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스마트모바일 장치의 터치제스처를 이용한 획 중심 폰트 수정 인터페이스 시스템

        이선중(SunJoong Lee),박일용(Ilyong Park),이승하(Seung-ha Lee) 한국HCI학회 201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

        스마트 모바일 장치의 성능의 향상과 그 사용이 대중화 되면서 사용자들이 시간, 장소, 도구의 제약에서 벗어나 많은 것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예전에는 도구에 숙달된 사용자만 즐길 수 있었던 영역의 일들을 일반사용자도 쉽게 경험해 볼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모바일용 어플리케이션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폰트디자인 분야에서도 폰트제작을 위한 스마트모바일용 어플리케이션들이 많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기존 폰트 수정 어플리케이션들은 주로 폰트의 외형 점을 기반으로 수정하기 때문에 점들을 일일이 옮겨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일반 사용자들이 쉽게 접근하기가 힘들다. 본 논문의 목적은 폰트 수정 인터페이스 방식을 개선하여 일반 사용자들도 쉽게 폰트 제작을 경험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기존의 폰트 외형점 중심 수정 방식이 아닌 폰트의 획을 중심으로 멀티터치제스쳐와 드로잉터치방식을 통해 수정하는 방식의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획 기반 폰트모델을 제안하고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통해 스마트모바일 용 폰트 수정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어 동작을 확인하였다. Mobile device users are capable of doing many things without time, space and tools constraints. There has been many application programs for smart mobile devices that support user to be easily able to perform tasks that should be handled by experts in the past. In typography field, there are also a lot of font editing applications for smart mobile device. Because most of conventional font editing applications have been adopting the method of modifying fonts based on font’s boundary points, it’s a labor-intensive work. So it’s difficult for inexperienced users to edit fonts in such editor application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a method that improves the interface of the font editing system for non-expert users to intuitively experience the font edition and production. For this purpose, the paper proposes a stroke-font model and the interface system that adopts a method to edit fonts based on the font’s stroke by multi-touch and drawing-touch gestures, not based on font’s boundary points. The proposed interface system is verified its performance by implementing an application for smart mobile devices.

      •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영문자의 폰트 분류법

        정민철 상명대학교 산업과학연구소 2002 産業科學硏究 Vol.- No.12

        본 연구에서는 영문 단어로부터 폰트를 분류하기 위해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폰트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폰트 분류를 위해 활자 특성인 Ascender, Descender와 Serif가 사용된다. 입력 단어로부터 Ascender, Descender와 Serif가 추출되어 경사도 특징 벡터가 추출되고, 그 특징 벡터는 인공 신경망에 의해 입력 단어에 대한 폰트 스타일, 폰트 그룹, 폰트 이름이 분류된다. 제안된 폰트 분류 방법은 폰트 정보가 문자 분할기와 문자 인식기에 사용될수 있게 한다. 나아가, 특정 폰트에 따른 Mono-Font 문자 분할기와 Mono-Font 문자 인식기로 구성되는 OCR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This paper presents a font classification artificial neural network. The font classification uses ascenders, descenders, and serifs extracted from a word image. The gradient features of those sub-images are extracted, and used as an input to a neural network classifier to produce font classification results. The font classification determines 2-font style (upright or slant), 3-font groups (serif, sans serif, or typewriter), and 7-font names (PostScript fonts such as Avant Garde, Helvetica, Bookman, New Century Schoolbook, Palatino, Times, or Courier). The proposed font classification method allows an OCR system consisting of various font-specific character segmentation tools and various mono-font character recognizers.

      • KCI등재

        섞어짜기를 위한 돋움체 기반 흘림체 디자인 방법론

        정영훈,안병학 한국기초조형학회 2019 기초조형학연구 Vol.20 No.4

        Font is a medium that allows the power of the message to be expressed beyond the means of the words. For example, if text of exactly the same content is presented in three different font types, the reader receives a different impression depending on the form of the font. Font design continues to develop for the important purpose of expressing text. However, Hangul lacks a range of mixed typesetting expression fonts, such as the italic font used in the Latin alphabet. italic font is generally used to express emphasis, for the titles of created works (books, movies, art, ships, etc), to write words from other languages, etc. However, in Hangul these features of language are expressed through the use of punctuation marks. Mixed typesetting therefore needs to develop a new Hangul font similar to the italic font. Reflecting a recognition of this issue, there is now an attempt to release a Hangul cursive design based on Batang font, a serif font style based on the Latin alphabet However, there is currently no Hangul cursive design based on the Dotum font (a font similar to the sans serif font style of the Latin alphabet). The Batang cursive font differs to Dotum cursive font.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Dotum cursive font design. For mixed typesetting, consideration must be given to matching Dotum regular and cursive fonts. This necessitates a design methodology concerning the font structures of Dotum regular and Dotum cursive font. From the 1900-2000s, four representative Dotum regular fonts have been set based on analysis standards. These analysis standards consist of: 1)basic font elements; 2)detailed features; 3)height; and 4)width. A basic methodology for designing a Dotum cursive font consists of an exploration of adjusted structures following the overlap of regular and cursive fonts. Next to develop the cursive connecting stroke, a detailed adjustment of horizontal typesetting is conducted based on the Dotum regular font. Based on the results, the basic design should consist of 1)structure, form; 2)angle, connecting stroke; and 3)adjustment of horizontal typesetting. The author has chosen “Dotum cursive font” as the font name, based on the Dotum font. This thesis presents a basic methodology used in the design of the Hangul Dotum cursive font. Design of the Hangul Dotum cursive font is ongoing. 글자는 단순히 내용을 표현하는 도구를 넘어 그 형태가 주는 메시지의 힘이 분명하게 존재하는 매체다. 가령 같은 내용의 본문을 다른 세 가지 글자체로 사용할 경우 글자체 형태에 따라 다른 인상을 받는다. 글자체 형태는내용을 표현하는데 중요한 이유로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한글은 라틴알파벳 ‘이탤릭’과 같이 정체와 함께 섞어짜기에 적합한 글자체가 부족하다. 라틴알파벳에서 이탤릭은 일반적으로 이름, 인용, 대화등을 위해 활용하는데, 한글은 대부분 문장부호로 대체한다. 섞어짜기를 위해 이탤릭체와 같이 새로운 한글 글자체 개발이 필요하다. 이런 문제의식을 반영하듯, 최근 흘림체가 출시되는 시도가 있지만 대부분 바탕체 형태에 의존하여 만드는 아쉬움이 있다. 바탕체뿐 아니라 돋움체는 사용 빈도가 높고, 제목과 본문에서 두루 활용한다. 돋움체의 형태와 어울리는 흘림체 디자인은 아직 없는 이유로 그 개발의 필요와 가치가 충분하다. 다만, 돋움 정자체와 섞어짜기 할 수 있는 특별한 흘림체 디자인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1900년~2000년대 디지털 환경에서 제목과 본문에 두루 활용된 돋움체 네 가지와 흘림체 네 가지의 1)글꼴 기본요소 2)세부특징 3)높이 4) 넓이를 분석했고, 디자인을 위한 글자체 기초 방법으로 먼저 돋움체와 흘림체를 서로 겹쳐 골격을 만들었다. 이어 흘림체 특징인 기울기와 이음선을 반영했고, 정자체를 기준으로 가로짜기에 맞게 조정했다. 즉, 1)골격, 형태2)기울기, 이음선 3)가로짜기에 맞게 조정하는 순으로 돋움 흘림체 기초 방법을 정했다. 돋움체를 기반으로 하는 흘림체를 ‘돋움 흘림체’로 연구자가 연구에 명명하기 위해 정한 이름임을 밝힌다. 이 연구는 돋움 흘림체 디자인을 위한 기초 방법론을 세우는 것이 목적이며, 나아가 돋움 흘림체 디자인을 이어 갈 예정이다.

      • KCI등재

        Font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User Evaluation of Font Attributes

        Lim, Soon-Bum,Park, Yeon-Hee,Min, Seong-Kyeong Korea Multimedia Society 2017 The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Vol.4 No.4

        The visual impact of fonts on lots of documents and design work is significant. Accordingly, the users desire to appropriately use fonts suitable for their intention. However, existing font recommendation programs are difficult to consider what users want. Therefore, we propose a font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user-evaluated font attribute value. The properties of a font are called attribut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font recommendation module that recommends a user 's desired font using the attributes of the font. In addition, we classify each attribute into three types of usage, personality, and shape, suggesting the font that is closest to the desired font, and suggest an optimal font recommendation algorithm. In addition, weights can be set for each use, personality, and shape category to increase the weight of each category, and when a weight is used, a more suitable font can be recommended to the user.

      • KCI등재

        폰트식별을 위한 유형분류의 연구 - 한글폰트의 형태변별요소를 중심으로 -

        김나연 ( Na Youn K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8 한국디자인포럼 Vol.23 No.3

        연구배경 폰트디자인 전문 소프트웨어 개발로 인해 폰트의 수가 많이 증가하고, 그 형태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더불어 컴퓨터와 정보통신의 발달로 폰트의 노출이 많아졌다. 이에 폰트에 대한 관심도가 자연스럽게 높아졌고, 사용자의 수도 많아졌다. 이렇게 다양해진 폰트를 객관적으로 검색하여 활용할 수 있는 장치가 거의 없으며, 관리도 미흡한 수준이다. 한글폰트를 선택하기 위한 검색방법은 온라인에서 개인이나 폰트회사가 원하는 나름의 기준으로 분류해 놓은 것을 사용자가 일일이 보고 선택할 수 있게 한 것이 대부분이다. 영상인식을 통한 폰트 검색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나, 이는 실질적으로 찾아야 하는 폰트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야 검색을 할 수 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보안하기 위하여 유형학을 통한 분류체계를 연구하고, 이를 통한 폰트검색시스템의 방향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유형분류를 통한 식별 연구를 탐구하고, 타이포그래피 분야에도 이와 같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는지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유형분류(형태변별요소)를 통하여 실질적으로 폰트를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는(기계적 식별) 가능성을 이론적 고찰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러한 근거를 토대로 폰트식별을 위한 유형분류 기준과 이에 따른 형태변별 대표글자와 요소를 제시하였다. 이후 형태변별요소를 한글폰트에 적용하여 식별되는지를 검증하고, 폰트검색시스템의 방향 제시까지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한글 폰트의 기계적 식별을 위해 형태만으로 분류하는 유형분류기준을 제시하였다. 기준은 조형(굴곡, 접촉, 경사도)과 구조(위치, 비례, 기준선) 6가지이며, 위의 기준을 바탕으로 27가지의 변별요소와 대표글자 24개를 제시하였다. 또한, 조형과 구조의 기준요소를 가지고 2가지의 실질적인 형태변별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 1은 갈래형태요소(조형요소_접촉)를 가지고 25개폰트의 값을 구하였으며, 그 결과 3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검증 2는 361개의 한글폰트의 표현기호를 구하고, 그 중 민부리류 폰트 8개를 선택하여 위치 변별요소만을 가지고 식별 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같은 부류의 폰트가 각각 8가지 유형으로 식별되었다. 마지막으로 5가지의 폰트검색시스템 방향을 제언하였다. 결론 폰트식별을 위한 두 가지의 검증결과는 기하급수적으로 생산되는 폰트에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식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한 폰트검색시스템의 효과는 사용자 입장에서 효율적인 검색과 활용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폰트검색시스템 마련과 구축 연구는 후속 논문에서 더욱 정교하게 다루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폰트형태에 관한 연구의 저변확대와 폰트검색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기를 바란다. Background By font design program, the number of fonts has increased, and its shape is diversifying. Search for the fonts desired by users is to search for fonts uploaded by individuals or companies on the Web. other words there is little to search for the fonts desired by users. Methods Theoretical considerations have validated the possibility of type classification being able to search and utilize fonts. I have presented the criteria for identifying fonts, And representative characters and elements that differentiate between shapes. In addition, the difference element in shape were applied to Hangul fonts, and the scope of the study was to search for the fonts. Result The criteria for type classification for font search are presented.(27 elements and 24 representative letters) tests were carried out based on the results. There were one element of contact with each of the 25 fonts, and the result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361 expression symbols were selected and 8 san-serif fonts were selected for identification verification. A result the same type of font was identified in eight different types. Finally, I presented five font search methods. Conclusion Two verification results for font identification have shown that the identification is possible by immediately responding to fonts produced exponentially. Font search system is available for efficient search and utilization study of the font search system should be handled more elaborately in subsequent papers. continuous study and font search systems can be implemented for font shapes.

      • KCI등재

        구한말 사자관(寫字官) 필체 기반의 폰트 디자인-대한의원개원칙서(大韓醫院開院勅書)에서 한글재민1.0까지-

        이규선 ( Lee Kyu Sun ),김민 ( Kim Mi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3

        한글 폰트는 발전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문화적 산물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2019년 (사)한국폰트협회는 서울· 경기 소재 글꼴 관련 업체를 60개 이상으로 파악하였고 그중 21개의 업체 대상 국내 보유 폰트로 총 6,693종을 보고했다. 최근 글꼴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유행에 민감한 다채로운 디자인의 폰트 개발은 매년 증가하며 한글 글자가 다수 발견되는 고문헌을 기반으로 한 서체 복원 작업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다. 반면에 고서와 달리 한글 글자 수가 적게 나타나는 고문서의 글꼴 연구 및 폰트 디자인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 아직 본연의 빛을 발하지 못하고 있는 수많은 옛 문헌의 글꼴 연구와 이를 기반으로 한 복원· 재해석폰트의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글과 한자가 병기된 19세기 말 왕실의 공식문서와 같이 백여 년 전의 기록이 담긴 고문서의 내용과 글꼴의 미적 가치를 재조명하여 우리 선조들이 남긴 고문헌의 옛 한글 표현과 전통성을 이어나가고 문화유산 디자인 연구 활성화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 옛 문헌으로부터 우리 나라 고유의 문화유산을 이어가기 위해 1908년 순종 황제가 내린 국한문 혼용문서 ‘대한의원개원칙서(大韓醫院開院勅書)’의 옛 글자체의 특징을 발췌하여 그 시대의 한글 표현을 현 시대에 부합하도록 재해석한 폰트 ‘한글재민(在民)’의 개발사례를 제시한다. 이어 전시 및 온라인 무료배포를 통한 재해석폰트의 상용화(常用化)를 위한 연구 진행과정을 상세히 기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조상의 지혜와 조형감각이 담긴 우리 고유의 아름다운 문화가 잊히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컨텐츠를 발굴하여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주목받을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Hangeul fonts are being developed in diverse ways as cultural products in the growing digital age. In 2019, the Korea Font Association reported that 21 out of 60 plus Seoul, Gyeong-gi area font foundries possess a total of 6,693 fonts. As trend-conscious consumption in the area of fonts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the market has become saturated with a plethora of fonts in numerous styles. Yet research and development of restored and reinterpreted fonts based on old literature is insufficient. The historical restoration and digitizing of characters based on ancient books, in which a sufficient amount of Hangeul characters can be extracted are currently in the works. However there is close to no example of reinterpreted or historically restored font designs based on the excavation and research of royal archives such as edicts and diplomatic documents. This research recognizes the need to expand on the development of fonts based on the reinterpretation and historical restoration of Hangeul characters that appear in old liter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lays in the re-examination of the aesthetic value, embedded in ancient typefaces from the late Chosun dynasty (end of the 19th century), and to further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research in the area of heritage design. In order to carry on the legacy and heritage design of Hangeul as a cultural asset, this study uncovers and examines the old typeface of the Korean-Chinese mixed document, ‘Imperial Edict on the Inauguration of Daehan Hospital’ issued in 1908 by Emperor Sunjong. The method of this study is set on the reinterpretation of the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Hangeul typeface of the Imperial Edict and the making of ‘Hangeul Jaemin’ as a response to the usage of fonts in the current digital age. The entire process of producing the font based on the handwriting of the Sachaguan (寫字官) at that time is recorded in detail - from keen examination of the characters to the commercialization of Hangeul Jaemin through an exhibition and free online distribution. This study intends to lay the foundation for global recognition of our unique and beautiful culture through continuously uncovering heritage design assets that contain the wisdom and artistic sense of our ancestors.

      • KCI등재

        폰트 보호제도에 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박승민,송양호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18 동북아법연구 Vol.12 No.2

        최근 몇 년 사이에 지식재산권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폰트 등 글자체의 저작권뿐만 아니라 디자인권 등 침해 및 분쟁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폰트는 문서뿐만 아니라 간판, 포스터 등을 디자인 할 때 중요한 것이 글꼴 즉, 폰트 인데 이렇게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폰트도 저작권법 또는 디자인보호법에 의해 보호를 받고 있고, 폰트 형태 또한 다양하다. 폰트는 컴퓨터프로그램, 손글씨(서예서체) 등이 개발과 동시에 저작권이 발생하게 되므로 폰트를 사용하거나 다운받을 시에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무료 폰트인지 확인이 필요하며, 라이선스에 따른 이용허락 범위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그리고 폰트의 저작권 침해와 관련하여 폰트파일은 컴퓨터프로그램의 저작물로 보호를 받고 있지만, 폰트 자체는 저작권 보호대상이 아니라는 이원적 보호 형태를 보이고 있어 폰트의 저작권 침해 여부의 판단이 어려운 상황에 놓이기도 한다. 또한 폰트는 한 벌의 글자꼴을 디자인보호법에서 보호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폰트의 보호와 관련하여 저작권법 또는 디자인보호법에서 권리자의 권리 보호와 폰트의 공정한 이용을 통해 문화산업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노력도 필요하지만, 폰트는 실용적이고 기능적인 특성을 가진 저작물이므로 폰트의 침해 및 분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고, 권리자의 권리남용 방지 등을 위한 노력과 함께 보호제도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In recent years, as the percep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has increased, infringement and dispute cases such as font design rights as well as the copyright of fonts have increased. In particular, fonts are not only documents but also fonts, which are important when designing signboards, posters, etc. Fonts that are used in various ways are protected by copyright law or design protection law, and font types are also various. Since fonts are copyrighted at the same time as computer programs and handwriting (calligraphy typefaces) are developed,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they are free fonts that are commercially available when using or downloading fonts. And in relation to the infringement of the font, the font file is protected by the copyright of the computer program, but the font itself is not protected by the copyright, so it is difficult to judge the infringement of the copyright of the font. In addition, fonts can be protected by a design protection law for a set of fonts. Therefore, in relation to the protection of fonts, efforts should be made to protect the rights of right holders in the Copyright Act or the Design Protection Act and to help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through fair use of fonts. But fonts are works that have pract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so they should be able to minimize font infringement and disputes, Efforts to prevent the abuse of such rights owners and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problem of the protection system and to improve it.

      • KCI등재

        국내 폰트 라이선스 유형에 대한 연구

        조안나,문하나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3 조형미디어학 Vol.26 No.4

        1인 창작 시대에 폰트는 감성 표현과 정보 공유의 중요한 요소로 활용되고 있으나, 폰트의 라이선스와 저작권 문제로 인하여 관련 분쟁과 저작권 상담 건수는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라이선스 규정은 폰트 유형이나 제작사별로 달라 폰트 사용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무료폰트와 폰트기업의 라이선스 유형과 특징을 비교·분석함으로써 폰트 저작권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통합 라이선스 규정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폰트 라이선스 종류를 ‘인쇄’, ‘영상’, ‘BI·CI’, ‘웹’, ‘임베딩’, ‘Open Font License(OFL)’로 나누어 유형과 사용범위를 체계화하였다. 이어서 보다 상세하게 상업적 무료폰트와 폰트 기업의 폰트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첫째, 상업적 무료폰트는 2023년 10월 기준 ‘눈누’와 ‘공공누리’ 플랫폼의 인기 및 다운로드 순 10개 폰트의 라이선스 규정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둘째, 폰트기업의 경우 보유 폰트 수, 폰트 판매 사이트, 폰트 클라우드 서비스, 그리고 라이선스 정책을 비교 연구하였다. 분석 결과, 라이선스 프리 정책을 운영하는 기업의 경우라도 모바일, 웹, 영상 그리고 임베딩이 별도인 경우가 존재했으며, 임베딩의 분류 또한 달리 규정하고 있었다. 또한 각 폰트 기업마다 라이선스 유형 요소가 상이하여 폰트 사용자들에게 혼란을 야기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시사한다. 마지막 장에서는 폰트 분쟁을 방지하고 사용자가 폰트를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새로운 폰트 라이선스의 통합과 규제에 대한 산업과 기업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하였다. 본 연구가 적법한 폰트 사용을 장려하고, 풍요로운 한글 폰트 문화의 진흥에 기여하는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f license types pertaining to free fonts and those offered by font companies. The objective is to enhance comprehension of font copyright and endorse standardized licensing. The categorization of font license types includes print, image, BI·CI, web, embedding, and Open Font License (OFL). A meticulous investigation is conducted on commercial open-source and foundry fonts. Specifically, scrutiny is applied to the license policies governing the top ten open-source fonts in popularity and downloads on 'Noonu' and 'Gonggon Nuri(Korea Open Government License)' platforms as of October 2023. For foundries, the analysis encompasses font ownership, sales platforms, cloud services, and concomitant licensing policies. Results elucidate that even entities adopting a license-free paradigm have specific provisions for mobile, web, video, and embedding usage, with distinct embedding classifications. Moreover, each font foundry manifests unique constituents within their respective licensing frameworks. In summation, it recommends concerted efforts to standardize emerging fort licensing paradigms, preventing conflicts and fostering secure font application. It is envisag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 seminal contribution towards the advancement of legitimate font utilization and the enrichment of Hangeul font culture.

      • KCI등재

        폰트식별을 위한 유형분류의 연구 - 한글폰트의 형태변별요소를 중심으로 -

        김나연 ( Na Youn K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8 한국디자인포럼 Vol.23 No.1

        연구배경 폰트디자인 전문 소프트웨어 개발로 인해 폰트의 수가 많이 증가하고, 그 형태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더불어 컴퓨터와 정보통신의 발달로 폰트의 노출이 많아졌다. 이에 폰트에 대한 관심도가 자연스럽게 높아 졌고, 사용자의 수도 많아졌다. 이렇게 다양해진 폰트를 객관적으로 검색하여 활용할 수 있는 장치가 거의 없으며, 관리도 미흡한 수준이다. 한글폰트를 선택하기 위한 검색방법은 온라인에서 개인이나 폰트회사가 원하는 나름의 기준으로 분류해 놓은 것을 사용자가 일일이 보고 선택할 수 있게 한 것이 대부분이다. 영상인식을 통한 폰트 검색방법이 연구되고 있으나, 이는 실질적으로 찾아야 하는 폰트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야 검색을 할 수 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보안하기 위하여 유형학을 통한 분류체계를 연구하고, 이를 통한 폰트검색시스템의 방향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유형분류를 통한 식별 연구를 탐구하고, 타이포그래피 분야에도 이와 같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는지 조사, 분석하였다. 또한, 유형분류(형태변별요소)를 통하여 실질적으로 폰트를 검색하고 활용할 수 있는(기계적 식별) 가능성을 이론적 고찰을 통해 검증하였다. 이러한 근거를 토대로 폰트식별을 위한 유형분류 기준과 이에 따른 형태변별 대표글자와 요소를 제시하였다. 이후 형태변별요소를 한글폰트에 적용하여 식별되는지를 검증하고, 폰트검색시스템의 방향 제시까지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한글 폰트의 기계적 식별을 위해 형태만으로 분류하는 유형분류기준을 제시하였다. 기준은 조형(굴곡, 접촉, 경사도)과 구조(위치, 비례, 기준선) 6가지이며, 위의 기준을 바탕으로 27가지의 변별요소와 대표글자 24개를 제시하였다. 또한, 조형과 구조의 기준요소를 가지고 2가지의 실질적인 형태변별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 1은 갈래형태요소(조형요소_접촉)를 가지고 25개 폰트의 값을 구하였으며, 그 결과 3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검증 2는 361개의 한글폰트의 표현기호를 구하고, 그 중 민부리류 폰트 8개를 선택하여 위치 변별요소만을 가지고 식별 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같은 부류의 폰트가 각각 8가지 유형으로 식별되었다. 마지막으로 5가지의 폰트검색시스템 방향을 제언하였다. 결론 폰트식별을 위한 두 가지의 검증결과는 기하급수적으로 생산되는 폰트에 즉각적으로 반응하여, 식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한 폰트검색시스템의 효과는 사용자 입장에서 효율적인 검색과 활용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폰트검색시스템 마련과 구축 연구는 후속 논문에서 더욱 정교하게 다루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폰트형태에 관한 연구의 저변확대와 폰트검색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기를 바란다. Background By font design program, the number of fonts has increased, and its shape is diversifying. Search for the fonts desired by users is to search for fonts uploaded by individuals or companies on the Web. other words there is little to search for the fonts desired by users. Methods Theoretical considerations have validated the possibility of type classification being able to search and utilize fonts. I have presented the criteria for identifying fonts, And representative characters and elements that differentiate between shapes. In addition, the difference element in shape were applied to Hangul fonts, and the scope of the study was to search for the fonts. Result The criteria for type classification for font search are presented. (27 elements and 24 representative letters) tests were carried out based on the results. There were one element of contact with each of the 25 fonts, and the result was divided into three types. 361 expression symbols were selected and 8 san-serif fonts were selected for identification verification. A result the same type of font was identified in eight different types. Finally, I presented five font search methods. Conclusion Two verification results for font identification have shown that the identification is possible by immediately responding to fonts produced exponentially. Font search system is available for efficient search and utilization study of the font search system should be handled more elaborately in subsequent papers. continuous study and font search systems can be implemented for font shapes.

      • KCI등재

        연역적이고 국부적인 영문자의 폰트 분류법

        정민철 한국산학기술학회 200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3 No.4

        본 연구에서는 영문 단어로부터 폰트를 분류하기 위해 연역적이고 국부적인 폰트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이는 문자인식 전에 한 단어의 폰트를 분류하는 것을 말한다. 폰트 분류를 위해 활자 특성인 Ascender, Descender와 Serif가 사용된다. 입력 단어로부터 Ascender, Descender와 Serif가 추출되어 경사도 특정 벡터가 추출되고, 그 특정 벡터는 인공 신경망에 의해 입력 단어에 대한 폰트 스타일, 폰트 그룹, 폰트 이름이 분류된다. 제안된 연역적이고 국부적인 폰트 분류 방법은 폰트 정보가 문자 분할기와 문자 인식기에 사용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특정 폰트에 따른 Mono-Font 문자 분할가와 Mono-Font 문자 인식기로 구성되는 OCR 시스템을 구성할 수 었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This paper presents a priori and the local font classification method. The font classification uses ascenders, descenders, and serifs extracted from a word image. The gradient features of those sub-images are extracted, and used as an input to a neural network classifier to produce font classification results. The font classification determines 2-font styles (upright or slant), 3-font groups (serif, sans serif, or typewriter), and 7-font names (PostScript fonts such as Avant Garde, Helvetica, Bookman, New Century Schoolbook, Palatino, Times, or Courier). The proposed a priori and local font classification method allows an OCR system consisting of various font-specific character segmentation tools and various mono-font character recogniz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