 본인의 개인사를 소재로 삼은 다양한 사진 설치작품을 꾸준히 발표했다. 성능경은 나아가 1970년대 중반부터 ST 동료들과 함께 당시 ‘이벤트’로 불리던 한국의 퍼포먼스 아트를 소개한 선구적 존재로도 잘 알려져 있다. 자기 지시적 특징을 지닌 초창기 이벤트에서부터 복잡다단한 삶의 본성을 고유의 양식으로 예술화한 1990년대 이후 작품에 이르기까지, 그의 퍼포먼스는 다채롭기 그지없을 뿐 아니라 매우 독자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성능경은 이처럼 50여 년의 세월 동안 한결같이 창작 활동에 매진하면서, 한국 미술사의 핵심 개념어인 전위, 실험, 모더니즘, 예술지상주의, 현실주의, 포스트모더니즘 등을 이해하는 데 있어 필수 불가결한 작품을 남겼다. 그러나 그간 그의 예술세계는 주류 한국 미술사는 물론이고 1960~70년대 한국 실험미술의 역사 내부에서도 제대로 평가를 받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성능경 전작(全作)의 시대별 특징과 상호 영향 관계, 그것이 한국 미술사에서 지니는 의미 등을 포괄해 고찰하려 시도했다. 이로써 일평생 한국 미술계의 주변부에서 비주류 개념미술가로 활동한 그의 예술적 발언의 ‘개념’이 무엇인지를 파악해 보고자 했다. 본 연구는 그 결과 성능경은 늘 주류와 스스로 거리를 두고 일평생 ‘비주류의 태도를 형식화한 개념미술가’라는 점을 밝혔다. 애초에 그가 추구한 개념미술은 한국 모더니즘의 내부에 위치하는 외부, 반(反)모더니즘이었다. 또 그 자체로 신문, 사진, 행위의 잡종이면서 현실주의를 지향했던 그의 작품은 모더니즘의 순수성과 매체 특수성을 위반하면서, 동시에 민중미술의 전형적 형식에도 포함되지 않는 것225 이었다. 나아가 그가 1980년대부터 생산한 사진 설치나 1980년대 후반 이후 창조에 전념한 퍼포먼스는 본성상 시장성이 부족하거나, 미술 제도의 외부에 자리할 수밖에 없는 주변적 미술이었다. 본 연구는 성능경 개념미술의 이 같은 비주류적 성격을 그의 예술세계의 본질이자, 1970년대 이후 한국 미술사를 새롭게 해석하게 할 가능성으로 간주했다. 성능경을 모더니즘의 내부에 둘 때, 한국의 모더니즘으로서의 개념미술, 즉 탈장르적 특징을 지닌 실험미술은 보다 풍부하고 다양한 논의 거리를 갖게 된다. 또 성능경을 현실주의 미술의 범주 내부로 이동시킬 때, 역사적 아방가르드의 순수지향성은 민중미술의 그것과 만나 한국 미술사에서의 순수주의의 지평을 확장할 수 있다. 성능경의 개념미술은 이처럼 비주류의 대안적 관점으로 모더니즘과 현실주의,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중심과 주변 등의 이분법적 사고를 넘어 한국 미술사를 재고할 수 있게 한다.

      • KCI등재

        조선시대의 훈민정음 공식문자론

        김슬옹 한글학회 2012 한글 Vol.- No.297

        This paper is a criticism of the various types of discourse, including those occurring in textbooks, which define Hunminjeongeum in the Joseon period as an unofficial writing system. Hun minjeongeum was originally created as an official writing system. It was used for writing the nation’s policies throughout the Joseon period and it even appeared in the Gyeonggukdaejeon. Only, it was a non-mainstream official writing system which was almost never used in general administrative documents. Defining the non- mainstream aspect of Hunminjeongeum, which contrasted with the mainstream official writing system of Chinese characters, as an unofficial writing system is a distortion of history. Accordingly, this paper shows that Gojong’s edict on Korean language was not a proclamation of Hunminjeongeum as the nation’s official writing system when it was previously an unofficial system, but rather a declaration to change a non-mainstream writing system into a main-stream writing system. This paper also shows that the theory which views Hunminjeongeum as an unofficial writing system stems from a deeply rooted bias and a misunderstanding of the true nature of Hunminjeongeum. 이 논문은 훈민정음을 조선시대 비공식문자로 규정하는 교과서를 비롯한 각종 담론을 비판한 것이다. 이를 위해 공식문자에 관한 개념을 명확히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여섯 가지 측면에서 훈민정음이 조선시대의 공식문자임을 입증했다. 첫째, 훈민정음은 최고의 공적 주체인 임금이 만들고 지배층에 의해 제도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둘째, 조선의 최고 법전인 『경국대전』에서 ‘언문’을 국가 정책 문자로 규정했다. 셋째, 『경국대전』에서 국가 정책에서 매우 중요한 국가시험 정책 문자로 언문을 설정하고 있다. 넷째, 용비어천가, 임금의 담화문인 윤음 등의 다양한 문헌이나 책자가 언문을 통해 조선 말기까지 지속적으로 발간되었다. 다섯째, 주요 공적 구속력을 갖는 각종 문서가 언문으로 발간되었다. 여섯째, 한자, 이두, 언문은 공적 영역에서 상보적 역할을 하였다. 이상의 공식문자론을 바탕으로 기존의 비공식문자론의 문제점을 비판하고 훈민정음을 비공식문자로 규정하는 것보다 비주류 공식문자로 규정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고 가치가 있음을 밝혔다.

      • KCI등재

        Predatory Publishing Is a Threat to Non-Mainstream Science

        Armen Yuri Gasparyan,Bekaidar Nurmashev,Elena E. Udovik,Anna M. Koroleva,George D. Kitas 대한의학회 2017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32 No.5

        This article highlights the issue of wasteful publishing practices that primarily affect non-mainstream science countries and rapidly growing academic disciplines. Numerous start-up open access publishers with soft or nonexistent quality checks and huge commercial interests have created a global crisis in the publishing market. Their publishing practices have been thoroughly examined, leading to the blacklisting of many journals by Jeffrey Beall. However, it appears that some subscription journals are also falling short of adhering to the international recommendations of global editorial associations. Unethical editing agencies that promote their services in non-mainstream science countries create more problems for inexperienced authors. It is suggested to regularly monitor the quality of already indexed journals and upgrade criteria of covering new sources by the Emerging Sources Citation Index (Web of Science), Scopus, and specialist bibliographic databases. Regional awareness campaigns to inform stakeholders of science communication about the importance of ethical writing, transparency of editing services, and permanent archiving can be also helpful for eradicating unethical publishing practices.

      • 『환단고기』 위서론의 발생과 최근 동향

        유 철(You, Chul) 세계환단학회 2018 세계환단학회지 Vol.5 No.1

        979년 『환단고기』가 출간된 이후 『환단고기』는 많은 대중의 관심을 받았고 사학계에서도 이를 주시했다. 그러나 『환단고기』가 담은 고대사 내용은 역사학 계의 정통 학설과 양립할 수 없었다. 고대사학계의 몇몇 학자들은 『환단고기』가 위서라고 주장했다. 몇 편의 위서론 논문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그 논조와 내용은 대동 소이하며, 『환단고기』의 가치를 인정하는 다수의 학자들에 의해서 충분히 반박되었 다. 한동안 잠잠하던 위서론이 최근 젊은 역사전공자들을 중심으로 다시 제기되었 는데, 이들은 『환단고기』의 내용에 대한 비판이 아니라 『환단고기』를 중심으로 하는 재야사학계의 정통성과 학문적 권위를 문제 삼고 있다. 정통 역사학이 아닌 유사역사학이라는 것이다. 이 논문은 위서론의 성립 배경과 과정을 년대별로 살펴보고, 논박하는 한편, 최근 젊은 역사학자 모임에서 제기한 위서론을 검토 비판하면서, 위서론의 전반적 문제점을 드러내고 그 숨겨진 의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Since its publication in 1979, the Hwandangogi has received much attention from the general public, which interested many scholars in the historical circle. But its contents on the ancient history of Korea were so unique that they could not be harmonized with orthodox theories supported by mainstream scholars. In this context, some of the scholars studying on the Korean ancient history claimed that the Hwandangogi was a forgery by presenting several papers related to the theory of forgery. However, while points and contents they suggested were very similar with one another, their claims were sufficiently refuted by the majority of scholars who had accepted the significant value of the Hwandangogi. Recently, the forgery theory forgotten for a time has been proposed once again by a group of young scholars, who this time around did not target the texts themselves of this ancient scripture but instead raised doubts on the legitimacy of non-mainstream historians and their scholastic authority. The mainstream historians derogatorily claimed that the non-mainstream historians do not deal with orthodox history but pseudo history. This paper reviews in refutation the rise and development of the forgery theory about the Hwandangogi year by year. Also, this study shows an analytical criticism on the forgery theory that was recently suggested by a group of young historians. In this way, this paper discloses the overall problematic matters involving the forgery theory and probes into the hidden motivation behind it.

      • KCI등재

        <예덕선생전>에 나타난 소수적 문학의 가능성-들뢰즈의 영토화 이론을 중심으로-

        이진수 국제어문학회 2024 국제어문 Vol.- No.100

        이 논문은 박지원의 한문단편 <예덕선생전(穢德先生傳)>에 나타난 소수적 문학의 가능성을 현대적 관점으로 재해석해 고전의 가치를 확장한 연구이다. 들뢰즈에 따르면 다수적이란 숫자와 상관없이 권력을 장악한 주류이고, 반면에 소수적이란 그 지배적인 권력에서 벗어나는 비주류를 뜻한다. 따라서 소수적인 문학이란 다수-주류가 환원하는 영토적 질서에서 벗어나 탈영토화된 비주류적 존재를 형상화한 문학으로 개념 지어진다. 조선시대에는 성리학이 다수-주류의 중심질서로 작동했기에, 사회체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출신 성분에 따른 신분차별이존재했다. 그럼에도 <예덕선생전>은 천민인 엄행수의 인간적인 가능성을 기존신분적 차별에 얽매이지 않고 혁신적으로 탐색했다는 점에서 소수적 문학이라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is a study that expands the value of classics byreinterpreting the possibility of minority literature in Park Ji-won’sChinese text <Yeducksunsaengjeon> from a modern perspective. According to Deleuze, the majority is the mainstream that dominatespower regardless of the number, while the minority means thenon-mainstream that escapes from its dominant power. Therefore,minority literature is conceptualized as literature that embodies ade-territorialized non-mainstream existence, away from the territorialorder returned by the majority-mainstream. In the Joseon Dynasty,Neo-Confucianism operated as the central order of themajority-mainstream, so there was discrimination in status according tothe components of origin to maintain the social system. Nevertheless, itwas confirmed that <Yeducksunsaengjeon> can be seen as minorityliterature in that it innovatively explored the human possibilities ofEom Haeng-soo, a low-class citizen, without being bound by existingstatus discrimi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