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及法師撰 <大義章> (北京8392) と隋仁壽元年 (601) 寫 <攝論章> 卷第一 (Stein 2048) ― 明及と智凝 ―

        이케다 마사노리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2012 불교학 리뷰 Vol.11 No.-

        본 논문은 두 돈황출토문헌, 급법사 찬撰 <대의장> (北京8392[洪53; BD00453背])과 <섭론장攝論章> 권 제1(Stein 2048; 大正2808)을 대상으로 수대隨代 북지北地에서 진제眞諦(499-569) 역 <섭대승론攝大乘論> 세친석世親釋이 어떻게 수용되었는가, 그 일례의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각 절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1. 급법사 찬 <대의장>은 다양한 불교교리를 해설한 일종의 강요서로 생각되는 문헌이며, 사본의 맨 첫 행에 「及法師撰」이라고 찬술자의 이름이기록되어 있다. 성립연대 등의 정확한 정보는 분명하지 않지만 <대의장>이비판하는 「어떤 사람」의 설과 같은 용어를 淨影寺慧遠(523-592)의 <대승의장大乘義章>과 돈황출토 <섭대승론초攝大乘論抄> (추정제목, 守屋콜렉션본+Stein2554)와 같이 북조北朝 말기부터 수대隋代 초기에 걸쳐 성립된것으로 생각되는 문헌에서 볼 수 있으므로, <대의장>도 거의 동시대에 성립된 문헌이라고 판단된다. <섭론장> 권제1은 진제 역 <섭대승론석攝大乘論 釋>에 대한 「장章」 형식의 주석으로, 찬술자는 모르지만 수隋 문제文帝 인수仁壽 원년(601)에 장안長安의 변재사辯才寺에서 서사되었음을 보여주는 지어識語가 있어서 수대 장안 지역 <섭론攝論> 연구의 실록이라고 생각된다. 2. 이 두 문헌의 처음 장인 「삼보의三寶義」는 기본적으로는 거의 동일한문장으로부터 성립된 것이지만 전체 구성을 비교하면 <대의장> 보다도 <섭론장> 쪽이 세부 절의 구분이 상세하고 논리구조가 명확하게 되어 있다. 또사상적인 면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一體三寶」의 설명에서 <攝論章> 만진제 역 <섭대승론석>에 기반한 학설이 보이는 점이다. <대의장>의 현존부분에는 <섭대승론> 인용이 전혀 없으므로 <대의장> 「삼보의」는 아직 <섭대승론>을 알지 못하는 단계의 문헌이며, <섭론장> 「삼보의」는 기본적으로<대의장> 「삼보의」를 그대로 의거 및 인용하면서 구성의 일부를 고치거나부분적으로 <섭대승론>의 요소를 부가하여 <섭대승론>에 대한 「장章」 형식주석의 한 장으로 바꿔 만든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3. <섭론장>이 필사된 변재사辯才寺는 수대隋代 장안의 유력한 섭론학자 가운데 한 사람인 지응智凝 (565경-612경)을 위해 건립된 사찰이다. <속고승전> 지응전智凝傳에는 당시 지응과 밀전한 교류가 있었던 인물로서 「명급법사明及法師」가 등장하는데, <대의장>의 찬술자인 「급법사」는 이 명급(?-598 이후)가 아닐까 생각된다. <속고승전>의 기술을 분석하면 명급은 본래 북조출신인 <십지경론十地 經論>의 학자로서, 누구에게 배웠는지는 불분명하지만 후에 <섭대승론>을익혀 수대의 장안에서 활약했던 것을 알 수 있다. 아마도 <대의장> 「삼보의」 는 명급이 아직 <섭대승론>을 익히지 않았던 단계의 문헌으로, <섭론장> 「삼보의」는 명급 또는 다른 누군가가 그것을 고친 것일 것이다. <대의장> 「삼보의」와 <섭론장> 「삼보의」 사이에 보이는 의거 및 인용과 발전의 관계는 당시 북지의 <섭대승론> 수용과 그 방법을 보여주는 대단히 분명한 실례의 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an instance of the reception of Paramārtha's 眞諦(499-569) translation of Vasubandhu's Mahāyānasa- ṃgrahabhāṣya 攝大乘論釋 in the North under the Sui, taking as source material two texts unearthed at Dunhuang, namely, the Da yi zhang 大義章 by Dharma Master Ji 及法師 (Peking 8392, hong 洪 53, BD00453 verso) and She lun zhang, Fascicle 1 『攝論章』 卷第一 (Stein 2048; Taishō 2808). In brief, the content of each section is as follows. 1. Dharma Master Ji's Da yi zhang is a text thought to belong to the genre of compendia of the essentials of various Buddhist doctrines. The first line of the manuscript gives the name of its author as “Dharma Master Ji” (及法師撰). The precise details of its year of composition and so forth are unknown, but the Da yi zhang criticises the positions of “certain persons”, and wording matching that of these foils can be found in texts thought to have been composed at the end of the Northern Dynasties through to the early Sui, such as Jingying Huiyuan's 淨影慧遠 (523-592) Dasheng yi zhang 大乘義章 and the She dasheng lun chao 攝大乘論抄 (provisional title; Moriya collection copy + Stein 2254). For this reason, the Da yi zhang is thought to be a text composed in roughly the same period. The She lun zhang Fascicle 1 is a commentary in zhang 章 format to Paramārtha's translation of the Mahāyānasaṃgrahabhāṣya. Its author is unknown, but it bears an editorial note stating that it was copied at Biancai Temple 辯才寺 in Chang'an 長安 in Renshou 1 仁壽元年 of the Sui dynasty (601 C.E.), and it is thus thought to be an accurate record of Mahāyānasaṃgraha (“Shelun”) studies in Chang'an under the Sui. 2. The first section 章 at the opening of these two documents, entitled “On the Three Jewels” 三寶義, is almost verbatim the same in each. However, if we compare the organisation of each text as a whole, the She lun zhang is more finely divided into small sections than the Da yi zhang, and its logical structure is therefore clearer. Further, in terms of the thought of the text, we notice particularly that in the explanation of the notion that “the Three Jewels are essentially one” 一體三寶, the She lun zhang alone features doctrines based upon the Mahāyānasaṃgraha. By contrast, extant portions of the Da yi zhang do not contain a single citation from the Mahāyānasaṃgraha. It is therefore safe to posit that the Da yi zhang is a text from a stage at which the Mahāyānasaṃgraha was not yet known, and that the section “On the Three Jewels” of the She lun zhang was composed as a section of the zhang-style commentary on the Mahāyānasaṃgraha by modification of the “On the Three Jewels” section of the Da yi zhang. In this process, the author basically relied on the Da yi zhang, but tinkered piecemeal with parts of the organisation, and in places added elements from the Mahāyānasaṃgraha. 3. The She lun zhang was copied at Biancai Temple, which was constructed for Zhining 智凝 (ca. 565 – ca. 612), an influential Shelun scholar in Chang'an under the Sui. The biography of Zhining in the Xu gaoseng zhuan 續高僧傳 features, as a figure with whom Zhining had close relations, a Dharma Master Mingji 明及法師. We thus suppose that it is probable that the “Dharma Master Ji” who authored the Da yi zhang was this same Mingji (? – after 598). Analysis of accounts in the Xu gaoseng zhuan shows that Mingji was originally a Northern Dynasties scholar of the *Daśabhūmika-sūtra-śastra 十地經論 or “Dilun”. It is unknown with whom he studied, but he subsequently took up the study of the Mahāyānasaṃgraha (“Shelun”), and was active in Sui Chang'an. We can surmise that the Da yi zhang is a text composed at a stage when Mingji had not yet studied the Mahāyānasaṃgraha, and the “On the Three Jewels” section of the She lun zhang was a rev...

      • KCI등재

        조선시대 張翰出處圖 연구:간송미술관 소장 김홍도의 〈동강조어도〉를 중심으로

        유옥경 미술사연구회 2020 미술사연구 Vol.- No.39

        This study is about a painting that tells the story of Zhang Han (?-?) which was made during the Joseon Period. He was the one who lived in the Jin Dynasty in China where he served as a government official in Luoyang, One fall day after resigning from his government position, he returned home and he came to miss the taste of watershield plant soup and sliced raw sea bass that he used to enjoy back in his hometown of WuJun, Jiangdong. The term, ‘Chulcheo’ in the subject refers to becoming a government official and realizing one’s ideal or biding one’s time quietly as an ordinary person. During the Joseon Period, Zhang was regarded as an example of one who’s biding his time quietly as an ordinary person during the chaotic period of Weijin. Researchers have said that the painting, Zhang Han Chulcheodo of Joseon period, is about Zhang Han returning to his hometown of the Jiangdong area on a boat after he stepped down from his government position. This piece figuratively points to the need to quit a position of influence (portrayed as the fast river current) without hesitation if required. This study served as an opportunity to alter the interpretation of Donggang Joeodo (Painting of Fishing in Dongjiang), a painting by Kim Hong-do (1745~1806) kept at Kansong Museum. So far researchers have interpreted the piece as the one portraying Yan Gwang (39 BC ~ 41 AD) of the Late Han Dynasty of China, enjoying his fishing in the river as a hermit in Tongjiang Tongluxian, Zhejiang Province. However, this study found out that it was about Zhang Han, enjoying his fishing in Dongjiang as a hermit in his hometown of WuJun (present-day Suzhou, Jiangsu Province). Ultimately, the painting from the Joseon period, Zhang Han Chulcheodo, implies the meaning of Chulcheojiri, which means that one needs to know when to follow the path according to one’s faith and when to step down without hesitation and silently wait for the right tim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regarded as an attempt for an in-depth analysis of the subject painting and it will help those who are interested to better understand visual images coping with politics, ideas, and social scenes from the Joseon Period.

      • KCI등재

        청일전쟁 시기 중국과 일본의 대 한반도 지정학적 인식 비교연구 -이홍장(李鴻章)과 야마가타 아리토모(山縣有朋)를 중심으로-

        이승환 한일군사문화학회 2020 한일군사문화연구 Vol.30 No.-

        한반도는 독특한 지정학적 위치로 인해 국제정치 구조의 전환기적 상황마다 중요한 의미를 부여받아 왔다. 이러한 역사적인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본 연구는 19세기 동아시아가 맞이한 거대한 전환기 속에서 중국과 일본은 한반도를 어떻게 바라보았는지 이홍장(李鴻章)과 야마가타 아리토모(山縣有朋) 두 인물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청일전쟁 시기 이홍장과 야마가타 아리토모 두 인물은 자신들이 새롭게 정립한 한반도 인식을 바탕으로 한반도라는 공간을 자국의 세력권 아래에 놓기 위한 국가 전략을 구축하여 갔다. 이홍장은 속방의 내치와 외정에는 간섭하지 않는다는 오랜 기간 이어져 온 관념적인 원칙을 수정하고 그 방향을 선회하여 한반도에 대한 적극적 관여정책을 구상한다. 한편, 야마가타 아리토모는 일본의 존립을 위한 생존공간으로서 역할해야 할 공간인 이익선을 한반도로 설정하였으며 이러한 논리는 청일전쟁 직전 일본의 대외정책의 기조가 되었다. 일본으로서는 이익선으로 설정된 한반도를 확보하기 위해 전통적으로 한반도에 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던 청국과의 충돌은 필연적이었다. 그렇지만 당시 청국은 어디까지나 한반도를 자신들의 전통적 화이질서 안의 속방이자 세력권으로 규정하였으며, 확장된 국경이라는 새로운 공간의 가치를 부여했다. 이렇듯 양국이 새롭게 정립한 한반도 인식과 구상은 상충하는 것이었으므로 결국 정합성을 얻지 못하고 청일전쟁에 이르게 된다. Due to its unique geopolitical location,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given important significance in every transition period of the international political structure. To understand this historical experience, this paper focused on two figures, Li Hong-Zhang and Yamagata Aritomo, concerning how China and Japan looked at the Korean Peninsula during a huge turning point of East Asia in the 19th century. During the First Sino-Japanese War, two figures, Li Hong-Zhang and Yamagata Aritomo, built a plan to put the Korean Peninsula under their country’s sphere of influence based on their newly established perception of the Korean Peninsula. Li Hong-Zhang intended to protect his country’s geopolitical safety net by maintaining the traditional relationship with its tributary state, to revise the long-standing ideological principle of not interfering with the internal and external affairs of its tributary state, and to change its direction to devise an active engagement polic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Yamagata Aritomo established the Korean Peninsula as a LI EKI SEN(利益線) that should serve as a living space(Lebensraum) for Japan’s existence, and this logic became the keynote of its foreign policy immediately before the First Sino-Japanese War. For Japan, conflicts with China’s Qing Dynasty, which had traditionally had a strong influence on the Korean Peninsula, were inevitable to secure the Korean Peninsula, set as a LI EKI SEN. However, at that time, Qing defined the Korean Peninsula as a tributary state and sphere of influence within its traditional Sino-centric order, giving it the value of a new space called an extended border. The two countries’ newly established perceptions and ideas on the Korean Peninsula were contradicting, which eventually led to the First Sino-Japanese War without getting consistency.

      • KCI등재후보

        析论清末李鸿章的对朝鲜政策

        이규태 한국중국문화학회 2009 中國學論叢 Vol.28 No.-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e backgrounds and contents of the Qing(清) Dynasty’s policy in relation to Lee Dynasty(朝鲜 Joseon) when Li Hong Zhang(李鸿章) led the foreign affairs of Qing Dynasty from 1870s on, and, with the analysis, to examine the problem in th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tradition to modern and the recognition of the politic leaders of the then China about Chosun. Main contents include the backgrounds and purpose of the Qing Dynasty’s strategy about Joseon during Li Hong Zhang’ initiatives, that is, the tributary states system maintaining the traditional Zongfanguanxi(宗藩关系) and the strategy of controlling an inferior nation with another inferior nation(以夷制夷), and the positive intervention policy to Joseon in its politics, foreign affairs, economy and military area by Yuan Shi Kai(袁世凯) who was then Trade Minister resident in Korea, after Qing’s dispatching forces to Joseon in order to oppress the army’s rebellion in Chosun in 1882, so-called YimoKunlan(壬午军乱). In Li Hong Zhang’ policy to Joseon, they did not explicitly take any area belonging to Chosun unlike the colonialism of other great Powers, but the various intervention policies to Chosun through Yuan Shi Kai cannot avoid the criticism that the policies was similar with the great Powers’ imperialism depending on “long historical relation”, and we can call it as “half colonialism.” 본 논문은 19세기 70년대 이후 淸나라에서 李鴻章이 대외정책을 주관하던 시기 조선에 대한 속방정책의 배경과 그 정책내용을 중심으로, 중국과 조선의 관계가 전통적 관계에서 근현대적 시기의 관계로 넘어가는 시기의 특징을 연구한 것이다. 중요한 내용으로는 당시 청나라 정부의 대조선전략의 배경과 목표, 즉 종번관계로서 속방체계와 이이제이전략을 논하고, 1882년 군대를 파병하여 조선에서 발생한 '임오군란'을 평정한 후, 駐札朝鮮總理交涉商務事務大臣으로서 袁世凱가 집행한 조선에 대한 정치적 외교적 , 경제적 그리고 군사적 분야의 '적극간섭'을 기조로 한 속방정책의 내용을 분석하고 있다. 이홍장의 대조선정책은 비록 제국주의국가들의 식민지정책을 모방하고 있는 것이었지만, 그것은 형식적으로는 조선의 주권독립과 영토의 완전성을 보장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원세개를 통해서 진행한 이홍장의 조선에 대한 각종 간섭정책은 조선과 중국의 '유구한 역사관계'를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을 빌미로 진행한 패권강권의 제국주의적인 '반식민지정책'과 유사하였다는 점을 비평적 관점에서 논해 보고자 한다.

      • 李鴻章, 伊藤博文과 19세기말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화

        강문호 한국동학학회 2009 동학연구 Vol.0 No.26

        이홍장과 이등박문은 19세기말 동아시아 국제질서 재편 과정에서 淸・日 양국을 대표하는 인물이었다. 이들 두 사람은 평생 세 차례 만나 청・일 양국은 물론 동아시아의 명운을 결정짓는 중요한 결정을 내렸다. 그 첫 번째 만남은 1885년 4월, 갑신정변 사후처리를 위한 天津회담이었으며, 두 번째는 청일전쟁 사후처리를 위해 일본 마관에서 열렸던 회담이다. 그리고 마지막 회견은 청일전쟁 후 이홍장이 중국을 여행 중이던 이등박문을 초청하면서 이뤄졌다. 이홍장과 이등박문 두 사람의 첫 번째 만남, 즉 천진회담은 중・일 양국의 조선에서의 지위가 대등함을 인정하는 자리였다. 전통적으로 종주국과 藩屬國으로 인식되었던 中・韓관계에 변화가 나타났던 것이다. 청일전쟁 사후처리를 위해 마주앉았던 이홍장과 이등박문의 두 번째 만남에서는 淸・朝 양국의 전통적 宗・藩관계를 폐절한다는 것을 문서로 확정함으로써 전통 동아시아 국제질서가 와해되는 자리였다. 그리고 그들의 세 번째 만남은 청일전쟁 패배 후 부국강병을 위한 變法 필요성이 고조되면서 유신파 지식인들을 중심으로 일본을 스승삼아 개혁을 진행하자는 분위기가 조성됨으로써 전통시대의 중국 중심 동아시아 천하질서가 일본 중심으로 바뀌었음을 확인하는 자리였다. 이홍장과 이등박문의 세 차례에 걸친 만남은 한・중・일 삼국의 관계를 중국 중심에서 일본 중심으로 바꾸는 과정을 결과하였던 것이다.

      • KCI등재

        김윤식과 원세개 · 이홍장 · 주복의 교류(1881~1887)

        박은숙(Park, Eun-Sook) 고려사학회 2015 한국사학보 Vol.- No.61

        김윤식은 한국 근대사에 있어서 개화와 자주를 논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인물 중 하나이다. 그는 유교적 가치를 지키면서 서구의 기술을 수용하려는 동도서기론자로 평가되고 있지만, 더욱 주목되는 것은 그가 중국통 외교가로서 근대 이행기 한중관계 재편에 깊숙이 관여했다는 점이다. 김윤식은 영선사로 청에 파견되었던 1881년 말부터 청의 이홍장-주복-원세개 라인과 교류하였다. 김윤식과 청인들의 인적 관계망은 장정체제를 구축하고, 조선의 정치 · 경제 · 외교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여 조선의 자주적 근대화를 가로막고 청의 요구를 관철시키는 통로로 작동했다. 김윤식은 1882년 7월초 조선으로 출병하는 배 안에서 진압군 원세개와 처음 만났다. 24세의 나이차에도 불구하고 두 사람은 밤낮으로 어울려 조선 문제와 양국 관계를 모의했다. 두 사람은 청국식 근대화를 추동하고, 청선구류사건 · 이범진사건 등에 개입하여 장정체제의 구축과 청의 요구를 관철시키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갑신정변 후 조선의 외교 수장과 청의 파견총리로서 재회한 두 사람은 조러밀약과 조불조약, 거문도사건 · 백두산정계비 등 조선의 정치 · 외교와 통상 및 국경 문제 등을 협의 · 조율했다. 그러나 대부분 사안이 청의 의도대로 진행되었고, 김윤식은 매사를 원세개의 명령에 따르는 ‘袁黨’으로 지목되었다. 두 사람의 결탁은 조선의 주권과 이권 상실, 청의 제국주의적 침략과 이권 실현의 도구로 작동했다. 조선의 외교관 김윤식과 청의 대조선정책 라인 원세개 · 주복 · 이홍장과의 교류는 외교라는 공적 업무를 매개로 형성된 관계였다. 따라서 그들은 기본적으로 자국의 입장을 대변하면서 자신의 출세와 영달을 꾀하였다. 그러나 상하 관계를 천명한 상국과 속방의 외교관의 교제는 불평등했으며, 친청노선을 고수했던 김윤식은 더욱더 종속적이었다. 그들의 교류는 조선의 자주권과 이권 상실로 이어졌고, 장정체제 구축과 종속의 기제로 작동했다. 결국 반청자주를 꿈꾸던 고종과 중국의 권력자 사이에서 줄타기 했던 김윤식은 토사구팽 당하여 8년여를 유폐되어 값비싼 대가를 치렀다. Kim Yun-Shik is regarded as a very important person in modern Korean history. He was a Sinologist and pro-Chinese collaborators in diplomacy. H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organ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China. Kim Yun-Shik was on intimate terms with Yuan shì-Kai who was sent from the Chinese government to supervise the Joseon. Kim Yun-Shik and Yuan shì-Kai met frequently, and discussed politics, diplomacy and trade sectors of Joseon. But their consultations had established the agreement system(章程體制) that pursueed China"s diplomatic and economic interests. Their close relationship was used as a tool of China"s imperialistic aggression and economic interests. Kim Yun-Shik also contacted with Li Hong-Zhang and Zhou Fu who were Chinese officials. Their relationship became passage to deliver Chinese pressure and Joseon"s request. The relationship of Kim Yun-Shik and chinese officials was unequal and subordinate. Kim Yun-Shik was hated by king who hoped for Joseon"s independence. He was dismissed from the Minister of Foreign Affairs and was exiled in 1887.

      • KCI등재
      • KCI등재

        19세기, 새로운 지정학적 공간 한반도의 등장과 중일의 한반도 인식: 이홍장(李鴻章)과 야마가타 아리토모(山縣有朋)를 중심으로

        이승환 ( Seunghoan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는 19세기 중국과 일본의 대표적 인물이었던 이홍장과 야마가타 아리토모의 한반도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당시 중국과 일본의 한반도에 대한 지정학적 인식을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역사적 사료의 분석을 통한 실증적 검증인 역사적 접근방법으로 그 분석을 진행하였다. 19세기, 이홍장이 설정해 갔던 한반도의 지정학적 가치와 그에 따른 인식은 확대된 국경, 순치(脣齒)관계의 완충지대라는 변화과정을 보이며, 야마가타 아리토모의 경우 이익선(利益線), 교두보라는 변화과정을 보인다. 최근 중국의 ‘일대일로(Belt and Road Initiative)’, 미국과 일본의 ‘자유롭고 열린 인도-태평양(Free and Open Indo-Pacific)’ 전략, ‘쿼드(The Quad)’ 등의 전개로 급변하는 주변 정세 속에서 과거 전환기 과연 한반도라는 공간은 어떻게 인식되어 왔는지 검토해보는 작업은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Li Hong Zhang and Yamagata Aritomo of China and Japan in the late 19th century toward the Korean Peninsula on the basis of the historical approach and then to examine China and Japan’s geopolitical perceptions toward the Korean Peninsula on the basis of the aforementioned analysis. The results show how the geopolitical value of the Korean Peninsula as established by Li Hong Zhang in the 19th century and the consequent percep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ransitioned into the form of expanded borders and buffer zones, Yamagata Aritomo and its consequent percep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ransitioned into the form of an LI EKI SEN and bridgehead. Amidst a rapidly changing political landscape resulting from China’s Belt and Road Initiative, the US and Japan’s Free and Open Indo-Pacific strategy, and the Quad, it would be significant to examine how the space of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perceived during past periods of transition.

      • KCI등재

        張曜孫 『續紅樓夢』 중 “歲寒樓”와 秋史 金正喜

        趙旻祐(Cho, Min-woo) 중국어문학연구회 2017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102

        This paper focus on two versions of “SuiHan” in Zhang Yao-Sun(張曜孫)"s life. The first version of “SuiHan(歲寒)” is a painting, which is called “Sehando(歲寒圖)” painted by Kim Jeong-Hee(金正喜). In 1845, Kim Jeong-Hee"s disciple Lee Sang-Jeok(李尙迪) brought the painting to Beijing, and Zhang Yao-Sun hosted a banquet in Beijing to see the “Sehando”. The second version of "SuiHan" was found in a novel called Xu Hong Lou Meng(續紅樓夢), which is a sequel of The Dream of the Red Chamber written by Zhang Yao-Sun. One of a big event in Xu Hong Lou Meng is that Lin Dai-Yu, as the first visitor, took a walk in the new garden built by her younger brother Lin Qiong-Yu. Lin Dai-Yu visited the garden and named the new buildings inside. Coincidentally, the main building in the garden was named “SuiHan-Lou(歲寒樓)”. On this ground, this paper will explore the linkage between the two “SuiHan”. Firstly, I try to analysis the novel in Redology. Secondly, I will show the lifelong friendship between Zhang Yao-Sun and Chosun scholars, especially with Kim Jeong-Hee and Lee Sang-Jeok. Finally, I discuss the reason for Zhang Yao-Sun writing “SuiHan-Lou” in his novel, which is result from his delightful memory with his friends Kim Jeong-Hee and Lee Sang-Je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