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체화를 중심에 둔 교사의 최적화 행동 연구: 국어 수업에서 ‘구성적 불일치’ 사례를 바탕으로

        유상희 ( Sanghee Ryu ),정혜승 ( Hyeseung Chung ),민병곤 ( Byeonggon Mi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1 교육과정연구 Vol.39 No.4

        최근 우리나라 교육 정책은 학생의 성취기준 도달과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관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국어과 수업 사례를 교사의 최적화 행동 개념을 사용하여 미시문화기술지적 담화분석 방법으로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정책이 실제 수업에서 어떻게 실행되고 그러한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 수업에서 교사는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체화를 지향하면서 활동 중심 수업의 구성, 학습 과정에서 수행평가 실시 및 피드백 제공 등 학생 중심의 수업을 실행하였다. 그러나 학습 목표 달성 의미의 제한적 설정, 지식의 단순화, 목표와 직접 관련되지 않은 담화의 배제, 정답이 있는 수행평가 실행 등의 최적화 행동도 나타나 교육 정책과 ‘구성적 불일치’를 보였다. 교육 정책에서 지향한 긍정적 요소들이 실제 수업에서 다양한 맥락의 영향을 받으며 문제적 양상으로 나타난 것이다. 이에 이 연구는 구체적 방향이나 실질적 지원이 없는 상태에서의 교육 정책의 선언적 강조에 대한 재고, 성취기준과 교육 목표의 유기적 연계 강화, 국어 교육에서 인식론적 지식에 대한 접근, 교사의 교육과정 문해력 계발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Our education policy has emphasized the consistency of curriculum-instruction-evaluation and students’ achievement of standa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the policy is implemented in a Korean language class and the elements affecting the policy in order to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by applying micro-ethnographic discourse analysis with the concept of teachers’ optimization behaviors. In this class, the teacher aiming to integrate the curriculuminstruction- evaluation conducted student-centered instructions consisting of an activity-oriented class and process-oriented assessment with feedback. However, a constructive inconsistency has been found in the teacher’s optimization behaviors in limited settings of the meaning of achieving learning goals, simplification of knowledge, exclusion of discours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goal, and execution of a performance evaluation with correct answers. The positive elements within our education policy actually appeared in problematic patterns under the influence of the teacher’s optimization behaviors and various contexts in the class. Based on the in-depth analysis of the actual interactions between the teacher and her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reconsideration of declarative emphasis on educational policy in the absence of specific direction or practical support, strengthening organic linkage between standards and educational goals, and developing teacher curriculum literacy.

      • KCI등재

        가상현실-트레드밀 보행에서 시각적 속도감과 보행 속도감의 불일치가 가상현실 멀미에 미치는 영향

        최인범,박종진,김신우,이형철 한국감성과학회 2020 감성과학 Vol.23 No.3

        The inconsistency in different sensory information causes virtual reality (VR) sickness. This research verifies whether the consistent sensory information reduces VR sickness within treadmill-based virtual reality. Furthermore, we examined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visually perceived walking speed by optical flow in VR and the physically perceived walking speed in treadmill walking on VR sickness. In Experiment 1, participants reported VR sickness levels while experiencing an increase in the virtual reality. We compared the VR sickness level reported on the standing still condition with that on the treadmill-walking condition. Based on our results, less VR sickness and more sense of presence and immersion were reported on the treadmill-walking condition than on the standing still condition. In Experiment 2 and Experiment 3, the effect of inconsistency between perceived visual speed and perceived walking speed on VR sickness was examined. Interestingly, participants reported less sickness when the perceived visual speed was faster than the perceived walking speed, compared to when the sense of speed was consistent. These results imply that allowing participants to walk on a treadmill while experiencing virtual reality reduces VR sickness. Hence, the perceived visual-walking speed consistency is not necessarily required to reduce VR sickness. 서로 다른 감각 정보의 불일치가 가상현실 멀미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트레드밀 기반의 가상현실 보행을 통해 감각 정보 일치의 멀미 완화 효과를 검증하고 나아가서 가상현실에서의 광학 흐름(optic flow) 단서에 의한 시각적 속도감과 트레드밀 보행을 통한 보행 속도감의 불일치가 멀미 완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 하였다. 실험1에서는 트레드밀 보행의 멀미 완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HMD를 통해 앞으로 이동하는 가상현실 체 험을 하면서 가만히 서 있을 때와 트레드밀 보행을 할 때의 멀미 수준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가상현실 속에서 이동을 하며 트레드밀 보행을 할 때 더 적은 멀미를 느끼고 실재감과 몰입감은 증가하였다. 실험2와 실험3에서는 가상현실 속에서 이동하는 속도에 대한 시각적 속도감과 트레드밀 보행의 속도감을 조작해 두 속도감이 일치할 때와 불일치할 때의 멀미 수준을 비교하였다. 흥미롭게도 참가자들은 시각적 속도감이 보행속도감보다 빠르게 느껴지는 불일치 조건에서 일치조건보다 더 낮은 멀미를 경험하였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는 가상현실 속에서 이동할 때 시각 적 정보와 일관되게 트레드밀 보행을 하게 하는 것이 가상현실 멀미를 완화시키지만 속도감의 일치가 필수적인 것이 아님을 시사한다.

      • KCI등재

        통합적 영성에 대한 목회신학적 연구: 체계적 접근을 중심으로

        김미영,권수영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연합신학대학원 2023 신학논단 Vol.113 No.-

        본 연구는 기독교인 내담자들의 정신적 문제와 영성의 불일치에 대해통합적 영성의 목회 돌봄을 제안하는 연구이다. 산드라 슈나이더스(S. Schneiders)의 현대적 영성의 정의를 수용하고 권수영의 영성의 내용과기능을 통합하는 목회신학 방법론을 결합하여 통합적 영성의 개념적 정의를 내렸다. 엘리자베스 리버트(E. Liebert)의 영성 경험원형도 이론을근거하여 임상 현장에서 연구참여자들의 내적, 관계적, 사회적, 문화적그리고 종교적 차원에서의 영성 경험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참여자들의 주관적 경험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사용하여 이야기를 분석의 틀에 맞게 재구성하고 심리학과 신학 양축적인 접근을 통해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영성 경험은 내담자의 심리 내적, 관계적, 사회·문화적, 자연 및 종교적 차원에서 상호영향을 주고받으며 형성되는 것이므로 기독(목회)상담자는 내담자의 영성 경험을 심리학과 신학의 양축적 접근을 통해 분석하고 불균형과 단절의 지점을 파악하여 심리- 사회적인 개입을 해야 한다. 심리 상담 기법을 활용하여 심리 내적인 균형을, 영성지도와 미시적 영성 경험을 통한 영성의 균형을, 그리고 이들을둘러싼 사회구조적인 체계에서의 균형을 위해 공감적 지지자, 예언자적선포자, 그리고 종말론적 모험가로서 실천적인 돌봄을 제공할 수 있다. This thesis proposes an integrative pastoral care approach to address the emotional and spiritual difficulties and incongruence of spirituality among Christian clients. Drawing on Schneiders’ definition of contemporary spirituality and integrating Kwon’s pastoral theological methodology of spirituality, a conceptual definition of integrative spirituality was developed. Building on Liebert’s theory of the ‘experience circle’, the study explored participants’ spiritual experiences in the internal, relational, social, cultural, and religious dimensions within the clinical context. To understand participants’ subjective experiential world, a narrative inquiry method was employed to analyze and reconstruct their stories within the framework of psychological and theological analysis. As spiritual experiences are shaped by and influence the psychological, relational, social-cultural, natural, and religious dimensions of clients, Christian (pastoral) counselors should analyze clients’ spiritual experiences through an integrated approach of psychology and theology, identifying points of imbalance and disconnection, and providing psycho-social interventions. By utilizing psychological counseling techniques, counselors can promote psychological balance, guide clients towards spiritual equilibrium through spiritual direction and micro-experiences of spirituality, and offer practical care as empathetic supporters, prophetic proclaimers, and eschatological adventurers within the surrounding socio-structural system.

      • KCI등재

        『노동의 새벽』에 내재화된 노동의 기호론적 의미

        정유화(Jeong, Yu-Hwa) 우리문학회 2014 우리文學硏究 Vol.0 No.44

        본고에서는 기호론적 방법론을 적용하여 『노동의 새벽』을 중심으로 그 시적 코드와 의미작용을 분석했다. 예의 박노해는 삶과 죽음의 대립적 코드로써 노동의 의미를 산출해내고 있다. 그 대립적 코드는 노동자의 몸을 물질화하기도 하고, 노동자를 삶과 죽음 사이에 감금하기도 한다. 이러한 모순의 코드를 깨뜨릴 수 있는 것은 개별자인 ‘나’가 아니라 공동체적인 ‘우리’이다. 그래서 박노해는 ‘우리’로의 전환을 위해 감정적 기표인 ‘소주(술)’를 그 매개체로 사용한다. 그 결과, 우리는 ‘죽음에서 삶’으로, ‘물질에서 생명’으로 나갈 수 있는 노동의 햇새벽을 맞는다. 하지만 그 노동의 햇새벽은 오래가지 못하고 만다. 감정적 기표인 소주의 기운이 소진되면 다시 ‘우리’에서 ‘나’로 환원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박노해는 〈노동의 새벽〉과 상호텍스트성의 관계에 있는 작품을 통하여 비로소 이성적 차원의 견고한 ‘우리’를 창조해내게 된다. 그러한 ‘우리’ 코드는 ‘삶과 죽음의 모순된 결합구조’를 깨뜨릴 뿐만 아니라 ‘노동자’와 ‘사용자’의 대립적 모순을 상생의 관계로 통합하기에 이른다. 이것이 바로 박노해 시인이 창조한 노동의 기호론적인 새로운 의미이다. The present study analyzesDawn of Labor in terms of its poetic code and signification by using the semioticmethodology. As usual, No-hae Park produces themeaning of labor as a conflict between life and death. The conflict sometimes materializes the body of the laborer but at other times it locks up the laborer between life and death. This inconsistency is fixed by collective “we” not by individual “I” in the poem. In this vein, No-hae Park uses liquor as amediumof turning the individual “I” into the collective “we”. As a result, we come to greet the fresh dawn of labor that transforms death into life and material into life. However, the fresh dawn of labor does not last long.When the emotion signifier, “Soju (liquor)”, runs out, the collective “we” returns to the individual “I”. Thus, No-hae Park creates the solid “we” at a reasonable level by using literary works that are intertextually related toDawn of Labor. That “we” loosens the bonding structure of life and death and goes as far as to integrate the inconsistency between “laborer” and “employer”, which is mutually beneficial in the end. That is the new semiotic meaning of labor that No-hae Park creates in his poem.

      • KCI등재

        A Temporal Path Planner for Solving Information Inconsistency in an Integrated Path Planner

        석준홍,이준우,왕정현,이주장,이호주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3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rol, Automation, and Vol.11 No.6

        This paper proposes a temporal path planner (TPP) in an integrated path planner (IPP), which is composed of a global path planner (GPP) and a local path planner (LPP). The LPPs are able to avoid obstacles within the range of built-in sensors, but it is difficult to generate an efficient path outside of the sensor range and to avoid getting stuck in cul-de-sacs. The GPPs can generate efficient global paths in a target region using a built-in global map, but the accuracy is not always sufficient to avoid collision, and the performance is highly dependent upon the accuracy of the global map. A simple combination of a GPP and an LPP causes path mismatch problems due to inconsistencies between the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local sensors and the information from the preliminary global map. When erroneous global waypoints caused by low-accuracy information or a change of terrain are given to the unmanned ground vehicle (UGV), the proposed method attempts to find a detour via the original global waypoints located nearby to accomplish successful navigation using only sensory information and the global waypoint sequence from the GPP result provided initially. The TPP includes three sub-algorithms: the Temporal Waypoint Reviser (TWR), the Temporal Map Reviser (TMR) and the Temporal Distance-Heuristic-based Decision (TDHD). The simulation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erformance of the TPP outperforms other planners.

      • KCI등재

        정신건강복지 관련 법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성중탁(Sung, Joong-Tak) 미국헌법학회 2018 美國憲法硏究 Vol.29 No.2

        최근 ‘정신보건법’이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정신건강복지법’이라 한다.)로 전면개정 되었다. 헌법재판소는 위 전면개정 후 개정 법률 시행 전인 2016. 9. 29. ‘정신보건법 제24조 제1항 및 제2항’의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이하 보호입원이라고 한다) 조항’에 대하여 헌법불합치 결정을 내렸다. 대상 결정은 기존의 부당한 보호입원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보호입원제도의 개선방향을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다만 위 결정 이전에 개정된 ‘정신건강복지법’의 내용에 대해 헌법적 판단을 하지 않은 것은 추상적 규범통제제도가 도입되지 않은 우리의 현실을 감안하더라도 아쉬움이 있다. 추상적 규범통제를 인정하는 입법을 하는 것이 근원적인 해결책이 될 것이나, 그 전이라도 위헌결정의 실효성을 담보하기 위해 헌재는 직권으로 심판대상을 적극적으로 확장하는 것도 고려하였어야 한다. 또한 입원여부의 결정권자로 규정되어 있는 ‘정신의료기관의 장’에 대해 지적하지 않은 점과, 정신질환자에 대해 우리나라의 복지체계가 가지고 있는 재정지원 구조 등의 근원적인 문제점을 결정이유에서 밝히지 않은 점도 아쉬움으로 남는다. 헌법불합치 결정의 내용을 반영한 입법 개선은 아니지만 전부개정법인 ‘정신건강복지법’이 2017. 5. 30.부터 시행되고 있다. 이 법에서는 정신질환자의 범위를 축소하고, 보호입원시 입원요건 및 절차를 강화하는 등 기존의 문제점을 일부 개선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으나 여전히 부족함이 있다. 생각건대 개정입법에 추가하여 위임입법 형식이 아닌 최대한 법률에서 보호입원제도를 상세히 규정하는 한편, 사전고지제도를 도입하는 등의 입법적 보완이 요구된다. 또한 새로 도입된 ‘입원적합성심사위원회’와 관련하여 의사뿐만 아니라 법률가 등 외부 전문가를 참여토록 하는 한편 미국과 독일의 예를 참고하여 궁극적으로는 법원이 입원심사 전반에 적극 참여하여 환자의 기본권을 보다 충실히 보호하는 방안을 마련함이 상당하다. Recently, ‘Mental Health Act’ has been completely revised as ‘Mental Health Promotion and Mental Health Welfare Services Support Act’ (hereinafter referred to as ‘Mental Health Welfare Act’). After the amendment,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ded before the enactment of amendment law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ded on a constitutional nonconformity with respect to the provision of “Article 19 (1) and (2) of the Mental Health Act”.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had a lot of implications and implications in the changing trends of mental illness, change of awareness, interest in human rights and welfare. It has already been introduced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prevent mental illness from being isolated from society by forcibly hospitalizing it in hospitals or facilities, but to be able to live through management and recovery in the local community. Forced hospitalization causes conflict between the individual`s right to freedom of the individual and the forcing of the state to protect the public interest due to the nature of the system. In the case of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which are regarded as advanced countries in terms of human rights protection, since the 1960s, the proportion of compulsory admission has been continuously reduced, because it gives more importance to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than to social safety. In general, compulsory admission procedures are likely to be infringed due to their inherent nonobviousness, which can be controlled through strengthening procedural legitimacy and strengthening pre- and post-hearing proced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