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정년계열 전임교원 제도 운영에 관한 이해관계자 인식 분석

        김지하,문보은,장덕호,이선영 한국교육정치학회 2019 敎育政治學硏究 Vol.26 No.2

        The current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full-time non-tenure faculty system by analyzing the status of full-time non-tenure faculty members who have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since 2003 and analyzing the perception of stakeholders related to this system.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concept of full-time non-tenure faculty members was explained based on the preceding literature, and the background and progress of the system were described. Specifically,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the full-time non-tenure faculty members of universities and colleges using the 2016~2018 full-time faculty survey data. Also, focus group interview(FGI) was used as research metho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the direction and future research projects for improving the full-time non-tenure faculty system at the government and university level. 본 연구에서는 2003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비정년계열 전임교원의 현황을 파악하고 본 제도와 관련된 이해관계자들의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비정년계열 전임교원 제도의 향후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문헌을 근거로 대학의 비정년계열 전임교원의 개념에 대하여 설명하고 본 제도의 도입 배경 및 추진 경과를 기술하였다. 구체적으로 2018 대학 기본역량 진단 보고서의 ‘2016~2018 전임교원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일반대학과 전문대학의 전임교원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일반대학과 전문대학의 비정년계열 전임교원과 대학의 교원인사행정담당자로 구성된 4개 그룹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면담 결과를 수렴하여 향후 정부와 대학 차원에서의 비정년계열 전임교원 제도의 개선 방향 및 향후 연구 과제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신자유주의 시대 비정년계열 전임교원 제도에 대한 고찰

        황설중 인문예술학회 2023 인문과 예술 Vol.- No.14

        In this essay, I try to reveal the problems of the full-time non-tenure faculty system hidden in Korean universities and seek a solution. The overall discrimination and poor condition of this kind of full-time faculty within the university has already been investigated by several previous studies. Few people deny that this system has serious problems. The barbarism of neo-liberalism has penetrated into universities, and it is clear that a representative victim brought by the huge trend of this capitalist market is the full-time non-tenure faculty. A number of ways to improve the poor condition of full-time non-tenure faculty have also been suggested by previous studies, and these were mainly to urge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university authorities to recognize the actual situation and to suggest alternatives. We can agree that various solutions in this direction are necessary. However, anyone who knows a little about the circumstances of Korean universities can only be skeptical as to whether such measures can be achieved in the actual fiel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nother new way. I think it is just to organize the faculty labor union. A way of improving this system should be sought not from the level of benevolence provided by the government or universities, but from the level of the acting subject. i.e. the full-time non-tenure faculty itself. This faculty members are the only men who can and should resist the absurd system to escape from the suffering caused by it. Only then can this system be directly and substantially improved or abolished. The fact that the situation of full-time non-tenure faculty is gradually improving, albeit weakly, by organizing the recently legalized labor union and by making a collective agreement shows that my suggestion is a plausible solution. 나는 이 글에서 한국대학에서 은폐되어 있는 비정년계열 전임교원 제도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그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한다. 비정년계열 전임교원들이 대학 내에서 받는 전면적인 차별과 열악한 실태는 이미 몇몇 선행 연구에 의해서도 구명된 바 있다. 이 제도가 지닌 문제점을 부인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신자유주의가 지닌 야만성은 대학 안까지 침투해 왔으며, 그로 인한 희생양 중의 하나가 비정년계열 전임교원임은 분명하다. 이 제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들이 이미 몇몇 선행 연구에 의해 제시되었다. 이것들은 주로 교육부와 대학 당국의 각성을 촉구하고 대안을 촉구하는 것이었다. 이런 방향에서의 해결책이 필요함은 물론이다. 그러나 한국대학의 사정을 좀 아는 사람이라면, 현장에서 그런 방안들이 과연 실현될 수 있는가에 관해서는 회의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다른 새로운 길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나는 이 제도의 개선이나 폐지는 정부나 대학이 베풀어주는 시혜의 차원에서가 아니라, 직접 고통받는 비정년계열의 전임교원들이 저항하고 쟁취하는 주체의 차원에서 모색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비정년계열 전임교원들은 이 제도에 있어 희생양의 차원에서만 서술되었다. 그러나 문제해결의 당사자로 등장해야 이 제도가 직접적이고도 실질적으로 교정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그 길이 어떤 것인지를 제안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비정년트랙 전임교수의 삶에 관한 연구

        김정숙 한국교육사회학회 2013 교육사회학연구 Vol.23 No.2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problems and plans for improving the full-time non-tenure faculty system by investigating the academic lives of full-time non-tenure-track faculty(NTTFs), a population that is increasing in recent yea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full-time NTTFs and analyzed the faculty personnel policies of four universities. According to personnel policies in these universities, the rights of NTTFs are limited despite their full-time status. Also, the interviews indicated that NTTFs positions were not these individuals’ first choice, but rather the second best option available. The structural inequalities and discrimination which they experienced after hiring decreased their sense of belonging in the university. In addition, they were struggling to reconcile the conflicting demands of teaching and research. In the process, NTTFs found it difficult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they should become involved in department affairs and university administration. The status of non-tenure track faculty caused regret, inconvenience, and stereotyping or prejudice during interactions with other college members. Besides, external activities of NTTFs are affecting not only their confidence positively, but also psychological wellbeing of scholars in NTTFs positions negatively. According to analyses of the academic lives of NTTFs, individuals in these positions experience alienation as marginal members of the college. On the other hand, their unstable academic life highlights the fragmentation within college faculty group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discusses some issues that this system causes in higher education. 이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비정년트랙 전임교수의 삶을 심층적으로 분석해 봄으로써 비정년트랙 전임교수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논의해 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비정년트랙 전임교수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4개 대학의 비정년트랙 전임교수 인사 규정을 분석하였다. 인사 규정 분석에 따르면, 비정년트랙 전임교원은 전임교원 신분이었으나 이들이 누릴 수 있는 권리는 제한적이었다. 심층면담 자료의 분석 결과, 이들은 비정년트랙 교수직을 최선책은 아니지만 차선책으로 선택하였다. 임용 후, 이들이 경험한 대학 내 차별적 구조는 소속감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또한 이들은 교육과 연구 활동을 조화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는데 이 과정에서 학과와 학교 업무를 어느 수준에서 관여할 것인가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아울러 비정년트랙 교수 신분은 학교 구성원들과의 상호작용에서 미안함, 불편함, 고정관념과 편견을 불러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했으며, 이들은 대외 활동을 통해 역량을 펼치고 있었지만 심리적 위축감을 경험하고 있었다. 비정년트랙 교수들의 삶에 대한 분석에 기초할 때, 이들은 대학에서 ‘경계인’의 위치에 놓여 있음으로써 소외를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고용의 불안정을 겪고 있는 이들의 삶은 대학교수 집단 내부의 분절 현상을 조명해준다. 연구자는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비정년트랙 전임교수 제도가 한국의 고등교육에 제기하는 몇 가지 쟁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육의 현황과 과제 - 글쓰기 교과목의 구조적 문제를 중심으로

        김소륜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3

        Writing, reflects the writer’s values beyond the mere acquisition of writing skills. Therefore, teaching writings plays a key role in realizing the “well rounded education” that society aims for in the 21st century.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educational and operational states of academic writing classes that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offer to suggest a better educational environment for writing curricula by paying attention to the structural limits of writing courses at domestic universities. As a result, writing courses of present Korean universities apparently stays one-off without considering the individual levels of students. Therefore, the needs for segmentation and continuity of teaching academic writings have been raised. The paper includes discussions concerning a better treatment of full-time teachers to improve the overall quality of classes. This issue corresponds to a key subject that we need to think about together today in that the efforts of professors alone cannot resolve the problems.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teaching academic writings as a requirement in higher education with statistical figures and mostly emphasizes the realistic problems of writing classes by reflecting the voices from the field. Creating a more effective environment for academic writings classes at colleges would be thus anticipated. 글쓰기란 단순한 기술의 영역을 넘어서서 글을 쓰는 사람의 가치관을 반영한다.따라서 글쓰기 교육은 21세기 사회가 지향하는 ‘전인 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핵심적인역할을 수행한다.본 연구는 보다 나은 글쓰기 교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국내외 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글쓰기 교육 운영 현황을 두루 살펴보고,그 과정에서 발견되는 국내 대학 글쓰기 교육의 구조적 한계를 주목하고 있다.그 결과 오늘날 국내 대학강좌는 학생 개개인의 수준이 고려되지 않은 채 일회성 교육에 머물고 있다는 한계를발견할 수 있었다.따라서 글쓰기 교육의 세분화와 지속성에 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또한 전반적인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전임교원의 처우 개선도 논의의 대상에 포함된다고 보았다.이는 교수자 개인의 노력만으로 해결될 수 없다는 점에서, 오늘날 우리가 함께 고민해야 할 핵심적 쟁점에 해당한다. 본 연구는 대학의 교양교육으로서 글쓰기 교육의 현황을 통계적 수치로 점검하고, 무엇보다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여 글쓰기 교육의 현실적인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이를 통해 보다 효과적은 대학 교양 글쓰기 교육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데 일조(一助)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역사와담론』의 한국고대사 연구 50년

        강진원(Kang, Jin-won) 호서사학회 2021 역사와 담론 Vol.- No.100

        1971년 湖西史學會가 설립되었고, 이듬해 『역사와 담론』이 창간되어 오늘날에 이르렀다. 게재 논문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살펴보면, 1기(1972~1998)에는 연구사적으로 의미가 있으며, 오늘날까지도 여러 논문에서 인용되는 성과가 적지 않아 해당 학술지가 초기부터 굳건히 뿌리내렸음을 알 수 있다. 2기(1999~2011)에는 백제사 연구가 심화하였고 그간 성과가 미진하였던 부분으로 연구가 확대되거나 역사고고학을 활용하는 등, 이 무렵 학계의 전반적인 연구 풍토와 결을 같이하였다. 3기(2012~현재)에는 통합적 논의가 진전되었고 이론적 측면으로도 관심이 두어졌으며, 사료 자체에 대한 이해가 깊어져 시대를 선도하는 공론의 장으로 기능하고 있다. 앞으로의 귀추가 주목되는 바이다. In 1971 The Hosuh Historical Association was established. After publishing the first issue of the journal entitled History and Discourse in 1972, it has published articles every year until now. In the first period of its publication history (1972~1998), a number of significant and influential articles were published; some of them are still being quoted. This shows that History and Discourse has settled down firmly in academia from beginning. In the second period (1999~2011), studies in the field of Baekje’s history were particularly remarkable, while some articles spotlighted relatively unnoticed areas or drew on the methods of historical archeology. This corresponds to the general trend in the historical studies of the time. In the third period (2012~the present), there were advancements in the integrative studies as well as the theoretical approaches. Many works published during this period also demonstrated deeper understanding of primary sources of history. At present, History and Discourse is playing a leading role in academia, serving as the site for open-ended discussions.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future development of this journal.

      • KCI등재

        고등교육 정책 및 환경 변화에 따른 대학 교원 신규임용 소요 기간 특성 분석

        김훈호,박환보,김민희 한국교육정치학회 2018 敎育政治學硏究 Vol.2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full time faculty appointment in Korean higher education.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analyzed the duration of full time faculty member appointment of doctoral degree holders and analyzed factors that influence on the duration. The study paid special attention on analyzing change in trends of faculty appointment duration and related influential factors in the paradigm of rapid expansion of higher education(and graduate education) as well as increase in popularity to study abroad during last 40 years in Korea.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duration for faculty appointment of domestic and foreign degree holders in 1980’s was 1.2 year, but it has increased consistently where in 2015 the average duration increased up to 5.1 years. Such change reflect that there are increase in mismatch between supply and demand on doctoral degree holders in academic job market. Also, there were differences in duration based on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country of degree obtained, industry experience, doctoral degree grant institution and such difference was found differently according to appointment period. 국내 고등교육의 팽창과 대학원 교육의 확대, 외국 유학의 보편화 등과 같은 고등교육 환경 속에서 대학 교수가 되기 위한 경쟁은 더욱 치열해졌으며, 박사학위 취득 후 교수가 되기까지 소요되는 기간 또한 빠르게 증가하였다. 하지만 박사학위 취득자들이 교수로 임용되기까지 소요되는 기간이 실제로 얼마나 되는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그리고 이러한 소요 기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무엇인지 등에 대한 실증적 연구들은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박사학위 취득 후 전임교원 신규임용까지의 소요 기간 특성과 그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박사학위 취득 이후 전임교원으로 신규 임용되기까지의 기간은 198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 둘째, 인문계열이나 자연계열과 같은 기초학문 분야의 신규 임용 소요 기간이 타 학문 분야보다 길게 나타났다. 셋째, 산업체 경력은 전임교원 임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산업체 경력이 길어질수록 그만큼 전임교원 임용은 더 오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사학위 취득 대학에서 전임교원으로 임용되는 것은 더욱 어려워졌으며, 이에 소요되는 기간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우수한 전임교원 확보를 위한 노력, 기초학문 분야의 박사학위 취득자들에 대한 노동시장 이행 지원 방안 마련, 박사학위 소지 연구자 및 대학 교원에 대한 통합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의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