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헝가리 계몽주의-개혁시대의 문학

        한경민(Han,Kyung-min)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2 동유럽발칸학 Vol.4 No.2

        헝가리 계몽주의-개혁시대의 문학은 전 국민을 결집시키는 거대한 목표를 가지고 있었다. 조국의 독립과 발전이라는 목적을 이루어 내기 위해, 이 시기 문학가들은 문학이 어떠한 방법과 방향을 지녀야 할지를 고민하였다 일차적으로 계몽주의 문학은 민중의 계몽을 위해 교육적 기능을 담당하였다. 더 나아가 개혁시대의 문학은 현실 사회의 개혁에 이바지하는 모델 제시를 주안점으로 하였다. 계몽주의 시대부터 문학을 비롯한 다른 문화 영역에서도 민중을 계몽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노력이 선보인다. 이 시기 가장 중요한 문화운동은 언어개혁 운동이었으며, 카진치 페렌츠를 중심으로 하여 10년 간의 논쟁이 이어진다. 이 과정에서 모국어와 조국에 대한 사랑과 관심이 확대된 것은 자명한 일이다. 마침내 신어 운동가가 승리하면서, 헝가리 어는 광범위한 어휘확대와 언어 규칙의 정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개혁 시대는 정치 변화를 통해 직접적으로 현실을 개혁하려는 의지가 발원된 시기이다. 이 시기 문학은 과거의 사건을 소재로 하여, 외세를 몰아내고 독립을 쟁취하려는 의지를 보여준다. 헝가리 민족극으로 인정받는 반크장군 을 쓴 커토너 요젭이나 현재 애국가로 불리는 가 이 시대에 태어났다. 이 작품들은 모두 독립을 간절히 염원하고, 헝가리의 새로운 미래가 다가오기를 간구하는 내용을 지닌다.헝가리 계몽주의-개혁시대의 문학은 전 민중의 의지를 결집하여 조국의 독립과 발전을 이루려고 투쟁한 시기이다. 이 시대의 문학은 이후 1867년 헝가리가 부분적인 주권을 갖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이중제국이 성립되도록 초석을 놓았다. 또 헝가리가 근대로 진입하여 봉건사회에서 탈피하여 시민국가로 이행하도록 교량이 되었다. The Hungarian literature of enlightenment-Reform age had a goal of Hungarian People to join the independence of their mother country and development. The literary men in this period were in agony with the way of methods and the directions of the literature. Primarily, the literature had a role to enlighten the ignorant people in the street. And the very important role of the literature in the age of enlightenment was to reform the realities of life and society. The reform movement of the Hungarian language as the most important cultural one in the period. Kazinczy Ferenc kept standing in the movement. It was really natural that Hungarian people became proud of their language and their mother country. Finally, new reformists took this advantage to arrange and reform the rule of the language and to enrich the vocabularies. The reform period is the beginning of literature, taking its rise from reforming and innovating the society and real life through the change of the politics. So the themes of the literature were centered on the historical event to show the fellow Hungarians to drive out the foreign powers and finally to get the independence. The masterpieces of the period was Bank capital , which were distinguished Hungarian national drama and the , now the Hungarian national anthem. These have contents to desire and wish the independence of their mother country and the new future. The literature of this period was a foundation stone to dual monarchy of Austria and Hungary, and had contributed that Hungary became a modern country, breaking from the old feudal society.

      • KCI등재

        Self-Portraits and Portraits of Hungarians in Hungarian Oral Literature

        Jinil Yoo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15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32

        This study attempted to look into the identity of the Hungarian people using Hungarian oral literature. Unlike documentary literature, oral literature was created not by a single individual, but collectively by many Hungarians throughout a long period of time. So, it contains the spirits, thoughts and self-portraits of a nation. Many Hungarian oral tales from Asia continued to be passed down without great change for a time in Europe as well. According to the oral tales, the Hungarians introduced Christianity after settlement in Europe, but maintained their own faith from Asia and sought their identity in Asia. Accordingly, they also depict themselves as Asians. However, they wanted to be described as European Christians by others, since they accepted Christianity with a view to their survival rather than voluntarily. In particular, myths and legends reveal such great change between self-portrait and portrait. However, it is not easy to grasp the self-portrait and portrait of the Hungarian people in the folktales led by trifling fun. On the contrary, oral poetry demonstrates many Christian factors, as the Hungarians were influenced by Christian culture after their settlement in Europe. However, there are few indigenous folklore elements that originate in Asia. This indicates the possibility that the Hungarians regarded themselves Christian Europeans Therefore, the self-portraits and portraits of the Hungarian people are similar to each other in oral poetry, unlike oral tales.

      • KCI등재

        Self-Portraits and Portraits of Hungarians in Hungarian Oral Literature

        유진일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15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32

        This study attempted to look into the identity of the Hungarian people using Hungarian oral literature. Unlike documentary literature, oral literature was created not by a single individual, but collectively by many Hungarians throughout a long period of time. So, it contains the spirits, thoughts and self-portraits of a nation. Many Hungarian oral tales from Asia continued to be passed down without great change for a time in Europe as well. According to the oral tales, the Hungarians introduced Christianity after settlement in Europe, but maintained their own faith from Asia and sought their identity in Asia. Accordingly, they also depict themselves as Asians. However, they wanted to be described as European Christians by others, since they accepted Christianity with a view to their survival rather than voluntarily. In particular, myths and legends reveal such great change between self-portrait and portrait. However, it is not easy to grasp the self-portrait and portrait of the Hungarian people in the folktales led by trifling fun. On the contrary, oral poetry demonstrates many Christian factors, as the Hungarians were influenced by Christian culture after their settlement in Europe. However, there are few indigenous folklore elements that originate in Asia. This indicates the possibility that the Hungarians regarded themselves Christian Europeans Therefore, the self-portraits and portraits of the Hungarian people are similar to each other in oral poetry, unlike oral tales.

      • KCI등재

        헝가리 민담의 서사 구조적 원형에 대한 연구

        이상동(Sang-Dong Lee)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9 동유럽발칸연구 Vol.43 No.2

        18세기 후반 서유럽 국가들에서 낭만주의 운동과 함께 민중문화가 사랑을 받은 덕택에 구비문학에 대한 조사와 연구가 처음으로 본격화 되었다. 그 결과 그림(Grimm) 형제의 민담 모음집이 생겨났으며, 이 민담집이 출판된 뒤로 수집 활동이 계속되어 유럽 및 세계의 민담들이 수없이 발굴되어 왔다. 헝가리에서도 그림 형제의 영향으로 헝가리 민담에 대한 수집 활동이 1782년에 시작되었다. 1822년에는 첫 번째 헝가리 민담모음집 󰡔헝가리 동화 (Märchen der Magyaren)󰡕가 갈 죄르지(Gaál György)에 의해서 독일에서 독일 어로 출간되었다. 이후 1850년대부터 헝가리 민담 수집에 대한 본격적인 움직임이 지속되었다. 헝가리어로 된 최초의 민담 모음집은 전체 3권으로 구성된 에르데이 야노시(Erdélyi János)의 󰡔민요와 전설(Népdalok és mondák)󰡕 이다. 신화나 전설에 비해 민담은 역사성이나 지역성이 적고, 오락성이 강하기 때문에 더 쉽게 전승되고 전파될 수 있었다. 통시성과 공시성을 가지고 있는 민담은 서로 다른 나라나 민족에게서 줄거리가 유사한 것은 물론이고, 공통된 모티프나 삽화를 갖고 있는 이야기들이 많이 존재한다. 때문에 이세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민담들 속에는 보편성이 있는 한편 강한 지역성과 민족성이 반영되어 있다. 헝가리 민담은 세계적인 보편성이 있는 구비문학 갈래이면서 헝가리 인 나름의 사상과 정서를 용해하여 재편된 것이다. 이런 점에서 헝가리 민담 속에는 특정인이 기록한 역사적 사건보다도 헝가리 인의 가치관과 세계관이 잘 담겨있다고 본다. 오랜 기간 수많은 헝가리 인들에 의해서 전승된 언어구조물로서 헝가리 민담 역시 헝가리 민중의 삶을 입체적으로 기술하고 있다. 헝가리 민담은 완벽한 인간 삶의 모습과 철학을 담고 있으며 헝가리 인들에게 진솔한 감동과 교훈을 주고 있는 것이다. 본고는 서사학적 관점에서 헝가리 민담의 대표적인 유형을 중심으로 그 이야기의 서사구조를 분석하고, 이야기에 담긴 의미를 분석하여 문화적 의미와 교훈적 의미를 추출하고자 한다. 서사는 수사학의 용어로서 진술된 언어를 말하기 양식을 기준으로 분류하는 하위 단위인데 진술대상이 동적이고 말하기 방식이 표현과 설명을 혼합한 양식 이다. 설화, 서사시, 소설 등이 이러한 양식에 속하는데 모두 주체의 움직임을 통하여 의미를 구현하는 언어구조물이다. 이러한 서사물 중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양식은 민담이다. 본 글을 통해 분석된 헝가리 민담의 서사 구조적 원형의 의미가 새로운 지평을 여는데 밑거름으로 작용하기를 기대한다. It was in advanced Western European countries that research and study on the oral literature was first. Because of the Romantic Movement in the late 18th century and the interest of folktales, a collection of folktales by Grimm brothers was created. Since the publication of this collection of folktales, collecting activities have continued in numerous European countries, and international folktales have been unearthed. In Hungary, with the influence of the Grimm Brothers, the collection of Hungarian folktales began in 1782. In 1822, it was published in German by Gaál György, the first collection of hungarian folktales. Since the 1850s, full-scale movements in Hungarian folktales have continued. The first collection of folktales in Hungarian is “Népdalok és mondák” by Erdélyi János, which consists of three volumes in total. Compared to myths and legends, folktales were less historical and local, and were more easily passed on and disseminated because of their strong entertainment. There are many stories of common sense and public disclosure that share common motifs and illustrations, as well as similar plots in different countries and peoples. That is why there are so many folktales in the world that are universal, while reflecting strong locality and ethnicity. Hungarian folktales have been reorganized by dissolving Hungarian ideas and sentiments in a world-class oral literature. In this regard, I think Hungarian folktales have a better sense of value and worldview than historical events recorded by certain people. As a language structure that has been handed down by countless Hungarians for a long time, Hungarian folktales also describe the lives of the Hungarian people in three dimensions. Hungarian folktales contain a perfect human life and philosophy and are giving the Hungarians a genuine touch and lesson. From an epic perspective, the main paper tries to analyze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story surrounding the representative type of Hungarian folktales, and analyze the meaning contained in the story to extract the cultural and instructive meaning. An epic is a sub-unit that classifies a stated language based on a spoken form as a term of rhetoric, with dynamic subject of statement and a mixture of expression and explanation. The tale, epic, and novel belong to these forms and are all linguistic structures that embody meaning through the movement of the subject. The most basic form of these epics is folkta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s of archetypes found in the Hungarian folktales, focusing on narrative structural original form. The archetype characteristic of the narrative structure. I hope that the meaning of the structural prototype of the Hungarian folktales analyzed through this article will serve as the basis for opening new horizons.

      • KCI등재

        헝가리 구비문학의 산문 장르 연구

        이상협(Lee, Sang-Hyup)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03 동유럽발칸연구 Vol.11 No.2

        헝가리 구비문학의 산문 장르 분류에서 대두되는 용어 및 분류 기준 그리고 민담 장르의 하위 분류에 대한 조사가 먼저 행해졌으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헝가리의 구비 산문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민담”과 “전설”의 차이점과 각각의 특징을 기술하였다. 헝가 리 민담의 민족적 고유 특징이나 성격에 관한 조사도 행해졌으며, 민담의 모티브에 나타나 고 있는 비유럽적 -아시아적- 모티브는 물론 여러 유럽의 제민족들의 민담에도 나타나는 모티브 역시 고려하였으며, 민담 내의 하위 장르들이 차지하고 있는 분포 비율도 밝혀 종합 적인 측면에서의 헝가리 민담의 특징과 성격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모티브와 분포 또 기원 역사를 포괄하여 행한 조사 방식은 헝가리 구전 전설에도 동일하게 적용하여 연구되었다. 이 결과 민담과 전설로 크게 대변되는 헝가리 구전 산문 장르의 특징으로 무엇보다도 민 족의 오랜 역사와 문화 발전 과정에서 다양한 문화권, 여러 상이한 종족들로부터 흡수하여 축적 반영한 결과인 다양성과 풍요로움을 들 수 있다. 헝가리 민담과 전설 속에 나타나고 있는 샤마니즘 요소와 모티브도 이 문화적 종족적 접촉과 영향의 결과를 분명하게 증명해주 는 것이며, 또 다른 특징으로는 서유럽의 민담들이 경직되어 고착된 구성을 가지고 있는 것 과는 달리 특히 헝가리의 민담에는 여러 모티브들이 계속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혼합되어 수 많은 변형을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헝가리 민담에 있어 많은 중간적 유형 및 장르가 존재 하고, 여러 다양한 모티브들이 혼합되어 나타나는 구전 문학 자료들이 많이 있다는 사실은 이와 같은 특징의 산물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점 역시 헝가리 구비 산문 장르가 전래되어온 자료의 단순 수치상에서 뿐 아니라 그 내용, 형식 그리고 모티브의 측면에서도 다양성과 풍 요로움을 갖고 있는 특징을 잘 반증하는 것이다. The aims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into the Hungarian prose folklore; with special reference to folktale (Hu; népmese) and legend (Hu; monda). Also the terminological and classifying problems of Hungarian folklore and legend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another aim of this paper was to make clear the national character of Hungarian oral prose. Although it is very difficult to make clear their own unique characters which is discriminated with other european oral literature, the unique national character of Hungarian prose folklore can be concluded in the distinctive feature of its distributional variety of folktale and legend and of their sub-genre. When we consider these facts - the variety and richness of its motive and theme of the Hungarian prose folklore-, we could comprehend the characteristics of Hungarian prose folklore and oral literature. The speciality and character of Hungarian prose folklore is defined by historical experience which contains the exodus of Hungarian peoples from Ural to Carpathian basin and the 'settlement' in Europe. By these facts, I would like to prescribe the Hungarian prose folklore and oral literature as a result of the contacts of various culture and interaction of various peoples.

      • KCI등재

        어디 엔드레(Ady Endre) 상징주의 시의 주요 테마와 특징

        유진일(Yoo, Jin-Il)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3 동유럽발칸연구 Vol.34 No.-

        본고에서는 헝가리 모더니즘 문학을 연 어디 엔드레(Ady Endre)의 주요 상징주의 작품들을 살펴보고 그가 주로 작품 속에 구현했던 테마들과 그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1904년에 신문사 특파원으로 파리에 파견된 어디 엔드레는 틈틈이 작품 활동을 하게 되는데 그러한 과정에서 프랑스의 상징주의 작품들을 접하게 되었다. 보들레르의 상징주의 시에 영향을 받은 어디 엔드레는 귀국 후 서유럽 수준의 문학을 지향하며 1908년에 창간된 현대문학 잡지, 『뉴거트(Nyugat)』에 상징주의 시들을 발표하였는데 그에 의해 헝가리에 소개된 상징주의는 헝가리 문학계에 커다란 파장을 미쳤다. 어디 엔드레의 상징주의 시는 보들레르 시의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테마와 특징 면에서는 또 다른 어디 엔드레 만의 특징을 보여준다. 특히 자연과 관련하여 그의 눈에 비친 자연, 특히 헝가리의 자연은 평온하고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어머니와 같은 존재라기보다는 아픔과 슬픔, 그리고 많은 전쟁으로 인해 죽음의 그림자를 머금은 땅으로 그려지고 있다. 사랑의 테마와 관련해서도 일반적인 사랑시에서 보여 지는 낭만적인 모습이나 목가적인 장면은 거의 나타나지 않고 그가 사랑했던 어딜(Adél)과의 만남과 이별을 그로테스크한 장면으로 보여주거나 슬픔과 우수, 그리고 괴로움과 아픔 등의 장면으로 묘사하고 있다. 또 어디 엔드레가 1908년에서 1912년 사이에 많이 쓴 종교시에 나타난 신의 모습은 시인 자신과는 함께 공존 할 수 없는, 즉 자신과 분리된 존재로 나타나고 있다. 신을 멀리하고 살아가는 현재의 자신의 모습과 지난 과오로 인해 신과 하나 될 수 없음을 괴로워하는데 이는 어디 엔드레 자신의 모습일 뿐만이 아니라 더 나아가 19세기말 20세기 초에 있었던 정치적 혼란으로 고통 받고 괴로워하는 헝가리인들의 모습이기도 하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look into the key themes and features in the major symbolist works of Ady Endre who opened the era of Hungarian modernist literature. Dispatched to Paris as a correspondent in 1904, Ady came to know French symbolist works, while he devoted himself to writing from time to time. Influenced by Baudelaire's symbolist poems, he aimed at the literature matching Western European literature after returning to Hungary. In this regard, he got symbolist poems published in Nyugat, a contemporary literary journal founded in 1908. They had a huge impact on Hungarian literary circles. Much affected by Baudelaire, his symbolist poems also show his own colors in terms of theme and feature. Especially in terms of nature, they depict Hungary as a land shadowed with death due to agony, sorrow and wars rather than a serene maternal land causing nostalgia. In terms of love, they present few Romantic elements or idyllic scenes, but describe the encounter with and parting from his lover Adél in grotesque or sad, melancoly and painful scenes. Besides, God is seen as a being that cannot coexist with and is separated from Ady, in his religious poems written a lot in 1908 to 1912. Ady is tormented by the fact that he cannot be united with God because of his current state of affairs and past mistakes. This reflects not only himself, but also all of us that have been deprived of humanity owing to World War I.

      • 에지뻬르쩨쉬 단편집(Egyperces Novellák)의 번역관련 문제와 대안적인 번역 방법에 대한 연구

        김보국(KIM, Bo-Gook)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11 동유럽발칸학 Vol.13 No.1

        외르께늬 이슈뜨반(Örkény István, 1912-1979)의 에지뻬르쩨쉬 단편집(Egyperces Novellák)은 극히 짧은 형식의 글들을 엮어서 출판된 초단편 소설 모음집이라 할 수 있다. 이 소설집에 수록된 어떤 작품(〈백지(白紙, Üres lap)〉)은 본문내용이 전혀 없이 짧은 주석으로만 구성되어 극단적인 형식을 취하기도 하며, 또 다른 작품들 역시 극히 짧은 소설, 신문기사의 스크랩, 일화, 시 등으로도 이루어져 있는데 출간 이후 헝가리 문학에서는 이 소설집의 명칭에서 유래한 '에지뻬르쩨쉬'라는 장르가 탄생하게 될 정도로 문학사적 의의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학형식의 독창성은 외르께늬가 독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할지라도, 극히 적은 정보를 담고 있는 작품 속에서 역사, 사회, 정치를 포함한 큰 담론을 논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작가들의 초단편 작품들과는 분명한 차별성을 둬야 할 것이다. 본고는 에지뻬르쩨쉬 단편집(Egyperces Novellák)의 번역에 관한 문제점을 살펴보고, 문제점들의 극복방안으로서 번역 방법론적 대안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앞서 언급한 바, 극단적으로 짧은 형식미를 특징으로 하고 있는 '에지뻬르쩨쉬'는 창작 당시의 헝가리 사회와 헝가리 독자들에게 던져진 짧은 메시지였지만 그 긴 파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해석과 작품의 배경 설명에 지극히 많은 지면의 할애가 필요하다. 더군다나 다른 인식환경(kognitív környezet)을 가진 번역문의 수용자들에게 에지뻬르쩨쉬의 특징인 형식미를 해치지 않고 온전한 의미를 전달해야 하는 번역은 번역 그 자체가 아이러니한 상황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는 어떤 번역이론, 커뮤니케이션의 담론도 그 적용의 예외를 인정할 수밖에 없는데, 본고에서는 이러한 해석의 방법, 번역의 방법으로 '메타에지뻬르쩨쉬(metaegyperces)'라는 용어를 창안하여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메타에지뻬르쩨쉬는 메타적인 방법으로 에지뻬르쩨쉬를 해석, 번역하는 방법으로서 하나의 독립적 작품인 짧은 에지뻬르쩨쉬들을 하나의 큰 메시지를 주는 연작으로 엮어서 독자들이 전체의 메시지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도우는 것이다. 에지뻬르쩨쉬로서 에지뻬르쩨쉬를 설명, 해석 가능하게 하는 방법에 착안하여 메타에지뻬르쩨쉬라는 용어를 제시하게 되었으며, 이는 에지뻬르쩨쉬 뿐만 아니라 문학작품의 해석을 비롯하여 번역활동 전반에 적용이 가능한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논문의 구체적인 내용은 우선 번역의 이론적인 내용으로 오랫동안 논란이 되고 있는 번역가능성(fordíthatóság, translatability)과 번역불가능성(fordíthatatlanság, untranslatability), 등가성(ekvivalencia, ecquivalence)에 대한 고찰, 그리고 맥락(kontextus, context)에 대한 이론을 중심으로 한 적합성이론 (Relevancia-elmélet, relevance theory)을 살펴보면서 에지뻬르쩨쉬 단편집(Egyperces Novellák)에 적용 가능한 부분과 적용 불가능한 점을 요약해 보았다. 또한 한 장(章)을 할애하여 에지뻬르쩨쉬의 번역을 특히 어렵게 하는 요소를 살펴보았는데, 이를 초단편으로서의 장르적 문제점, 작품 내에 나타나는 아크로니-아나크로니 (achrónia-anachrónia, achrony-anachrony), 마지막으로 복합적인 문학적 경향으로 세분하였다. 특히 복합적인 문학적 경향으로는 아이러니(irónia, irony), 베르그송의 희극론(Bergsoni komikumelmélet, Henri Bergson’s theory of the comic), 역설(Paradoxon, paradox), 사실성-비사실성(realitás-irrealitás, reality-irreality)의 혼재, 그로테스크(groteszk, grotesque), 부조리 문학(abszurd irodalom, literature of the absurd)적 경향 등을 들고 각각의 예시와 함께 차례로 살펴보았다. 전술한 번역의 이론적인 면과 에지뼤르쩨쉬의 여러 가지 특성으로 인해 번역시 발생하는 문제점들에 대해 메타에지 뻬르쩨쉬를 그 방법적 대안으로 본고에서 제안해 보았다. 이러한 메타에지뻬르쩨쉬의 이론적인 배경과 그 기대효과로서 소격효과 (elidegenítő effektus, Verfremdungseffekt), 해석학적 순환(Hermeneutikai kör, Hermeneutic circlr), 능동적 번역(aktív fordítás, active translation), 기대지평(elváráshorizont, Erwartungshorizont), 수용미학(recepcióesztétika, rezeptionsästhetik), 독자-반응비평(olvasóközpontú kritika, reader-response criticism)을 고찰해 보았으며, 에지뻬르쩨쉬 단편집(Egyperces Novellák)의 번역에 있어 메타에지뼤르쩨쉬 적용의 According to Kosztolány Dezső, translation of belles-lettres can be compared with running with a sack on his/her backor dancing with a tightly-tied hog. Kosztolány seems to put an emphasis on the given circumstances which are restricted by source language (SL), especially in case of the translation of belles-lettres. when a writer translates some form of work into other languages, the wording of the writer’s social and political difference can be inluded the above restricted circumstances in addition to something which can be occurred from SL itself."" But in the case of Örkény István Egyperces Novellák, I presume that other inevitable problems can happen even if this work is translated with the help of the most advanced theory of translation. The core problem among them is related with a fact that Örkény’s Egyperces Novellák is made up of extremely brief stories. Egyperces’ concise and compendious style on the external side is in parallel with its hidden meaning on the internal side. And these dual aspects cause a translator difficult to choose and apply almost all the theories concerned with translation. On the other side, thanks to these aspects, Örkény István Egyperces Novellák, can be explained as unique and characteristic.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present another alternative which is named metaegyperces. This is a way regarding another translation of Egyperces with being preserved with SL’s messages, even though this work consists of extremely brief stories. In short, metaegyperces means that theres are some clues to transmit to other languages in the work itself. When this is applied to Egyperces, Egyperces itself gets involved in other fragmented egyperceses. Accordingly, a writer who would like to translate Egyperces into other languages, needs to focus not on each separated egyperces, but on the view point of every whole angle. Therefore, when story tellings get more entangled, the each and every incident can be much more classified and coordinated into the bigger spectrum. This paper consists of three parts except introduction and abstract. In the first part, I wrote about the translatablility/untranslatabliity, equivalence, and relevant theories concerned with Egyperces within general categories of translation. In the second part, I picked up some factors which may cause difficulties when the Egypeces is translated into other languages. These factors shown in Egyperces I summarized are Achrony & Anachrony, A short short story as a genre, A complex literary tendency including irony, Bergson’s theory of the comic, paradox, reality-unreality and its boundary, grotesque, and absurd literature. In the third part, I presented another alternative-metaegyperces, and I wrote about some theoretical backgrounds regarding it. And in this part, I also wrote about the effects of metaegyperces and its theoretical background as a subsection: V-effect, hermeneutic circle, active translation, expectation horizon, aesthetics of reception, reader-response criticism. Metaegyperces isn’t only the unique way to solve all the problems we can imagine when the Egyperces is translated. What I emphasize in this paper is Metaegyperces is another way possible to translate Egyperces.

      • 검열(cenzúra)과 자기검열(öncenzúra), 그리고 외르케니 이스트반(Örkény István)의 소설『장미 박람회(Rózsakiállítás)』에 나타난 검열과 자기검열의 메시지

        김보국(Kim, Bo-Gook)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12 동유럽발칸학 Vol.14 No.1

        헝가리 현대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외르케니 이슈트반(Örkény István, 1912-1979)은 일찍이 문단에 등단하였으나, 유배와도 같았던 해외 생활과 구 소련에서 5년간 전쟁포로로 지내는 등 평탄하지 않은 청•장년 시절을 보냈다. 귀국 후에는 활발한 문학 활동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격변의 소용돌이 속에서 오랜 시간 작품 활동에 제약을 받기도 했다. 이런 불우한 운명 속에서도 그 특유의 해학과 번득이는 재치가 가득한 작품들로 1960년대 이후에는 헝가리를 대표하는 작가의 반열에 올라서게 되며, 1969년 파리에서 블랙코미디대상(Grand Prix de l'Humour Noir)를 받는 등 국제적으로도 널리 명성을 떨치게 된다. 『장미박람회(Rózsakiállítás)』는 외르케니 생전 마지막으로 완성을 본 소설 작품이다. 이 소설은 살아 있는 모든 이들이 한 번은 겪게 되는 '죽음'을 모티브로 하며, 죽어가는 세 명의 등장인물을 묘사한 옴니버스식의 소설인데, 형식적으로는 메타 시나리오라 불리어도 손색이 없을 만큼 촬영의 과정을 담고 있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분석, 즉 단순한 이 소설의 소재로서의 '죽음'을 뛰어 넘어, '죽음'을 예술의 원초적이고 본질적인 것, 거리낌 없이 표현되어야 하지만 터부시 되는 것, 지금껏 방해 받고 억압 받아 온 소재, 관습을 벗고 직시해야 할 것에 대한 메타포(metafora)로 해석을 하여 해석을 하여 이 작품의 내•외적으로 나타나 있는 검열-자기 검열의 메시지를 살펴보았다. 이에 앞서 아직 국내에서는 한 번도 소개되지 않은 내용이기에 한 장을 할애하여 헝가리의 검열사를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Flower Show is the novel for all lives' death once they suffer, but cannot be familiar with it at all. The characters in this novel faced to their deaths in front of camera shot by the step of a television program. This novel shows the stories of the remains described as a viewpoint of humanity and this work is one of Örkény's masterpieces. This paper can be devided two parts. One is for describing about the censorship and self-censorship and the other is for analyzing this novel, so this paper is not only for focusing to analyze the novel. Many famous writers like Dante, Boccaccio, Geoffrey Chaucer, Goethe, George Orwell, and even James Joyce whose work was selected as the best novel of the 20th century by scholars and reviewers in America could not avoid the censorship from the authorities including governments which wanted to hold their courses for literatur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actual problem from this is the writers could not express themselves as they intended. In case of Hungary, they also took experiences concerning to the history of censorship with other european countries. But considering their history they should suffered double censorship from the hungarian authorities, and the upper power as well like Habsburg or others. I don't and I can't deny the main motive of this novel is related to death as everybody may accept it who read this novel. In this paper, rather I tried to analyze this novel based on the censorship and self-censorship. To prove it, I examined the background of story writing, some parts of this novelwhere I can assume and the interviews once given by the writer.

      • KCI등재

        헝가리 대평원의 긍정적 이미지 -페퇴피 샨도르의 지역문학 작품 중심으로

        한경민 ( Kyeng Min Han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5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3 No.-

        헝가리 대평원을 소재로 하여, 지역문학의 새로운 경지를 연 페퇴피의 작품은 대평원 지역이 단순한 황무지가 아니라 시인의 체험과 상상력이 결합된 특별한 장소로서 숨겨진 의미와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드러낸다. 기존의 고정화된 부정적 이미지에서 벗어나 생명과 자유라는 긍정적 이미지를 제시하기 위해 페퇴피는 대평원에 서식하는 여러 생물과 특별한 자연현상을 세밀하게 묘사하였다. 또한 대평원에 사는 사람들의 일상과 자연 재해에 맞서는 사람들의 행동을 통해 대평원이 지닌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제시하면서 기존 패러다임에서 벗어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33) 이런 시도의 기본적인 토대는 대평원이 헝가리 조상들이 터를 잡고, 자유를 얻기 위해 전투를 치룬 역사적인 땅이며, 그 결과 완전한 자유와 해방을 가져다 준 땅이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대평원의 무한한 광야에서 모든 사람이 느끼는 자유와 해방의 이미지는 이제 생명과 자유를 배태한 헝가리 인의 고향, 헝가리 인의 조국이라는 이미지로 확장된다. 여기에서 당시의 정치적 상황과 연결 지어 정치시로 해석하는 연구자들에게는 후기 혁명시로 이어지는초기 작품으로 인정받기도 한다. 1830년대의 낭만주의 운동에서 지향한 원시 그대로의 자연과 대평원의 이미지는 완벽하게 부합했고, 산간 지역과 대평원 지역 간의 논쟁을 통해서 대평원이 지닌 특징을 널리 알릴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해주었다. 이런 분위기에서 배태된 페퇴피의 지역문학 작품은 대평원에서 즉 헝가리의 고향이자 조국에서 느끼는 완전한 자유라는 긍정적인 이미지를 획득하게해 주었다. 또한 대평원에 서식하는 생물, 특별한 자연현상과 인간의 삶을 소재로 다루면서 대평원을 생명과 삶이 가득한 지역임을 널리 알려주었다. 그의 지역문학 작품은 이후 다른 문학가들만이 아니라 화가와 조각가에까지 영향을 미쳐, 대평원이 간직하고 있는 긍정적인 이미지가 예술화하도록 영향을 주게 된다. Petofi’s works blazed a trail of regional literature by revealing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Great Hungarian Plain as a subject matter; the plain is no longer a mere wasteland, but is a special place combining the poet’s experience and imagination. In order to break away from the traditional negative image of the Great Hungarian Plain and illustrate a positive image of vitality and freedom, Petofi depicted various creatures and natural phenomena of the Great Hungarian Plain in great detail. Also, he tried to be free from a traditional paradigm and present new meaning and value of the Plain by introducing inhabitants of the Plain, their daily lives, and their struggles against the natural phenomena. Petofi’s efforts are founded in the notion of the land’s freedom and liberation; the Hungarian forefathers located themselves in the Plain, and underwent battles for freedom. Such image of freedom and liberation everyone shares upon the infinite Plain now extends to a national image of Hungary from which freedom and liberation germinated. To researchers regarding this image as part of a political history in relation to political milieu, Petofi’s works are acknowledged as the early versions of the later revolutionary poems. 1830s’ Romanticist pursue of pristine nature made a perfect accordance with the image of the Plain. At the same time, a debate on the fields of the mountains and the plains made popularization of the plains’ image possible. In these circumstances, Petofi’s regional literature associated the Plain with ultimate freedom shared in Hungary as a nation and homeland. The positive image of the Great Hungarian Plain became a new paradigm influencing not only literature but also art such as painting and sculpture.

      • KCI등재

        Hungary’s Cultural Sector According to the Political Changes - Focusing on the Trends and Aspects of Hungarian Literature -

        이상동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22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 No.63

        This article aims to find the basis for claiming cultural homogeneity with Western Europe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Additionally, by studying Hungarian literature, the article reveals characteristics of European culture during the transition to a post-socialist system such as political democratization, privatiz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ownership system. The formation of civil society is also discussed. Social thoughts vividly shown in literature is a significant feature of Hungarian literature in the 20th century. For example, realism in the 19th century only exposed inequality and corruption in society but had no idea about initiating a revolution. However, in the 20th century, the direction of this revolution became apparent, and literature based on the socialism-based revolution emerged. Simultaneously, refusal and resistance to tradition were features of literature in the 20th century, and literature applying scientific analysis also appeared. However these tendencies captured the ideological viewpoint, and in terms of the form and style, it was more confusing and divisive than earlier d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