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국의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위기와 대안

        이향희 ( Hyang-hee Lee )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현대사회과학연구 Vol.26 No.-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을 분기점으로 유럽 중심의 구세계질서는 붕괴되었고 미국 주도의 세계질서가 재편되었다. 미국은 주권국가들의 상호작용을 기본으로 국제체제에서 제도와 법칙을 확립했다. 국제질서를 분석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자유주의와 현실주의의 두 패러다임을 들 수 있는데 국가의 외교정책과 국제정치를 보는 관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역사적 상황마다 두 시각은 각자의 해석을 내놓았고 현재에도 국제정치를 이해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논문은 국제관계에 대해 서로 다른 시각을 갖는 자유주의의 국제정치학자인 아이켄베리와 현실주의 국제정치학자인 미어샤이머의 이론을 중심으로 파악해본다. 이 두 사람의 관점에서 자유주의와 현실주의 국제질서 이론을 살펴보고, 현재 관찰할 수 있는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위기와 미국의 현실주의 국제질서로의 선택적 전환에 대해 분석한 후 향후 국제질서에 대해 조망해 본다. At the junction of World War II in 1945, the European-centered old world order collapsed and the U.S.-led world order was reorganized. The United States has established systems and laws in the international system based on the interaction of sovereign states. There are two main paradigms of liberalism and realism as a way to analyze the international order, and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terms of the country's foreign policy and international politics. In each historical situation, the two perspectives have presented their own interpretations and are still having a great influence on understanding international politics. This paper focuses on the theories of G. John Ikenberry, a liberal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tist and John Mearsheimer, a realist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tist who have opposing views on international rel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se two, 1 will not only examine the theory of liberal and realist international order, but also analyze the crisis of the currently observable liberal international order. At the same time, I will look at the selective transition to the US realist international order and the future of international order.

      • KCI등재

        중국의 부상과 국제통화·금융질서의 미래: 자유주의 국제질서가 붕괴될 것인가?

        정진영 ( Jin-young Chung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17 한국과 국제정치 Vol.33 No.1

        중국의 부상이 자유주의 국제질서를 붕괴시킬 것이라는 주장은 미국의 패권이 쇠퇴하고 중국이 비자유주의 국가라는 사실에 기초한다. 그러나 이는 논리적이고 경험적인 검증을 필요로 한다. 이 글은 국제통화·금융질서의 측면에서 세 가지 사례를 통해 중국의 부상이 국제질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첫째, IMF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 증대이다. 세계금융위기 이후 중국은 국제통화체제 개혁을 적극 요구하였고, 그 결과 IMF에서 세 번째로 비중이 큰 이해당사자가 되었다. 중국의 국력신장이 IMF의 거버넌스 개혁에 반영된 결과이다. 둘째, 중국은 위안화 국제화를 위해 SDR 바스켓에 위안화를 편입시키려 했다. 국내적으로 금융개혁을 추진하고 국제적으로 사용이 용이하도록 하는 등 다양한 노력의 결과, 위안화는 SDR 바스켓을 구성하는 5개 통화들 중 하나가 되었으며 국제통화로서 인증받았다. 셋째, AIIB를 설립하여 중국 중심의 국제금융기구를 갖게 되었다. 중국은 막대한 금융자산을 기초로 적극적인 금융외교를 펼치고 있다. AIIB는 쌍무적·비공식적인 중국의 금융외교를 다자화·제도화하려는 노력으로서, 세계은행이나 ADB를 대체하기보다 경쟁하고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사례들에서 중국의 부상은 자유주의 국제질서를 붕괴시키기보다 그 질서 속으로 중국이 더욱 깊숙이 편입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국제경제질서는 부상하는 국가들을 비교적 쉽게 포용할 수 있다. 국제통화 ·금융의 측면에서 중국의 부상은 자유주의 국제질서를 위태롭게 만들지 않고 있다. It is often argued that China`s rise will bring about the collapse of the liberal international order. This is based on two features of China`s rise: the relative decline of U.S. Hegemony and China`s being an illiberal country. However, this argument needs to be examined with regard to its logical reasoning and empirical foundation. We cannot tell logically that the decline of a liberal hegemonic country, the U.S., will necessarily end up with the collapse of the liberal international order. In this paper we take three instances exemplifying China`s rise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monetary and financial relations to examine their impacts on the liberal international order. First, the reform of the IMF and China`s rising power in it.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China strongly argued for the IMF reform as a part of international monetary reform which caused the crisis, and now is the third most powerful state in the IMF in terms of its quota share and voting power. Second, China demanded that its currency, RMB, should be included in the currency basket of Special Drawing Rights(SDR). China made a variety of efforts to satisfy the criteria for the RMB inclusion into the SDR basket, and RMB is now an officially recognized international reserve currency. Third, China led an international effort to establish an international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 and succeeded in launching the AIIB. AIIB can be perceived as China`s effort to transform its conventional bilateral and informal financial diplomacy towards a multilateral and institutionalized one. These instances show that rising China has been successfully accommodated into the liberal international order, rendering China to be its big stakeholder. As far as international monetary and financial relations are concerned, the liberal order has shown its flexibility and adaptability to accommodate a rising great power into it.

      • KCI등재후보

        Liberal International Order and the United Nations after the Ukraine-Russia War: The Advent of a New Global Order?

        하경석 통일연구원 2022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unification studie Vol.31 No.2

        The Ukraine-Russia war is a symbolic reminder of the crisis facing the rules-based liberal international order that has been in place since World War II. However,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changes in the global strategic environment, including the war in Ukraine, signify fundamental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order. Has the liberal international order lost its momentum? As a key international apparatus of the current Western-centered international order, has the United Nations failed to impose effective sanctions on Russia and no longer reflected reality? Will the world order after the war in Ukraine return to a multipolar system led by superpowers? This study views that while it is necessary to discuss a potential transition of global governance in the wake of the war in Ukraine, the emergence of a new international order that supersedes the existing order is still a remote prospect. However, such changes in the global strategic environment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reform the existing order and establish an effective international system.

      • KCI등재

        국제질서의 다면성과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미래: 중국의 시각을 예로

        유희복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8 아태연구 Vol.25 No.4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there has been many serious international crisis happened in various realms including international politics, security, economy, etc. As a result, different analysis have been conducted on the changes in the current international order, including the return of geopolitics and the crisis or end of liberal international order. Against this backdrop, this article purports to reexamine the contents of international order, including what is international order, what constitutes it, and how the current international order can be characterized. The international order is composed of multiple material and non-material elements such as power, institutions, norms, and values, and therefore, rather than defining it from one specific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mponents and the changes of their combinations to maintain the objectivity and balance of the view of international order. Despite the realist view and the U.S.-Sino competition for leadership, the future international order can be expected to remain liberal rather than realist in character. 21세기 초입부터 전 세계 각지에서 정치, 경제, 안보 등 여러 영역에 걸친 많은 사건들이 발생함에 따라 세력전이, 지정학의 귀환,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위기 등 현행 국제질서의 변화에 대한 다양한 논의와 분석이 진행되어 왔다. 동 배경하에서 본문은 국제질서란 무엇이며 현 질서의 특징은 어떻게 규정될 수 있는가 등 국제질서에 관한 내용을 재검토하고 있다. 국제질서는 힘, 제도, 규범, 가치관 등 복수의 물질 및 비물질적 요소로 구성되므로 이러한 구성 요소들과 그 조합의 변화를 함께 고려할 때 국제질서에 대한 시각의 객관성과 균형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냉전 이후 미국이 주도해 온 국제질서를 자유주의 국제질서라고 보는 시각과 이를 부정하는 현실주의적 시각은 미국은 물론 세력전이의 당사자로 주목 받아온 중국에도 존재한다. 중국은 미국 주도의 혹은 미국의 시각에 입각한 국제질서가 패권적이고 수정이 필요하다고 보며, 전통적 ‘천하관’을 비롯해 ‘공정과 합리’를 강조하는 글로벌 거버넌스관 등 자신의 질서관이 갖는 장점과 우위를 주장한다. 질서에 대한 미중 양국의 현실주의적 시각과 주도권 경쟁에도 향후의 국제질서는 현실주의로 경도되기보다는 자유주의적 성격을 일정 정도 유지할 것이다.

      • KCI등재

        Struggling for a New European Order: Salvaged or Newly Shaped

        Sungwook Yoon Korea Consensus Institute(KCI) 2024 분석과 대안 Vol.8 No.1

        The US-led and European partners supporting liberal international order has dwindled. A number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explore reasons, starting point, the possibility of resurrection, and even the future scenarios of the international order. This is particularly important for the EU, in that the EU was built for a world that is peaceful, multilateral and driven by compromise inseparable from the liberal international order.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risis in the international order is also important to emerging powers notably China and Russia which seek for a new order best suitable for their own interests. In this sense, this paper explains the significance of the liberal international order to the EU, the necessity of salvaging an order or creating a new order, and important variables - elections held in 2024 across the EU, in the European Parliament, and the US, Russia's invasion of Ukraine, trans-atlantic partnership and EU-China relations - which possibly affect the EU to establish a new European order. In fact, the EU is unlikely to take the lead in forming a new international order. Nonetheless, the first task the EU should do is to acknowledge the crisis situation at present and to make a decision of the EU's position and role regarding saved, reformed or newly shaped order.

      • KCI우수등재

        미국 주도의 자유주의 국제질서: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강선주(서평자) 한국국제정치학회 2020 國際政治論叢 Vol.60 No.2

        ‘국제질서’는 주권국가들의 상호작용에 적용되는 공유된 원칙과 제도의 조직으로 정의되고, 역사적으로 강대국들의 전쟁과 같은 심각한 사건의 결과물이었다. 현재의 국제질서는 1945년에 미국에 의해 수립되었는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미국의 상대적 쇠퇴와 중국의 부상, 지정학적 경쟁,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 그리고 2020년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미국 주도 국제질서의 변환 가능성이 논의의 전면에 등장하였다. 최근까지 작동해온 미국 주도의 국제질서는 2차 세계대전의 승전국인 미국이 자신의 이미지를 모방한 법치 및 개방성의 자유주의 정치원칙을 자신의 우월한 국력과 결합시킨 것이기 때문에 독특한 자유주의적 패권질서이다. 미국 주도의 자유주의 국제질서는 의도치 않게 미국의 쇠퇴와 국가 주권 및 세력균형과 같은 무정부상태 국제체제의 기본 원칙을 잠식하면서 위기에 빠졌다. 미국 주도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향후 전개 방향으로 ▲전후 미국이 수립한 국제제도의 권위 강화, ▲재협상을 통해 미국 주도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개혁 및 미국의 패권적 리더십 유지, ▲미국의 자유주의적 패권 포기・경쟁적인 지역 영향권으로 분할이 제시되고 있다. 그런데 어떤 경로가 채택되든, 미국의 선택이 포스트 자유주의적 패권질서의 형성에 가장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International order’ is defined as an organized group of international institutions that help govern the interactions among the member states and has historically been an outcome of significant events such as wars between great powers. The current international order was established by the United States in 1945, and the possibilities of its transformation have been brought to the fore of debate due to the relative decline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rise of China after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geopolitical competition, “America-First” by President Trump, and the 2020 Coronavirus Pandemic. The American-led international order, which has been in function up to recent years, was distinctively an liberal hegemonic order because the United States, as the winner of World War II, fused, in its own image, its dominant national capabilities with the liberal principles of governance such as rule of law and openness. The American-led international order is in crisis now as it caused unintentionally the decline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erosion of the basic principle of sovereignty and balance of power operating in the international system under anarchy. Three pathways could be suggested for the American-led international order to take for its future direction: reworking the American postwar system to give more authority to international bodies; reforming the American-led liberal international order through the renegotiation of institutional bargains while the United States would retain its position as hegemonic leader; and abandoning US liberal hegemony/breaking down to competitive regional blocs. However, whichever pathway might be taken, the US choice would be most critical in shaping a post-hegemonic liberal international order.

      • KCI등재

        탈냉전기 미 동맹질서의 변화 양상과 자유국제주의 질서의 지속성

        김영호 ( Young Ho Kim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20 한국과 국제정치 Vol.36 No.1

        본 논문은 도전받고 있는 탈냉전기 미국 주도 자유국제주의 질서의 지속성 여부를 전간기 파국으로 끝난 자유주의 국제질서와의 대별 속에서 미 동맹체제의 변화 양상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현 자유국제주의 질서는 2000년 대 후반 이후 여러 면에서 심각한 도전을 받아오기 시작했는데, 군사안보적 측면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유럽에서는 러시아가 NATO의 동진에 위협을 느끼고 반발하며 대립각을 세워왔고, 아시아에서는 중국의 공세적 행보로 2차 대전 이후 형성된 샌프란시스코 체제가 위협받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런 도전에 직면한 미국은 냉전 종식 이후에도 해체하지 않고 꾸준히 확장, 유지해온 자국 주도 동맹체제를 강화 내지 변용함으로써 자국의 영향력과 자유국제주의 질서 수호에 버팀목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는 현 자유국제주의자들이 국제기구와 국제법에만 주로 의존했던 전간기 자유주의자들과 달리 권력 정치적 요소인 동맹체제까지도 함께 활용하는 차별성을 보여준다. 또한 바로 그 점으로 인해 결국 탈냉전기 자유국제주의 질서는 당면한 도전들을 극복하고 오랜 기간 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This paper aims at probing continuation of the current liberal international order with an analysis of the changing features and direction of the U.S.-led alliance systems in Europe and Asia. Just like other areas, the current liberal international order has been facing serious challenges militarily since the late 2000’s. It is mainly due to Russia in Europe and China in Asia. Under this situation, the U.S. has attempted to maintain both its influence and the liberal international order by strengthening and realigning its alliances. This means that unlike interwar liberals who had emphasized largel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laws following idealism, the current liberals understand and also utilize real-politik aspects of international politics. It is exactly such a difference that will help the current liberal international order last longer than the interwar liberal order.

      • KCI등재

        신 국제질서의 등장과 한국 외교: 동맹전략을 중심으로

        박인휘 신아시아연구소 2023 신아세아 Vol.30 No.4

        2차 대전 이후 정착 및 공고화된 자유주의 국제질서는 냉전 종식을 계기로 전 지구적 차원으로 급속히 확산되었고, 그로 인해 지난 30년 간 세계화는 인류 역사의 보편적인 경향이 되었다. 하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시작으로 국제질서의 구조적 균열이 생겨나기 시작했고, 브렉시크, 트럼피즘, 강대국 이기주의, 극우 포퓰리즘과 같은 반(反) 자유주의 국제질서 특징들이 적극 전개되었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현 국제질서를 대체할 새로운 질서가 등장할 가능성은 낮지만, 지금의 질서가 일정 수준의 구조조정을 경험할 것이라는 데에 동의한다. 한반도는 지리적, 지정학적 및 지경학적 특성 상 국제사회와의 의존도 및 결합도가 매우 높다. 더욱이 분단이라는 안보 상황으로 인해 국제안보환경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는 운명이다. 한국은 지난 70년간 초강대국에 둘러싸인 안보환경을 오히려 적극 활용하여 현재와 같은 평화와 번영을 이룩하게 되었다. 지난 70년 동안 한미동맹이 한국 외교안보정책의 가장 중요한 핵심 자산의 하나로 작용했듯이, 향후에도 한미동맹이라는 세계 최고 자유주의 연대를 통해, 한반도 문제는 물론 글로벌 문제에 대한 책임감을 공유해야 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동맹 어젠다의 확장성’과 ‘양자-다자 관계의 확장성’을 통해 향후 한국의 외교안보이익이 더욱 적극적으로 확보되는 전략이 필요한 때이다. The current liberal international order initiated and consolidated after World War II, and it has been dramatically expanded with the end of the Cold War to every corner of global society. It is said that the liberal international order has faced a series of structural problems such as Brexit, Trumpism, political populism, the rise of China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of 2008. Many scholars and policy-makers in international society generally agree that there is no substitute to replace the current liberal international order. At the same time they also agree that to some degree structural adjustment of the order is inevitable. Korea heavily depends on international security circumstance due to its geographic, geopolitical and geoeconomic characteristic features. For the last 70 years the ROK-US alliance has been the center of Korea’s most reliable diplomatic and security option to guarantee the current political and economic achievement. In the umbrella of the most advanced liberal alliance partner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y need to design new alliance policies such as ‘agenda-oriented’ expandability and ‘bi-multilateral security connectivity’ of the alliance.

      • KCI등재

        자유주의 국제질서의 위기와 롤즈의 정치적 자유주의: 불량국가 담론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민병원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20 韓國 政治 硏究 Vol.29 No.3

        This paper discusses the discourse of rogue state and its theoretical status regarding liberal international order. It has been frequently taken seriously since the 1990s and become predominant in official announcements, media, and public opinion of the world since the 9/11 attack. The paper investigates where it started and what its logical foundations are. the role of liberalism as an ideology seems to have played great roles in this, so that the paper analyzes its dual aspects and particularly that of political liberalism which has become the core of international order. The paper stresses Rawls’s efforts to overcome the limits of metaphysical liberalism by reflecting the reality of politics as a project toward an alternative political philosophy. Also the paper finds out the implications of Rawls’s liberal project in international order and its limits in order to tell the reality of liberalism in international order and the discourse of rogue states. 이 논문은 국제사회의 ‘불량국가’ 담론이 정치적 자유주의 이론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는 점을 부각하고, 롤즈의 『만민법』을 중심으로 정치적 자유주의의 논거와 한계점을 검토한다. 또한 불량국가 담론의 동향과 미국 외교정책 내 위상을 논하고, 자유주의 국제질서가 왜 ‘위기’로 빠지게 되었는지를 분석한다. 이어 자유주의 이데올로기의 역사적 속성과 롤즈의 정치적 자유주의가 지닌 성격을 살펴보고, 이것이 형이상학적 자유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 현실정치를 반영하기 위한 대안의 정치철학적 기획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롤즈가 시도했던 국제질서의 자유주의적 기획 작업에 대한 이러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이 논문은 자유주의 이데올로기와 불량국가 담론의 진면목을 드러내고자 한다.

      • KCI등재

        [특별기고] The Three Crises of World Order

        G. John Ikenberry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21 OUGHTOPIA Vol.36 No.1

        There is wide agreement that world order is in turmoil. The system of rules and institutions that was built in the decades after 1945 and expanded in the decades after the Cold War seems to be breaking down. In this essay, I do three things. First, I offer a portrait of this old international order, the world system led by the United States and built over the last eighty years. I argue that this liberal international order provided a framework of cooperation but it currently at a world-historical crossroads. Second, I explore what I argue are the three crises of world order – the crisis of geopolitics, the crisis of modernity, and the crisis of liberal democracy. I identify the problems of global governance that emerge from these combined troubled developments. Finally, looking to the future, I suggest some ways to begin the search for consensus and cooperation. International order that is open, multilateral, and capable of fostering collective action is the most promising system for 21<sup>st</sup> century world 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