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약성서윤리의 성격과 최근 연구동향

        장흥길(Hung-Kil Chang) 한국신약학회 2011 신약논단 Vol.18 No.2

        지난 한 세기 동안 두 차례의 세계대전(世界大戰)과 그 이후의 냉전(冷戰), 냉전 종식(終熄)과 이에 따른 국제정세의 재편, 가속화되고 있는 세계화와 후기 근대주의의 심화, 지구 온난화와 이에 따른 기상 이변 및 생태계의 변화, 자원의 부족과 고갈로 인한 다음 세대에 대한 불안, 복잡한 현대 사회에서 제기되는 다양한 사회 문제 등과 관련하여 제반 학문 영역에서 윤리 주제에 대하여 활발하게 논의되었다. 신학 분야에서도 그러하였는데, 특히 신약학 분야에서 개인 윤리, 신앙공동체 윤리, 사회 윤리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들이 논의되고 연구되었다. 본 연구에서 필자는 신약학계에 신약성서윤리 연구를 위한 올바른 방향을 설정하는데 일조하고자 크게 두 가지를 다루고 있다. 그 하나는 신약성서윤리가 다른 윤리와 비교해볼 때 어떤 차별성을 지니고 있는가는 신약성서윤리의 특성에 관한 주제이며(II장), 다른 하나는, 최근 신약성서윤리에 대한 연구동향이다(III장). 우선, 본 연구논문에서 필자가 밝히고자 하는 신약성서윤리의 특성은 ‘신학적 윤리’, ‘종말론적 윤리’, ‘신앙공동체의 윤리’, ‘제자도의 윤리’, ‘책임 윤리’, ‘사랑 중심적 윤리’, ‘상황적 윤리’이다. 이러한 신약성서윤리의 특성들은 각각 독자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말미암아 받은 구원의 은혜에 응답하는 신자의 행위와 삶이란 점에서 상호 유기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이어서 본 연구논문은 최근 신약성서윤리의 연구동향을 1980 ? 90년대 독일어로 출판된 신약성서윤리에 대한 총괄저술에 국한하여 조사하였다. 이때 신약성서윤리 저술들은 그 서술 방법론에 따라 세 가지로 구분하여 조사되었다. 곧, 벤틀란트, 슈라게, 슐츠, 슈낙켄부르크의 경우 그 저술들이 주로 역사적인 관점에서 서술되었고, 로제의 경우 그의 저서는 주로 체계적인 주제적 관점에서 묘사되었던 반면, 마르크센의 경우 그것은 실존주의적인 관점에서 아주 독특한 방식으로 다루어졌다. Throughout last century, two times of world wars, cold war years afterwards, their ends and consequential new order of international affairs, accelerating globalization, deepening postmodernism, global warming and its consequential change of weather and ecosystem, the insecurity of the next generation because of depletion of natural resources, and various social problems caused by the complexity of modern society has caused various disciplines of scholarship to ethical themes actively. The same is true of the discipline of theology. In the New Testament studies, various topics have been discussed with regard to personal ethics, community ethics, and social ethics in particular. In this study, the author deals with two main things in order to contribute to set a desirable direction for the New Testament ethics. First, it concerns the characteristics of New Testament ethics (ch.II) and secondly its trends. The characteristics of New Testament ethics, the author would like to argue, are as follows: ‘theological ethics,’ ‘eschatological ethics,’ ‘Gemeinde-Ethick,’ ‘ethics of discipleship,’ ‘Verantwortungsethik,’ ‘love-centered ethics,’ and ‘contextual ethics.’ These characteristics do not exist solely, but organically correlated in the fact that the ethics of the New Testament is an act and life of the believers who respond to the grace of Jesus Christ. Following this, this study investigates recent trends of the New Testament ethics, focusing on the German Gesamtdarstelung on N.T. ethics. These writings ar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approaches. That is to say, historical approach by H. D. Wendland, W. Schrage, S. Schulz, and R. Schnackenburg, systematic-thematical approach by E. Lohse, and existential approach by W. Marxsen, which is very distinctive.

      • KCI등재

        중국윤리학사와 셰푸야(謝扶雅)의 『중국윤리사상ABC』

        한성구 한국철학사연구회 2020 한국 철학논집 Vol.0 No.65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he thought of Xie Fuya in the modern period of China and to examine the aspects of the description of Chinese ethics history in the modern period and the modern transition process of traditional ethical thought through the analysis of his work Chinese Ethics Thought ABC. When Xie Fuya wrote Chinese Ethics Thought ABC, it was a time of great transformation when new homes, new countries, and new societies were just emerging. He sought to study, correct, and supplement social chaos and disputes. The reason he wrote Chinese Ethics Thought ABC was to help people shake off their painful past experiences and create a new lifestyle. Chinese Ethics Thought ABC takes a horizontal and lateral narrative style rather than a longitudinal narrative method, showing the core concepts, contents and universal values of Chinese ethics in a clear light.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re is not enough space to deal with the 2,500-year history of ethics, and it is regrettable that the government has failed to present an appropriate alternative to the new ethics. Although a number of works by Chinese ethics history have been published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China, the book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standard for value judgment for Chinese people when traditional values are shaken and new values have not yet been established. 본 논문은 중국 근대 시기의 셰푸야라는 사상가의 사상을 소개하고 그의 대표 저작인 『중국윤리사상ABC』의 분석을 통해 근대 시기 중국 윤리학사 서술의 양상과 전통 윤리 사상의 근대적 전환 과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셰푸야가 『중국윤리사상ABC』를 저술했던 때는 대전환의 시기로 새로운 가정과 새로운 국가, 새로운 사회가 막 출현하던 시기이다. 그는 사회적 혼란과 논쟁을 정리·연구하고 교정·보완함으로써 사람들이 고통스런 과거의 경험을 떨쳐내고 새로운 생활방식을 만들어 내도록 하는 것이 자신이 짊어져야 할 시대적 책무라고 생각하고 『중국윤리사상ABC』를 저술했다. 『중국윤리사상ABC』는 기존의 종적 서술방식이 아닌 수평적이고 횡적인 서술방식을 취함으로써 중국 윤리학의 핵심 개념과 내용, 보편 가치 등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국윤리학사 서술의 발전 과정에서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다 할 수 있다. 그렇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차이위안페이의 『중국윤리학사』와 마찬가지로 2,500년에 걸친 윤리학의 역사를 다루기에는 분량이 충분하지 않고, 전통 윤리사상의 분석 이후 새로운 윤리 관념의 수립에 대한 적절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신중국 건립 이후 적지 않은 중국 윤리학사 저작들이 출간되어 나왔지만, 전통 가치관이 동요하고 새로운 가치관이 아직 세워지지 않아 사람들이 방황하고 있을 때 중국인들에게 가치 판단의 기준을 제공해 주었다는 점에서 셰푸야의 『중국윤리사상ABC』는 학술사적으로 큰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스포츠윤리연구의 자기성찰과 새로운 도전

        이학준,권욱동 한국체육철학회 2018 움직임의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Vol.2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elf-reflection and new challenge of sports ethics research.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research in sports ethics is philosophical. It could also make a mistake of hasty generalization to look at only a few parts of the study rather than at the whole of it, and to argue that it is not philosophy. How to overcome this can be found in the clear understanding of the ethics theory and the consistency of the argument. Second, the limit of sports ethics research is to try to solve ethical issues through the reinforcement of individual moral autonomy. The solution to this problem can be found in the harmony and balance of personal and social ethics. Third, sports ethics studies should be made to help athletes and sports leaders at the site. Rather than enlightenment and lecture, we should study, apply, and practice sports ethics on a logical and coherent basis. From the above, the following directions of sports ethics research could be found. New challenge of sports ethics research can be found in the search for victory by the athlete for his or her own interests, in the combined study of theory and practice, and in the communication of athletes and leaders. Ultimately, sports ethics will have to explore the rational solutions to winning and morality in sports, and sports ethics as a practical ethics required in the field.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스포츠윤리연구의 자기성찰과 새로운 도전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 스포츠윤리연구를 한정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스포츠윤리연구의 자기성찰이다. 첫째, 스포츠윤리연구가 논증의 형식을 갖추고 있는가이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윤리이론의 명확한 이해와 적용 그리고 논증의 정합성에서 찾을 수 있다. 둘째, 스포츠윤리연구의 한계는 무엇인가이다. 한계는 개인의 도덕적 자율성 강화만을 통해서 윤리적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였다는 것이다. 이 문제의 해법은 개인윤리와 사회윤리의 조화와 균형에서 찾아보았다. 셋째, 스포츠윤리연구가 현장을 개선 할 수 있는가이다. 현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스포츠윤리연구가 되어야 한다. 계몽과 훈계보다는 논리적 정합성, 합리적 근거, 도덕적 정당성 차원에서 스포츠윤리를 연구하고 실천해야 한다. 스포츠윤리연구의 새로운 도전은 자기이익으로서의 승리와 규칙준수로서의 도덕의 조화, 이론과 실천의 융합 그리고 연구자와 지도자의 소통에서 찾아보았다. 결국, 스포츠윤리연구는 스포츠에서 승리와 도덕의 정당성 확보와 현장에서 필요한 실천윤리를 연구하는데 있다.

      • KCI등재

        뉴미디어 시대의 홍보 윤리 세 가지 패러다임의 비판적 고찰

        토마스호비(Thomas Hove) 한국광고홍보학회 2013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5 No.4

        소셜 미디어를 비롯한 뉴미디어는 홍보 분야에서 점차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홍보 윤리학자들은 전통미디어에 적용되어온 윤리 패러다임이 뉴미디어로 인해 변화하는 홍보 환경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고민해야 한다. 이러한 홍보 윤리의 기본적인 전제를 제고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본 연구는 홍보윤리에서 영향력 있는 세 가지 패러다임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이 세 가지 패러다임은 옹호 윤리(the advocacy ethic), 시민 대화 윤리(the civil dialogue ethic), 덕 윤리(virtue ethics)다. 특히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세 가지 패러다임을 비교 고찰한다. (1) 홍보 실무, 특히 대중의 신념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설득적 홍보에 있어 각 패러다임이 어떠한 핵심 목표를 가지는가? (2) 그 핵심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어떤 커뮤니케이션 기술을 권고하는가? (3) 그 핵심 목표를 다른 여러 가지 목표에 우선해야 하는 정당성은 어디에서 찾는가? (4) 세패러다임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 그리고 (5) 각 패러다임은 실무자들이 어떻게 뉴미디어를 사용하여 대중에게 영향을 미치도록 권고하는가? 본 연구는 이러한 성찰을 통해 뉴미디어상의 홍보 실무에 있어 어떤 윤리적 패러다임이 적용되어야 하고 어떤 측면이 재고 혹은 개발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에 기여하고자 한다. Now that new and social media play increasingly important roles in public relations, public relations ethicists face the challenge of how to apply traditional ethical paradigms to the constantly changing circumstances created by new media. To reassess several of the basic tenets of public relations ethics, this paper critiques three influential paradigms-the advocacy ethic, the civil dialogue ethic, and virtue ethics. The critique focuses on the following topics: (a) the central goal that each paradigm recommends for public relations practice, specifically practices intended to influence audience beliefs and actions; (b) the communication techniques each paradigm recommends for realizing that goal; (c) the justification for elevating that goal above rival goals; (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paradigm; and (e) the extent to which new media pose new challenges to each paradigm. The contribution of this analysis is to specify which lines of ethical thought are not directly affected by the emergence of new media, and which ones need further development.

      • KCI등재

        기독교신여성과 혼인윤리 : 박인덕을 중심으로

        이숙진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4 기독교사회윤리 Vol.29 No.-

        Protestantism introduced various ethical codes of marriage to modern Korea. While protestantism set the patriarchal ethics of marriage against traditional or secular ethics by the rhetoric of discontinuity and the strategy of control, protestant New Women tried to resist and transform them. By lens of marriage, this article aims at exploring the life of protestant New Women, who shattered the gender hierarchy by challenging the patriarchal ethics. The author made a focus on reconstructing the life of Park In-duk, a protestant New Woman, who was conflicted with the protestant patriarchal ethics of marriage, but lived a life different from New Women pursuing love for love's sake. She revealed the structure of gender unequality and shook the gendered landscape by way of choosing the divorce by herself. Park In-duk could resist the patriarchal culture by realizing the fact that she was created in the image of God through a conversion experience, and by realizing that she is a independent woman through modern education. Protestantism played the major role of establishing the patriarchal ethics of marriage in modern Korea by identifying those ethics with God's order. Redescribing the life of Park In-duk, therefore, could be a critical activity to overcome the gender unequality and a channel to reinforce the ethic of human dignity based on the concept of Imago Dei. 한국기독교는 초기부터 사회적 편입의 한 통로인 ‘혼인’에 대하여 다양한 윤리적 지침을 마련해 왔다. 근대기독교는 전통과 세속의 혼인문화에 대하여 ‘단절과 통제’의 윤리적 전략을 구사하면서 가부장적 혼인윤리를 정초한 반면, 기독교신여성은 가부장적 윤리에 대한 ‘저항과 변혁’의 윤리를 실천하였다. 이 글의 목적은 기독교의 가부장적 윤리와 경합하는 가운데 한국의 젠더지형에 영향을 끼친 기독교신여성의 삶의 자리를 ‘혼인’의 렌즈로 조망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사례연구를 위하여 ‘기독교인’이었지만 기독교 가부장적 혼인윤리와 갈등하고, ‘신여성’이었지만 당대를 풍미했던 연애지상주의자와는 다른 행보를 걸었던 박인덕의 삶의 궤적을 추적하였다. 그를 연구사례로 선택한 것은 삼종지도와 여필종부가 여성의 주요덕목이었던 20세기 초반에, ‘여자이면서도’ 이혼을 주도적으로 결정함으로써 젠더불평등의 상황을 고발하고 젠더담론의 지형에 끼친 영향력 때문이다. 박인덕이 젠더불평등의 가부장적 혼인 윤리에 저항할 수 있었던 것은 신앙적 체험을 통해 이마고 데이(imago dei)로서의 정체성을 깨닫고 근대교육을 통해 여성주체임을 자각했기 때문이다. 근대 한국기독교는 가부장적 혼인 윤리를 하나님의 질서로 신성시하면서 불평등한 젠더 구조를 온존시킨 대표적인 공간이다. 기독교의 가부장적 혼인윤리와 경합하였던 한 기독교신여성의 삶의 자리를 조망하는 작업은 젠더 불평등에 대한 비판적 개입인 동시에 이마고 데이에 정초한 인간존중의 윤리를 제고하는 효과가 있다.

      • KCI등재

        Public Relations Ethics in the Age of New Media A Critique of Three Paradigms

        Thomas Britten Hove 한국광고홍보학회 2013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5 No.4

        Now that new and social media play increasingly important roles in public relations, public relations ethicists face the challenge of how to apply traditional ethical paradigms to the constantly changing circumstances created by new media. To reassess several of the basic tenets of public relations ethics, this paper critiques three influential paradigms-the advocacy ethic, the civil dialogue ethic, and virtue ethics. The critique focuses on the following topics: (a) the central goal that each paradigm recommends for public relations practice, specifically practices intended to influence audience beliefs and actions; (b) the communication techniques each paradigm recommends for realizing that goal; (c) the justification for elevating that goal above rival goals; (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paradigm; and (e) the extent to which new media pose new challenges to each paradigm. The contribution of this analysis is to specify which lines of ethical thought are not directly affected by the emergence of new media, and which ones need further development.

      • KCI등재

        신과학기술혁명시대의 유교윤리주체

        김백희 ( Kim Baeg-hee ) 한국동서철학회 2018 동서철학연구 Vol.0 No.89

        Universal life on Earth is possible through the Balance of the Cosmos. But without this Balance, according to Confucianism, cosmos as a dynamic system becomes the way of processing in change (生滅變化法則) and dynamic reality itself (力動的實在) in the world or cosmos. Confucianism takes up the position of deontological ethics. Ethical deontology is a theory based purely on obligation or duty. Confucianism emphasizes the practice of the Way(道: 仁義禮智). Because Confucianism deduces the ethical norms from the Way, it sees the Way as benevolent. This Perspective is related to Confucian Cosmology: benevolence(仁) can extend endlessly through the rites(禮) in society. Confucianism regards Cosmos as Endless Transformation, Spontaneous Transformation, Intrinsic Balance in Transformation, Vital Fluid of Transformation and Value-intentional Transformation. Confucianism in the human world as Cosmos evokes how to accept or be responsive toward deontological nature through the practice of the way of process in changing. The age of the New Scientific-Industrial Revolution is on its way. The whole world is going digital, and this digital lifestyle is changing the way we all work, play, communicate, and live. Although changes will probably be subtle and take time, people all over the world are anticipating with interest the new era in the civilized world. Human beings of modern society think that human mastery of the natural world is natural. But, like Confucianism, the world view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believed in a Cosmic relation between man and nature. Nature and human beings are the same substance in the New Scientific-Industrial Revolutionary Epoch. According to Confucian perspective, the myriad creatures with human beings follow the norm as the way of process in changing. Therefore we need to understand deontological obligation or duty of all Confucian men that practice the norms of the age of New Scientific-Industrial Revolutionary Epoch.

      • KCI등재

        포스트휴머니즘의 윤리적 패러다임과 기독교 윤리

        박휴용 한국기독교교육정보학회 2022 기독교교육정보 Vol.- No.72

        Witnessing the crisis of ecological environment and the unpredictable progres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this paper ventures to convene posthumanism to discuss how the paradigm of ethics should be changed for the upcoming posthuman society. To address this theme, this paper set up four research questions in terms of ontological and axiological perspectives: First, what is the nature of posthuman beings and how can the category of the humanness be expanded?, Second, how can the humanistic notions of subjectivity, self-identity, human rights, and freedom be applied to posthuman beings and what contradictions thess attempts might bring about as the matter of ethical considerations? Third, what kind of arguments might be emerging when we propose new ideas about posthuman ethics? And fourth, what can the supportive theories of posthumanism be used in establishing new paradigm of posthuman ethics? The core findings of this paper’s discussion are as follow: First, three main issues need to be discussed for considering posthuman ethics, which are post-humanistic dignity, the entanglement of posthuman beings, and the posthuman bio-politics. Second, the paradigm for posthuman ethics may consist of four kernel sub-theories of posthumanism, which are eco-feminism, vitalism, non-representative theory, and biopolitcs. This paper’s suggestion may entice the discussion of posthuman ethics in the field of humanities and can give some useful insights for this issue. 본고는 급격한 생태적 위기와 기술적 발전이 동시에 일어남으로 인해 인류의 삶과 존재 방식이 포스트휴먼적 성격으로 변해가고 있음에 주목하고, 포스트휴머니즘의 관점에서 윤리학의 패러다임이 어떻게 변해야 할 것인지를 논의하고 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다음 네 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포스트휴먼적 존재란 무엇이고, 그에 따라 ‘인간’의 범주가 어떻게 확장될 수 있는가?, 둘째, 포스트휴먼적 존재를 위해 주체성, 자기정체성, 인권, 자유의 개념은 어떻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윤리학적 범주의 확장에 대해 어떤 논란점이 있는가?, 셋째, 포스트휴먼적 윤리학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논쟁점들은 어떤 것이 있는가? 마지막으로 넷째, 포스트휴먼 윤리학의 패러다임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관점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 네 가지의 질문들에 대한 논의 결과, 본고는 포스트휴먼 윤리의 핵심논점으로는 탈인본주의적 존엄성, 포스트휴먼적 존재들 간의 관계성, 그리고 포스트휴먼 생명정치학의 관점들을 논의될 필요가 있고, 그에 따라 포스트휴먼 윤리학의 패러다임은 생태페미니즘, 생기론, 비대표성이론 그리고 생명정치학의 이론들의 관점을 기반으로 수립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고의 논의는 향후 포스트휴먼 사회의 윤리적 문제들에 대한 학계의 논의에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시해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Medical Ethics and the New Science of Moral Cognition

        John M. McGuire 한국의료윤리학회 2011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14 No.1

        This article provides a brief overview of some of the recent developments in the new science of moral cognition and examines what relevance they might have for the field of medical ethics. Included here are descriptions of Mikhail and Hauser’s work on a universal moral grammar (UMG), Greene’s fMRI studies of emotional engagement in moral judgment, and Haidt’s crosscultural research on the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morality. It is argued that recent research results in these and other areas exposes a gap between medical ethics and common morality, between some of the methodologies and results of medical ethics on the one hand and the moral judgments and values of ordinary people on the other. This disconnect is explained, in part, in terms of a misunderstanding or misuse of the naturalistic fallacy, which serves to insulate medical ethics from advances in the scientific understanding of morality.

      • KCI등재

        김수영의 「꽃잎」 연작과 「풀」에 나타난 모름의 윤리

        김상혁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 2025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69 No.-

        김수영의 시론은 시 쓰기의 방향을 찾기 위한 모색의 과정에서 얻어진 것이다. 4·19 혁명 이후 그의 시론은 더욱 정밀해졌으며, 「꽃잎」 연작과 「풀」 등의 작품을 통하여 자신의 시론을 작품으로 구체화하였다. 김수영 시학의 자장 안에서 ‘새로움’은 시가 되는 언어와 시가 되지 않는 언어를 가르는 기준 자체였다. 그러한 ‘새로움의 시학’은 김수영의 「시여, 침을 뱉어라」 등의 산문을 통해 ‘모호성’ ‘무한대의 혼돈’ ‘미지’ 등의 단어 등으로 표현되어 있다. 흔히 ‘온몸의 시학’으로 불리는 그의 시론은 시의 정신이 ‘모호성’을 긍정하고 수용함으로써 ‘무한대의 혼돈’이라는 ‘미지’ 상태로 나아가는 과정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절대적 자유에 근거하여 새로움 자체를 문제 삼으려는 시 정신의 윤리적 운동과 겹쳐 있다. ‘새로움-자유’라는 김수영의 시학과 윤리는 시적 주체가 ‘모름’을 긍정 및 수용하는 과정을 통해 시 작품으로 구체화된다. 「꽃잎」 연작에서 ‘모름’이란 무능의 표지가 아니다. 시적 주체는 ‘모름’을 혁명적 계기로 삼아 직관과 진리를 선취하려는 윤리적 운동을 수행한다. ‘모름’의 역량이 「꽃잎」 연작의 해석을 통해 드러난다면, 그러한 윤리적 ‘모름’의 지향인 ‘무한대의 혼돈’에 대한 시적 인식은 「풀」의 운동성에 접목되어 있다. 격렬한 바람 앞에서 바람과 풀 사이의 인과적 운동은 선후를 파악하기 어려운 ‘혼돈’의 양상으로 드러난다. 「풀」은 ‘바람-풀’의 인과적 움직임마저 혼란해지는 극한의 상황을 그림으로써 풀의 운동성이 바람의 운동성을 초과하는 순간을 포착해낸다. Kim Soo-young’s poetic theory was obtained i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the direction of writing poetry. After the April 19 Revolution, his poetic theory became more precise, and he concretized his poetic theory into works such as the Petals series and Grass. In the field of Kim Soo-young’s poetics, “newness” was the criterion itself that distinguished between language that could be poetry and language that could not be poetry. Such ‘poetics of newness’ is expressed in Kim Soo-young’s prose with words such as “ambiguity,” “infinite chaos,” and “unknown.” His poetic theory, often called “poetics of the whole body,” can be summarized as the process in which the spirit of poetry affirms and accepts “ambiguity” and moves toward the “unknown” state of “infinite chaos.” This process overlaps with the ethical movement of the poetic spirit that seeks to question newness itself based on absolute freedom. Kim Soo-young’s poetics and ethics of ‘newness-freedom’ are embodied in poetry through the process in which the poetic subject affirms and accepts ‘not knowing’. In the Petals series, ‘not knowing’ is not a sign of incompetence. The poetic subject uses ‘not knowing’ as a revolutionary opportunity to perform an ethical movement to preempt intuition and truth. If the capacity of ‘not knowing’ is revealed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the Petals series, the poetic recognition of ‘infinite chaos’, which is the direction of such ethical ‘not knowing’, is grafted onto the mobility of Grass. In the face of a fierce wind, the causal movement between ‘wind’ and ‘grass’ is revealed as an aspect of ‘chaos’ in which it is difficult to determine the 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