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오현미(Hyunmi Oh),이유미(Youme Lee) 인지발달중재학회 2020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1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사회적 기술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유아의 사회적 기술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육아정책연구소(KICCE)의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2014년)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7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유아 1,203명과 그들의 담임교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AMOS 22.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모형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사회적 기술 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이를 토대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을 제안한다.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 of children’s peer play,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children’s social skill and aimed to learn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child interaction in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 of children’s peer play and their social skill. Methods: Materials of the 7th year Korean Children’s Panel (2014) of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were used in the study. The subjects included 1,203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7th year survey and their homeroom teachers. Collected data underwent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alysis of structural model,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23.0 and AMOS 22.0. Results: The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1) interaction of children’s peer pla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social skill; (2) interaction of children’s peer play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3) teacher-child inter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social skill; and (4) teacher-child interaction partly mediated in the effect of interaction of children’s peer play on their social skill. Conclusions: The study suggested the importance of teacher-child inter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 of children’s peer play and their social skills. Therefore, the authors proposed teacher educ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

      • KCI등재

        가족 상호작용과 아동의 또래상호작용 및 사회적 힘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병재 ( Byeong Jae Kang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0 아동교육 Vol.19 No.4

        본 연구는 가족 상호작용과 아동의 또래상호작용 및 아동의 사회적 힘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보기 위하여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371명의 아동과 어머니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아동의 문제행동과 가족 상호작용, 또래상호작용 및 사회적 힘 간의 상관을 산출하였으며,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가족 상호작용과 또래상호작용 그리고 사회적 힘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첫째, 아동의 문제행동은 가족 상호작용, 또래상호작용 및 사회적 힘과는 상관이 있었다. 둘째, 가족 상호작용과 긍정적 또래상호작용 그리고 친사회적 리더십이 높은 경우 아동의 문제행동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정적 또래상호작용과 사회적 지배가 높을수록 아동의 문제행동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 of family interaction, children`s peer interaction, and children`s social force on the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aimed at 371 children and their mothers. The study calculated a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and family interaction, peer interaction, and social force. Then,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family interaction, children`s peer interaction, and social force on the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the study carried out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included the following. Firs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and family interaction, peer interaction, and social force. Second, when family interaction, positive peer interaction, and pro-social leadership were high,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appeared to be low. Third, the higher the negative peer interaction and the social dominance were, the higher was the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 KCI등재

        교사의 행복감, 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 특성의 구조적 관계

        김은향(Kim, Eunhyang),최은정(Choi, Eun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행복감과 교수효능감, 유아와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또래놀이 장면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상호작용 특성(상호적 또래놀이, 놀이방해, 놀이 단절)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으로 탐색해 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2014년) 조사에 응한 1,203명의 유아와 담임교사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의 행복감은 교수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나타냈다. 둘째, 교사의 행복감은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특성에 직접적인 영향력은 없었으나, 교수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매개로하여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사의 교수효능감 역시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 특성에 직접적 영향력을 보이지 않았으나, 교사-유아 상호작 용을 매개로하여 간접적 영향력을 나타냈다. 넷째,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아의 상호적 또래놀이 수준을 높이고, 놀이방해 및 놀이단절 수준을 낮추는 데에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eacher’s happiness,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children interaction on three interaction characteristics(play interaction, play disruption, play disconnection) shown on the peer-play scene of children and to investigate a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children interaction. For th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arried out by using the data of 1,203 infants and their homeroom teacher who participated in the 7 th year(2014) survey of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happiness showed a positive influence on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children interaction. Second, While teacher’s happiness showed no direct influence on children’s peer-play interaction characteristics, it showed indirect influences through mediating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children interaction. Third, While teacher’s teaching efficacy showed no direct effect on children’s peer-play interaction characteristics, it showed indirect influences through mediating teacher-children interaction. Fourth, teach-children interaction showed a positive effect on play interaction among peer-play interaction characteristics and showed negative effect on play disruption and play disconnection.

      • KCI등재후보

        유아 부모의 상호작용 교육을 위한 자기 이해 도구개발 및 활용방안

        김혜원,박현정,김일부 한국부모교육학회 2022 부모교육연구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utilize self-understanding tools for parental interaction education of young children so that the parents of young children, who have a profound influence on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can play a role as parents and form positive parent-child relationship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followed these processes to develop a self-understanding tool for parent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interactions themselves based on the Johari window a self-awareness tool. In the first development process, after reviewing the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parental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at home and abroad, the category of interaction type of the parents of young children was derived through expert advice, review, and consultation. Based on this, adjectives for parental interaction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were selected. In the second development process,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parents of young children to examine the appropriateness of the selected adjectives, and the adjectives extracted through this were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preliminarily select adjectives for parental interaction characteristics. In the third development process, the appropriateness of adjectives for pre-selected parental interaction characteristics was reviewed three times for nine doctoral students majoring in child welfare and parental interaction experts of young children. Fifty-eight adjectives were finally selected. The self-understanding tool for parental interaction education of young children is meaningful in that the parents of young children can understand their interactions in depth and promote sustainable growth by actively exploring their own characteristics through self-exposure and feedback from others.

      • KCI등재

        유아기의 또래상호작용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및 예측요인: 동시지연효과

        박은주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3 한국영유아보육학 Vol.- No.138

        In order to identify the change patterns and predictive factors of peer interaction in children’s early childhood, this study used the 5th (5 years old), 6th (6 years old), 7th (7 years old) and 8th (1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data of the 'Korea Institute of Childcare and Education'. For analysis, this study obtained data from 2,150 children aged 5 to the first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through missing data processing using FIML (Full Information Maximum Likelihoo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ldren’s peer interaction in early childhood decreased when they were 5 to 6 years old but it was maintained when they were 7 years old. Second, the longitudinal peer interaction in children’s early childhood did not show any differences according to their gender. In addition, the children’s peer interaction in early childhood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school adaptation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other words, this indicates that children with high peer interaction are more likely to adapt to their schools well than other childre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hange pattern of children’s peer interaction in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was found to have a simultaneous effect on children’s peer interaction when they were 3, 4, and 5 years old. Furthermore, it was also found that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and fathers when their children were 4 years old and five years old, respectively, had a negative effect on their children’s peer interaction, showing simultaneous effects. This indicates that when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and fathers is high when their children are 4 years and 5 years old, respectively, the peer interaction of their children is lower than that of other children. However, the delay effect was not found in this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the peer interaction ability of children in their early childhood for positive school adaptation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addition, effective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improve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alleviat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and fathers is also considered necessary to promote positive peer interactions of children in their early childhood. 본 연구는 유아기의 또래상호작용의 변화양상과 예측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아동 패널’ 5차(5세), 6차(6세), 7차(7세) 및 8차(초등학교 1학년)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대상은 5세(만3세)에서 초등학교 1학년까지 2,150명을 FIML의 결측처리한 자료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기 또래 상호작용은 5차에서 6차까지 감소, 7차는 유지하는 형태를 보였다. 둘째, 유아기의 종단적 또래상호작용은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유아기 또래상호작용은 초등학교 1학년 시기의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또래상호작용이 높은 유아는 그렇지 않은 유아에 비해 학교적응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셋째, 유아기 또래상호작용의 변화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동시효과를 살펴본 결과, 5세(만3세), 6세(만4세), 7세(만5세) 시기 교사의 교수효능감은 같은 시기의 유아기 또래상호작용에 동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세(만4세) 시기 모의 양육스트레스와 7세(만5세) 시기 부의 양육스트레스는 같은 시기 유아의 또래상호작용에 부적영향을 미치며 동시효과를 나타내 보였다. 즉, 6세(만4세) 시기 모의 양육스트레스가 높고 7세(만5세) 시기 부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으면 그 시기의 유아 또래상호작용은 그렇지 않은 유아에 비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연구에서 지연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 초등학교 1학년 시기 긍정적인 학교적응을 위한 유아기 또래상호작용능력을 함양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아기 긍정적인 또래상호작용 함양을 위한 교사의 교수효능감 향상과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완화하기 위한 효과적인 교육적 개입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부모-유아 상호작용, 또래-유아 상호작용 및유아 어휘력이 지능에 미치는 영향

        서수민,박혜원 인지발달중재학회 2018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9 No.3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arent–children interaction, peer-to-children nteraction, and children’s vocabulary on their intelligence. Participants included 313 children aged 60 to 67 months. Data were extracted from the 6th year (2013 : 2nd year in-depth survey) of the K-WPPSI and the 6thyear (2013) of the KIC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PSS program was used to perform all analyses. Findings revealed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between parent–children interaction, peer–children interaction, and children’s vocabulary. The regression analysis on the overall intelligence of children showed that their vocabulary, surprise interactions, parent–children interaction, and vocabulary, which are sub-factors of peer–children interaction, had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The present results are meaningful as basic data on early childhood intelligence, derived from Korean panel data on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지능에 대한 부모-유아 상호작용, 또래-유아 상호작용 및 유아 어휘력의 관계를 알아보고, 각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육아정책연구소(KICCE)의 한국아동패널 6차년도(2013; 2차 심층조사)K-WPPSI 자료와 6차년도(2013년) 조사에 참여한 아동 60개월에서 67개월의 313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 상관계수와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등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 지능은 부모-유아 상호작용, 또래-유아 상호작용, 유아 어휘력과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 지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표현 어휘력, 또래-유아 상호작용의 하위요인인 놀이상호작용, 부모-유아 상호작용, 수용 어휘력 순으로 유의한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대규모의 자료를 통해 유아의 지능에 부모와의 상호작용 뿐 아니라 또래와의 놀이상호작용 및 유아 어휘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힌 점에서 의의가 있다. 추후 이러한 변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경로와 구조에 대한 분석이 필요함을 제기한다.

      • KCI등재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가 모-자녀 간 상호작용 및 모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 모자공동생활가정을 중심으로 -

        김명애 ( Kim Myung-ae ),선우현 ( Sunwoo Hyun ) 한국놀이치료학회 2016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가 모-자녀 간 상호작용 및 모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수도권 소재 모자공동생활시설에 거주하는 모자가족으로 프로그램 전, 사정평가로 실시한 부모-자녀 상호작용 평가(MIM)에서 상호작용의 어려움을 보인 5가족으로 구성되었다. Sunwoo(2013)에 의해 개발된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총 8회기의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변화 과정을 질적분석하였다. 또한 사전 및 사후에 상호작용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부모양육태도검사(PAT)와 가족놀이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적 상호작용, 부모 주도 상호작용, 아동주도 상호작용의 변화가 나타났다. 부모 주도 놀이와 아동 주도 놀이에서 즐거운 놀이경험은 모와 자녀의 주도성을 높이고 긍정적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을 촉진하였다. 둘째, 모의 양육태도에 변화가 나타났다. 모의 양육태도에서 지지표현과 합리적 설명은 향상되고, 간섭과 비일관성은 감소되는 변화를 가져왔다. 또한 가족놀이평가에서 긍정적인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상호작용 가족놀이치료가 모-자녀 간 정서적 친밀감을 높이고 긍정적인 상호작용은 모의 양육태도를 변화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tested the effects that family play therapy for parent-children interaction exerts on changes in the mother-child interaction and parenting attitud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ive families with a mother and children who live in mother-child group home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and who had difficulty in using interacting using the Marschak Interaction Method (MIM), which was used as a pre-program assessment. Based on the family play therapy for parent-children interaction program, as developed by Hyun Sunwoo (2013), the program was organized into total of 8 sessions. To verify the effect, the examiner performed a qualitative analysis on the change process. Additionally, to evaluate the difference between pre and post interaction, this examiner conducted an evaluation using the Parenting Attitude Test (PAT) and family pla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it drove the changes in emotional interaction, parent-directed interaction and child-directed interaction. Secondly, There were changes in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It improved supportive expression and rational expression in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while diminishing high involvement and inconsequence by ther child. This shows that family play therapy for parent-children interaction is effective in promoting mother-child bonding and positive interaction is effective in changing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 KCI등재후보

        부모 아동 상호작용 프로그램 참여가 아동의 문제행동과 부모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박차숙(Park Cha Sook)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20 청소년상담학회지 Vol.1 No.2

        본 연구에서는 문제행동 아동을 대상으로 부모-아동 상호작용 프로그램이 아동의 문제행동과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프로그램 참여 효과를 살펴보았다. 부산지역사회서비스에서 심리치유 서비스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아동 중 문제행동을 보이는 아동 6명과 그들 부모 6명을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고, 사전-사후 검사를 통하여 아동의 문제행동 총점과 부모의 총 양육 스트레스 변화를 아동‧청소년문제행동척도검사(K-CBCL)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아동의 문제행동 척도가 낮게 나타나며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도 감소하였다. 즉 부모-아동 상호작용 프로그램은 부모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아동의 문제행동 변화에 영향을 미쳤고,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부모-아동 상호작용 프로그램이 보다 많은 아동과 부모가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영역에서 운영이 활성화 될 필요가 있으며, 흥미롭고 다양한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아동의 수정 행동에 대한 지속적인 유지 확인을 위한 장기적인 관찰까지 포함되는 연계프로그램의 운영대책 등이 필요하다. Childhood is a time to of phys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so parents have a very significant impact on their children because they provide a nurture and environment to promote their child’s growth. The Parent-Child Interaction Program aims at reducing the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through child-led interaction, parent-led interaction, and a parent-child interaction program by setting goals suitable to the individual child based on problems complained about in the initial interview, and thereby aims at reducing parenting stressing.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the stress of parents, which comes from child rearing and problem behaviors by conducting a parent-child interaction program that target problem behavior children. The study targeted a total of 12 subjects including 6 parents and their 6 children who displayed problem behavior and were participating in a psychotherapy service program at Busan Area Social Services. Pre and post tests compared and analyzed the total score of child problem behavior and total parenting stress changes through an objectification test, and behavior changes were recorded through indirect observation with compliment coding assignments.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the child problem behavior scale scored low, parenting stress decreased, revealing a significant change. In other words, the parent-child interaction program shows that positive parental interaction effects changes in child problem behavior, and is effective in reducing parenting stress.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irst, parent-child interaction programs must be vitalized in terms of their operation in various areas so that more children and parents are able to participate. A plan must be established so that community welfare centers, community children’s centers, elementary schools as well as private counseling centers are able to operate the program. Second, Parent Child Interaction program is a plan for dissemination by developing a variety of programs to Rob parents and children need a little more interesting. It referred to the program involved with the children s parents and the children and parents are interested in the program can participate in fun activities to terminate sessions are needed research program. Third, it is necessary to operate connected programs that include long-term observation aimed at checking the lasting maintenance of the modified behavior of the children.

      • KCI등재

        그림책 중심 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놀이성, 또래 상호작용과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제지원,정수진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The Effects of Picture Book-based Play Programon the Young Children’s Playfulness,Peer Inter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Jiwon Jae & Sujin Jeong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icture book-based play program on the young children playfulness, peer inter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in the mixed-age class. The subjects were 14 young children in the mixed- age class in S kindergarten located in N city. The experiments was done 17 week period using picture book-based play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paired sample t-test for the pre-and post using the SPSS 25.0 program. The picture book-based play program showed positive effects on the young children playfulness, peer inter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erefore, it suggests that the picture book-based play program is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for developing young children playfulness, peer interaction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Key Words: Picture Book-based Play Program, Young Children, Playfulness, Peer Interaction, Teacher-Child Interaction 그림책 중심 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놀이성, 또래 상호작용과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제 지 원*ㆍ정 수 진**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그림책 중심 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놀이성, 또래 상호작용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연구대상은 N시에 소재한 S병설유치원 재원중인 혼합연령반 유아 14명이며, 실험처치는 그림책 중심 놀이 프로그램을 17주 동안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사전 및 사후 차이에 대한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그림책 중심 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놀이성, 또래 상호작용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및 제언: 그림책 중심 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놀이성, 또래 상호작용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임을 시사한다. 핵심어: 그림책 중심 놀이 프로그램, 유아, 놀이성, 또래 상호작용, 교사-유아 상호작용 □ 접수일: 2022년 9월 27일, 수정일: 2022년 10월 16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주저자, 상주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교사(First Author, Teacher, Sangju Elementary School, Email: jiwon.93@hanmail.net)** 교신저자, 경상국립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Gyeongsang National Univ., Email: sjinjeong@gnu.ac.kr)

      • KCI등재

        유아의 까다로운 기질과 또래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어머니 훈육방식의 조절효과

        전서빈(Jeon Seo-Been),최은실(Choi, Eun-Sil)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 2021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mother’s discipline sty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difficult temperament and young children’s peer interaction. To verify this, 307 mothers with 36-72 months of young children were asked to measure their difficult temperament, peer interaction, and mother’s disciplin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s difficult temperament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young children’s peer interaction, the mother’s positive disciplin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young children’s peer interaction, and the mother’s negative discipline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young children’s peer interaction. Second, young children’s difficult temperament was found to affect young children’s peer interaction. Third, mother’s positive and negative discipline had an effect on young children’s peer interaction. Fourth, the moderating effect of mother’s positive discipline style was pro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difficult temperament and young children’s peer interaction. Fifth, the moderating effect of mother’s negative discipline style was pro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difficult temperament and young children’s peer interaction. Based on these,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