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주거불평등지표 개발을 위한 불평등지표 및 실태 비교연구

        이진경(Lee, Jin Kyung) 한국부동산학회 2013 不動産學報 Vol.52 No.-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ew system of housing inequality indexes through in vestigating weakens of income inequality indexes and housing inequality indexes. (2) RESEARCH METHOD This study use comparison analysis between key developed countries and Korea. Also, the study introduce the system of housing wealth inequality of department for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 of UK for finding a direction of monitor system of a new housing inequality indexes. (3) RESEARCH FINDINGS In the results of this paper,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two broad approaches to measuring inequality are considered below. First, non-spatial methods based on all house transactions in Korea.These indicators will tell us whether house prices overall have become more or less unequal, but will not the spatial patterns in the change in inequality. the other is spatial inequality growth measures. these indicators will tell us whether house prices each area have gap between high price area and low price area. 2. RESULTS This study propose four directions to develop a new housing inequality index system. 1) It is based on income and spatial showing affordable housing stocks using the slope coefficients obtained from a regression of average house price change such as IGM1 and IGM2. 2) It is based on inflation multiples, defined simply as the ratio of price growth between in high house price area such as IGM3 and IGM4. 3) It is included apolarization indicator come from Gini coefficient and Atkinson index. 4) It is based on capital gain each area such as IGM7 and IGM8.

      • KCI등재

        만성질환자의 의료이용과 의료비 지출의 형평성 분석

        사공진 ( Kong Jin Sa ),임현아 ( Hyun A Lim ),조명덕 ( Myung Duk Cho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구 한국보건경제학회) 2012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18 No.3

        우리나라는 건강보험의 보장성이 2010년의 경우 62.7%에 불과하여 의료이용 등에 있어서 소득수준에 따른 불평등이 존재할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기에 본 논문에서는 여러 접근방법을 사용하여 건강의 불평등, 즉 의료이용과 의료비 지출의 형평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으며 형평성 분석의 대상을 만성질환자로 한정하였다. 만성질환 중에서 유병률이 높으며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진다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큰 문제가 없는 고혈압과 당뇨병 그리고 관절염을 그 대상으로 선정하고 이들 상병의 만성질환 자들의 의료이용과 의료비 지출에 있어서의 형평성 정도를 측정하였고 이러한 불평등에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서 분석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집중지수와 HIwv 지수, 집중지수 분해 방법을 사용하였다. 의료이용의 불평등 정도에 대해 집중지수는 모든 표본에서 (-)로 나타나 저소득층에 치우친(pro-poor) 불평등을, 의료필요를 반영한 HIwv지수는 당뇨병을 제외하고 (+)로 나타나므로 고소득층에 치우친(pro-rich) 불평등 양상을 보였다. 또한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들은 월소득, 교육년수, 민간보험 가입 유무 연령 등으로 나타났다. 의료비 지출에서는 고혈압 또는 당뇨병, 고혈압과 당뇨병의 집중지수가 (-)로 나타났으며, 이를 제외하고 집중지수와 HIwv지수가 모든 표본에서 (+)로 나타남으로써 고소득층에 치우친(pro-rich) 불평등 양상을 보정하였으며, 의료필요가 반영되었을 때 불평등 정도가 더욱 심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실제 의료필요보다 고소득층이 상대적으로 의료이용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 저소득층이 의료필요가 큰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의료이용을 적게 한다고도 할 수 있다. 의료비 지출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는 연령, 월소득, 민간보험 가입 유무 등으로 나타났다. 이에 중증질환으로의 이환을 막기 위한 예방적 차원의 만성질환 관리와 아울러 이환이 되었을 경우 의료비 등의 본인부담을 줄일 수 있는 건강보험의 보장성 강화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We measured the degree of inequality of the medical care utilization and medical expenditure for the patients with chronical illness such as high blood pressure, diabetes and arthritis. We also analyzed the factors which determine the inequality. In measuring the degree of inequality, we use the concentration index, HIwv index and the concentration index decomposition. Regression analysis found that the concentration index for the inequality in the medical utilization showed negative sign, which implied pro-poor, meanwhile HIwv index which reflected medical needs was positive, which implied pro-rich. The factors which determined the medical utilization were income, economic activity, age, education and private health insurance, etc. Concentration index and HIwv index for the inequality in the medical expenditure showed positive sign which implied pro-rich. The determining factors which affected medical expenditure were health insurance system, age, economic activity and duration of illness, etc. To solve the inequality in the medical utilization and medical expenditure, the benefits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should be expanded(raised) to reduce the copayment of the patients.

      • KCI등재

        치과의료 이용의 수평적 형평성 분석

        안은숙 ( Eun Suk Ahn ),김민영 ( Min Young Kim ),신호성 ( Ho Sung Shin )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2015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39 No.1

        Objectives: Health inequity across social classes is closely associated with unequal healthcare utilization, and there have been sustained efforts to improve healthcare accessibility. Public healthcare insurance is one attempt to eliminate such health inequ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horizontal equity index for dental service utilization, which included diverse factors affecting health inequity, such as personal health and social context variables. Methods: The 2008 to 2011 outpatient datasets of the Korean Healthcare Panel were analyzed. 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ZINB) was conducted to estimate need-adjusted healthcare use with the following independent variables: health outcome (EQ-5D), chronic disease, and the Composite Deprivation Index. The concentration index and horizontal inequality index were calculated for the actual use of dental services and resource use-based dental visits. Results: The ZINB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ge and personal health level on the EQ-5D were significant predictors, and the Composite Deprivation Index was influential. The concentration index for dental service utilization indicated that there was inequity favoring high-income brackets, but there was inequity favoring low-income groups when health level was taken into account. Overall, the horizontal equity index for dental service utilization estimated based on the two values was positive, meaning that there was inequity favoring high-income groups. Conclusions: The use of dental services has been steadily on the rise, and dental service accessibility and public healthcare coverage seem to have expanded. However, when the horizontal equity index for dental service utilization was estimated based on health level, there was inequity, with high-income groups making more use of dental services. Thus, equal access to dental services is not guaranteed, despite the adjustment for need. Methods of increasing dental service use in different income brackets must be carefully considered to remove disparities in the use of dental services.

      • KCI등재

        불평등의 다차원적 접근 -정 및 활용-

        백승주 ( Seungju Baek ),금현섭 ( Hyunsub Kum ) 한국정책학회 2013 韓國政策學會報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에 존재하는 불평등을 다차원적 접근(Multidimensional approach)을 통해 실증적으로 측정해 보는데 있다. 지금까지 한 사회 내에 존재하는 불평등 정도를 측정하고 평가하는 방식은 주로 경제적 불평등(예를 들어 소득불평등)에 집중되어 왔다. 그러나 소득이외에도 교육, 건강, 돌봄, 주거 등과 같은 다양한 차원(dimensions)에서의 불평등이 발생하고 관찰되는 현실에서 소득불평등에 대한 측정과 평가만으로 한 사회 내에 존재하는 불평등 구조를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소득 이외의 다양한 차원별 불평등 정도를 개별적으로 측정함과 동시에 이를 통합적으로 파악하려는 노력이 그 동안 진행되어 왔다. 다차원 불평등 지수(Multidimensional inequality index)는 바로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최근 주목받고 있으며, 본 연구는 이를 소개하고 우리사회에 실증적으로 적용해 봄으로써 기존의 불평등 관련 논의의 외연을 넓히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실증자료의 한계로 인해 소득, 건강, 교육에 한정한 분석결과 2005년부터 2011년까지 각 차원의 불평등 정도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를 통합적으로 구성한 다차원 불평등 지수 역시 감소 추세를 나타내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추세에도 불구하고, 각 차원별 기여도에서는 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의 기여도는 감소한 반면, 건강수준의 기여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최근 우리 사회의 불평등구조에 대한 차원별 차별적 역할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도시지역에서는 건강수준의 기여도가, 농촌지역에서는 소득수준의 기여도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차원별 역할에 있어서 지역 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easure inequality that exists in Korean society empirically using multidimensional approach. Until now, a method for inequality measurement has been mainly focused on economic inequality, like income inequality. However, to measure or evaluate income inequality by itself has limitations on understanding structure of inequality within society, because, in reality, inequalities have been occurring in various dimensions like education, health, and housing in addition to income. Thus, the efforts to measure the degree of inequality by various dimensions including income have been made and multidimensional inequality index (MDI), as part of this effort, has received many attentions recently. This paper introduces MDI and attempts to apply to Korean society using KOWEPS(Korea Welfare Panel Study) data with three dimensions(income, education, and health) for 2005-2011. Analysis on each dimension shows a decreasing trend just like MDI showing the same. However, we found different behaviors among them; the contribution of income and education to MDI continued to decrease, whereas that of health appeared to be steadily growing. In addition, each dimension seems to have a different role to MDI depending on regional level; health played a main role in urban whereas income did in rural.

      • KCI등재

        주거소비 불평등도 측정에 관한 연구

        이여정(Lee, Yu Jung),정철모(Chung, Cheol Mo) 대한부동산학회 2016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4 No.1

        그 동안 대량 주택공급정책 결과 전반적인 주거수준은 향상되었으나, 주거수준 및 주거비 부담 측면에서 주거소비에 대한 불평등도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며, 주거를 둘러 싼 불평등이 완화되었다는 조짐을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최근 주거복지라는 측면에서 주거에 대한 불평등 완화를 위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주거불평등 양상이 어떻게 변하고 있는지, 이 불평등을 구성하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주거소비 불평등도를 완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주거소비 불평등을 다룬 연구에서 활발히 수행되지 않았던 지니계수와 타일지수 및 타일지수 분해 방법을 활용하여 여러 가지 가구 특성별로 상세하게 분석하고 그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는데 초점을 두고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점유형태, 소득계층, 지역, 가구주연령 별로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과 이후의 1인당 주거면적 불평등을 파악하고, 불평등 분해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거 소비 불평등을 분석한 결과,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에 비해 이후 주거소비 불평등도는 다소 완화 된 것으로 나타난다. 다음으로 점유형태, 소득계층, 지역, 가구주연령별로 타일지수로 측정된 주거소비 불평등 정도를 집단 간 및 집단 내 불평등으로 분해하였는데, 모든 집단구분에서 하위집단 간 불평등 보다는 집단 내 불평등의 비중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As a result of the policy for massive housing supply, the overall housing condition improved but in the aspect of housing condition and housing expenses, inequality of housing consumption is getting worse and it is hard to find any sign that the inequality concerning housing is easing off. Under the circumstances where there is increasing interest in easing the inequality of housing consumption,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the aspect of housing inequality is changing, what components compose this inequality, and how to resolve the inequality of housing consumption. To attain the study purpose, this researcher uses Gini s coefficient, Theil index, and Theil index resolution which have not been actively examined in research on inequality in residential spending and analyzes different types of households precisely and draws political implications from it. This study is mainly about figuring out inequality in living space per person before an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terms of the types of occupation, income brackets, regions, and householder age and conducting inequality resolution. The results are as written below: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inequality in residential spending,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equality in residential spending rather reduced. Next, in terms of the types of occupation, income brackets, regions, and householder age, the degree of inequality in residential spending measured by the Theil index is resolved into inter-group and intra-group inequality, and in both groups, intra-group inequality is greater than subgroup inequality.

      • KCI등재

        브라질 권력거리지수와 자발적 복종

        이승용 한국 포르투갈-브라질 학회 2015 포르투갈-브라질 연구 Vol.12 No.2

        Brazil is basically inequal society. Since its foundation, the polarization of wealth and power has become more serious. Despite of social and economic progress, Brazil is still suffering from high level income inequality. This disparity makes new classification of social stratum of the ruling and the ruled. According to sociologists, the extreme income inequality should be a potential source of social instability. Brazil, however, has never encountered serious social riots or conflicts originated from the inequality. For Brazilians, they have great tendency to accept the situation whatever it is. As Power Distance Index(PDI) says, Brazilians are rather obedient and willingly accept inequal power distribution. But this Index, though it shows Brazilians' national character, does not provide any explanation why they have it and what is the difference form other countries that show same or similar PDI. In this paper, I highlight there exists inequality premise in Brazilians' mind. This means that they face the outside on the premise of inequality. This differs Brazil from other countries where have the premise of equality or of liberty. The Brazilian view based on the premise of inequality had formed by "voluntary submission" in ther course of social evolution. New interpretation of Brazilian PDI with the premise of inequality provides correct insight to read high scored Uncertainty Avoid Index. Brazilians' peculiar shopping culture is also explainable as a compensation conduct of solving social inequality Segundo o famoso estudo de Hofstede, o Brasil é um dos países mais hierárquicos e toleram desigualdade de distribuição do poder mostrando alto nível de Power Distance Index(PDI). Entretanto, o estudo de Hofestede não explicou quais são razões ou quais serão implicações desse índice. Além disso, interpretações de Hofstede mostram erros de generalização. Segundo seu estudo, o mesmo índice deve ter a mesma interpretação independentemente de contextos particulares de cada país. A fim de interpretar os índices de dimensões culturais corretamente, é obrigatório examinar e seguir a pista da evolução da socieade em questão. Isso nos ajudará a compreender por que o Brasil e a Coreia são difrentes um dos outros embora tenham igualmente alto nível de PDI. De acordo com os sociólogos, o fosso entre ricos e pobres do Brasil pode ser um fator potencial que ameace a estabilidade social levando-o a um colapso total. Contudo, têm sido raramente observados distúrbios sociais provocados por esse motivo. Nossa pesquisa apresenta “aceitabilidade de desigulidade” dos brasileiros como uma das principais razões de que não tem tido tais distúrbios sociais. Ao longo da formação do país, os brasileiros vêm aceitando desigualdade e hierarquia, por causa das religiões e da estrutura colonial, como uma regra de natureza que não podem vencer. Essa atitude mental faz os brasileiros terem uma grande tendência de aceitar situações atuais mesmo que sejam desiguais.

      • KCI우수등재

        한국노동패널과 가계동향조사를 이용한 소득기회불평등의 장기추세에 대한 연구

        신지섭 ( Jisub Shin ),주병기 ( Biung-ghi Ju ) 한국경제학회 2021 經濟學硏究 Vol.69 No.1

        개인의 의지와 독립적으로 주어진 환경에 따라 성취 전망의 우열이 결정될 때 기회불평등이 존재한다.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부친의 학력)에 따라 (가구 처분가능) 소득이라는 성취변수의 기회불평등의 존재여부와 그 장기 추세를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우리가 고려하는 기회불평등은 부모의 교육 수준, 직업 등 사회경제적 지위 자료만을 필요로 하여 장기간의 기회불평등 추세를 확인하기에 용이하다. 한국노동패널과 가계동향조사를 활용하여 1990년에서 2016년에 이르는 (가구 처분가능) 항상소득기회불평등 추세를 분석한 결과, 기회불평등도가 1990년대 초중반까지 상대적으로 양호한 낮은 수준을 유지하다 외환위기를 거치며 최근까지 빠르게 상승하였고 이런 상승 추세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전문대졸 이상의 가구주를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기회불평등도가 전 기간에 걸쳐 큰 폭으로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이 소득기회불평등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과 부친 학력에 따른 자녀의 교육격차가 소득기회불평등이 발생하는 주요 경로라는 점을 말해준다. Inequality of opportunity for income acquisition exists when the prospect (probability distribution) of income acquisition with a higher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dominates the prospect with a lower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Our main objective is to analyze the existence and the long-term trend of this inequality of opportunity in Korea. Our concept of opportunity inequality relies only on simple information on parental socio-economic status such as education level, which facilitates our inquiry of the long-term trend. We use both the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HIES) and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KLIPS). We consider individual households in KLIPS and estimate their household permanent income using HIES. We show persistence of the inequality of opportunity over the period from 1990 to 2016. We analyze the degree of inequality of opportunity using Gini opportunity inequality index and the Rags-to-Riches opportunity inequality index. Both indices exhibit increasing long-term trends, which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e also find that the opportunity inequality indices decline more than 50% when they are measured among individuals with college education. This shows that edu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overcoming opportunity inequality due to ones’ parental or family background.

      • KCI등재

        불평등과 사회적 위험: 건강·사회문제지수를 중심으로

        황선재 ( Hwang Sun-jae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保健社會硏究 Vol.35 No.1

        본 연구는 소득불평등과 각종 사회문제 혹은 사회적 위험을 나타내는 지표들과의 관계를 이론적, 경험적, 그리고 비교사회적인 관점에서 분석한다. 소득불평등의 증가는 사회적 통합과 응집성을 낮추고 개인 간의 지속적인 지위경쟁을 유발하여 각종 병리 및 사회해체적 현상을 낳는다는 이론적 논의에 근거하여, 오늘날 한국사회, 나아가 국제 사회에서 발견되고 있는 사회위험 요소들의 증가를 소득불평등의 증가와 연결 지어 설명한다. 이를 경험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Wilkinson과 Pickett이 고안한 건강·사회문제지수를 활용하였으며, 분석결과에 따르면 소득불평등도가 높을수록 건강·사회문제지수로 측정된 사회문제와 사회적 위험의 수준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한국을 포함한 주요 22개국을 대상으로 한 횡단자료 분석에서 특히 강하게 나타났으며, 한국만을 대상으로 한 시계열분석에서도 소득불평등도와 사회적 위험 수준은 전반적으로 그 궤적을 같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부각되고 있는 많은 사회문제와 위험현상의 본질에 보다 효과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불평등과 양극화 문제에 대한 진지한 관심과 해결에의 노력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come inequality and various social problems or social risks from a theoretical, empirical, and comparative perspective.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that rising income inequality not only lowers the level of social integration and cohesion but also increases status competition among individuals, leading into various pathological and disintegrative social phenomena, I explain the increasing social risks in Korea and across the globe in relation to rising income inequality. In order to empirically test this hypothesis, I used the Index of Health and Social Problems developed by Wilkinson and Pickett, and according to the results, as the level of income inequality is higher, so is the level of social risks measured by the Index. This result was particularly supported by a strong association found in a cross-sectional analysis of twenty-two countries, including Korea, but a similar pattern was also observed in a 20-year time-series analysis of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s that what is required to effectively approach to various social problems and risks recently found in Korean society is to make an earnest effort to tackle the problem of rising inequality and polarizat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 KCI등재

        소득 불공평성, 조세 누진성 및 소득 재분배

        박한순 한국회계정책학회 2010 회계와 정책연구 Vol.15 No.1

        This paper analyzes two issues of corporate income tax data of listed firms in Korea published since 1990s. The first one is about the intersections of the Lorenz or tax curves. Sykes et al.(1987) demonstrate that intersections of Suits-related tax curves are implicated by intersections of Kakwani-related Lorenz curves. The second one is ab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income inequality, tax system, tax progressivity, and redistributive effect of taxation using their summary measures, i.e., the Gini coefficient, the total tax rate, the Suits index, and the Reynolds-Smolensky index,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 about the first issue, the tax curve crosses the proportionality line and the Lorenz curve for taxes crosses the Lorenz curve for income in 1993. Because of these intersections of curves, the Suits and Kakwani indices show the opposite signs. This implies the importance of checking whether the Lorenz or tax curves are intersecting. The empirical results about the second issue based on regression and path analyses are as follows. The Suits index is affected significantly by the total tax rate and affects significantly the Reynolds-Smolensky index. The signs of their coefficients are both positive. This means that tax progressivit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total tax rate and the redistributive effects of taxation are also positively associated with tax progressivity. According to path analysis, the Gini index indirectly affects the Reynolds-Smolensky index via the total tax rate and the Suits index though there were no direct effects on the Suits or Reynolds-Smolensky indices. 본 연구에서는 1990년대 이후 약 15년 동안 우리나라 상장기업의 법인세 자료를 이용하여, 조세 누진성과 관련된 두 가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Suits지수와 Kakwani지수의 상반된 부호와 관련된 곡선 교차 문제를 다루었다. 둘째, 조세 누진성과 소득 불공평성, 조세체계 및 소득 재분배와의 관계를 요약 지표인 Suits지수, Gini계수, 총평균세율, 그리고 Reynolds-Smolensky지수를 변수로 이용한 회귀모형과 경로모형으로 실증분석하였다. 첫째 주제의 결과에 의하면, 곡선 교차로 인하여 1993년에 Suits지수는 양이나 Kakwani지수는 음의 값을 보이고 있는 바, 누진성지수를 이용한 누진성 평가 연구에서는 곡선 교차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둘째 주제의 회귀분석 결과에 의하면 Suits지수는 총평균세율 및 Reynolds-Smolensky지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계를 갖는 반면 Gini계수와는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는다. 그리고 경로분석 결과에 의하면, Gini계수는 총평균세율 및 Suits지수를 매개변수로 하여 Reynolds-Smolensky지수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 KCI등재

        2009-2015년 의료이용 불평등 변화 추이와 영향요인

        김진구 ( Kim Jingu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9 사회보장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형평성지수 HI를 이용하여 2009-2015년 기간 동안의 의료이용 불평등도의 변화를 관찰하고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한국의료패널 데이터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는데, 본 연구의 주요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중지수, C로 측정된 우리나라 의료이용 불평등은 지속적으로 개선되어, 2009년 -.1785에서 2015년 -.2083으로 하락하였다. 즉 분석기간 동안 저소득층에 유리한 불평등이 존재하였으며, 계속 강화되었음이 나타났다. 둘째, 그러나 분석기간 동안 HI지수는 -.005~-.003 정도를 기록하여 집중지수보다 크게 높았다. 특히 2013-2015년 기간의 경우 집중지수의 지속적인 하락에도 불구하고 HI지수는 거의 변화가 없다. 그 결과 분석기간 동안 나타난 불평등도 개선의 대부분은 저소득층의 의료수요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파악된다. 셋째, 2010년과 2015년의 집중지수를 변량 분해하여 비교한 결과 의료 필요요인 중 형평성 변화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특히 ‘70대 이상’이었다. 즉 70대 이상 연령층의 절대 비중, 개인당 의료이용량, 저소득층 집중도가 모두 증가하여 저소득층에 유리한 불평등을 강화하였다. 최근 급속하게 진행된 인구 고령화에 우리나라 의료보장체계는 비교적 성공적으로 대응한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2010년과 2015년 기간 동안 ‘공적 의료비 지원’과 ‘민간의료보험’은 고소득층에 유리한 방향으로 영향을 주었다. 이는 현재 우리나라 의료보장체계의 보장률이 낮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의료비를 여전히 부담스러워 하며, 그 결과 외부지원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형평성에 대한 ‘공적 의료비 지원’의 긍정적 효과가 감소한 이유는 전적으로 공적 의료비 지원대상자의 숫자가 줄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의료급여 선정기준의 상향조정을 비롯한 저소득층에 대한 의료비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ing trends of the income-related inequality in health cate utilization in Korea from 2009 to 2015, using Korea Health Panel Data. The Concentration Index(C) and HI index were used for measuring the equity and decomposed into their major influence factor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First, Concentration Index of health care utilization in 2009 was -.1785. but it has been gradually declined and indicated -.2083 in 2015. It means there was pro-poor inequity within given periods, and it has grown more slowly. But this trend has resulted from high demand for health care services by low-income group and this make HI Index much higher than Concentration Index. The former ranged -.005 to -.003 in that period. Second,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Concentration Index decomposition of 2010 and that of 2015, the aging of population in Korea, especially the growth of people aged 70 or more was a major factor in the changing trend of inequality in health care utilization. Finally, the continued reduction in the number of Medical Aid Program recipients and the rapid expansion of private health insurance had a decisive effect on making pro-rich inequity increase.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governments to expand the medical assistance programs for low income households including the extension of population coverage by Medical Aid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