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국악 관련 내용 고찰

        김영아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2 국악교육연구 Vol.6 No.2

        The music curriculum according to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9 was written by accepting the changes of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09 as well as the national and social demands and supplementation of the current music curriculum. In that the revised curriculum is under the regular revision system, we can expect a curriculum aimed at the qualitative elevation of Korean music education as stressed by the current curriculum. In addition, the strengthening of national identity education becomes a basis for realistic Korean music education. In ‘Realm and Criteria of Contents’, like in the current curriculum, the terms of Korean music are actively suggested, and musical elements and concepts are expanded for all students or are taught at different levels depending on the school years. Within the ‘Teaching Method’, also, various activities and teaching methods helping students understand the original shapes of Korean music are suggested. It can be seen that the revised curriculum was prepared to come closer to the normalization of Korean music education by the revision direction of the current curriculum which stresses the qualitative elevation of Korean music education and by correcting and supplementing it. However, more properly comprehensive terms should be suggested as the criteria for such achievement in order to minimize the confusion in schools and to be effective. In addition, more diverse examples of learning activities should be prepared.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교육과정은 2009 개정 교육과정 체제에 따라 문서 체제 및 각 항목별 특징의 변화와 함께 국가․사회적 요구 및 현행 음악과 교육과정에 대한 보완 요구를 수용하면서 개정되었다. ‘수시 개정 체제’ 하의 교육과정이라는 점에서 현행 교육과정이 강조한 ‘국악교육의 질적 제고’를 최대한으로 이루고자 한 교육과정을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국가․사회적 요구 사항 중 하나인 ‘국가정체성 교육’의 강화는 국악 교육이 보다 내실 있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음악과 교육과정 구성의 근거가 된다. ‘내용의 영역과 기준’ 항은 현행 교육과정과 마찬가지로 국악 용어가 적극 제시되면서도 국악 관련 음악 요소 및 개념이 전 학년의 지도 요소로 확대되거나 학년군별로 수준 차를 두어 위계화 하였고, ‘교수․학습 방법’ 항 역시 국악 본연의 모습과 특징을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들과 지도법이 제시되었다. 즉,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교육과정은 ‘국악교육의 질적 제고’를 내세운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을 유지하면서도 이를 수정․보완함으로써 국악교육 정상화를 위해 한 걸음 더 나아가고자 하였음을 알 수 있다. 다만 내용제시 방식의 변화, 즉 포괄적 수준으로 제시한 ‘성취 기준’이 학교 현장에 미칠 수 있는 혼란을 최소화하고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보다 포괄성을 지닌 적절한 용어가 성취 기준으로 제시되어야 하며, 더불어 더욱 더 다양한 학습 활동 예시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일본․중국․홍콩 음악 교육과정의 전통음악 내용 비교 분석

        이경언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1 국악교육연구 Vol.5 No.2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implementations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the music curricula among Korea, Japan, China, and Hong Kong, specifically examine the ways traditional music education has been reflected in the curricula, and find some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For those purposes, the study analyzed the traditional music contents independently presented in the music curricula instead of the entire curriculum itself. Based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results among the four curricula,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obtained:First, while Korea emphasized on the localization and autonomy of the curriculum in the introduction of the curriculum, Japan, China, and Hong Kong actively introduced throughout the music curriculum. Besides, Korea deal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music through folk songs and Sigimsae, but it was not done in the aspect of localization or autonomy. These findings demand Korean curriculum to identify and teach the various works that reflect local musical features in addition to the ones proposed by the national curriculum unde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the curriculum. Second, the curricula presented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closely connected to the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or folk music and specifically pointed out that it could influence the establishment of the right music values in Japan, China and Hong Kong.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Korea needs to provide specific directions for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n the curriculum. Finally, the curriculum offered concrete alternatives rather than abstract and declaratory presentations of nature and objective to emphasiz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Japan, China, and Hong Kong. That is, they provided various aspects including common teaching materials, procurement of instruments, percentage of teaching material content, instruments and scores and offered practical approaches for textbook publica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es. From these facts, Korea expects that emphasize traditional music in a more specific and practical manner in the curriculum. 본 연구에서는 한국․일본․중국․홍콩의 음악 교육과정에서 자국의 전통음악 내용이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지 비교․분석해봄으로서 교육과정에서 전통음악 내용 반영 방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그에 따른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음악 교육과정 전체가 아니라 음악 교육과정 중 전통음악 관련 내용이 독립적으로 제시되어 있는 것만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네 곳의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의 지역화, 자율화 측면이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교육과정 총론에서 강조되고 그 방법이 제시되고 있는 데 반해 일본, 중국, 홍콩에서는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민요와 시김새 학습을 통해 지역별 음악의 특징을 다루기는 하지만 이것이 지역화나 자율화 차원에서 다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교육과정의 ‘내용’과 ‘교수․학습 방법’ 항에서 국가 교육과정에 제시한 악곡 외에 지역의 음악적 특색을 반영한 다양한 악곡을 발굴해 지도할 수 있도록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일본․중국․홍콩의 교육과정에서는 다문화 음악교육이 자국의 전통음악이나 민족음악의 이해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으며, 나아가 음악에 대한 올바른 가치 정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의 교육과정에서도 다문화 음악교육에 대한 방향 제시가 구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전통음악교육의 강조가 성격이나 목표와 같이 추상적이고 선언적인 차원에서 그치지 않고 구체적인 대안으로 제시되어 있다. 즉, 공통 교재, 악기의 구비, 교재 내용의 비율, 악기와 악보 등 다양한 방면에서 제시되어 있어 교과서 편찬과 교수․학습 과정에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게 되어 있다. 우리의 교육과정에서도 전통음악에 대한 강조가 좀 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음악과 교육과정의 국악 내용 비교 분석 및 개선 방안 : 2009와 2015 개정 음악과 공통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한윤이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6 敎員敎育 Vol.32 No.4

        As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was announced, Its interest has been increased how much changed.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Gugak contents between 2009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then looked through problems and trends of Gugak education and suggested some improvements based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The details of Gugak specified systematically in 2009 Revised Music Curriculum have been erased considerably in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In addition, contents of Gugak were described in universal terms not in Gugak its own terms.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shows that Gugak education is just regarded as one part of music education and generalizes without considering its uniqueness. However it provides sufficiently an opportunity to choose contents and learning activities associated with Gugak education. On the other hand, It is appeared that the curriculum emphasizes Gugak education in the Familiarization area compared to previous music curriculum. Compared with 2009 Revised Music Curriculum,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has three problems. First, losing criterion to select and systematize teaching contents of Gugak because of reducing Gugak contents. Second, distorting conten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of Gugak because of generalizing contents. Third, having many duplicate contents and being insufficient teaching-learning methods of Gugak. The improvements for solving this problems are to integrate and to supplement teaching-learning methods of Gugak, to provide a commentary in the table with elements and concept of music, to present systematically details of Gugak in the part of achievement standards explanation and to come up with application plan of Music Curriculum for Gugak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2009와 차기 2015 개정 음악과 공통 교육과정의 국악 관련 내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국악 교육 제시 경향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2009와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국악 내용을 비교 분석한 결과,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국악에만 해당하는 내용이 상당히 삭제되었고, 국악 특유의 용어보다 보편적인 용어를 중심으로 기술되었다. 이를 통해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국악 교육은 보편적인 음악 교육 안에 포함시켰고, 국악 내용과 활동 선택의 자유를 제공하여 다양한 교재 개발을 유도하려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국악 교육의 문제점은 국악 내용의 축소로 인해 국악 지도 내용 선정이나 체계화를 위한 기준 수립이 어려워지고, 내용을 보편적으로 제시함으로써 국악의 내용이나 교수․학습 방법이 왜곡될 수 있다는 점, 교수․학습 방법에서 중복되는 내용이 많고 실질적인 국악 교수․학습 관련 내용이 미흡하다는 점 등이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 방안으로 교수․학습 방법의 보완 및 통합적 제시, 음악 요소와 개념 체계에 대한 해설 제공, 성취기준 해설의 국악 관련 내용 구체화, 교육과정의 국악 내용 구현을 위한 방안 마련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 민요에 관한 연구 -제5․6․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정미영 한국민요학회 2009 한국민요학 Vol.25 No.-

        One of the direction and emphasis in 2007 revised music curriculum is ‘the qualitative raising of Korean music education.’ Thus it is desirable to investigate how Korean music has been presented in music textbooks and to look for implications on how it should b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orean folk songs in music textbooks for high school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Learning factors reveal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have been increasing throughout the 5th․6th․7th curriculum but most of them are presented in the part of Western music. Most of the Korean folk songs in textbooks are about Gyeonggi-do and popular folk song. For Jangdan, ‘Gutgeori and Semachi Jangdan’ is common. In the 5th and 6th curriculum, there is a song written by more than two Jangdan. That is the one that is arranged. Also there appeared a lot of problems when Jangdan is replaced by meter. That is, instead of showing the structure of Jangdan, a song is interpreted through the Western system of meter or divided by bar. In the 7th curriculum, songs and Jangdan is mostly matched. In addition, throughout the curriculums, staff notation is mainly notated and Jeongganbo is secondary for instrumental activities. The form of singing music is arranged into a chorus in the fifth and 6th curriculum and a single melody in the 7th curriculum. In the learning activities and consolidation, Bagyeon waterfall is investigated in terms of rhythm and melody. For rhythm, clapping rhymes and syncopation are mainly used, and other terms of Western music like tie or accent. For Jangdan, it is pointed out that se of Jangdan is marked at beat and ‘the change of se’ which matches with musical piece is stressed out. Melody is examined with musical note. Throughout the 5th and 6th curriculum, a collection of Korean art song is contained. In the 7th curriculum, except one publisher, standard musical note is collected. However, as a result of comparing melody, musical note in the collection of Korean art song is similar to one in the standard musical note. Most of melody is related to scale and its constituent sounds different are different in spite of analysing the same musical note. Also when explaining Gyeonggi-do folk song by dividing gyemyeonjo and pyeongjo. Although much has been improved in the seventh curriculum, Korean folk song is still presented using the system of Western music. From now on, Korean folk song should be presented along with Korean music language. Also systematic research and discussion needs to be done. One of the direction and emphasis in 2007 revised music curriculum is ‘the qualitative raising of Korean music education.’ Thus it is desirable to investigate how Korean music has been presented in music textbooks and to look for implications on how it should b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orean folk songs in music textbooks for high school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Learning factors reveal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have been increasing throughout the 5th․6th․7th curriculum but most of them are presented in the part of Western music. Most of the Korean folk songs in textbooks are about Gyeonggi-do and popular folk song. For Jangdan, ‘Gutgeori and Semachi Jangdan’ is common. In the 5th and 6th curriculum, there is a song written by more than two Jangdan. That is the one that is arranged. Also there appeared a lot of problems when Jangdan is replaced by meter. That is, instead of showing the structure of Jangdan, a song is interpreted through the Western system of meter or divided by bar. In the 7th curriculum, songs and Jangdan is mostly matched. In addition, throughout the curriculums, staff notation is mainly notated and Jeongganbo is secondary for instrumental activities. The form of singing music is arranged into a chorus in the fifth and 6th curriculum and a single melody in the 7th curriculum. In the learning activities and consolidation, Bagyeon waterfall is investigated in terms of rhythm and melody. For rhythm, clapping rhymes and syncopation are mainly used, and other terms of Western music like tie or accent. For Jangdan, it is pointed out that se of Jangdan is marked at beat and ‘the change of se’ which matches with musical piece is stressed out. Melody is examined with musical note. Throughout the 5th and 6th curriculum, a collection of Korean art song is contained. In the 7th curriculum, except one publisher, standard musical note is collected. However, as a result of comparing melody, musical note in the collection of Korean art song is similar to one in the standard musical note. Most of melody is related to scale and its constituent sounds different are different in spite of analysing the same musical note. Also when explaining Gyeonggi-do folk song by dividing gyemyeonjo and pyeongjo. Although much has been improved in the seventh curriculum, Korean folk song is still presented using the system of Western music. From now on, Korean folk song should be presented along with Korean music language. Also systematic research and discussion needs to be done.

      • KCI등재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대중음악 수용사례에 대한 연구 -6차, 7차,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기본-공통형 및 선택-심화형 교재를 예로-

        정교철 ( Kyo Chul Chung ) 민족음악학회 2013 음악과 민족 Vol.46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reception`s examples of popular music in the music-curriculums of Korean highschool: As examples five authorized basic-common and advanced-optional music textbook in case of 6th, 7th & 8th curriculum`s changes from 1995 to 2011. In part I, the short history of music departments of Korean colleges & universities in last 40 years summarized: the changing process of domestic educational circumstances, past and present music-curriculums of Korean public highschool, research of the former internal studies on reception`s examples of popular music in the music-curriculums of Korean highschool ect. In part II, the reception`s examples of popular music in the music-curriculums of Korean highschool, in case of 6th(middle 1990s), 7th(begin 2000) & 8th(begin 2010) curriculum`s changes of authorized basic-common and advanced-optional music textbook in five assortment since 1995 are concretely researched. In part III the questions such as “Has this rapid reception of popular music in the music-curriculums of Korean highschool nowadays only a positiv result? Is this new and “progressive” phenomenon possibly not harmful to solve the basic old problems of Korean music-educational system?” are shortly discussed. Also the realistic and future-oriented alternative solutions to solve the mentioned problems of educational system Koreas are presented. This paper is a co- and parallel study A Analytical Study on Reception`s Examples of ``World Music`` in the Music-Curriculums of Korean Highschool - In Case of 6th, 7th & 8th Curriculum`s Changes of Authorized Basic and Optional Music Textbook written at the same time.

      • KCI등재

        일반학교 음악과 교육과정과 특수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비교 및 분석

        최윤경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2 음악교육공학 Vol.- No.14

        In this research,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07 and the revised special music curriculum of 2008 a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common compositional items of documental structure of subject matters curriculum such as 'nature's, 'goals and objectives',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s'. 'Natures' and 'goals and objectives' are very similar in the view points of contents of curriculum. In case of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s', music curriculum minutely and sequentially presents those of music education more than special music curriculum. However, special music curriculum has a tendency to be the guideline of general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s for other subjects. Particularly, special music curriculum has errors of contents, sequence problems, and problems of western music oriented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contents'To solve theses problems, special music curriculum should consider not only special educational aspects but also music and music educational aspects. I propose active academic communica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and music education. 본 연구는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2008 개정 특수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두 교육과정의 공통적인 구성 항목인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의 다섯 가지 항목을 중심으로 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성격’ 항과 ‘목표’ 항은 두 교육과정의 내용이 거의 유사하였고,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항은 일반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이 특수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에 비해 음악 교과 고유의 교육 내용과 교수․학습 방법, 평가에 대한 내용이 비교적 상세하고 계열적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특수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은 다른 교과에서도 해당될 수 있는 일반적인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에 대한 지침이 제시되는 경향이 많았다. 특히 특수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 항의 분석을 통해 내용의 오류와 계열성 문제, 서양 음악 중심의 교육 내용이라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수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특수교육학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음악 및 음악교육학적인 측면이 고려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특수교육학과 음악교육학의 학문적 소통이 활발해지길 제안한다.

      • KCI등재후보

        교육과정 개정시기별 국정교과서에 나타난 초등국악교육

        이상규(Lee Sang-kyu) 한국국악교육학회 2018 국악교육 Vol.45 No.45

        본 논문에서는 제1차 교육과정부터 제 7차 교육과정까지 해당 시기별 국정교과서에 나타난 국악 관련 내용을 분석하여 1950년대부터 2000년대 초기까지 초등국악교육의 변천과정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먼저 국악곡의 기보체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국악곡에 사용되는 악보는 단소나 소금 등 기악 영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오선보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악보에는 국악곡 지도에 중요한 요소인 장단이나 출처도 제시되지 않고, 부적절한 박자표를 사용하는 등 아쉬움이 많았다. 이러한 문제점은 제5차교육과정을 기점으로 차츰 개선되어 장단명과 장르, 시김새, 적절한 박자표 등 국악곡 지도에 필요한 적절한 정보가 제공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가창곡에 대해 살펴보았다. 국악 관련 내용 중 가창 제재곡으로 제시된 곡은 모두 67곡인데, 가장 많이 소개된 가창곡은 ‘풍년가’, ‘아리랑’, ‘쾌지나칭칭나네’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창 제재곡은 제4차 교육과정까지는 거의 보이지 않았는데, 제5차 교육과정을 기점으로 국악가창제재곡 숫자는 상당히 증가하였으며, 제6차 교육과정부터는 그 증가율이 큰 폭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감상곡에 대해 살펴보았다. 국악감상활동은 2차교육과정까지 전혀 이루어지지 않다가, 제3차 교육과정에서 민요를 소개하는 정도의 활동이 소개되고 있다. 이후 제4차교육과정에서 일부 기악 관련 악곡들이 감상곡으로 소개되었으며, 5차교육과정부터 기악곡과 함께 성악곡이 감상활동 악곡으로 제시되었다. 특히 제6차 교육과정에는 ‘수제천’, ‘산조’등의 새로운 기악곡이 추가되었고, 제7차교육과정에서는 창작국악동요, 제례악, 무용 등도 감상곡으로 제시되었다. 네 번째, 국악기악 활동을 살펴보았다. 제1차 교육과정부터 제5차 교육과정까지 실제 악기를 지도하는 국악기 기악지도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 후 제6차 교육과정에서 처음으로 기악 영역에 소고, 장구, 단소 등 일부 국악기가 포함되었으며, 제7차 교육과정에서도 같은 악기들의 기도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한편 사진과 함께 제시된 국악기 소개는 매 교육과정마다 13종 안팎으로 나타나는데, 그 중 대금, 가야금, 피리, 장구 빈도수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등 분석과정을 통해 적절한 악곡수와 난이도의 악곡 선정, 국악교육 관련 내용의 심의기구 필요, 참신함과 흥미를 제공할 수 있는 악곡 발굴, 국악 관련 인물의 발굴 등을 개선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요컨대 교과서의 내용을 통해 본 제1차 교육과정부터 제7차 교육과정까지의 초등국악교육은 초기 일부 국악기 소개 수준의 교육에서 제5차교육과정 이후 가창과 감상 영역으로 확대되었으며, 점차 기악교육으로 그 범위를 넓혀가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process of elementary music education by analyzing contents related to Korean music in the periodical textbooks from the 1st to the 7th curriculu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 examined the national system of Korean music. The score used in the Korean classical music mostly used pentos except for instrumental areas such as Danso and Sogeum. These musical scores were not presented as important elements in the teaching of Korean music and were not satisfactory. These problems were gradually improved from the 5th curriculum and it was analyzed that proper information needed for instruction of Korean music including name of jangdan, genre, shigimsae and beat sign. Second, I examined the singing songs. Among the contents related to Korean traditional music, 67 songs were suggested as the most requested songs. The most popular songs were ‘Pungnyeonga’, ‘Arirang’, and ‘Kwejinachingchingnane’. The song was not introduced until the fourth curriculum, but it began to appear from the fifth curriculum. Third, I looked at the appreciation. Activities for appreci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re not carried out at all until the second curriculum, but the activities to introduce folk songs in the third curriculum are introduced. In the 4th curriculum, some musical pieces related to instrumental music were introduced as an appreciative piece. From the 5th curriculum, musical pieces such as Pansori and Changgeuk were presented as musical pieces. Particularly, in the 6th curriculum, new instrumental music such as ‘Sujecheon’ and ‘Sanjo’ were added. In the seventh curriculum, it was also noted that A new Korean traditional song for children, ritual music and dance were also presented as appreciation music. Fourth, I looked at the at the traditional music instrumental activities. From the first curriculum to the fifth curriculum, there was no instrumental instruction for traditional instruments. However, in the 6th curriculum and the 7th curriculum, the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such as Sogo, Janggu, and Danso took place in earnest. On the other hand, there are 13 kinds of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presented along with the photographs in each training course. Among them, Taegeum, Gayageum, Piri and Janggu were frequent. On the other hand, through this analysis process, it was proposed to select appropriate music number and difficulty level, to have a deliberative mechanism for the conten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o discover songs that can provide novelty and interest, and to find out the people related to Korean music In short, elementary music education from the 1st to the 7th curriculum through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was extended from the 5th curriculum after the 5th curriculum at the initial level of int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 was able to see that it was expanding its range.

      • KCI등재

        초등학교 음악 교과 담당 교사의 2015 개정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인식

        신혜경 ( Shin Hae-kyung ) 한국예술교육학회 2020 예술교육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실행 실태 및 지원 필요 사항을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전국 단위의 음악 교과 담당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교사 301명을 대상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 공통 강조 사항에 대한 인식,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이해와 적용, 실행 상의 난점과 지원 요구를 다면적으로 분석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 공통 강조 사항에 관한 이해와 음악과 교육과정에의 반영, 수업 실천 및 변화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업 변화에 대한 긍정 응답률이 다소 낮아 이해와 실천 간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이해와 적용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도 긍정적이었다. 교사들은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변화 및 강조 사항, 교과 역량, 핵심 개념, 학습량과 내용 수준,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사항’과 ‘평가방법 및 유의 사항’의 유용성에 대하여 타당하다고 인식하였다. 반면 교과 역량이나 핵심 개념과 같은 추상적인 개념의 적용 방안 고찰의 필요가 있었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실행상의 난점과 지원 요구, 차기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개선점은 수업 적용을 축으로 나타났다. 교수·학습 및 평가자료 제공과 악기와 음악실을 비롯한 수업 환경 구축이 관건이었다. 차기 음악과 교육과정의 개선 사항 역시 교과서의 내용 및 구성 보완과 수업 자료 및 교구 지원이 중심을 이루었다. 특히 교과 역량의 의미 이해와 국악의 난이도 조정 및 내용의 다양성, 학습자 흥미도 반영에 대한 요구에 주목할 필요가 있었다. This study aimed to grasp the current state of implementation and support needs of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s. The study included a multi-faceted analysis to examine the common emphasi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the demands of support for 301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experience in music curriculum across the country. The conclusions drawn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understanding the common emphasi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reflecting it in music and curriculum, and practicing and changing lessons were found to be positive.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understanding and practice, for the response rate of positive responses to the changes in class was rather low. Secon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was found to be positive.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changes in and the emphasis of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curriculum competency, core concepts, learning volume and content level, and the usefulnes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were valid. Further, there was a need to determine how to apply abstract concepts such as subject matter and core concepts. Third,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e difficulties in the revision of the music curriculum in 2015, the demands for support, and the improvements required for revising the next curriculum. The key was to provide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materials and build a classroom environment that includes musical instruments and music rooms. The improvement of the next music curriculum also focused on supplementing the contents of textbooks,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aids. In particular, it wa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demand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curriculum competency, adjust to the difficult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understand the diversity of contents, and reflect learners’ interests.

      • KCI등재후보

        음악교사 양성 기관의 국악교육과정 변화

        변미혜(Byun, Mi-Hye) 한국국악교육학회 2014 국악교육 Vol.38 No.38

        음악교사는 일반적으로 중·고등학교 음악교사의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된 사범대학의 음악교육과를 통해 배출되며, 일반 음악대학에서는 교직 이수를 하거나 교육대학원을 졸업하여 교사가 되기도 한다. 즉 사범대학의 음악교육과는 음악교사 배출의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 학과의 주요한 역할은 중·고등학교의 음악교육의 질을 책임지고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역량 있는 음악교사들을 배출하는데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음악교사에게 필요한 교육적 역량 및 자질은 국가교육과정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고, 국가교육과정은 시대적·사회적 변화와 요구 등 다양한 변인에 의해 개정됨에 따라 교사 양성 기관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교사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한국교원대학교 음악교육과의 국악교육과정을 통해 교사 양성기관에 요구되는 음악교사의 자질과 역량을 살펴본 결과 한국교원대학교 음악교육과의 교육과정은 개정된 국가교육과정의 변화를 받아들이는 데 소극적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음악교사의 자질과 요건에 대한 시대적·교육적 요구의 변화에 따라 음악교사 양성기관의 교육내용 및 교육과정도 변화될 것을 기대하였지만, 여전히 국악과 양악 과목이 불균형적으로 편성·운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다수의 양악 관련 과목들이 개설된 가운데 국악 관련 과목들이 몇 개 추가된 정도에 지나지 않았으며, 현재의 음악교사 양성기관의 교육과정으로는 우리의 음악문화를 자신 있게 지도할 수 있는 자질과 역량을 지닌 음악 교사를 양성하기에는 미흡하다고 본다. 중등음악교사는 변화하는 시대적·사회적 변화에 따른 음악교사의 자격기준을 함양함으로써 학교 음악교육의 발전에 이바지 하는 역할과 의무를 다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가능케 하는 것은 교원양성대학의 교육과정에 있다. 앞으로 바람직한 음악교사 교사를 양성하기위해서는 교과교육학 및 교과내용학의 영역별 균형 있는 과목 개설이 요구된다. 또한 교과의 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록 총 이수학점과 기본이수학점의 충분한 확보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음악교사 양성 대학의 국악 교수진의 확보가 시급하며 이를 뒷받침을 할 수 있는 교육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음악교사를 양성하는 대학은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수용하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국가교육과정을 선도하고, 미래의 한국음악교육의 비전을 제시해 나갈 수 있도록 그 역할을 다 해야 할 것이다. Music teachers are usually educated in music education department of teachers’ training college. Also, they can be trained by completing a course in teacher education of music college, or finish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us, since music education department of teachers’ training college occupies a large part of producing music teachers, its curriculum aims to educate competent music teachers to responsibly accomplish the quality of music education in the secondary schools. Moreover, the educational capacity and qualification which are demanded of music teachers are related wi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 curriculum revised by period?social change and requirement causes the reorganization of teachers’ training college. This study identified the capacity and qualification of music teachers educated by teachers’ training courses through examining the curriculum of the music education department i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hich is charge of training teachers. From the result, this study recognized that the curriculum had been passive to absorb the Revised National Music Curriculum. Especially, although it was expected that the capacity and qualification of music teachers has been changed by the period?social change and requirement, the curriculum of the music education department of the university was still disproportionately organized in the courses of Korean music and western music. The courses of the department were occupied with most of western music courses and just added by some of Korean music courses. Through this curriculum, it may be impossible that the music teachers which can instruct Korean music and culture can be trained. The curriculum of music teachers’ training college should contribute to educate music teachers to obtain the requirement and qualification by period?social change. For this reason, the curriculum to be well-trained music teachers should be balanced on both music courses and music education courses. Furthermore, it should be required to enough fulfill the total course credits and compulsory credits in order to be fully qualified the expertise of music subject. Lastly, readily provided this curriculum in music teachers’ training college, it will be required with the education policy to obtain enough the professors specialized in Korean music. Conclusively, music teachers’ training college should accept the change of the National Music Curriculum as well as lead the music curriculum and present the future vision of Korean music education.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변천과 국악 기악 교육

        이상규(Lee Sang-kyu) 한국국악교육학회 2016 국악교육 Vol.42 No.42

        본 논문에서는 제1차 교육과정부터 현행에 이르기까지 각 교육과정에 따라 변천과정을 겪어온 음악과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기악 지도 내용과 국악기 교육 내용을 정리하고, 그를 바탕으로 국악 기악 교육을 위한 과제를 제시하였으며,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먼저 음악과 내용영역의 분석 결과, 제3차 교육과정까지는 가창, 기악, 창작, 감상 등 전통적인 음악교과 활동 위주의 항목이 제시되었는데, 제4차 교육과정과 제5차 교육과정에서는 표현 항목의 추가, 제6차 교육과정부터 2007 개정 교육과정까지는 이해 영역의 추가, 2007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생활화 항목의 재진입 등의 변화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기악 교육에 사용되는 기본 악기의 추이를 살펴보았는데, 제2차 교육과정까지는 10여 가지의 악기명을 제시하였고, 제3차와 제4차 교육과정에서는 개별 악기명 대신 악기군으로 소개하고 있었으며, 제 6차와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리듬악기군과 가락악기군으로 구분하고 10 여개의 개별 악기들을 병기하였다. 또한 2007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리듬악기와 가락악기의 분류법 대신 국악기와 서양악기로 구분하고, 10 여개 이상의 악기를 제시하고 있었으며,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리듬악기, 가락악기, 건반악기, 전자악기 등의 악기구분만 제시하며, 구체적인 악기명은 거론하지 않고 있다. 국악 기악 변천과정을 살펴본 결과, 제1차 교육과정부터 제5차 교육과정까지 국악 기악 지도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고, 제6차 교육과정에서 처음으로 기악 영역에 소고, 장구, 단소 등 일부 국악기가 기본악기로 제시되었으며, 제7차 교육과정에서도 이 체제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교과서 체제가 검인정 교과서로 바뀐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기악 영역의 악기군을 국악기와 서양악기로 구분하고, 소고, 장구, 단소, 소금을 국악 기악 권장악기로 제시하고 있지만, 학년별 권장 악기를 특정하지는 않았다. 이는 국악기와 서양악기 구분 체계를 통하여 교육 현장에서 국악기를 서양악기로 대체할 가능성을 대폭 줄이고, 실질적인 국악 기악교육이 가능하도록 한 점에서 특별해 보인다고 해석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이어지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국악기와 서양악기의 구분 체제를 철회하고, 리듬악기, 가락악기, 건반악기, 전자악기 등의 악기구분만 제시하며, 구체적인 악기명은 거론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2015개정 교육과정은 모든 국악기를 기악 교육에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지만, 서양악기들과의 지도악기 선택을 위한 무한경쟁체제로 돌입한다는 측면도 있다고 파악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쉬운 연주법의 국악기 발굴, 교육용 유율 타악기의 개발, 국악 가락악기의 학년별 분산 배정과 수준별 지도법 개발 필요성 등을 향후 국악 기악 교육의 과제로 제시하였다. 요컨대 국악 기악 교육은 5차 교육과정까지 전혀 이루어지지 않지만, 1992년 제6차 교육과정을 기점으로 국악 기악 지도가 시작되었고, 2000년대 들어 본격적인 국악기 교육 단계에 들어섰으며, 앞으로 그 역할과 비중은 더욱 커질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is classified educational contents of musical instruments and traditional Korean instruments curriculums which are in music curriculum from the 1st curriculum to the current revised music curriculum in 2015. Based on these, some improvement plans will be shown in the study below. First, we analyzed music and content area,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Up to the third curriculum, items such as singing, instrumental music, creation, and appreciation were presented. In the 4th curriculum, expression items were added, and the 6th curriculum introduced new areas of understanding.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changes were made to reappear items of daily life. Next, we examined the trend of basic instruments used in instrumental education. In the first curriculum and the second curriculum, we presented about 10 instruments. In the third curriculum and the fourth curriculum, they were introduced as musical instruments group instead of musical instruments. In the 6th curriculum and 7th curriculum, we divided into rhythm instrument group and melodic instrument group, and each musical instrument group has about 5 individual musical instruments. In addition, in the 2007 revised curriculum, instead of classifying rhythm instruments and melodic instruments, Korean and Western instruments were presented and more than 10 instruments were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ourse, rhythm instruments, melodic instruments, keyboard instruments, It does not mention the specific instrument nam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transition proces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s, there was no instruction on instrumental music from the 1st to 5th curriculum. In the 6th curriculum, some musical instruments such as Sogo, Janggu and Danso. It was presented as a musical instrument, and the system remained the same in the 7th curriculum. In the 2007 revision curriculum, the textbook system was changed to the textbook of the inscription, and the musical instruments in the instrumental area were classified into Korean and Western musical instruments, and Sogo, Janggu, Danso and Sogeum were proposed as recommended instruments for Korean classical music. However,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division of the Korean and Western instruments is withdrawn and only the distinction of musical instruments such as rhythm instruments, melodic instruments, keyboard instruments, an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is presented, and specific musical instrument names are not mentioned. Therefore, althoug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utilize all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s for instrumental education, it also recognizes that there is an infinite competition system for selection of musical instruments with Western instruments. Based on these discussions, it is suggested that Korean classical musical instrument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in order to discover easy to play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to develop melodic percussion instruments for education, and instructional methods by level Korean musical instruments. In short, Korean traditional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was not performed at all until the 5th education curriculum. In 1992, the 6th curriculum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ment instruction was started. In the 2000s, it entered into the stage of full-scale traditional music instrument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