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령자 가정환경수정 관련 정책에 대한 이해: 작업치료사의 관점에서

        황나경,심선화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omestic and overseas home modification policies, and review the direction of domestic home modification policies to enable ‘Aging In Place; AIP’ and the competencies required of occupational therapist as and expert in home modification. In order to expand occupational therapy for domestic home modification and strengthen occupational therapist competency, it is required to establish a clear and practical home modification process that reflects the design and intervention of occupational therapy. Appropriate selection and standardization of the evaluation tools that identifies the needs of the elderly and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housing types are also requir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policies and systems, and endeavour to establish a relevant knowledge base for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experts in other fields. In terms of the policy, there is a need for the home modification support system that allows the elderly to adapt to their aging regardless of their income level, beyond the existing support system, which was implemented mainly for low-income people and disabled. In addition, as in overseas cases, the efforts need to be made to provide various and efficient measures, such as support for barrier-free housing, expansion of the scope of support through cooperation between the nation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low-interest loans and tax reductions, and establishment of governance with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related to home modification services. 본 연구는 국내⋅외 가정환경수정 관련 정책들을 살펴봄으로써 ‘Aging In Place; AIP’ 실현을 위한 국내 가정환경수정 관련 제도의 방향성과 가정환경수정 전문가로서 작업치료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국내 가정환경수정 분야의 확장과 작업치료사 역량 강화를 위해 가정환경수정의 설계와 중재 실현이 반영된 명확하고 실질적인 가정환경수정 프로세스 확립이 요구되며, 거주인의 구체적인 필요와 요구를 파악하는 평가와 국내 주택 유형의 특성을 반영한 가정환경 평가도구의 적절한 선택 및 표준화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정책과 제도에 대한 이해 및 타 분야 전문가와의 소통⋅협력을 위한 관련 지식 기반 구축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제도적 측면에서는 기존의 저소득층, 장애인 중심으로 시행되었던 주택개조 지원제도에서 저소득 고령자를 포함하여 소득 수준에 관계없이 고령자가 자신의 노화에 적응해 갈 수 있는 주택개조 지원제도가 필요하다. 더불어 국외 사례에서와 같이 베리어프리(Barrier Free) 주택개조 지원제도와 정부와 지자체의 협력을 통한 지원범위 확대, 저리 융자와 조세 감면, 환경수정 서비스 관련 단체 및 기관들의 거버넌스 구축 등 다양하고 효율적인 방안 마련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미토콘드리아 대체 기술 논쟁 시 '유전자 변형'의 정의

        전방욱(Bang Ook Jun)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2016 생명연구 Vol.40 No.-

        2015년 2월, 영국 하원은 미토콘드리아 대체를 합법화하는 규칙을 통과시켰다. 토론 과정에서 영국 정부는 '유전자 변형'에서 미토콘드리아 대체를 제외시키는 실무적 정의를 채택하였다. 영국 정부는 미토콘드리아 대체가 유전자 변형이 아닌 '기증'이고, 미토콘드리아 DNA가 핵 DNA와는 다른 사소한 역할만을 담당하며, 태어날 아이의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담론 전략을 사용하였고, 지지자들과 반대자들은 이 담론 전략 위주로 논쟁을 펼쳤다. '유전자 변형'의 실무적 정의에 대하여 개인 과학자나 활동가 이외에도, 영국의 공식적 기관과 미국 식품의약국도 미토콘드리아 대체가 유전자 변형에 해당한다고 반박하였다. 재정의된 '유전자 변형'은 결국 토론 과정에서 합의된 용어로 동의를 받지 못했으나, 승인된 생식세포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변형은 국제 사회의 규제 지형과 이후의 인간 생식세포 유전자 변형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미토콘드리아 대체와 같은 생의학 신기술의 논의 시 신중한 용어의 선택은 과학적으로 건전하고 윤리적으로 생산적인 정책을 결정하는 데 필수적이다. In February 2015, the UK parliament passed the regulation allowing mitochondrial replacement. During the debate, the UK government adopted the working definition that "mitochondrial donation[replacement] techniques were not recognized as genetic modification." And it developed discursive tools that mitochondrial replacement was not genetic modification but mitochondrial donation, and mitochondrial DNA, unlike nuclear DNA, played a trivial role hardly affecting the identity of newborns ; both proponents and opponents focused on these discursive tools during their debates. UK public organizations and US Food and Drug Authority as well as scientists and activists confirmed that mitochondrial replacement was a form of genetic modification. Although the redefined term 'genetic modification' was not agreed, permitted mitochondrial genetic modification became to affect the international regulation landscape and open the door for further germline genetic modification of human beings. It is essential to choose considerate terms during the discussion of emerging biomedical technology such as mitochondrial replacement to make scientifically sound and ethically productive policy decisions.

      • KCI등재

        동북아 안보전략의 변화와 북한 핵문제 노무현 정부의 평화번영정책 구상과 현실 그리고 과제

        김근식 평화문제연구소 2004 統一問題硏究 Vol.16 No.1

        Currently, it is the dominating appraisal that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s policy toward North Korea has been inconsistent in practice, albeit its grand conception of a Peace and Prosperity Policy. In particular, principles of denial of North Korea``s nuclear possession and peaceful dissolution of the nuclear issue have come into conflict with each other, and the administration``s North Korean policy was off balance between dialogue and pressure as well as between the maintainence of ROK-US mutual assistance and the ROK-DPRK relationship. To solve the predicament, it is critical that the administration carries out a more consistent policy, based on principles. By the same token, it is required, not to parallel the principle of Odenial of North Korea``s nuclear possessionO with that of Opeaceful dissolution of the nuclear issue,O but to present a synthesized principle of OSolving the nuclear issue through peaceful means.O And, in that sense, the step-by-step implementation strategy of the Peace and Prosperity Policy shall be modified to the side-by-side strategy of synchronization of them in execution.

      • KCI등재

        선거 경합도와 정당 파워가 정부정책에 미치는영향에 대한 연구: 미국 보육정책 분석을 중심으로

        강주현 한국정치학회 2007 한국정치학회보 Vol.41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whether electoral competition, party strength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ose factor produce regulatory policy change in childcare and if so, what direction such the policy change takes. For empirical testing, several indicators are constructed based on childcare regulation documentations as well as political, economic, and other social data from 1980 to 2005 and 153 the model is estimated by pooled times series with panel corrected standard errors. The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electoral competition is critical factor influe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y and government policy. When electoral competition is light, the direction of government policy is significantly determined by a party's strength in the state congress and the policy direction is consistent with ideological preference of Party. However, when electoral competition becomes competitive, Party moderate strategically their ideological preference on the policy to attract more support from voters. 본 연구는 선거 경합도, 정당 파워, 그리고 이 두 요소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정부의 정책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미국 사회복지정책의 일환인 보육정책의 사례에 적용하여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경험적으로 분석하고자 1983년부터 2005년까지의 미국 주 정부의 보육규제자료 및 정치, 경제, 사회에 관한 종합적인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시계열분석의 일환인 time series with panel corrected standard errors (PCSE) 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선거 경합정도는 정당과 정부정책간의 관계에 있어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선거 경합도가 낮은 경우 정부보육규제의 방향은 상하양원에서 어떤 정당이 파워를 가지고 영향력을 행사하느냐에 의해 결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발견된 흥미로운 점은 선거경쟁이 과열되었을 경우 선거경합도와 정당의 파워가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내는 각 정당의 전략적(strategic) 정책방향의 수정이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즉, 선거경쟁이 치열한 경우 선거에 민주당 혹은 공화당이 의회 내에 상당한 영향력이 있는 상황하에서도 보다 많은 유권자의 지지를 획득하기 위해 민주당은 좀 더 보수적인 방향으로, 공화당은 좀 더 진보적인 방향으로 전략적 정책 방향의 변화를 이루어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 KCI등재

        북한 고등중학교 민요 교육의 음악적 고찰

        배인교 한국민요학회 2012 한국민요학 Vol.35 No.-

        This paper carries out in-depth anaysis of folksongs in school music textbooks of North Korea to find aspects of folk songs used for senior middle school as well as its significations in national music education. Folksongs are found in the music textbooks of senior middle schools in the section of concepts, tonal structure, instrumental music, singing, music appreciations. The scope of folksong concept used in the textbooks are broader without presenting any subcategory in North Korea. Whereas folksongs are classified into a few kinds and explanation how such category has developed and the characteristics are detailed with example songs in the textbook of South Korea. Regarding tonal structur, focus is placed on tonal composition more than regional chracteristics of folksongs. No explanation is found on the folksongs of Pyeongan Province and Jeolla Province. Unlike South Korea where Singyeongtori is understood as a variant of Jingyeongtori, the opposite is true in North Korea. Such understanding should originate in process of music theorization based mainly on western music system and accepting music in singyeongtori without questioning. No traditional folksongs are used in the textbook of senior middle school in North Korea. Modified folksongs from traditional folksongs or Sinminyo(new folksongs) and folksong style songs composed in Sinminyostyle are included as folksongs in the textbooks. Except for one song <Pulmu Taryong> in Menaritory, all other songs are in Gyeongtori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folksongs are not considered. In the society of Socialism, where nationalism served as main ideology, folksong’s education in senior middle schools of North Korea should abide by such political and social atmosphere. The principle of accepting national culture began from 1964 that only progressive and people-oriented traditional aspects will be critically transmitted and preserved. Such criteria has been applied to folksongs where songs created in the lives of common people were cherished and lyric changing was taken for granted to reflect the circumstance of the times. It can be concluded that ever since the “Joseon People First Policy”, folksongs with strong national taste have been used as means to enhance the “Joseon People First Policy”.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고등중학교 음악교과서 분석의 틀을 벗어나 북한의 학제 중 고등중학교의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민요를 심층 분석함으로써 북한 고등중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민요의 양상과 북한의 민족음악교육에서 민요의 교육의 의미를 찾아보았다. 북한 고등중학교의 음악교과서에서 민요는 개념, 음조직, 기악 가창 감상 영역의 제재곡에서 발견된다. 북한 고등중학교 음악교과서의 ‘민요’ 개념을 남한의 것과 비교해 보면, 남한의 것에 비해 그 설명하는 범위가 넓고, 하위범주를 제시하지 않은 반면에 남한 음악교과서의 ‘민요’는 민요의 개념을 나누어 장르의 형성과정과 특성, 그리고 각각의 개념에 맞는 예시곡을 제시하고 있어 차이가 있었다. 교과서에 수록된 민요의 음조직과 관련된 설명에서 민요의 지역적 특성보다는 음구조에 집중되어 있으며, 평안도 지방과 전라도 지방의 민요에 대한 설명이 없었다. 또한 남한에서는 진경토리의 변형으로 인식하고 있는 신경토리에 대해 북한에서는 신경토리를 원형으로 진경토리를 변형으로 보고 있었다. 이러한 인식은 체제 형성기 서양 음악 위주로 이루어진 이론화 작업, 그리고 신경토리 음악에 대한 무비판적 수용의 결과로 파악하였다. 북한 고등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민요 제재곡을 분석한 결과 교과서에서 수록하고 있는 민요는 전통민요 그대로를 사용한 경우는 없으며, 전통민요와 신민요를 개작한 개작민요와 신민요스타일로 만들어낸 민요풍의 노래가 사용되었음을 보았다. 또한 음구성으로 보아 메나리토리로 보이는 <풀무타령> 한 곡을 제외하고는 모두 경토리 선율의 곡이었으며, 지역성도 무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북한 고등중학교 민요 교육은 북한이 사회주의 체제 속에서 민족주의를 강조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와 맞물린다. 1946년부터 시작된 북한의 민족문화수용원칙인 전통문화유산 중 진보적이고 인민적인 것을 비판적으로 계승발전시키다는 원칙은 민요에 적용되어 피지배 인민들의 삶 속에서 만들어진 민요를 중시하되, 노래에 현 시대의 내용을 담기위해 가사의 개작을 당연시 해왔다. 또한 조선민족제일주의가 주창된 이후 북한에서는 민족적 색채가 강한 민요의 강조를 통해 조선민족제일주의의 강화를 꾀하고 있는 것으로 귀결된다고 하겠다.

      • KCI등재
      • KCI등재

        코로나19전후 채무조정이용자의 채무재조정 및 채무조정실효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김성숙(Sungsook Kim),정운영(Woonyoung Jeong) 한국FP학회 2022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정부의 채무조정 지원확대 등 환경이 변화하는 과정에서 채무조정이용자의 특성 변화와 채무재조정과 채무조정실효의 결정요인을 살펴보고, 정부의 채무조정 지원확대 정책이 채무조정이용자의 채무재조정 및 채무조정실효여부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고찰하였다. 연구문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신용회복위원회의 채무조정사례 2019~2021년 3년간 1차 자료를 무작위추출법을 이용하여 표본 추출하여 활용하였다. 채무조정이용자의 개인특성요인은 선행연구와 분석 자료인 신용회복위원회의 채무조정이용자사례 1차 데이터 자료의 질문구성을 고려하여 성별, 연령, 소득수준, 직업, 주택, 결혼 상태로 선정하였다. 코로나19후 정부의 채무조정 지원확대 정책변수의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조절변수로 연구모형에 포함하였고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별, 연령, 직업, 소득, 주택, 결혼 상태는 채무재조정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코로나19후 채무조정 지원확대 정책의 직접효과 및 조절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성별, 연령, 직업, 소득, 주택, 결혼 상태는 채무조정실효여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코로나19후 채무조정 지원확대 정책의 직접효과는 유의하였고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에서 경제위기에서 채무곤란을 당하는 연체자들을 위한 채무조정 지원확대정책은 단기적인 실효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신용회복과 자활을 위한 사적 채무조정제도의 효과적인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Korean government enlarged a series of programs to promote the loan modifications for the delinquents who had suffered during COVID-19.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debt payment rescheduling and loan modification cessation of loan modification users who do not adequately comply with a debt payment scheduling plan and cannot pay off their repayments. The data were collected by random sampling among cases of loan modification users who were confirmed for reception of first phase credit recovery support after their application to the Korean Credit Counseling & Recovery Service during 3 years from Jan, 1. 2019 to Dec. 31, 2021. The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arried out, and the results are presented below: First, an examination of debt payment rescheduling determinants by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the potential for debt payment rescheduling of loan modification users was higher if the delinquent was male, young, self-employed or had a day job, house owner, and married. In addition, the moderation effect of loan modification extension policy of government in debt payment rescheduling was significant. Second, an examination of loan modification cessation determinants by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the potential for loan modification cessation was higher if the delinquent was female, young, self-employed or had a day job or no job, home-owner, and divorced or separated. The moderation effect of loan modification extension policy of government in loan modification cessation was not significant.

      • KCI등재

        신라 중대 초 당제의 수용과 정비

        김덕원(Kim, Deok-won) 신라사학회 2020 新羅史學報 Vol.0 No.49

        신라는 520년 율령을 반포하였는데 17관등과 백관의 공복, 골품제도 등 상고기부터 시행되어 오던 관습과 제도, 법제 등 고유하고 전통적인 부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었다. 이후에도 새로운 법령과 법률이 계속해서 만들어졌는데, 특히 진흥왕대와 진평왕대에 중앙의 행정관부와 새롭게 복속한 지방민들에 대한 규정이 대폭적으로 확대되었는데, 이것은 520년에 반포된 율령의 관련 조목에 편입되면서 새로운 조문들이 증가하였다. 642년 대야성이 함락된 이후 김춘추는 왕권 강화와 지배체제의 개편을 구상하고, 적극적인 대당외교를 추진하여 당제를 수용하였다. 그리고 신라가 당제를 수용한 시기는 648년 김춘추가 당에 파견된 이후부터라고 할 수 있다. 그는 651년부터 정국운영의 구상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였는데, 이것은 당 의관과 연호를 사용하는 한화정책의 추진과 집사부의 설치를 중심으로 하는 관제정비의 실시로 나타났다. 당제의 수용은 이후 골품제도의 변화를 가져오는 계기로 작용하는 등 신라 사회에 큰 영향을 주었다. 당제의 정비는 신문왕대부터 새롭게 변화하여 성덕왕대의 활발한 대당외교와 경덕왕대의 지명과 관부 명칭의 변경으로 이어졌는데, 특히 중대의 전제왕권과 한화정책은 상호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주목되는 것은 신라가 당제를 수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중앙관부는 당 중앙 관부의 핵심인 3성6부제를 실시하지 않고 이전부터 존재하였던 집사부를 중심으로 운영되었다는 사실이다. 이것은 신라가 당제를 수용하여 관료제를 추진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진골귀족의 영향력이 작용하고 있었기 때문으로 보이며, 이러한 의미에서 신라 중대에 당제의 정비과정은 일정한 한계를 지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829년 집사부가 집사성으로 바뀌고 여러 관부들이 새롭게 설치되었던 하대에는 변화된 모습을 보이면서 이후 태봉과 고려의 관제정비에도 일정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Silla proclaimed Yulryeong(율령) in 520, which included its inherent and traditional contents such as 17 official ranks and official uniforms of all the government officials and Bone rank system etc. it had enforced before. Even thereafter, new laws and regulations were enacted continuously, among which regulations on central administrative departments and newly subjugated local people were drastically increased. After Daeya Castle(대야성) was fell in 642, Kim Chun-chu(김춘추) planned the strengthening of royal authority and the reorganization of ruling system and actively promoted diplomacy policy toward Tang(대당외교) and accepted Tang"s system(당제). It can be said that Silla accepted Tang system since Kim Chun-chu was dispatched to Tang in 648. He pushed the Chinese assimilation policy(한화정책) using Tang"s dress and era name starting from 651 and carried out the modification of government systems(관제정비) such as establishment of Jipsabu(집사부) etc. The acceptance of Tang system took a chance to bring about the change of Bone rank system(골품제도) and had a great influence on Silla society. The maintenance of Tang system was newly changed from the time of King Sinmun and connected to active diplomacy to Tang at the time of King Seongdeok and the change of names of place and official departments at the time of King Gyeongdeok, especially, the authoritarian royal power and the Chinese assimilation policy in the Middle period(중대) have a close relation each other. It is noted that though Silla accepted Tang"s system, it did not establish the key of Tang"s central official departments, the Three Ministries-Six Departments System(3성6부제), but it was operated centering on Jipsabu which had existed before. However, in the Late period(하대) when Jipsabu was changed to Jipsasung(집사성) and many official departments were newly established, it changed and had a certain effect on the modification of Taebong(태봉) and Goryeo dynasty(고려)"s government systems.

      • KCI등재

        해외 새마을운동의 정책이전에 따른 정책변형 분석: 라오스와 캄보디아의 사례를 중심으로

        박세나,고길곤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3 行政論叢 Vol.51 No.4

        새마을운동이 개발도상국으로 활발히 정책이전 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어떤 정책구성요소가 어떻게 이전되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을 생략한 채 주로 새마을운동의 효과분석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한편 정책변형을 설명하는 정책변동과 정책이전 이론은 변화의 원인과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을 뿐 본래의 정책내용과 변화된 정책내용에 대한 논의는 부족하였다. 본 논문은 정책변형 연구에 관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여 정책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정책의 원형이 무엇이고, 정책이 이전됨으로써 어떠한 변형이 나타나는 가를 라오스와 캄보디아에서 진행된 6개의 새마을운동 사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새마을운동의 원형과 개발도상국에 이전된 변형 간에는 상당한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책목표의 측면에서는 협소하게 정의된 마을수준의 개발에 초점을 두고 있어 국가단위의 정책목표가 제시되지 못하였고, 정책의 중요한 주체인 정부의 역할이 모호하거나 미미하게 정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새마을운동의 원형과 변형 양자 모두 주민참여를 강조하고 있으나 실제 이전된 새마을운동에서의 주민참여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관리전략 측면에서는 원형에서 나타난 체계적인 관리전략이 부재했으며, 이는 사업의 효과성 및 지속성 담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ctive policy transfer of Saemaul Undong (the New Village Program, or NVP) to developing countries has been observed recently. Current research on the NVP, however, narrowly focuse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ithout an analysis of the prototype NVP and modifications to it in countries where it is transferred. This paper constructs the prototype NVP and analyzes how it is modified in t six projects in Laos and Cambodia. Our analysis suggests huge differences between the prototype and the transferred versions of the NVP. Few programs contain national-level goals that also play a minor role in implementation. Weak participation of community members is also notable. Even more, the sustainability of the programs is questionable due to the absence of systematic management strategy.

      • KCI등재

        조선 중기 국왕의 음악정책 - 성종ㆍ중종ㆍ인조를 중심으로 -

        송지원 ( Song Ji-won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7 공연문화연구 Vol.0 No.34

        이 연구에서는 15세기 후반부터 17세기 초반까지 약 200여년 사이에 집권했던 세 왕, 성종과 중종, 인조의 음악정책을 살펴보았다. 이 세 왕은 각각 다른 이유에서 음악사적으로 주목을 요한다. 성종은 조선의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는 예서, 법전, 악서의 전형인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1474), 『경국대전(經國大典)』(1476), 『악학궤범(樂學軌範)』을 편찬하여 그가 펼친 음악정책의 방향에 대해 조명할 필요가 있다. 중종은 연산군의 폭정을 못 견디어 신하들이 반란을 일으키고 왕으로 추대된 후 대비의 승인을 얻어 왕위에 오른 경우이며, 인조는 직접 군사를 일으켜 집권하여 반정(反正)에 의해 즉위했다. 반정에 의해 즉위한 왕이 전개한 음악정책의 양상은 그렇지 않은 경우와 어떻게 다른지 궁금하다. 이처럼 세 왕 모두 즉위의 배경이 각 다르고 그 왕대에 펼쳐진 음악정책의 내용 또한 다른 강조점을 두고 전개되므로 각각의 양상에 대해 별도로 고찰하였다. 성종은 악(樂)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음률을 깨친 관리 양성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를 위해 예조에 특별한 전지(傳旨)를 내렸다. 그 내용을 먼저 밝히고자 하였다. 또 의례에서 사용하는 노랫말의 개정 논의와 관련되어 이루어진 여러 개편 작업들의 과정과 내용, 의미를 살펴보았다. 중종은 음악의 제도적인 면을 많이 보완하였다. 이는 연산군 대에 변칙적이고 방만하게 이루어진 음악관련 정책을 바로잡고자 하는 의지 표명의 결과이다. 또 노랫말이 불도(佛道)에 관계되는 말, 남녀상열지사를 다룬 말이 많아 이를 혁파하고자 하는 정책이 펼쳐졌다. 인조 대는 전란 이후의 상황을 수습하는 과정에서 펼쳐진 음악정책을 살펴보았다. 두 차례의 전란 이후 악공과 악생이 흩어져 국가제사도 제대로 갖추어 올리지 못하던 시기이므로 이 시기의 음악정책은 안정기와는 다른 방식으로 정책이 펼쳐진다. 이와 함께 병자호란 이후 소실된 악기와 흩어진 음악인들의 수습을 위해 어떠한 조치가 취해지는지 논의하였다. 아울러 제사에서 쓰이는 음악이 폐지된 상황에서 그 복구 노력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살펴보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music policies of the three kings, Seongjong, Jungjong, and Injo, who were in power for about 200 years from the late 15th century to the early 17th century. These three kings deserve attention in musical history for different reasons. Sungjong published “Gugjooryeui”(1474), “Gyeong-gugdaejeon"(1476), and “Aghaggwebeom"(1493), the typical etiquette books, law books, and musical books that take the most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Joseon, so his direction of music policy deserves attention. Jungjong was the long who rose to the throne after there was a revolt against Yeonsangun`s tyranny. Injo ascended to the throne by starting a military coup d`etat himself. One may wonder how the aspect of music policies developed by a king, who was crowned by a revolt, is different from other cases. As each of these three kings had different background of enthronement and the contents of music policies in the royal family also developed with different emphasis, this study examined each aspect separately. Sungjong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usic and regarded it important to cultivate officials who know music. To this end, he gave a special order to Yejo(the office of protocol) and this study tried to clarify the contents first.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contents, and meaning of various modification works related to the revision of the lyrics used in the ceremonies. Jungjong supplemented the institutional aspects of music. This is the result of expressing the will to correct the anomalous and reckless music policies of the period of Yeonsangun. In addition, many words in the lyrics had been about Buddhist doctrines and love songs between male and female, so there were efforts to reform these. As for the period of Injo, this study examined the music policies that were made in the process of resolving the crisis after the war. It was a time when court musicians were scattered after two times of war and it was not possible to hold the national ritual properly, so music policies in this period were different from the ones in stable era. This study covered discussions on the measures to collect lost instruments and scattered musicians. It also looked at how the restoration effort was made in the situation that the music used in ancestral rites was aboli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