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교육의 개념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 Focus Group Interview를 중심으로

        박귀선,남상준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2009 敎員敎育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ptual awarenes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o understand teachers' idea on such categories as the targets, goals, contents, approach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n situation by Focus Group Interview. The Focus Groups were composed of 2 teacher groups experienc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2 teacher groups in-experienc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Each groups was constituted by 4-5 teachers. Data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was transcriped, coded, and content-analyse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was as follows. First, two categories of target in multi-cultural education, interviewed teachers were aware are inflows from abroad and inner majority. Second, interviewed teachers awareness of the goal in multi-cultural education could be classified into acceptive attitude, recognizing variety, respecting and accepting other groups and cultures, respecting human beings, cooperative attitude. Third, interviewed teachers were aware the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target in multi-cultural education. Fourth, the method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terviewed teachers were grouped into contributions approach, additive approach, transform-the-curriculum approach, social approach, and mixed approach. 본 연구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사용하여 초등학교 일반교사와 다문화교육 경력교사들의 다문화교육 개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후 그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적 다문화교육의 대상,목표, 교육내용과 그에 대한 접근방법 등의 범주에 대한 인식양상을 파악하였다. 포커스 그룹은 일반교사 2그룹과 다문화 교육 경력교사 2그룹 씩 총 4그룹으로 구성하였으며,그룹 당 4~5명의 교사들이 참여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얻어진 자료는 전사한 후 코딩과정을 거쳐 내용분석을 하였으며,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번째 연구문제인 다문화교육 대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크게 외부에서 유입된 구성원과 내부 구성원의 2개 범주로 분류해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인식은 양영자(2008)의 연구에서 다문화교육의 대상을 소수자와 다수자로 분류한 내용과 맥락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두번째 연구문제인 디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수용적 태도,다양성 인정,타집단 및 타문화에 대한 존중과 수용, 인간존중, 협력적 태도 등 9개의 하위범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세번째 연구문제인 다문화교육 내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첫번째 연구문제인 교육대상에서와 같이 하위범주를 외부유입 구성원과 내부구성원으로 분류해 볼 수 있었다. 네번째 연구 문제인 다문화교육 방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교사개별적 접근방법과 Banks의 접근법,활용시간의 범주로 분류해 보았다,다시 하위범주로 교사개별적 접근 방법은 미디어 활용,관련교과, 이문화교육으로 분류되었고,Banks의 접근법에서는 기여적,부가적,변환적, 사회행동적, 혼합적 접근법 등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 외에 활용시간으로는 재량시간이나 상황이 발생할 때마다 교과수업 시간에 영향을 받지 않고 수시로 교육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이 제시되었다.

      • Focus group interview를 이용한 여대생의 영양상담에 대한 요구 분석

        김경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論文集 Vol.- No.7

        본 연구는 여대생의 식행동, 운동습관, 정보의 급원과 사회적지지 그리고 영양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정성적 분석방법인 focus group interview를 1998년 12월 36명의 서울여대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영양교육을 원하는 주제로는 다이어트에 대한 내용을 가장 많이 원하였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올바른 체중감량과 적절한 식단을 계획하는 방법, 행동요법, 폭식조절, 일상생활에서 운동량을 늘릴 수 있는 방법 등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에 대한 교육을 원하고 있었다. 또한 식이요법이나 스트레스와 식습관에 대한 내용도 언급하였다. 그리고 체지방 검사, 혈액검사 등 간단한 영양상태를 판정할 수 있는 검사를 하고 싶다고 대답하였다. 영양교육 방법에 대해서는 처음에 방문하는 어색함을 없애기 위해 집단교육을 실시한 후 지원자를 받아서 개별적인 추후관리를 하는 집단교육과 개별교육의 혼합형태를 바람직하다고 하였다. 원하는 시간에 자유롭게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전화나 인터넷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제시하였다. 주제나 내용에 따라 약속시간을 정하고 자유롭게 적용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사용되는 교육자료는 1-2장 정도로 checklist가 있기를 원하였고 e-mail로 자료를 받는 방법에 대해 긍정적이었다. 인터넷은 일종의 hypertext 정보시스템으로 잘 계획된 체계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얻고 나아가 양방향 정보교환에 의해 자신의 상태에 대한 즉각적인 판정과 이에 따른 개별적인 영양교육이 가능하므로 그 효율성과 의미가 높을 것이다. 비만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신체상의 잘못된 인식을 수정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하고 내담자의 필요에 따라 시간을 달리하여 개별적인 상담과 집단을 대상으로 한 교육도 수행되어야하며 개별상담의 경우 상담에 적당한 공간과 인적 지원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또한 식행동상의 문제점을 갖고 있으면서 병원이나 기관을 방문하는 것은 꺼려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이들이 자가진단을 해 보고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법과 기관들에 대한 안내 등을 하고 정해진 시간에 참석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을 이용한 영양상담 및 교육의 실시가 필요하다. In this study, focus group interview was used to assess university female student's opinions about needs and formations for suitable program development of nutrition counseling. Thirty-six students participated in one of five focus groups during December 1998 in Seoul Women's University. Focus group discussions were video, audio-taped transcribed and analyzed by major themes. Results showed that they wanted nutrition counseling program to learn behavioral skills to adopt healthful life, including healthful eating behaviors, stress management, meal planning for preventing chronic disease, appropriate weight control methods, exercise that fit into their lives. For nutrition counseling methods, subjects showed positive attitudes toward designed of individual, self-help, and continuous sessions for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own needs. These results provided the qualitative information for the more effective and suitable nutrition counseling programs that will be implemented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

      • KCI등재

        설기떡의 조리법 및 관능적 특성에 관한 미국인 대상 포커스 그룹 인터뷰

        서한석,조성은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8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4 No.1

        Purpose: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udy were to identify obstacles experienced by U.S. Americans during their preparation of Seolgitteok and determine sensory characteristics that might reduce sensory acceptance of Seolgitteok. Moreover,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how to modify the current recipe of Seolgitteok to be more approachable to Americans from both cooking and sensory standpoints. Method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different groups: undergraduate student group (n=7), homemaker group (n=7), and culinary professional group (n=5) at the University of Arkansas Sensory Service Center (Fayetteville, AR, USA) in March 2015. Prior to focus group interviews, panelists were asked to cook and taste Seolgitteok samples prepared with either white or brown rice flour according to the currently available recipe. Main contents of collected interview data were identified and categorized into ‘theme’ and ‘sub-theme’ with respect to four aspects: 1) obstacles encountered during cooking, 2) how to overcome such obstacles, 3) sensory characteristics of Seolgitteok, and 4) how to increase consumer acceptance of Seolgitteok. Results: All three groups suggested to shorten the durations of soaking rice grains, to employ an alternative milling process, and to simplify the steaming procedure. Panelists emphasized that using dry rice flour rather than wet rice flour seemed to be easier and more accessible for Americans to cook Seolgitteok. To improve bland taste and flavor attributes, it was suggested to add other flavors and/or ingredients to Seolgitteok using white rice flour. Based on sensory characteristics, while Seolgitteok sample using white rice flour was found to be suitable for consumption as a dessert, Seolgitteok using brown rice flour was identified as acceptable in side dishes or bread items. Conclu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to modify the current recipe of Seolgitteok to be more friendly and acceptable to people in the U.S.

      • KCI등재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에 대한 포커스그룹 인터뷰

        조미림(Cho, Mi-Lim)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20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2 No.2

        연구목적 : 본 연구에서는 치매안심센터에서 수행되는 작업치료 직무 관련 기초연구를 위해 포커스그룹 인터뷰방법을 사용하여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들의 직무에 대해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에 대해 알아보고자 2019년 9월 선정기준에 부합한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 6명을 전문가로 섭외하여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총 6단계로 1단계 전문가 선정, 2단계 사전준비, 3단계 포커스그룹 인터뷰, 4단계 자료전사, 5단계 자료분석, 6단계 결과도출 순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에 대한 통합적 분석 결과, 총 6개의 주제, 34개의 범주, 120개의 세부범주와 222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직무에 대한 주제별 내용 분석 결과, ‘상담’ 책무는 상시적으로 이루어지며, 초기상담보다는 중기 및 후기상담(관리상담)의 실시비중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평가’ 책무의 경우 프로그램과 사례관리 전⋅후 작업치료사 자체적으로 내담자별 필요한 평가에 대해 실시하고 있었으며, 인터뷰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모두 작업치료사가 평가의 전문가로서의 조기검진팀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중재계획’ 책무의 경우 작업요소적인 측면보다 는 활동 및 참여와 관련된 부분을 우선적인 목표로 하며 이용대상자에게 필요한 부분에 대한 중재계획을 수립하고 있었다. 작업치료사는 ‘중재’ 책무와 관련하여 프로그램 진행 외에도 일상생활활동 훈련, 가정환경수정, 필요한 관련 서비스 연계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었다. 또한, ‘교육 및 관리’책무와 관련하여 환자 및 보호자, 종사자, 자원봉사자 교육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연구활동 참여, 대학 및 대학원 진학 등의 ‘자기계발’ 책무를 통해 전문성을 강화하고 있었다. 결론 : 치매안심센터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제도적 개선 및 전문 인력의 역할 정립 및 강화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치매안심센터 작업치료사의 직무를 명확히 함으로써 직무에 대한 이해를 돕고 전문성을 강화시키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the in-depth investigation of the jobs of occupational therapists at dementia care centers by using a focus group interview method for basic research on the jobs of occupational therapy conducted at the dementia care centers. Methods : In order to find out the jobs of occupational therapists at dementia care centers, six occupational therapists from dementia care centers, as experts, who met the selection criteria were invited in September 2019 to conduct a focus group interview. This study was conducted in 6 steps: 1st step of selecting experts, 2nd step of making preliminary preparation, 3rd step of interviewing the focus group, 4th step of transcribing data, 5th step of analyzing data, and 6th step of deriving the result. Results : As a result of an integrated analysis of the jobs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s from the dementia care centers, a total of 6 topics, 34 categories, 120 subcategories and 222 concept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 of each topic regarding the jobs, it was found that the duty of “consultation” is carried out on a regular basis, and the proportion of providing consultation (management consultation) in the mid and the last period is higher than that of initial consultation. In the case of the duty of “evaluation”, the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conducting the necessary evaluation for each client before and after program and case management and all expert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thought that the occupational therapists should be included as an evaluation expert in the early examination team. In the case of the duty of “plan of intervention”, the priority was given to the parts related to activities and participation rather than the aspect of occupational elements and a plan of intervention was established for the parts needed by the subjects. The occupational therapists were carrying out tasks such as training for daily life activities, changing the home environment, and linking to the required services concerned in addition to conducting programs in relation to the duty of “intervention”. In relation to the duty of “education & management”, they carried out programs for patients, guardians, workers, and volunteers, and strenthened their professionalism through the duty of “self-development” such as participation in research activities and going to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for study. Conclusion :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dementia care centers, institutional improvement and the establishment and reinforcement of the roles of experts are essential. We hope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clarify the jobs of the occupational therapists at dementia care centers, helping to understand their jobs and strengthen the expertise and professionalism.

      • KCI등재

        포커스 집단 인터뷰를 통한 유아기 행복의 구성요인과 측정방법 탐색

        이경민 ( Kyung Min L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유아의 행복을 구성하는 요인을 탐색하고 유아기 행복을 측정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자료의 추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유아의 행복관련 선행연구분석을 토대로 유아기 행복을 구성하는 요인과 내용범주별 개념을 추출하여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긍정정서, 부정정서, 강점, 몰입, 주의집중, 참여, 신체건강, 정서적 안정, 자아실현, 회복탄력성, 관계 등 열 한 가지 요인. 둘째, 유아교육전문가 및 행복연구자 9명을 대상으로 4회의 포커스 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여 유아기 행복을 구성하는 요인과 측정 요인의 적합성 및 타당성 확인하였다. 그 결과 유아기 행복측정을 위한 탐색요인은 정서, 몰입과 참여, 신체건강, 정신건강, 관계 다섯 가지 요인과 전반적인 유아의 생활만족 요인을 추가한 여섯 가지로 범주로 구성하였으며 각 요인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문항 총 45개를 추출하였다. 또한 유아행복교육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포커스 집단 인터뷰를 통해 현장의 적용성과 객관적 타당성이 높은 유아기 행복측정방법으로 생활 영역별 제 3자 평정법임을 밝혔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소수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행했기 때문에 대표성의 한계는 있지만 전문가들의 관점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에 기초한 유아기 행복 측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유아기 행복측정 연구의 방안을 모색했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et insights and data from the expert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happiness studies for exploring constructive components and measurement method of happiness of young children. The research carried out focus group interview, on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the subjet of 9 participants based on their career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 teacher or professor, presence or participation in training programs for children’s happiness education, an interest in happiness education or exploring youn children’s better lives. The study consists of 2 stages. Firstly the study produced a semi constructed questionnair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evious studies on happiness and happiness education of young children. The constructive contents were classified and the appropriate method for measuing happiness of young children were verified through the 2 sets of focus group interviews with 6 participants. Secondly the study explored the valid method and organized the items to measure happiness of young children through the other 2 sets of focus group inter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5 componests of the young childrens happiness were found; emotion, engagement and achievements, physical well-being, mental well-being, relations. the third-party observation and assessment methods were found useful to measure children’s happiness and total 45 items were organized to measure children’s happiness.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에서 인류세(Anthropocene) 위기의 심화와 대응방안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

        추성경(SungKyung Chu),윤혜경(HaeGyung Yoon),변소연(SoYeon By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1

        목적 대학 교양교육에서 인류세가 지구환경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인식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통해 인류세 위기의 심화와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법 D대학교 2021학년도 2학기 OOO연구소 인류세 프로젝트 참여자 14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FGI)를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윤리적 측면을 고려하여 총 4회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모든 자료는 전사과정을 거쳐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인류세의 ‘어제’, ‘오늘’, ‘내일’ 등으로 3개 주제, 10개 의미범주, 20개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인류세 어제’에서는 ‘인류세’를 생소한 단어로 인식하였으나 본 프로젝트를 통해 인류세 위기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주변을 돌아보는 성찰의 계기가 되었고, ‘인류세 오늘’에서는 인간의 활동으로 인류는 대가를 치르고 있고, 이로 인해 기상이변, 환경파괴, 쓰레기섬을 확인함으로써 인류세 위기심화에 우려를 표출하였다. ‘인류세 내일’에서는 인간의 활동에 대한 반성, 개인과 국가 차원에서 관심과 실천 그리고 장기적인 대응방안으로 인공돔, 인공태양, 냉동방주, 교양 인류세 콘텐츠 등을 제안하였다. 결론 대학 교양교육에서 인류세 지구환경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봄으로써, 인류세를 초래한 근본원인과 해결방안에 대한 통찰을 통해 지구생태의 위기를 이해하고, 인류세 문제대응과 관련하여 대학생으로서 실천활동으로 연계할 수 있는 근거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Objectives Recognizing that anthropolog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global environment at the level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we intend to seek ways to deepen and respond to the anthropological crisis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Methods Focus group interviews (FGI) were conducted four times for 14 students of the Anthropocene Project at OOO Research Institute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1 at D University. It was conducted four times in consideration of the ethical aspects of the study participants, and all data were categorized and analyzed through the transcription process. Results Three themes, 10 semantic categories, and 20 semantic units were derived from the Anthropocene's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In “Anthropocene Yesterday,” “Anthropocene” was recognized as an unfamiliar word, but through this project, it becam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environment with awareness of the anthropocene crisis, and in “Anthropocene Today,” mankind is paying a price for human activities. As a result, concerns were expressed about the deepening of the anthropological crisis by confirming weather changes,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garbage islands. “Anthropocene Tomorrow” proposed artificial dome, artificial sun, frozen ark, and liberal arts anthropocene Contents as reflections on human activities, interest and practice at the individual and national level, and long-term countermeasures. Conclusions By examining various aspects of the global environment of the Anthropocene in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the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understands the crisis of global ecology through insights into the root causes and solutions that led to the Anthropocene problem.

      • 자살유족의 소비자참여를 통한 집단 서비스 개발 연구

        이구상,박재영,조연정,진희정,김수현,이연화,이명수 서울시정신보건센터 2014 정신건강연구집 Vol.5 No.-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자살유족 당사자의 참여와 욕구를 토대로 자살유족 집단 서비스 방향성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FGI(Focus Group Interview)로 진행하였으며, 2014년 9월 26일 14시부터 18시까지 총 4시간 진행되었다. 참여자는 자살유족 7명과 진행 및 참관, 기록을 위한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종사자가 7명이었다. 인터뷰 형식은 반개방형으로 진행하였으며, 진행자가 준비한 기본적인 질문을 바탕으로 필요한 질문을 추가로 제시하는 형태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자살유족의 심리적 고통은 매우 크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살유족간의 자조모임이 매우 중요하고 의미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유족의 심리정서 상태 및 유족의 욕구에 따라 모임을 다양화할 필요성에 대한 의견이 있었다. 자살유족 자조모임에서 벗어나 개인의 특성에 따른 소모임의 필요성에 대해 동의하며, 기존의 모임과는 다르게 고인과의 관계, 정서상태, 사별시기 등과 같이 유족의 특성에 따른 모임에 대한 의견도 제시하였다. 또한 회복된 자살유족을 중심으로 타 유족의 심리정서 회복을 돕는 ‘봉사’라는 의미의 활동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Objective: This study is a basic data to actively investigate the direction of batch-service for the people bereaved by suicide based on their participation and desire. ■Methods: This study had been carried out with 4 hour FGI(Focus Group Interview) from 14:00 to 18:00 on September 26th, 2014. There were 14 people in the interview: 7 people bereaved by suicide, and 7 people from the Seoul Suicide Prevention Center for progress, observation, and recording. It was a semi-open interview; the host asked the participants the basic questions already prepared, but also added other questions in case of need. ■Results: People bereaved by suicide suffer terribly; therefore, the self-help group program is very important and significant for them to deal with their psychological distress.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types of group by their emotional and psychological condition and desire. This study agrees to end the self-help group for people bereaved by suicide and create the various small groups by individual peculiarities. It also suggests to establish the various meetings for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bereaved such as relationship with suicide, emotional condition, and time of loss instead of the existing ones. The necessity of ‘voluntary service’ by the recovered bereaved also comes forward to help the recovery of the unrecovered bereaved.

      • KCI등재

        건강 및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대한 건강군과 질환군의 인식: 초점집단토의와 심층면접을 사용하여

        이현정,옥민수,김수영,김선희,김선하,조민우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16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16 No.1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and explore perception of healthy adults and chronically ill adults on health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open questions using a focus group discussion for healthy adults (N=6) and in-depth interviews for chronically ill adults (N=6). Previously developed 34 HRQoL items also were offered and participants were asked to select the five most important HRQoL items among them. Results: Findings were elicited along the following themes: health, HRQoL, health maintenance strategies, and elements affecting health. The definition on “being healthy” by healthy participants had a variety of standards and required several conditions to be fulfilled. Whereas chronically ill adults have more flexible perception about the coexistence of health and disease. Health dimensions were thought to affect each other, and physical and mental health dimension were selected as the most important items. As for the five most important HRQoL items, both group participants selected mental health dimension than physical or social health dimensions. Health maintenance strategies were similar in both groups except more healthcare service use in chronically ill adults.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on health and HRQoL between health group and disease group in Korea. It can be used for developing the HRQoL assessment tool reflecting the perception of Korean people. 연구배경: 건강 관련 삶의 질(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은 건강의 여러 차원을 포함하는 주관적 개념으로 문화적인 배경에 따라 다양한 의미를 가진다. 우리나라의 대규모 건강조사에서는 국외의 HRQoL 도구를 사용하는데, 우리나라 사람의 HRQoL 측정시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우리나라 사람의 HRQoL을 타당성 있게 측정하기 위해 건강 및 HRQoL에 대한 인식, HRQoL 측정시 중요한항목에 대한 기초적인 탐구가 필요하다. 방법: 건강한 성인 6명(건강군)은 초점집단토의, 만성 질환이 있는 성인 6명(질환군)은 심층면접을 사용하여 건강및 HRQoL에 대한 개방적인 질문을 하였다. 기존에 개발된 34개의 HRQoL 측정 도구에서 항목을 정리하여 이 중가장 중요한 5개의 항목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결과: 질적 연구 결과 최상위 범주는 건강, HRQoL, 건강관리 전략, 건강 또는 HRQoL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도출되었다. 건강군은 건강 개념에 대해 다양한 기준을 가지고 있었고 여러 조건을 갖추어야 건강하다고 하였으나질환군은 질병이 있는 경우에도 건강할 수 있다는 인식을보였다. 건강군과 질환군은 건강영역이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았고 그중에서 신체적, 정신적 건강영역이 가장 중요하다고 하였다. 건강군과 질환군은 HRQoL에서 가장 중요한 5개의 항목으로 정신적 건강영역에 속하는 항목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다. 건강관리 전략으로는 건강군과질환군이 유사하였으나 질환군은 건강군과 다르게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을 전략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건강 및 HRQoL에 대해 건강한 성인과 만성질환자들이 가지고 있는 인식을 탐색해 볼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사람들의 인식이 반영된 HRQoL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A Qualitative Study on Perception of Virtual Reality-Based Oral Health Education Contents: Focus Group Interviews*

        이경희,최윤영 융합연구학회 2023 융합연구학회지 Vol.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understand the perceptions and intention to utilize of the virtual reality-based oral health education contents among the general public.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by using the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A total of 15 participants were selected, including 5 young people, 5 middle-aged people, and 5 elderly people. Th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December 2022 and February 2023, with two sessions for each group. Through the focus group interviews, four core categories and ten central topics were derived. The four core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e focus group interviews, including experiences and perceptions, educational effects of content, considerations, and limitations of utilization, and the central themes were: experience of using VR-based content, feelings after using VR-based content, expectation of new educational effects, utilization of environmental factors, activation of education, consid erations needed, absence of content information, technical limitations, lack of content, and insufficient environment for educational operation. Whe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virtual reality-based oral health education conten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ge-specific characteristics and come up with a way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virtual real ity-based educational content.

      • KCI등재

        당뇨환자의 식사처방 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심리적 요인 분석 I: Focus Group Interview를 이용하여

        최선정,박혜련,박동연,안홍석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0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socio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ing the compliance of dietary regimen in diabetes by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fifty three diabetes patients in eleven focus groups from September 1997 to March , 1998 in Seoul and Suwon Korea. The interviews were tape-recorded and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re analysed by researchers. The subjects knew the causes, complications, and therapies of diabetes although they were incorrect at times . Patients had a wide range of outcome expectations from very optimistic to pessimistic. They recognized diabetes as a disease which needs life-time care, and they though that good care could provide a normal life. One the other hand they thought diabetes could lead to death through complications, and cause financial problems as well as social isolation. As for self-efficacy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compliance to diet regimen but they thought the diet therapy was very difficult and were not very willing to follow it. They felt medical professionals, especially doctors, were influential for the therapies. However they frequently felt counselling provided by doctors was insufficient in time and content and led to attitude problems. They felt support from families and others was often insufficient and inadequate. Nutrition education fostering outcome expectation,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is needed to increased compliance. The most influential referents were medical professional including doctors, nurses, dieticians, so their role in diet therapy should by emphasi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