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정신적 리더십이 부하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현종(Ko, Hyeon-jong) 국방정신전력원 2019 정신전력연구 Vol.0 No.58

        미 해병대는 군 복무와 전투의 가혹한 현실을 회복시키는 힘을 영성(Spirituality)으로 정의하였고, 영성(Spirituality)은 리더십은 장병들의 정신 무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핵심요소로써 상호 연계시켰을 때 군 조직에서 시너지(synergy)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Fry(2003)가 영성과 리더십을 연계하여 제시한 리더십인 Spiritual Leadership(정신적 리더십)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간 조직에서 효과성이 입증된 정신적(Spiritual) 리더십이 군 조직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이론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둘째, 군 조직의 리더가 발휘하는 정신적(Spiritual) 리더십이 부하들의 사기와 관련된 직무열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군 조직의 리더가 발휘하는 정신적(Spiritual) 리더십과 부하들의 사기와 관련된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 소명의식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리더의 정신적 리더십이 부하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관계에서 소명의식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으며,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육군 특전사와 해병대 장병 82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에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실증분석한 결과, 리더의 정신적 리더십은 부하의 직무열의와 소명의식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하의 소명의식 또한 직무열의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리더의 정신적 리더십과 부하의 직무열의 간 관계에서도 소명의식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군 조직 대상으로 정신적 리더십 연구를 진행하였고, 최근 대두되고 있는 긍정심리학과 정신적 리더십의 효과성을 연계시켰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더불어, 군 조직에서 리더가 발휘하는 정신적 리더십은 부하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군 조직의 리더들이 적용할 수 있는 리더십 이론으로 제시했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e U.S. Marine Corps defines ‘spirituality’ as the force that restores the harsh realities of military service and combat, and the spiritual leadership can be expected to have synergy effects in military organizations when interconnected as a key factor that can influence the soldiers" mental. Therefore, this study is based on spiritual leadership theory presented by Fry (2003) linking spirituality to leadership.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examine whether the spiritual leadership in civilian organizations is applicable to military organizations. Second, we examine how spiritual leadership exercised by leaders of military organizations affects job engagement associated with morale. Third, we examine the influence of call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leadership exercised by leader of military organization and job engagement associated with morale of subordinate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leader "s spiritual leadership on the job engagement of the subordinate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alling in this relationship.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data were collected from 826 Army special forces and Marines, and analyzed it.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the leader"s spiritual 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engagement and calling. And the calling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engagement. Furthermore, the mediating effect of calling was also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 leadership and job engagemen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e conducted a spiritual leadership research on military organizations. It is meaningful that we have linked positive psychology with effectiveness of spiritual leadership. In addi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uggested a leadership theory that the spiritual leadership exercised by a leader in a military organization c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his subordinates.

      • KCI등재후보

        사관생도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내・외적 요인

        정병삼 (재)한국군사문제연구원 2019 한국군사 Vol.6 N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ffecting Military Cadets’ Learning Eng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ffecting military cadets' learning engagement. Two hundred cadets of K Military Academy were sampled and a battery of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them in December 2018. The 195 effectiv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analyses were like these: first, learner's internal factor showed sta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cadets' learning engagement. The four observable variables of the learners' internal factor also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cadets' learning engagement and the intrinsic motivation revealed most significant effect. Second, the instructional factor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 on the cadets' learning engagement while sequential teaching strategy and presentation/discussion strategy showed parti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cadets' learning engagement. The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북 포용정책이 국방정책에 미친 영향 분석: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을 중심으로

        최정준(Choi, Jung Joon)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9 사회과학연구 Vol.58 No.2

        본 논문에서는 김대중 정부의 대북 포용정책(햇볕정책) 추진이 국방정책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군은 전통적으로 무력을 관리하며, 가장 보수적인 집단으로 알려져 있다. 6⋅25전쟁 이후부터 군사분계선을 사이에 두고 남북 간 대치상태를 유지해 오고 있으며, 남한은 북한을 적으로 간주해 왔었다. 남북 간 갈등이 심화될 때에는 군이 전면에 나서서 갈등을 관리해 나갔으나, 남북 화해협력이 이루어지는 이른바 ‘평화무드’시기에는 국가의 정책을 지원하기 위해서 조직이 추구해왔던 가치의 우선순위를 변경하기도 하였다. 김대중 정부의 대북 포용정책이 국방정책에 미친 긍정적인 영향으로 첫째, 대북 포용정책을 힘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군사대비태세를 강화하여 북한의 해상도발을 무력화시킴으로써 군의 신뢰를 회복하였다. 둘째, 남북 국방장관회담과 남북 실무자회담 개최를 통해 남북한 간 군사적 신뢰를 구축하였으며, 남북교류⋅협력을 군사 분야까지 확대시켰다. 부정적인 영향으로 첫째, 활발한 남북교류협력의 추진으로 전통적인 ‘적 개념’의 희석을 초래하였다. 둘째, 대통령의 강력한 의지가 작용된 대북 포용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국방부의 자율성이 감소되었다. 한국의 정치체제의 특성상 국방정책은 대통령의 대북관에 강하게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대북 포용정책이 추진 될 때에는 조직원들이 혼란이 발생하지 않도록 대적관을 확립시키고 힘으로 국가 시책을 뒷받침하여 국민의 신뢰를 받아야 할 것이다. 아울러 대북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국방부가 소외되거나 배제되지 않도록 존재감을 스스로 찾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안보는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으며 단 한 번의 실수도 용납되지 않는다. Kim Dae-joong government actively pursued engagement policy with North Korea after the division of North and South Korea. Therefore, there were active exchanges and cooperations in economics, academics, culture, and sports, which are incomparable with any other government. When the government pursues a more advanced North Korean policy, the military defense policy promotion, which has a relatively conservative nature, can be confirmed to be changed and adjusted according to the different policy.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olicies that strongly reflect the will of the President due to the nature of the political system in Korea, each administrative department has no choice but to provide sub-policies and measures to achieve this. With positive effects, first, the military’s credibility was restored by strengthening its military readiness in order to support its engagement policy with North Korea. Second, in order to support the economic cooperation project with North Korea, the military has successfully carried out railroad links. To this end, South-North Korea’s military confidence was established by holding inter-Korean defense ministerial talks and inter-Korean working-level talks, and the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could be extended to the military sector. The negative impact was, firstly, dilution of the “main enemy concept” that had traditionally been about North Korea. The MND played a dual role in supporting the engagement policy with North Korea and in protecting the country from the enemy and in protecting the lives and property of the people. The MND produced mental education textbooks and conducted intensive training to prevent weakening the security and counterpoint of soldiers. Second, the MND’s autonomy in pursuing its defense policy has diminished. The MND was relatively excluded in the process of pursuing an engagement policy with North Korea’s strong will.

      • KCI등재후보

        Transformation of National Strategy in Postwar Vietnam: Dependency to Engagement

        김성철 통일연구원 2007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 Vol.16 No.1

        A national strategy is a composite of orientations and approaches that provides contextual bases for the formulation of specific foreign policies. In postwar Vietnam, the national strategy has been both to maintain national independence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d to secure necessary resources for economic development. In the two decades between 1975 and 1995, Vietnam’s national strategy has shifted from Marxist-Leninist formalism to new pragmatism; in turn and during the same period, Vietnam’s policy has shifted from pro-Soviet dependency to an adaptive engagement with the United States and a transition to the market. Not only have conjunctures in international relations significantly affected the trajectory of Vietnamese national strategy, but also political leaders’ self-reflection relative to the nation’s development path has expedited a pragmatic adaptation for accessing international resources by way of normalization with the United States. In comparison to the Vietnamese case, the political situation in North Korea, preoccupied by the military-first politics, overshadows a strategic shift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중국의 대만 무력통일 워게임에 대한 연구 중국 군사월간지 <함선지식>의 워게임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김준영 한국게임학회 2023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23 No.5

        시진핑 주석이 대만 통일을 위해 만일의 경우 무력 사용을 배제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표출함에 따라 관련 국가들에서도 대응 방안에 대한 논의가 확대되고 있다. 이에 본고는 중국 국유기업 군사월간지<함선지식>이 제시한 대만 무력통일 워게임을 미국 CSIS워게임과 비교 분석해보며, 그 타당성을 검증해보았다. 중국 인민해방군이 대만 봉쇄에 이어 단기간에 상륙에 성공한다는 중국측 워게임 결과와 달리 CSIS 워게임은 대만과 미국이 승리한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차이는 중국측 워게임이 미일의 참전 가능성을 배제하고, 대만군의 전투 의지를 낮게 가정하였기 때문이었다. 미일의 참전 논의가 확대되고 있고, 무기체계의 발전과 함께 전쟁 양상의 다변화에 따라 중국의 대만 무력통일 워게임도 지속 업그레이드될 것으로 전망된다. As President Xi Jinping strongly expressed his willingness not to rule out the armed unification on Taiwan, discussions on countermeasures are also expanding in related countries. This study analyzed the Chinese military magazine <Naval and Merchant ships> wargame compared with US CSIS War Games. While Chienese wargame showed PLA successfully landed in a short time by blocking Taiwan island, the CSIS wargame suggested the victory of Taiwan and the United States as a result. This difference is due to assumptions of Chinese wargame not considering the participation of the U.S.-Japan and low willingness to fight of Taiwan military. As discussion on the U.S.-Japan engagement is expanding, and wargame of China's armed unification on Taiwan is expected to continue to be upgraded.

      • KCI등재후보

        정치지도자의 군사개입과 전쟁 승리의 함수관계 - 6ㆍ25전쟁 사례를 중심으로 -

        문권 육군군사연구소 2012 군사연구 Vol.- No.133

        This study is started with two questions. One is wheter the political leaders should engage on the military affairs in war time or not. Another is which levels of war might be reasonable if what they do is proper. I built a hypothesis, the political leaders' engagement on the military affairs is a requisite for the victory of war, via literature reviews. For demonstrating this, the political leaders' engagement on the military affairs is defined as they participate in execution of war. And I defined the victory of war as what leaders achive the goals they wished. Moreover, it is very important to be aware of four mediating variables such as continued supporting of civil, supplementation of profession, communication, and flexibility of political objects for analying relationship between political leaders' engagement on the military affairs and the victory of war. Iattempted to demonstrat the validity on Unequal Dialogue stated by Corhen with applying this framework to a new example, Korean War. After result, Mao Zedong and Eisenhower won the victory with engaging on the military affairs, but Stalin was defeated because he did not engage on it in war time. With this, I found that the political leaders' engagement on military affairs in war time is a requisite. And I drew a conclusion that it is the most reasonable for political leaders to engage on the military affairs up to strategics level of war about the question, which level might be reasonable if they should engage on the military affairs among strategics,the art of operations, and tactics. 전시에 정치지도자는 군사개입을 해야 하는가?만일 개입해야 한다면 어느 수준까지가 가장 합당할 것인가?라는 질문에서 연구가 시작되었다. 그리고 문헌연구를 통해 ‘정치지도자의 군사개입은 전쟁 승리의 필요조건이다. ’라는 가설을 세웠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정치지도자의 군사개입을 ‘정치지도자가 군부 엘리트의 전쟁활동에 개입하는 것’으로, 전쟁 승리를 ‘정치지도자가 설정한 정치적 목표를 달성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또한 매개변수로서 민간의 지속적ㆍ적극적 지원, 전문성 보완, 의사소통, 정치적 목표의 유연성을 도출하여 정치지도자의 개입이 전쟁 승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틀을 6ㆍ25전쟁이라는 새로운 사례에 적용함으로써 코헨이 주장한 정치지도자의 군사개입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6ㆍ25전쟁 사례에 적용한 결과 마오쩌둥과 아이젠하워는 군사에 개입하여 전쟁에서 승리하였지만, 스탈린은 전쟁의 주요한 시점에서 군사개입이 제한되면서 전쟁에서 패배하였다. 이로써 정치지도자의 군사개입은 필요조건임을 증명하게 되었다. 또한 정치지도자가 어느 수준까지 개입하는 것이 바람직한가?라는 질문에 있어 전쟁의 수준 중에 전략적 수준까지 개입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China's Engagement Patterns towards North Korea

        송문지,Sangkeun Lee 인하대학교 국제관계연구소 2016 Pacific Focus Vol.31 No.1

        Analysis of China’s response to North Korea’s grave provocations confirms that China has been adjusting its policy toward North Korea, considering North Korea’s stability and the likelihood of US military intervention while pursuing an engagement with North Korea. China has pursued soft engagement when the likelihood of US military intervention has been low and North Korea has been unstable, semi-hard engagement when the likelihood of US military intervention has been high and North Korea has been stable, and hard engagement when the likelihood of US military intervention has been low and North Korea has been stable. China has increased its pressure on Pyongyang to denuclearize since North Korea’s third nuclear test. However, this is merely hard engagement and cannot result in a fundamental change of China’s policy toward North Korea. Unless China changes its strategic goal to maintaining peace and stability on the Korean Peninsula, it will retain its engagement policies toward North Korea.

      • 정전협정의 군사 역학적 의미와 과제

        정경영 ( Chung Kyung-young ) 한국군사학회 2023 군사논단 Vol.115 No.-

        The Armistice Agreement has become the standard for maintaining order in military dynamics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on the divided Korean Peninsula for the past 70 years. By forcing both sides to abide by the Armistice Agreement, the Armistice Agreement worked as a mechanism to prevent war on the Korean Peninsula. North Korea has constantly committed provocations in violation of the Armistice Agreement, and the ROK military has responded to North Korea’s violations in accordance with the armistice rules of engagement established by UNC, and the Armistice structure has been maintained and managed in an unstable manner in a state of imbalance between the military dynamics of the North and the South. North Korea and China representatives which withdrew the Military Armistice Commission in the 1990s should return the MAC for normalizing the armistice structure. Peace Treaty on the Korean Peninsula should be signed by the Two Koreas, the U.S., and China. In the event of signing the peace treaty, MAC consisting of UNC, North Korea and China representatives could be transformed to play the role as the international peace supervisory commission, along with the transition of US Forces Korea’ peace keeping role.

      • KCI등재

        병사의 소명이 군 복무 활력에 미치는 영향: 변혁적 리더십과 윤리적 리더십의 조절효과

        이은희 ( Eunhui Lee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5 국방연구 Vol.58 No.4

        군 복무 활력은 군 복무 간 높은 에너지를 유지하고 어려움을 잘 극복해 나가는 회복탄력성을 갖는 것을 말한다. 징병제를 도입하고 있는 한국은 병사들의 무기력함 문제를 겪을 수 있어 활력을 유지하는 일이 상당히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장병들이 자신의 소명을 찾고 그 소명을 군 복무에서도 이행해 나간다면 높은 군 복무 활력을 가질 수있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전방부대 병사 671명에게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실제 소명이 군 복무 활력과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변혁적 리더십과 윤리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도 검증하였는데, 두 유형 중 윤리적 리더십이 소명과군 복무 활력 간 관계를 강화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병 가치관 교육과 분대장 리더십 개발에 대한 교훈을 제시하였다. Military service vigor means to keep a high level of energy and to have resilience in the face of adversity during the military service. This has been especially important in Korea since the country has introduced compulsory military service. This study anticipated tha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military service vigor. Using a sample of 671 soldier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alling and military service vigor and ethical leadership moderated the relationship, such tha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came stronger for the soldiers under squad leaders high in ethical leadership. Managers in ROK army should teach soldiers the value of practice of one``s calling in military service and develop ethical leadership of squad leaders.

      • KCI등재

        북한의 급변사태와 군사대비

        한관수(Han Kwan-Soo)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09 전략연구 Vol.- No.47

        최근 김정일의 건강이상과 제2차 핵 실험과 관련하여 북한체제 변화에 관심이 집중 되고 있다. 김정일의 선군정치는 어느 정도 체제의 안정을 이룩하였다고 볼 수 있으나, 정치, 경제, 사회, 외교적 측면에서 어떤 임계점에 도달 한다면 급변사태 발생가능성은 높다고 볼 수 있다. 북한의 급변사태 유형은 김정일의 유고시 후계구도를 둘러싼 권력투쟁, 군부의 쿠테타, 심각한 식량난으로 인한 대량난민 발생과 민중봉기, 핵문제 해결과 관련된 미국의 선제공격 등으로 예상할 수 있다. 북한 내부에 급변사태가 발생한다면 한국의 안보에 중대한 위협이 될 것이므로 종합적인 군사대비가 요구되고 있다. 자위적 군사대비로써 북한의 전쟁도발 억제, 대량난민 통제 그리고 적극적 군사개입의 준비로써 대량살상무기 통제가 군사대비의 핵심 내용이라고 볼 수 있다. 북한 급변사태에 대응하기 위한 효율적인 위기관리, 한미군사동맹의 강화, 북한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 등이 요구되고 있다. 북한의 급변사태는 위기이면서 남북통일의 기회로 작용할 것이다. Although Kim Jong Il's "Military First" regime is stable, the possibility of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diplomatical crises remains strong. However, once we reach a tipping point, specific scenarios include a power struggle after Kim Jong Il's departure and a military coup by those who do not agree with the government's nuclear policy. Furthermore, a comprehensive contingency plan should consider impoverished mass refugees, citizen uprisings, bloodshed, and the misusage or transferring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WMD) in an anarchical situation. An impending crisis in North Korea threatens the security of South Korea, therefore, I propose a double-edged military contingency plan: self-defensive and proactive. First, the ROK must aim to prevent war and prepare for the eventuality of controlling mass refugees' coming through the DMZ. Simultaneously, the ROK must control WMD. We need to develop an effective crisis management system, to strengthen the ROK-US military alliance, and to gather more in-depth intelligence. A North Korea crisis can be both a chance for reunification or an endangerment to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