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샘 셰퍼드의 Fool for Love에 나타난 남성 젠더 이슈

        박지혜 한국현대영미드라마학회 2019 현대영미드라마 Vol.32 No.1

        Masculinity studies is devoted to exploring men and masculinities as historically constructed, and questions the feminist assumption that all men have benefited from patriarchal power relations. Such approach to men and masculinities suggests that men’s crisis is caused not merely by feminism but by the general fear of the precariousness of masculinity. This paper contextualizes Sam Shepard’s Fool for Love (1983) in masculinity studies, and explores the crisis of men and masculinity, or, the difficulty in establishing a masculine gender to be originating from not only women but also ‘hegemonic masculinity’. Applying R. W. Connell’s theory of hegemonic masculinity, the paper demonstrates how frontier masculinity as hegemonic masculinity is presented as the cause of Eddie’s crisis by pointing out its compulsion to suppress femininity and to conspire with patriarchy. The paper also focuses on how Eddie attains a sense of masculine self and power through the performance of the rigidly defined normative masculinity. Unlike the scholars who point out such dramatization of masculinity to be demonstrating Eddie’s lack of ability to escape from the myth of the frontier and define Eddie’s predicament as a personal issue, this paper, acknowledging the multiplicity of masculinities, approaches it from masculinity studies point of view and defines it as a societal issue. That is, Eddie’s “gender trouble” is the result of the social exclusion of non-normative masculinities. Fool for Love, the paper concludes, demonstrates a need for the creation of diverse forms of masculinity and an appreciation of such diversity.

      • KCI등재

        한국 개신교사에 나타난 헤게모니적 남성성 연구

        이숙진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2 신학과 사회 Vol.36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hegemonic masculinity in Korean Protestantism by accepting Men's Studies and Masculinity Studies. The hegemonic masculinity of Korean Protestantism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first is from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Protestantism in this period introduced two forms of masculinity, emphasizing the disconnection from traditional masculinity formed on a Confucian basis. One is masculinity based on the 'civilization' discourse, which was mainly introduced through Western missionaries. This masculinity,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Victorian sexual purity ideology, condemned the traditional masculinity of Korean society as barbarism and lewdness. Therefore, an early marriage and concubine, the devices of Confucian male making, were pointed out as representative practices that ruined the country. The other was based on the 'patriotism' discourse and was mainly produced by male leaders of the Korean church. This masculinity related to wealth and strength defined 'strength' as ideal masculinity. Here, the judge God, the salvation hero in the Bible, and the national hero in history appear as the main models. The second is the period of industrialization. Protestantism during this period set warrior masculinity as hegemonic masculinity. Anti-communism based on the logic of the Cold War and the ideology of growth based on developmental dictatorship were the main foundations of masculinity production. Industrial design posters and anti-communist posters showed the iron masculinity stained with sweat and blood. If patriotism and “our company” centrism produced "Taegeuk Warriors," "Anti-Communist Warriors," and "Export Warriors," "Our Church" centrism became a device for producing "spiritual warriors." These three strengthened the hegemonic masculinity of this period as they were interconnected. The third is the post-industrial era. This is an era in which livelihood models of the industrial era no longer work. Therefore, marriage forms or date culture of sharing the economic burden with each other spread, and the MZ generation, which prefers double-income, emerged. At the same time, the 'subjects' of the industrial era were also replaced by 'citizens' based on individual autonomy, and 'citizen masculinity' emerged in the process. Civil masculinity that respects difference and diversity is cracking hegemonic masculinity, paying attention to the rights of marginalized men in the male society. In the church, civil saints who have been baptized by democratization have emerged, challenging the authoritarian practices and culture of churches. Their masculinity is differentiated from military masculinity linked to the spiritual warrior model. The church's father re-education programs, such as DURANNO FATHER SCHOOL and Abba Love School, are representative devices that produce moderate masculinity such as affection and consideration. 이 글의 목적은 남성학(men’s studies)과 남성성 연구(masculinity studies)의 문 제의식을 한국 개신교사 연구에 수용하여 한국 개신교 공간에서 주조되어온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성격을 규명하는 것이다. 한국 개신교의 헤게모니적 남성성은 세 시기로 나누 어 살펴볼 수 있다. 첫째는 선교 초기다. 이 시기의 개신교는 유교적 기반에서 형성된 전통적 남성성으 로부터의 단절을 강조하면서 두 형태의 새로운 남성성을 제시하였다. 하나는 ‘문명’ 담 론에 근거한 남성성으로서 주로 서구 선교사들을 통해 유입되었다. 빅토리아 시대의 성 적 순결 이데올로기와 밀접한 관련을 지닌 이러한 남성성은 한국사회의 전통적인 남성 성을 야만성과 음탕함으로 단죄하였다. 따라서 유교적 남성 만들기의 장치인 혼인방식, 곧 조혼과 축첩은 나라를 망치는 대표적인 폐습으로 지목되었다. 다른 하나는 ‘애국’ 담 론에 근거한 것으로서 주로 한국교회 남성 지도자들에 의해 생산되었다. 부국강병과 관 련된 이러한 남성성은 ‘강함’을 이상적 남성성으로 규정하였다. 여기서는 심판자 하나님 과 성서 속의 구국 영웅, 역사 속의 민족 영웅이 주요 모델로 등장한다. 둘째는 산업화 시기다. 이 시기의 개신교는 전사형 남성성을 헤게모니적 남성성으로 설정하였다. 냉전 논리에 입각한 반공주의와 개발독재에 근거한 성장주의는 남성성 생 산의 주요 토대였다. 곳곳에 전시되었던 산업전사와 반공전사 포스터의 이미지는 땀과 피로 얼룩진 강철같은 남성성을 잘 보여준다. 애국주의와 애사주의가 ‘태극전사’ ‘반공전사’ ‘수출전사’를 생산했다면, ‘우리 교회’ 중심주의는 ‘영적전사’를 생산하는 장치가 되었다. 이 셋은 상호 연동되면서 산업화 시대의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강화하였다. 셋째는 후기산업화 시대다. 1990 년대 접어들면서 사회주의의 해체와 더불어 냉전 이데올로기가 약화되면서 국내적으로는 반공담론이 잦아든 시기다. 또한 신자유주의의 여파로 산업화 시대의 부양자 모델이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 시대이기도 하다. 이때 경 제적 부담을 서로 나누는 반반 결혼이나 반반데이트 문화가 확산되고 맞벌이를 선호하 는 MZ 세대가 출현하였다. 동시에 산업화 시대의 ‘국민’도 개인의 자율성에 기초한 ‘시 민’으로 대체되고 그 과정에서 ‘시민적 남성성’이 등장하였다. 차이와 다양성을 존중하 는 시민적 남성성은 남성 사회에서 주변화된 남성들의 권리에 주목하면서 헤게모니적 남성성에 균열을 내고 있다. 교회에서는 민주화의 세례를 받은 시민적 성도가 등장하여 권위주의적인 교회의 관행과 문화에 도전하고 있다. 이들의 남성성은 위압적인 영적전 사 모델과 연동된 군사적 남성성과 차별화되며, 온건한 가부장적 모델이 이상적인 것으 로 제시되었다. 두란노아버지학교와 아바러브스쿨 등 교회의 아버지 재교육 프로그램은 다정다감함이나 배려심과 같은 온건한 남성성을 주조하는 대표적인 장치다. 이 글은 수용초기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한국 개신교에서 형성되어온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특성을 규명함으로써 한국 개신교 남성성에 대한 기초 연구로서의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주변화된 남성성과 가부장제의 균열

        정인혁(Jung, In-hyouk) 한국고전연구학회 2021 한국고전연구 Vol.0 No.52

        본 연구의 목적은 『東廂記纂』 소재 <金安國>을 통해 가부장제의 전통적 남성상에서 벗어난 주인공 김안국의 남성성을 살피는 것이다. 그리고 이 텍스트가 지닌 사회문화적 의미에 대해 살피고자 하였다. 소위 사회적 기준을 통해 ‘정상’과 ‘비정상’을 구분하는 이분법적 사고의 한계에 대해 재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텍스트에 재현된 김안국의 주변화된 남성성의 양상과 헤게모니적 남성성에 의한 배제의 양상을 살폈다. 둘째, 헤게모니적 남성성에 의해 배제되었던 김안국과 부인 이 씨의 연대의 관계를 살폈다. 부인 이 씨가 김안국의 능력을 끌어낸 방법은 전통적인 가부장제의 기준에서는 다소 파격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 파격적인 방법을 가능하게 한 이면에는 기존의 가부장제 사회의 질서 체제에서 벗어나 있는 주변화된 남성성과 타자로서 종속되었던 여성성 간의 상호이해를 바탕으로 한 연대가 있다. <김안국>에서 김안국이 성공하는 방식과 그에 대한 주변인들의 인식 변화는 헤게모니적 남성성이 추구하던 가치의 균열을 드러낸다. 가부장으로서 한 집안, 나아가 가부장제 사회를 이끌 김안국은 지금까지 절대적인 방법이라고 생각되어 왔던 것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한다.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전통적인 양상에서 벗어난, 소위 ‘정상’을 벗어난 김안국을 가부장으로서 한 집안과 사회를 이끌 인물로 인정하게 된다는 점에서 기존의 질서 체제는 균열을 드러내기 시작한다. 일견 김안국이 전통적인 가부장제 사회가 제시한 기준, 곧 ‘과거급제’라는 기준을 충족했기에 가부장제 질서 체제가 공고히 유지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지금껏 행하지 않았던 방법, 여성에 의해 주도된 이질적인 방법이 사용된 과정을 인정했다는 점에서 헤게모니적 남성성이 지배해 온 공고했던 가부장제 질서는 한계를 자인한다. 이제 하나의 절대적인 헤게모니적 남성성과 그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규정하는 ‘정상적인’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김안국>은 이렇게 전통적인 남성성이 지향하는 이상과 현실의 불일치를 보여준다. 주변화된 남성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사회체제를 공고하게 유지해 온 기존의 질서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능하게 한다. 기존의 전통적 가부장제 질서와 그것을 구성하기 위한 규칙과 방법들은 사실 허구적인 것에 불과하다는 것이 드러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asculinity of Kim An-guk, the main character who is excluded from the traditional male image of the patriarchal system, and the socio-cultural meaning of “Kim An-guk” in “Dong-sang Gi-chan.” Through this study, I intended to reflect on the limitations of dichotomous thinking that distinguishes “normal” from “unnormal” through the so-called social standards. First, I looked at the aspect of Kim An-guk’s marginalized masculinity and the aspect of exclusion by hegemonic masculinity. Second, I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An-guk and his wife Lee, who were excluded by hegemonic masculinity. The way Kim An-guk’s wife, Lee, drew his ability was somewhat unconventional in the traditional patriarchal standards. Behind that unconventional method was a solidarity based on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marginalized masculinity and the femininity that was subordinated to the other, following the existing orderly system of patriarchal society. The way Kim An-guk succeeds in “Kim An-guk” and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the others reveal the cracks in the values that hegemonic masculinity pursued. Kim An-guk, who will lead a family and further a patriarchal society as a patriarch, demonstrates his abilities in a completely different way from what had been thought to be an absolute method so far. In terms of hegemonic masculinity, the existing order system begins to crack in that Kim An-guk, who used a so-called “unnormal” method that did not conform to tradition, is qualified to lead a family and society as a patriarch. At a glance, the patriarchal order seems to be maintained solidly because it met the standards presented by the traditional patriarchal society. However, it acknowledges the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patriarchal order, which had been dominated by hegemonic masculinity, which had been solidified by acknowledging ways that have not been done before and heterogeneous methods led by femininities. Now, there is no ‘normal’ method to define one absolute hegemonic masculinity and its hegemonic masculinity. “Kim An-guk” shows the mismatch between the ideal and reality that traditional masculinity aims for.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marginalized masculinity will promote a new perception of the existing order that has kept the social system solid. It turns out that the existing traditional patriarchal order and the rule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it are, in fact, nothing but fiction. Masculinity faces the change.

      • KCI등재

        1990년대 중국소설에 나타난 남성성 연구(1)

        최은정 영남중국어문학회 2020 중국어문학 Vol.0 No.85

        In the 1990s Chinese fictions, narratives of masculinity are summarized in three aspects. Firstly, male egos manifest masculinity which aspires to be dominative. the pursuit to hegemonic masculinity accompanies self objectification and loss of his identity. Secondly, hegemonic masculinity is ambilateral. The successful male lacks relationship, only to prove that the practice of hegemonic masculinity is in discord with masculinity which has been provided by patriarchism. Finally, the heterogenized heroic masculinity has been created. It simultaneously embraces positive qualifications of traditionally heroic male identity and the commercialistic trait that goes with the consumeristic society. Meanwhile, the masculinity featuring elimination of everything non masculine reveals nervousness and anxiety for its weakening. Hereby, male narratives in the 1990s Chinese fictions expose precariousness of masculinity with two features. The hegemonic masculinity causes precariousness because it disagrees with the masculinity that is required to practice gender roles granted by the patriarchal system. Also, masculinity becomes precarious because it claims to be powerful. The request for powerful masculinity reminds it of masculinity that leads to control and power. Since the powerful masculinity is built on eliminations of non masculine traits, it contains dangers of isolation and discord. Then it becomes a major precariousness conceived in the strong masculinity.

      • KCI등재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교체와 남성성들로부터의 탈주

        이소윤 한국구비문학회 2019 口碑文學硏究 Vol.0 No.53

        <세경본풀이>에서 자청비, 정수남, 문도령의 관계는 삼각관계의 구도로 지적되어 왔다. 그러나 실상 두 남성 인물은 서사 속에서 직접적으로 대면하지 않는다. 왜 두 남성 인물은 조우하지 않는 것인가. 그렇다면 이들의 관계를 삼각관계로 볼 수 있는 것일까. 본고의 논의는 바로 이러한 물음들로부터 시작된다. 이를 해명하기 위해서는 먼저 정수남과 문도령의 남성성이 이질적이라는 것을 자각할 필요가 있다. 정수남의 남성성은 그의 육체를 떠나서는 이야기될 수 없다. 남근을 중심으로 한 몸과 남근 중심의 섹슈얼리티, 그리고 육체노동으로 이어지는 의미망의 연쇄가 정수남의 남성성을 구축한다. 문도령의 남성성은 문선왕과 문도령, 삼천선비로 연결되는 수직적 위계제에서 비롯된다. 문도령은 문선왕의 권위에 기대고 있다는 점에서 공모적 남성성이며, 끝내 자청비를 쟁취해내는 알파 수컷이라는 점에서 헤게모니적 남성성이기도 하다. 이 점 때문에 문도령은 삼천선비가 질투하는 쟁투의 대상이 된다. 다음으로 주목해야 하는 것은 문도령의 남성성이 부상하고 정수남의 남성성이 격하되고 있는 양상이다. 문도령이 헤게모니적 남성성이 되는 것에 대해서는 우선적으로 조선시대 제주도 내의 지방관과 유배인이 점했던 위치를 유념할 필요가 있다. 이들은 중앙 정계에서는 힘을 쓸 수 없는 처지였지만 제주도에서는 선진 문물인 유학을 소개하는 외부인으로서 극진한 대접을 받았다. 이들의 중간자적 위치가 서사 내에서는 무력한 인물이지만 결과적으로는 상세경으로 좌정하는 문도령으로 표현되고 있는 것이다. 정수남이 헤게모니적 남성성이 되지 못 하는 것은 심방의 말처럼 더 이상 육체 노동이 긴요하지 않게 된 현실의 필연적 결과라 할 수 있다. 이는 몇몇 이본에서 정수남이 하세경에서 세경장남으로 밀려나는 연유를 설명할 수 있는 것이기도 하다. 이렇듯 두 남성 인물이 서사에서 직접적으로 만나지 않는 것은 정수남으로 표상되는 주변화된 남성성에서 문도령으로 형상화된 공모적 남성성으로 헤게모니적 남성성이 교체되는 현실과 관련이 있다. 이상 <세경본풀이>에 드러나는 남성성들은 역으로 자청비의 인물 형상을 부각한다. ‘탈의’를 통해 여성들을 배제하고, 남성들을 서열화하려는 시험에서 남장을 한 자청비는 기지를 발휘하여 승리한다. 이때 끊임없이 자청비의 성별을 의심하는 거무선생의 독백은 그 자체로 자청비가 <세경본풀이>의 남성성을 뒤흔들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자청비는 남장을 한 채로 서천꽃밭의 짐정승 딸애기와 혼인함으로써 결정적으로 섹스와 젠더의 구분을 무화시킨다. 이는 결국 섹스와 젠더의 구분이 허구적 구성물이듯이 <세경본풀이>의 남성성들 또한 허구적 구성물임을 폭로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자청비는 정수남의 남성성과 문도령의 남성성 사이에서 그 누구와도 결연하지 않는다. 이러한 자청비의 행로는 그녀가 남성지배의 여러 형식‘들’로부터 탈주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정수남으로 상징되는 남성성과 문도령으로 상징되는 남성성, 곧 생산 양식의 층위에서 여성을 억압하는 남성성과 문화 양식의 층위에서 여성을 희생시키는 남성성 모두를 거부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청비는 서사 말미에서 성격이 변화된 문도령과 정수남을 배제하지 않고 포용함으로써 ‘농경’이라는 새로운 문화로의 이행을 예고한다. ... The relationship among Jacheongbi, Cheongsoonam, and Moondoryeong in the Segyeong-Bonpuri has been identified as a love triangle structure by researchers. However, the two male characters in the narrative do not ever meet each other in person. Why is this? Can we genuinely call their relationship as a love triangle? The discussion in this study originates from these questions. To find the answers, we first need to understand that Cheongsoonam and Moondoryeong have different masculinities. Cheongsoonam’s masculinity is concentrated on his physical qualities, which are represented by the semantic network of the phallus-centric body, the phallus-centric sexuality, and the performance of physical labors. However, the masculinity of Moondoryeong originates from the vertical hierarchy of his father, Moonseonwang, and is passed down to Moondoryeong and Samcheonseonbi. Moondoryeong shows complicit masculinity, demonstrated by the fact that he is dependent on the power of his father. However, in the end, he shows hegemonic masculinity by obtaining Jacheongbi through marriage. Because of Moondoryeong’s success with Jacheongbi, he becomes Samcheonseonbi’s object of jealousy. Next, in the narrative, the masculinity of Moondoryeong is highlighted whereas the masculinity of Cheongsoonam is overshadowed. To explain Moondoryeong’s position of hegemonic masculinity, we first have to understand the position that the administrator and the exiled had within Jeju island during the Choseon dynasty. Though they were powerless in the mainland, in Jeju island, they were treated highly for having introduced the advanced culture of Confucianism there. The positions of the administrator and the exiled are represented through Moondoryeong’s image as a powerless man who eventually rises to the position of Upper Segyeong. The failure of Cheongsoonam to be a symbol of hegemonic masculinity is due to a society that no longer appreciates physical labor. This explain why Cheongsoonam is demoted from Lower Segyeong to Segyeong-jangnam in some versions. Hence the reason that the two characters do not meet in the narrative lies in the fact that Moondoryeong’s complicit masculinity replaces Cheongsoonam’s marginalized masculinity in the position of hegemonic masculinity. Therefore, the masculinities shown in the Segyeong-Bonpuri highlights the character of Jacheongbi. Jacheongbi, disguised as a man, outsmarts the tests administered to her to prove her sex and wins over Moondoryeong. The constant monologue by Geomu-seonsaeng who suspects Jacheongbi is female also hinders the masculinity presented in the Segyeong-Bonpuri. The marriage between Jacheongbi, who is disguised as a man, and the daughter of Jim-jeongseung in the Seocheon flower garden also eliminates the distinction between sex and gender. Just as this proves that sex and gender are a fabricated construct in the Segyeong-Bonpuri, it also exposes the fabricated nature of masculinities. As a result, Jacheongbi does not end up with either Cheongsoonam and or Moondoryeong. Jacheongbi’s actions indicate that she is escaping from various forms of male domination. She rejects both the masculinities symbolized by Cheongsoonam and Moondoryeong, which keep women restricted to the level of a mode of production, and sacrifice them on the alter of culture style. Nonetheless, Jacheongbi foresees the transition to a new culture called “agriculture” by embracing Moondoryeong and Cheongsoonam, and she changes to a god along with them at the end of the narrative. This shows that feminism is not a concept that exists to confront, replace, or resist men. In the current era, where a powerful wave of feminism is rising, we have fresh reasons to examine the character of Jacheongbi.

      • KCI등재

        <심청전> 속 심봉사의 남성 젠더 실천 양상과 그 의미

        이채은 한국구비문학회 2019 口碑文學硏究 Vol.0 No.53

        Normalized masculinity in society, or the standards of manliness, functions as a type of “dominant fiction” that men must have faith in and follow. In other words, men are continuously demanded to embody the exemplary model of masculinity defined by society. This applies to modern men, but also men in the Joseon dynasty. This research is based on R.W. Connell’s theory of masculinity, and it explores how the character Sim Bongsa– from Joseon dynasty’s later period’s pansori of The Tale of Sim Cheong– portrays the implementations of the masculine gender, and what meaning it carries. Although Sim Bongsa is born a ‘yangban’ (the aristocratic class in Joseon) in the text, due to his blindness he is depicted as a figure removed from Joseon’s dominating class’s notion of “hegemonic masculinity”. Because he is unable to see, he lives the life of a “marginalized man” and is neither able to live as a true yangban as a commoner. Sim Bongsa’s life includes the following implemented aspects of male gender: he either attempts to overcome his physical difficulties by making a tremendous effort to meet the standards of hegemonic masculinity of his time, or continues to seek masculine subjectivity but adjusts it to make it realistically achievable to create a new definition of masculinity. In this process, he makes an individualized and dynamic attempt to cope with reality. This is achieved by complexly merging the idealistic notion of masculinity required of a yangban in later Joseon (rationality based on rhetorical embellishment abilities), with the idealistic notion of masculinity required of a commoner (physical strength, courage, sexual abilities). While the beginning and middle part of the text show Sim Bongsa’s threatened masculinity through the depiction of his lethargic and incapable life, as the plot reaches its denouement, he ‘overcomes’ these threats. Thus, he is shown to have developed into a firm character. He restores his life as a yangban by becoming the father-in-law to the king, punishes woman who had caused him difficulties (Ppeng-ddeok-eomom), and gains a son by marrying a blind person with the surname of “Ahn.” Sim Bongsa’s recovery of his eyesight is accompanied by the recovery of the eyesight of all blind people in Joseon, which foreshadows the desire to recover masculinity in the national aspect. While this shows the intensified crisis of conscience regarding masculinity in later Joseon, it also paradoxically reflects the social circumstances in which patriarchal order was solidified through the reinforcement of a neo-Confucianism order of clan rules. 한 사회에서 규범화된 남성성, 또는 남성다움의 기준은 남성주체들이 믿고 따라야 하는 하나의 이념으로 작동한다. 이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뿐만 아니라 조선시대에도 마찬가지다. 이 연구는 조선 후기의 판소리 작품 <심청전> 속에서 심봉사라는 남성 인물이 당대의 규범화된 남성성, 남성다움의 기준들을 의식하는 가운데 어떠한 젠더 실천들을 보여주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 실천들이 지니는 의미를 분석해보았다. 작품 속에서 심봉사는 비록 타고난 신분은 양반이지만 안맹(眼盲) 때문에 조선시대 지배 집단의 ‘헤게모니적 남성성’과는 멀어진 존재로 그려진다. 눈이 보이지 않기에 그는 온전한 양반의 노릇도, 그렇다고 평민의 노릇도 할 수 없는 ‘주변화된 남성’의 삶을 살아간다. 이러한 조건 속에서 심봉사의 삶은 다음과 같은 남성 젠더 실천 양상을 포함한다: 신체적 곤란을 극복하면서 당대 헤게모니적 남성성의 기준을 충족시키려 배로 노력하거나, 혹은 남성적 주제를 계속 추구하지만 현실에서 실현 가능한 정도로 조정해서 새롭게 남성성을 정의해나가거나. 이 과정에서 그는 조선 후기 양반사대부에게 요구되던 이상적 남성성의 기준(합리성)과 평민에게 요구되던 이상적 남성성의 기준들(완력과 담력, 성적 능력)을 적절히 혼합시켜 현실에 대처해나가는 개성적이고 입체적인 면모를 보여준다. <심청전>의 초중반에는 심봉사의 무기력하고 무능력한 삶을 통해 남성성의 위기 상황들이 고조되지만, 결말에 이르러서는 남성성의 위기를 극복해낸 심봉사의 후일담이 자세하게 펼쳐진다. 심봉사는 부원군의 자리에 오르면서 지배계층으로서의 삶을 회복하고, 그를 곤란에 빠뜨렸던 문제적 여성 뺑덕어미를 처벌하고, 또한 안씨 맹인과의 사이에서 아들까지 얻어 영화를 누린다. 심봉사뿐만 아니라 다른 맹인들이 모두 눈을 뜨게 되는 것으로 확대되는 서사는 국가적, 집단적 차원에서의 남성성 회복에 대한 열망을 암시한다. 남성성의 위기와 강화를 동시에 보여주는 <심청전>의 서사는, 남성성에 대한 위기의식의 고조와 동시에 성리학적 종법질서의 강화와 가부장제 확대가 공존하던 조선 후기의 사회적 분위기와도 일맥상통한다.

      • KCI등재

        지리(池莉)의 < 유료쾌감니취함(有了快感니就喊) >에 나타난 남성성 고찰

        최은정 영남중국어문학회 2016 중국어문학 Vol.0 No.71

        Up to here, how the masculinity was established and realized by the protagonist of <Cry out if You``re Happy>, Bianrongda(비엔롱다) was examined. Chili(츠리) expresses a skeptical perspective about the masculinity as a normative ideal through the process in which Bianrongda established the masculinity. In addition, she takes notice of the risk of the masculinity Bianrongda faces, and she anatomizes the duplicity of the involved masculinity. Particularly, Chili suggests the departure from the normative masculinity by leaving the protagonist, Bianrongda. However, there appear some cases of conformity to the hegemonic masculinity of the day at the same time. It is the case in that the male ego made up of leaving is also originally a genderized man and the one to obey the hegemonic masculinity. In short, it is said that Chili suggests an imaginary exit from a boring everyday life as well as reflects the crisis and chaos of Chinese middle-age men in the 1990~2000’s through the loss and recovery of masculinity of Bianrongda. The process exposes the duplicity of the masculinity of patriarchal societies and shows the masculinity can be a privilege and the oppression.

      • KCI등재

        1990년대 중국소설에 나타난 남성성 연구(2) — <雨天的棉花糖>과 <那个夏季那个秋天>을 중심으로

        崔銀晶(Choi, Eun-Jeong) 한국중국소설학회 2020 中國小說論叢 Vol.62 No.-

        본고는 <雨天的棉花糖>과 <那个夏季那个秋天>를 대상으로 하여, 남성성이 남성자아의 정체성 구축에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홍더우와 겅동량은 가부장제에서 규정한 남성성에서 일탈한 개별화된 남성성을 전시한다. 이들의 비극은 두 가지 측면에서 사유할 가치가 있다. 첫째, 지배적 남성성의 해체이다. 이는 두 가지 측면에서 나타난다. 하나는 지배적 남성성이 남성자아를 억압함으로써 실천된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지배적 남성성의 구축 여부와는 별개로 나타나는 남성자아의 분열이다. 이는 지배적 남성성의 실현 불가능성, 허상성을 보여준다. 둘째, 이분화된 성별 시스템의 공고함이다. 홍더우의 죽음은 이분화된 성별 구조 안에서 개별화된 남성성을 수용하지 않는 사회문화적 심리를 보여준다. 반면, 겅동량의 자아분열은 개인에게 내면화된 이분화된 성별 인식을 증명한다. 요컨대, 이들의 비극은 이분화된 성별 구조 안에서, 다양한 남성성/들이 문화적으로 재현되는 것과 이러한 다양한 남성성/들이 동일한 가치를 부여받고 수용되는가에 대한 문제는 별개임을 설명한다. 개별화된 남성성을 부여받은 소년들의 ‘남성 되기’ 서사가 보여주는 의미가 여기에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how masculinity contributes to establish its identity as male subjectivity by observations on <雨天的棉花糖> and <那个夏季那个秋天>. Their tragedies are worthy to be evaluated in two aspects. The first one is the deconstruction of hegemonic masculinity. It appears in two ways. The hegemonic masculinity is practiced by suppressing male subjectivity, and male subjectivity is deconstructed regardless of success or failure in winning hegemonic masculinity. It proves that hegemonic masculinity is unachievable and illusive. The second aspect is the firmness of the bisected gender system. The social and cultural mentality does not accommodate individualized masculinity in the bisected gender system, and it is rigid enough to lead Hong Dewu to his death. On the other hand, Geng Dongliang feels lost because he recognizes his internalized recognition of bisected genders. The tragedies explain that whether various masculinities are practiced in culture or not is one question, and whether the masculinities deserve equal value and get accepted or not is another question in the bisected gender system. As Hong Dewu and Geng Dongliang’s tragedies, the space for various masculinities will get narrower when the subjectivities, which does not be explained as dominant and universal, get suppressed in the processes of becoming males. The writer must have had enough his reasons and meanings for focusing on these particularly non masculine boys, and making narratives on their journeys of becoming a man.

      • KCI등재

        변화하는 남성성과 젠더 수행 -웹툰 <치즈 인 더 트랩>을 중심으로

        구자준 ( Koo Ja-ju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8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65

        <치즈 인 더 트랩>(이하 <치인트>)은 2010년 7월부터 약 7년간 네이버에 인기리에 연재된 웹툰이다. 웹툰은 2000년대 이후의 대학을 배경으로 여성 주인공 홍설이 겪는 난관들을 사실적으로 그려냈다는 평을 받으며 TV 드라마로도 제작되었다. 현재까지 이루어진 <치인트>에 관한 대부분의 논의는 웹툰이 드라마화된 과정에서 나타난 팬덤-시청자의 반응에 집중하거나, TV드라마의 서사와 청년세대 담론의 연관성에 초점을 맞춘다. 그러나 TV드라마를 바탕으로 한 논의들은 원작에서 서사의 전개에 중추적인 요소로 작용하는 젠더의 문제까지 충분히 조명하지는 못하는데, 웹툰에서 홍설이 겪는 고난은 청년세대가 공유하는 경험일뿐만 아니라 남성중심적 공간에서 여성이 겪을 수밖에 없는 구조적·물리적 폭력을 계속해서 가시화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이 논문에서는 서사에서 남성성이 재현되는 양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웹툰<치인트>의 젠더 문제를 논의하였다. 웹툰은 홍설이 여성이라는 이유로 계속해서 폭력에 노출되고 주변화되는 양상을 보여주는 한편, 전통적 남성성과는 구분되는 다른 유형의 남성성이 헤게모니를 지니고 있는 공동체의 모습을 묘사한다. 이때 새로운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담지하는 대표적 인물이 웹툰의 남성 주인공 유정이다. 홍설과 달리, 유정은 남성동성사회적인 캠퍼스 내외의 공간에서 주변 인물들의 동의와 협조를 바탕으로 자신의 위치를 공고히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그려진다. 그는 권위와 완력, 유대에 의존하거나 여성 및 소수자를 비하하는 대신, 자신의 비즈니스 능력을 바탕으로 주변의 인물들을 도구적으로 활용하며 공동체 내에서 자신의 입지를 확보한다. 흥미로운 것은 유정이 보여주는 헤게모니적 남성성이 단지 생물학적 남성이 전유할 수 있는 것으로만 제시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이러한 남성성은 생물학적 남성의 표지와 여성에 대한 대상화를 반드시 수반하는 것이 아니기에, 홍설과 같은 비-남성 주체 역시 헤게모니적 남성성을 모방하여 수행할 수 있는 가능성이 생겨난다. 그렇기에 홍설은 유정과 유사한 방식으로 행동함으로써 자신을 ‘여성적’으로 규정하는 구조적 압력으로부터 벗어나기 시작한다. 남성들은 유정의 ‘남성적’ 실천을 모방하는 홍설의 변화를 낯설어하지만, 서사에서 이런 변화는 불가피한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Cheese in the Trap is a webtoon series that was published serially on Naver for about seven years from July, 2010. Set in a college campus in the 2000s, the webtoon series was considered to depict realistically the hardship of its heroine Hong-seol and made into a TV drama series. Most of the discussions about the webtoon series have focused on responses from its fandom and viewers in the process of it turning into a drama or on connections between the narrative of the TV drama and the discourse of the young generation. The discussions based on the TV drama, however, fail to shed full light on the gender issue, which works as a pivotal element in the narrative development of the original webtoon series, in which the hardship of Hong-seol not only represents the experiences shared among the young generation, but also continues to visualize the structural and physical violence that women are inevitably subjected to in a male-dominated space. This study thus set out to discuss the gender issue of Cheese in the Trap by analyzing the patterns of masculinity being reproduced in the narrative. The webtoon series depicts the aspects of a community in which a different type of masculinity has hegemony from the traditional masculinity while showing the patterns of Hong-seol being consistently exposed to violence and marginalized just because she is a woman. Here, it is Yu-jeong, the hero of the webtoon series, that represents the new hegemonic masculinity. Unlike Hong-seol, he keeps his position in a solid state based on the consent and cooperation of people around him in spaces in and outside the male-based homosocial campus. Instead of depending on power, physical strength, and bonding or belittling women and minorities, he makes use of people around him as means and secures his own place in the community based on his business abilities. It is interesting that the hegemonic masculinity displayed by him is not presented as something that only biological men can have sole ownership of. Since this type of masculinity is not necessarily accompanied by the mark of biological men and the objectification of women, non-male subjects like Hong-seol can also mimic and perform the hegemonic masculinity. Hong-seol thus starts to act in a similar way to him and escape from the structural pressure to define her to be "feminine." Men find the changes of Hong-seol mimicking Yu-jeong for his "masculine" practice unfamiliar, but these changes are presented as something inevitable in the narrative.

      • KCI등재

        The Revision of Hegemonic Masculinity in the Self-Made Man Myth: Focused on The Rise of Silas Lapham

        Ju lie Yang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2021 영미문학교육 Vol.25 No.3

        My examination of The Rise of Silas Lapham by William Dean Howells assesses the ways in which the titular hero Lapham, an emblematic self-made man figure, represents the shifting constitution of hegemonic masculinity embodied in the self-made man. Early in the twentieth century, with colossal changes in the economic landscape, the values traditionally expected of the self-made man changed drastically. During that change, moral authority, which defined one’s character, and thus used to be an essential quality of the self-made man, gradually lost its significance. However, Howells revives the significance of moral authority in the self-made man. Despite the protagonist’s failure to assimilate into elite society, Lapham “rises,” as the title suggests. For Howells, then, it appears that moral authority is an essential element in demonstrating the protagonist’s worth and ultimately his manhood. Yet, the feminine connotation ascribed onto moral authority,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upper class, complicates the protagonist’s construction of masculinity. The upper class utilized a variety of tactics to keep the privilege of defining hegemonic masculinity’s boundaries under their control because the definition of the dominant form of masculinity continuously changed. Thus, my examination of Lapham through the analytical lens of the self-made man and upward mobility demonstrates the shifting values associated with masculinity and femininity in the period spanning the lat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