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5世紀代 釜山地域 墳墓出土 大壺의 副葬樣相과 意味

        裵孝元(Bae, Hyo Won) 부산고고학회 2018 고고광장 Vol.- No.22

        대호는 기본적으로 50cm 이상이며, 기벽이 0.7cm 이상으로 단경호나 장경호에 비해 두껍다. 색조는 주로 (암)청색이고 속심은 자색을 띠며 타날을 한 뒤 회전물손질로 깨끗하게 지운다. 특히, 기대 위에 얹혀서 부장되는 장경호·단경호와는 달리 대호는 피장자의 발치에 구덩이를 파서 안치되어 장경호·단경호 등 他 壺類와는 다른 부장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착안하여 장경호·단경호와 대호를 구분하는 기준을 마련하였다. 부곽이나 피장자의 발치에 구덩이를 파서 대호를 안치하는 습속은 전대의 고식도질토기단계부터 이어져온 부산지역 고유의 매장방식이다. 5세기 전반대에 일시적으로 확인되지 않으나 복천동39호분 등 대형분을 중심으로 그 습속이 다시 이어지며 6세기를 전후한 시점에 사라진다. 이는 5세기 2/4분기 후반대부터 부산 식고배를 지속적으로 창출해내며, 호류를 기대에 얹어서 대량으로 부장하는‘부산식 기종조합’의 존속기간과도 일치한다. 즉,‘부산식 기종조합’이 의연히 傳承되는 5세기대의 부산지역은 타지역 토기양식과는 차별화 된 신식도질토기문화를 공유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sically, The large-sized jar is larger than 50cm and thicker than 0.7cm, which is thicker than short-necked jar and long-necked jar. The color tone of large-sized jar is mainly (dark) blue, and internal component is purple, and it was cleared turning after paddle and anvil. Especially, the large-sized jars burial custo m is different from long-necked jar · short-necked jar. The unique burial custom in Busan region were found such as Busan-style mounted dishes, the combination of pottery stand and jar, and large-sized jars around feet in large tombs. Based on this, large-sized jars and long-necked jar · short-necked jar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The tradition that dig a hole at the feet of the buried person and set the large-sized jar is unique to the Busan area that has continued from the former early-stlye pottery stage. Although it was temporarily disappearing in the first quarter of the 5th century, and the tradition continues again as Bokcheon-dong tombs No.39, etc. The tradition is finally disappearing around the 6th century. In the late second quarter of the 5th century, the unique burial custom in Busan region were found such as Busan-style mounted dishes, the combination of pottery stand and jar, large-sized jars around feet in Bokcheon-dong tombs. In other words, Busan region, which has traditional combination of “Busan style pottery was found to have different pottery styles from other regions.

      • KCI등재

        영산강유역 대형옹관의 제작기술적 특징과 의미

        이지영,최미숙,이혜원,정유진,김소라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019 야외고고학 Vol.0 No.35

        Various studies on the large-size jar coffins found in ancient tombs along the Yeongsangang River have been conducted with the focus on the skills used to produce them. The production process of jar coffins was divided into the stages of formation and firing. The first stage included the work of laying successive strips of clay one over another to form the overall shape of the jar coffin, trimming the surface, and then stamping patterns on the surface. Generally, the bottom part of a coffin was made first, with the upside facing downward. After semi-drying it, the main body part and the mouth were formed on the bottom part, with the upside now facing upward. The firing process consisted in placing the newly formed jar coffin inside a semi-underground kiln and firing it for about 70 hours at a temperature of up to 1,100℃. Judging by the diverse marks left on their surface and the characteristic production techniques seen in the results of the restoration experiments, it is first evident that a production method suited to large objects was adopted, with the effort focused on maintaining a stable appearance throughout the laying of the clay strips, and including the use of a slow pottery wheel and a semi-drying method. In the firing process, a kiln with a high ceiling and a fireplace with a large opening, as well as a gentle slope on which to place the objects stably and fire them at an equal temperature, was used. Second, symbolic patterns were made on the surface of the objects. Basically, stamped lattice and saw-tooth patterns were made on the surface of jar coffins, and circles were added to the center of the bottom. It is thought that such patterns were used for about 300 years, when large-size jar coffins were in use in areas along the Yeongsangang River. The large-size jar coffins found in this area appear to have been made by a group of highly skilled specialists in the production of large pottery objects. This suggests that there was a local polity that controlled these people, and that the custom of using jar coffins to bury the dead was adopted by the people who used to live along the Yeongsangang River. 고대 영산강유역 고분의 매장시설로 사용한 옹관은 초대형급의 크기로 인해 그동안 제작기술을 밝히기 위한 연구가 주목받아 왔다. 여러차례 제작실험을 통해 밝혀진대형옹관의 제작과정은 성형과 소성으로 크게 분리하여 살펴볼 수 있다. 성형은 점토띠를 쌓아 올리는 방식으로 외형을 잡고 표면을 다듬은 후 문양을 찍어 완성한다. 성형순서는 저부를 뒤집어 먼저 제작하고 반건조 과정을 거친 후 바로 세워 동체부와 구연부를 차례로 쌓아 올린다. 소성과정은 반지하식 가마를 축조한 후 내부에 옹관을 세워 넣고 70시간 정도 불을 때고 최고온도 900~1,100℃ 정도에서 불막음하여 완성한다. 대형옹관 기면에서 관찰되는 다양한 흔적과 복원실험 결과를 통해 살펴본 제작기술적 특징은 첫째, 대형기종에 적합한 제작방식을 채택하였다는 점이다. 성형과정에서는점토띠 쌓기, 저속 회전력, 반건조 방식 등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기형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소성과정에서는 가마구조에 있어 높은 천장, 넓게 개방된 아궁이, 완만한 경사도를 갖춰 가마 내에 안정적으로 옹관을 놓고 균일한 온도를 유지하여 소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옹관의 형태와 크기가 정형화되고 상징적인 문양을 의도적으로 시문하였다는 점이다. 옹관 외면에는 기본적으로 격자문과 거치문이 타날되어 있고 바닥면중앙에 음각원문이 시문되어 있다. 이러한 문양의 기본구성은 영산강유역에서 대형옹관이 유행한 300여 년간 지속된 전통으로 지역적 특성으로 해석된다. 대형옹관의 생산은 대형기물 제작의 고도화된 기술력을 갖춘 전문 생산집단에 의해이루어졌다. 따라서 이를 운영한 지역 정치체의 존재를 상정할 수 있으며 동일한 제작기술적 특징을 갖춘 옹관의 매장풍습이 영산강 중·하류역을 중심으로 공유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 영산강유역 대형옹관의 태토 특성에 의한 분류

        이한형,홍종욱,황진주,박지희,문은정,김수경,정용삼,문종화,Lee, Han-Hyoung,Hong, Jong-Ouk,Hwang, Jin-Ju,Park, Ji-Hee,Moon, Eun-Jung,Kim, Soo-Kyung,Chung, Yong-Sam,Moon, Jong-Hwa 국립문화재연구소 2009 保存科學硏究 Vol.30 No.-

        Major and trace elements and cross section textures of the large-sized jar-coffins excavated in the Young San river area have been analyzed for categorization according to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raw materials. As results, we have found out that the jar-coffins of the Oryang-dong and Ungok-dong have very similar characteristics, and those of Songwol-dong and Jangdeung show distinguishable characteristics from the others. In addition, similar characteristics have been detected in some U-shape jar-coffins from several sites such as Oryang-dong, Ungok-dong, Sinchon-ri, Mansu-ri and Yeon-ri posess on trace elements and cross section textu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as active physical migration although the detail route of the physical migration is unclear at current stag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