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 현상에 관한 국어 의식 교육의 가능성 - 비판적 언어인식의 관점을 바탕으로 -

        김규훈 대구대학교 다문화사회정책연구소 2020 현대사회와 다문화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a possibility of Korean language awareness education for the multi-cultural phenomenon on a basis of critical language awareness.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finds out a relationship between Korean language awareness education and the multicultural phenomenon. Korean language awareness educational contents could be arranged by the studies of critical language awareness. And then, this study grasps the text types representing the multi-cultural phenomenon as an object of the critical language awareness. These text types could be systematized not by traditional text categorization but by the tendency of the awareness of language user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an example of Korean language awareness for the multi-cultural phenomenon as the educational contents by the critical analyzing the newspaper texts. Especially, this study shows a way of the awareness by analyzing texts which has the related vocabulary, “mutli-culture”.

      • KCI등재

        문법교육에서 ‘국어 의식’의 교육 내용 체계화 방안 -‘언어인식(language awareness)’의 전이를 중심으로-

        김규훈 우리말글학회 2019 우리말 글 Vol.8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 way to systematize the educational contents for “Korean language awareness” as an attitudinal educational contents in the grammar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is study considers discourses of the Korean subject curriculum and the studies about Korean language awareness and apprehends problems of them. It finds out the conceptualization of Korean language awareness is incompleteness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are lack of practicality even though those are related to the “language awareness”. To get over these problems, this study confirms the educational contents in all domains of Korean subject about Korean language awareness and apprehends the language awareness needs to be spread. This study spreads the concept of functional, critical dimensions in the language awareness and the educational designing methods of the language awareness into an area of Korean language awareness. Especially it also checks a possibility to construct the contents of awareness about the power relations by spreading the “critical language awareness”. On a basis of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suggests categories of Korean language awareness educational contents, “the social dimension: Interest in Korean language phenomena, the personal dimension: Reflex and improve Korean language life”, and makes educational contents elements in each category. Furthermore, this study exemplifies an educational content and a practice for Korean language awareness, that is a task about the political power and ideology, which are not deal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until now. 이 연구는 문법교육의 태도 교육 내용에 해당하는 ‘국어 의식’의 교육 내용을 체계화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국어 의식에 관한 문법교육의 교육과정과 연구 담론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국어 의식에 대한 개념화가 미흡하고 언어인식과 관련을 이루되 실천성이 결여된 교육 내용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극복하고자 이 연구는 국어 의식과 관련된 국어과 범영역적 교육 내용을 확인하여 언어인식의 실천적 논의를 전이할 수 있음을 주목하였다. 이 연구는 언어인식에 대한 기능적, 비판적 차원의 개념과 교육적 설계 방안을 살펴보았다. 특히 비판적 언어인식을 통해 국어 의식의 교육에서 힘의 관계에 대한 인식의 내용을 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언어인식 기반의 국어 의식 교육 내용에 대한 범주를 ‘사회적 차원: 국어에 대한 관심’과 ‘개인적 차원: 국어생활의 성찰과 개선’으로 설정하고 각각의 내용 요소를 제안하였다. 더 나아가 그간 국어교육에서 다루지 못했던 권력과 이념의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다룰 수 있는 국어 의식의 교육 내용과 실제를 예시해 보았다.

      • KCI등재

        생태학 관점의 비판적 언어인식을 위한 매체 수용의 학습 활동 설계 -영화 <옥자>의 생태언어학적 비평을 바탕으로-

        김규훈 ( Kim Kyoo-hoon ),이원영 ( Lee Won-young ),김효연 ( Kim Hyo-yeon ) 한국어교육학회(구 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2018 국어교육 Vol.0 No.16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media acceptance learning activity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to foster their critical language awareness. In particular, we sought to compose a learning activity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that focuses on ecological topics that are suitable for the application of critical language awareness. To this end, it conceptualizes critical language awareness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in order to understand the aimed-at competencies through ecological learning activities aimed to cultivate critical language awareness. More concretely, it confirms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language awareness and ecological topics and looks carefully at sustainability literacy in ecolinguistics to specify the nature of critical language awareness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After this, students make ecolinguistic critiques of the movie Okja. Through this process of critique, the elements of the content of the learning activity involving Okja could be set. On a basis of these content elements, this study designed a learning activity for Okja for critical language awareness. The chain of argumentation in this study serves to suggest an authentic educational method for critical language awareness, whose meaning lies in inducing Korean language learners to be come aware of the world through language.

      • 외국의 국어지식 교육 쇄신 동향 : 언어 인식'을 중심으로 focusting on Language Awareness in U.K

        김은성 서울大學校 師範大學 國語敎育科 2005 先淸語文 Vol.3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renovation movement of Grammar teaching in foreign country. Especially, I pay attention to 'Language Awareness' which is developed in the United Kingdom. This is not introduc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This has broad of support in the West. Besides, This accord with the orientation of 'Knowledge about Language' Teaching in Korea. I examine th meaning, background, contents and issues of 'Language Awareness'. this means "Explicit knowledge about language, and conscious perception and sensitivity in language learning, language teaching and language use(ALA, 1996)". 'Language Awareness' is a paradigm, approach, movement and the behavior attribute of language learner. The background of 'Language Awareness' is Three. First, educational background : the reinforcement of 'knowledge about language' in English teaching in the U.K. Second, academic background : the reinforcement of 'knowledge about language' in English teaching in the U.K.. Second, academic background : the emergence of a new linguistics - social linguistics. Third, social-cultural background : the formation of multi-cultural language environment. The issues in 'Language Awareness' is 1) the relation of 'Language Awareness' and communicative competence, 2) the relation of 'Language Awareness' and traditional grammar teaching, 3) the unrealistic view about language and language teaching of 'Language Awareness'.

      • KCI등재

        유아의 상위언어능력과 모국어 및 외국어 어휘력간의 관계

        마송희 한국유아교육학회 2003 유아교육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5-6세 유아의 상위언어능력과 모국어와 외국어 어휘력간의 관계를 알아보았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6세 유아들도 상위언어능력을 갖고 있었으며, 통사자각능력은 6세 유아가 5세 유아보다 높았다. 둘째, 유아의 상위언어능력은 외국어 어휘력 뿐만 아니라 외국어 어휘력과도 의미있는 상관이 있었다. 셋째, 모국어 능력은 외국어 어휘력과 의미있는 상관이 있었으나, 상위언어능력을 통제한 후의 모국어 어휘력과 외국어 어휘력간의 편상관계수는 현저하게 낮아졌다. 이 결과를 EFL 상황에서 5-6세 유아들에게 외국어교육을 시키는 상황에서 유아의 모국어 및 외국어 어휘력과 상위언어능력의 관계와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metalinguistic awareness of 5 and 6 year old Korean preschoolers. It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among first language and foreign language vocabulary, and metalinguistic awareness. Receptive vocabulary was tested to measure first language vocabulary. Foreign language vocabulary was measured by a test of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and story recall following student participation in activities related to two storybooks. Metalinguistic awareness is here defined as phonological awareness, word awareness, and semantic and syntactic awarene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ive and six year old preschoolers demonstrated some metalinguistic awareness. They also had phonemic awareness of English. Six year olds were more aware of syntax and English phonemes than five year old children. Second,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metalinguistic awareness and Korean receptive vocabulary. This finding supports the hypothesis of an interaction between metalinguistic awareness and language develop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linguistic awareness and foreign language abilities also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ird, Korean receptive vocabular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nglish vocabulary. Partial correlations between Korean and English vocabulary as control factors for metalinguistic awareness were found to be insignificant. This latter finding is discussed in terms of the effect of metalinguistic awareness acting on the vocabulary of both languages.

      • KCI등재

        국어 의식과 "국어 인식"의 교육적 개념화를 위한 방향 탐색

        정지현 ( Ji Hyeon Jeong ) 한국문법교육학회 2013 문법 교육 Vol.19 No.-

        The study aims to explore a direction for the educational conceptualization for the ``consciousness of Korean language`` and the ``awareness of Korean language.`` In summarizing the contents of the paper, regarding the issue of the ``consciousness or awareness of Korean language`` and the ``awareness or cognition of Korean language``, the direction of its conceptualization may be established largely as answers to two questions. Is the ``consciousness or awareness of Korean language`` consciousness or awareness? Is the ``awareness or cognition of Korean language`` awareness or cognition? This paper determines that the answer is consciousness to the former question and awareness to the latter question. In order to concretize the concept of consciousness, the paper proposed the establishment of a development stage by classifying the patterns of consciousness; and with a view to concretizing the concept of awareness, the paper set up the ``awareness of Korean language`` to be the awareness activity of Korean language and proposed the composition of that activity.

      • KCI등재

        다문화 배경 국어 교육 공동체 구성원들의 언어 의식

        원진숙 ( Jin Sook Won ) 국어교육학회 2013 國語敎育學硏究 Vol.46 No.-

        본고에서는 우리 사회가 급속하게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게 되면서 우리 국어교육의 이념이 기존의 ‘민족 의식을 함양하는 것’으로부터 ‘미래 지향적인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것’으로 변화된 것에 주목하여 새롭게 형성되기 시작한 ‘다문화 배경 국어 교육 공동체’구성원들의 언어 의식을 다수자의 시선과 소수자의 시선에서 살펴보고 이에 기반하여 국어교육의 지향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우선 ‘언어 의식’개념을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여 새롭게 변화된 다문화 배경의 국어 교육 환경에 대해서 사람들이 국어에 대해 가지고 있는 다양한 심리적 태도나 가치관의 의미로 정의하였다. 연구 결과, 다수자 그룹의 언어 의식은 종래 민족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국어교육 이념을 지양하고 다문화를 배경으로 하는 소수자 학생들을 적극 지원할 수 있는 국어교육으로 그 외연을 확장하고, 일반 학생들의 이해와 관용을 기반으로 하는 다문화적 인식 태도와 다문화적 문식력을 함께 함양할 수 있는 국어교육을 지향하는 것으로 요약될 수 있다. 소수자 그룹의 언어 의식은 한국어는 꼭 배워야 할 말이지만 서로 다른 언어적, 문화적 차이로 인해 어렵게 느껴지는 언어라는 것으로 귀결된다. 이들 언어 소수자들은 주류 사회 구성원들과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인해 소통의 부재와 단절은 물론 사회적 거리감과 위축감, 소외 의식과 낮은자존감 등으로 어려움을 겪게 된다. 언어는 자신이 누구인가 하는 자아 정체성의 문제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다문화 배경 국어 공동체’구성원들의 언어 의식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국어교육의 지향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국어교육은 사회적극 반영해야 한다. 셋째, 다문화를 배경으로 하는 언어적 소수자를 위한 국어교육의 외연을 적극적으로 확장하고, 보다 적극적인 학문적 연구와 실행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The number of culturally, linguistically diverse students has rapidly increased as Korea shifts towards a multicultural society. It is necessary that we will investigate the Korean language eduction`s future directions for strengthening Multicultrual background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ty Awareness. So,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language awareness from the perspectives of language majorities and minorities group members within newly emerging multicultural background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ty through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analyzing literacy activity data.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language awareness`` was defined as a meaning of the various psychological attitude or values of people feel about the language. Based on the analyzing literacy activity data, the language awareness of the majority group member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Korean language education must be expanded its extension to include the culturally, linguistically diverse students and cultivate the language majorities students`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literacy. On the other hand, the minority group members recognize that they have to learn Korean language for survival, but the mainstream language is hard to learn due to the linguistic and cultural differences. So they suffer dif- ficulties such as miscommunication, social distance, alienation and low self-esteem because they use different language with the majority group members. This is why the language is directly connected with the issue of identity. In short, we suggest the desirable direction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the basis of the above discussion as follows: First, We should strengthen the potential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tool for the social integration of the majorities and the minorities group members in this multicultural society. Second, we should include multicultural awareness and attitudes at the level of ideology and goal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inally, we should seek to expand the extens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he minority students with the multicultural background.

      • The Role of Morphological Awareness in Hanja as a Part of Korean Language Acquisition in India

        Do-young Kim 국제한국어교육문화재단 2017 국제한국어교육 Vol.3 No.2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3(2), 61-80. Of late, morphological awareness has become increasingly recognized as an important factor that influences new word acquisition as well as enhancing a learner’s word read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Studies on morphological awareness have suggested that morphological awareness in one language helped predict a noteworthy variance in reading words in another language. This implies that morphological awareness enables word reading across different orthographies. However, most of these studies have only focused on morphological awareness when it comes to English language acquisition. Therefore, this paper seeks to look into the role that morphological awareness has to play in cross language transfer focusing primarily on English and Korean language. Furthermore, it looks into the application of this role that morphological awareness has to play in the context of India. 최근에 들어서서 외국어 교육에서 새로운 단어를 익히거나 읽기와 독해에 있어서 형태소 인식이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형태소 인식에 대한 연구에서 학습자 언어의 형태소 인식은 목표 언어의 실제적인 읽기와 독해의 다양한 내용을 유일하게 예상하게 해준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형태소 인식은 영어를 배울 때 중요성을 두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영어 교육에 있어서 중점을 두는 형태소 인식이 영어 교육에 이어 한국어 교육에서는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인도내 한국어 교육에서 형태소 인식의 역할을 통한 한자어 한국어 어휘 학습효과를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の役割語に対する認識と使用に関する調査 -男性語と女性語を中心に-

        郭銀心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16 일본언어문화 Vol.34 No.-

        The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the Korean Japanese-language learners about the role language associated with the women’s and men’s languages,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wareness and the use of the role language by figuring out the reality of using such men’s and women’s languages through the translation examples of the learners. First of all, from the result of examining the learners’ knowledge on the role language, about a half of the learners (46.9%) turned out to have the correct knowledge. Besides, the image of person they associated with the presented utterance containing role languages was resulted as similar as what the native Japanese speakers did. Secondly, from the result of examining the awareness of the men’s and women’s languages, the learners with higher awareness about the role language have higher awareness about the men’s and women’s languages, and the awareness of the men’s language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women’s. Lastly, from the analysis of the ratio of using men’s and women’s languages, when translating the presented Korean-language conversation into Japanese, the learners with higher awareness about the role language turned out to use more men’s or women’s expressions. From the analysis of the entire learners’ tendency of using men’s and women’s languages, the female speakers tend to use more neutral expressions rather than the women’s whereas the male speakers tend to use men’s and neutral expressions almost equally, a tendency corresponding with the self- awareness of using men’s and women’s languages.

      • KCI등재

        중세 문헌에 드러난 언어인식과 국어교육의 전사(前史)

        조희정 ( Hee Jung Cho ) 국어교육학회 2013 國語敎育學硏究 Vol.46 No.-

        본 논문은 중세의 문헌을 분석함으로써 우리의 중세 사회 속 ``언어인식``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조선왕조실록 중영조 실록과 정조 실록을 자료로 삼아 ``언어``라는 표지가 드러나는 텍스트의 전후 맥락을 검토하여 중세 문헌 속에서 단어 ``언어``가 지시했던 의미망을 재구함으로써 조선 사회의 ``언어 사용에 대한 의식적인 지각 및 감수성``을 확인하였다. 이어 조선 후기 규범서인 ?사소절? 속 ``언어`` 교육의 내용을 검토하였다. 조선왕조실록에서 ``언어``로 지시된 대상은 1차적으로 ``말``, 즉 구어(口語)를 가리킨다. 실록 내에서는 ``언어``와 자주 결합되는 단어들이 있어 일정한 의미 계열체를 만들어내고 있다. ``언어-문자-행동-법적 실행-임금의 시범``으로 확장되는 계열체의 구도를 갖춤으로써 ``언어``는 사람의 행동, 정책의 시행, 윤리적 시범 등과 대비되고 있다. 이는 ``말``이 지닌 내부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라기보다는 ``말``이 운용되는 외부 시스템에 대한 관심에 해당한다. 이를 통해 중세에는 "``언어``, 즉 ``말``이 무엇인가?"라는 ``언어``의 정체가 아니라 "``언어``는 무엇을 하는가?"와 같은 ``언어``의 역할에 보다 주목하였던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영·정조 실록 속 ``언어``에 대한 인식이 ``언어``의 역할에 대한 관심과 생활 속 언어 규범에 대한 관심 등으로 드러날 때, 이러한 언어인식은 자연스럽게 규범서와 연결될 가능성을 안고 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이덕무(1741~1793)의 ?사소절(士小節)? 속 <언어> 편을 검토하였다. ?사소절?<언어> 편에서는 다음의 특징들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말하고 듣기에 대한 원론적 입장을 찾아볼 수 있다. 원론적 입장을 담은 제언은 그리 많지 않다. 둘째, 구체적 상황을 제시하고, 그 상황에서 구체적으로 ``무엇을, ``어떻게`` 말하고 들어야 하는지 그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구체적 상황 속 말하기와 듣기는, 의심할 여지없이 말을 하고 들어야 하는 언어 상황으로 전제되어 있다. 말하고 듣는 목적은 생략된 채 말하고 듣는 방법이 구체적 지침으로 제시되었다. 셋째, 말을 하고 듣는 긍정적 방법을 제시하기보다는 대체로 금지의 내용이 많다. 흥미로운 점은 두 번째, 세 번째 특징이 혼합된 항목이 많다는 점이다. 구체적 의사소통 상황 속에서 말을 하거나 들을 때 금지 사항은 상대방 청자 혹은 다른 화자를 배려하는 말하기와 듣기로 구체화되고 있다. ?사소절? <언어> 편의 내용은 말을 통한 의사소통 상황에서 상대방을 배려하는 ``언어`` 예절로 집약되는데, 이는 중세 사회의 사대부 계급이 인간과 인간 사이의 관계에서 문제가 되는 요소로 ``말``에 주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중세 사대부의 ``언어``에 대한 관심은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얼마나 정확하게 담아내느냐와 같은 표현론적 문제가 아니었다. 이보다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의 언어``에 대한 관심이야말로 중세 사대부가 ``언어``에 대해 가졌던 언어인식의 핵심적 측면이며, 이로 인해 중세의 ``언어`` 교육은 관계를 맺고 유지할 때 소용되는 ``말``에 대한 교육에 집중하였던 것이다. 중세의 ``언어``에 대한 감수성은 ``언어 체계``가 아니라 ``상황을 고려한 언어의 사용``, ``생활 속에서 요구되는 언어 규범``으로 향하고 있었음을 보여 준다. This thesis aimed to research ``Language Awareness`` in Korean documents of the middle ages. For this purpose, the thesis found texts including the word ``言語`` in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nvestigated the meaning of the word ``言語`` and contexts used the word. The word indicated the spoken language. The word that was united new words, for example the written language, behavior, practice and so on, expanded limits of its meaning. This shows that the interest in the middle ages would be not ``what the language is`` but ``what the language do``. This language awareness was connected with language norms and language manners. So this thesis analyzed a party of <言語>?사소절(士 小節)?, which was a book about language norms and language manners in the later eighteenth century. The contents of a party of <言語>?사소절 (士小節)?was language manners in the situation of communication by a spoken language, especially how to be considerate of others.. The result shows that a high official class in the middle ages thought that words was very important for the good relations with others. So language awareness in the middle ages was how to use words properly in the context of communication and to keep language norms and language man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