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비자–팬덤과 팬덤의 문화 정치

        김수아 한국여성문학학회 2020 여성문학연구 Vol.50 No.-

        As the resistance of fandom is mainly being explained to be participation based on technology in recent fandom studies, only parts of the aspects of fandom are relatively standing out. This article attempted to reveal the cultural meanings of multi-layered aspects for the hierarchical order composition and boundary-policing of fandom. Fandom construct consumer-fandom identities through passionate consumption and it is a community that makes consumptions of a communal nature, pursuing the ‘same things’ with idol stars. When this happens, the values of having the same things are being substituted as meanings of success under neo-liberalism systems. It was observed that demands are being made for idols to suspend their individuality for commercial success within productivity envy systems and aspects that compose exchange values are appearing through construction of discourse that fandom is also making the same sacrifices. Consumer-fandom discourse focused on such exchange values pointed out that there are problems in which the exploitative structures of industries or problems with the emotional labor of idols are being granted grace behind the value of success, and such dynamics are operating as identical forms of suppression on fandom as well. Also, discussions were made regarding the issue in which fandom is being symbolized based on a meritocracy through the gendered identity of ‘mother’. Discussions were made of how other alternatives should be constructed. 팬덤의 저항성이 기술에 기반을 둔 열정과 참여로 주로 설명되면서 주로 긍정적인 팬덤 실천이 연구 및 대중 담론에서 부각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팬덤의 다양한 행위 양상 중에서 팬덤의 위계 구성 및 경계 짓기 실천의 문화적 의미를 드러내고자 하는 것이다. 팬덤은 열정적 소비를 통해 소비자–팬덤 정체성을 구성하는 한편으로, 아이돌 스타와 함께 ‘같은 것’을 추구한다는 허구적 공동체성을 소비한다. 이때, ‘같은 것’의 가치는 신자유주의 체계 하에서의 성공이라는 의미로 치환되어, 생산성 선망 구조 속에서 아이돌에게 상업적 성공을 위해 개인성을 유예할 것을 요구하고 팬덤 역시 이를 위해 희생한다는 담론을 구성하고 있다. 이는 교환 가치의 틀과 소비자 담론 안에 팬덤의 실천을 한정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 글은 교환 가치 중심의 소비자-팬덤 담론은 산업의 착취적 구조나 아이돌 감정 노동의 문제 등을 성공이라는 가치 뒤로 유예하게 하는 문제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고, 교환 가치의 문제가 팬덤에게도 동일한 억압으로 작동하고 있음을 보였다. 또한 어머니라는 젠더화된 정체성을 통해 능력주의를 바탕으로 팬덤의 실천이 표상되는 것의 문제를 논의하고 이의 대안이 어떤 방식으로 구성되어야 할지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팬덤의 소셜 미디어 이용 양태에 따른 아이돌 세대별 팬덤 문화의 변화

        한미화,나은경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2

        Given that the current Idol fandom has been enormously affected by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such as the Internet, mobile or social media, this study explored how generational fandom culture has been shifted depending on the fandom’s use of differential online platforms and services, i.e., online community vs. social network services. The survey results indicate that 3rd generation fandom showed significantly greater intimacy, greater attachment/worship, greater similarity toward Idol stars as well as greater fandom loyalty and greater fandom identity than 1st and 2nd generation fandom. Similarly, compared to online community centered fandom, social network centered fandom showed greater intimacy, greater attachment/worship, greater similarity as well as greater fandom loyalty and identity than community-centered fandom. 본 연구는 아이돌 팬덤 현상에 대해, 팬덤의 시대별 특징 및 이용 매체의 속성에 따른 영향과 차이를 살펴보고자, 3세대 아이돌 팬덤과 1,2세대 아이돌 팬덤의 문화 차이, 그리고 인터넷의 발전에 따른 팬덤의 소셜 미디어 이용 양태의 차별적 영향을 실증적으로 탐구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아이돌 팬덤을 중심으로 설문조사 분석 결과, 3세대 아이돌 팬덤은 1,2세대 팬덤보다 아이돌에 대한 친밀감, 연애감정/숭배심리 및 동질감이 더 높았으며, 팬덤 충성도 및 팬덤 정체성도 높게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주로 이용하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대해서는, 네트워크 중심소통 팬덤이 온라인커뮤니티 중심소통 팬덤에 비해 친밀감, 연애감정/숭배심리 및 동질감이 더 높았고, 팬덤 충성도 및 팬덤 정체성 역시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팬덤의 세대 변화 및 소셜 미디어 이용 양태에 따른 아이돌 팬덤 문화의 변화의 함의에 대해 논했다.

      • KCI등재후보

        팬덤공중의 성격에 대한 시론: 검찰개혁 촛불시위에 나타난 문재인 팬덤을 중심으로

        김정호 참여연대 2020 시민과세계 Vol.- No.36

        This study views political fandom as a phenomenon that shows a new type of political participation and citizenship.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calls the members of the political fandom 'the fandom public.'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 of the fandom public. In dong so, this study focuses on the analysis of Moon Jae-in's fandom. One of the central factors to make the members of the fandom public to enthusiastically support a particular politician is their psychological attachment to the politician. This attachment tends to lead to over-indulgence in politics and irrational partisanship. This study, however, shows that the enthusiastic support of a politician does not stem solely from a simple psychological attachment to the politician. The members of the fandom public support a particular politician not only because of their personal tastes and the image of the politician, but also because of the choice made through the process of their own thoughts. They, moreover, try to form their opinions on public issues through their own thoughts. In this sense, they are thinking subjects. The members of the fandom public support a particular politician because they believe that the politician pursues the social or political values ​​they think is important. This belief leads them to think that their fandom activities are socially right and valuable. Their ultimate goal is to gain empathy and agreement from citizens outside of their fandom. Their fandom activities, therefore, are inherently public-oriented. Due to the fact that their fandom activities are socially right and public-oriented, the members of fandom public think that their opinions and actions should be reasonable. In short, they are political subjects that have contradictory tendencies of irrational partisanship and rationality. 이 연구는 정치팬덤을 새로운 유형의 정치참여와 시민성을 보여주는 현상으로 바라보고, 정치팬덤 구성원들을 ‘팬덤공중’으로 부른다. 이 연구의 목적은 문재인 팬덤의 분석을 통해 팬덤공중의 성격을 탐색하는 것이다. 팬덤공중이 정치인을 열성적으로 지지하도록 하는 중요한 요인은 정치인에 대한 애착심이다. 하지만 이 연구는 팬덤공중의 열성적 지지가 정치인에 대한 단순한 애착심에만 기초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팬덤공중이 특정 정치인을 열성적으로 지지하도록 하는 또 다른 요인들은 이들이 팬덤 활동을 통해 얻는 기쁨과 지지 정치인의 정치적 성공과 실패에 대한 의무감과 책임감이다. 이러한 감정들은 애착심과 더불어 팬덤공중으로 하여금 정치에 대한 과몰입과 비합리적 당파성을 야기하는 경향이 있다. 팬덤공중은 사고하는 정치적 주체로서 이들이 특정 정치인을 지지하는 것은 개인적인 정치적 취향과 그 정치인에 대해 이미지 때문만이 아니라 스스로의 고민과 생각의 과정을 통해 내린 선택 때문이다. 팬덤공중이 사고하는 주체인 까닭에 이들은 항상 공적 쟁점에 대한 의견의 다양성과 차이를 갖게 되고 나아가서 갈등이 일상화되는 경향이 있다. 팬덤공중은 지지 정치인을 통해 자신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사회적 또는 정치적 가치를 실현하려는 동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동기는 팬덤공중으로 하여금 자신들의 정치적 지지가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일이라고 믿도록 한다. 정치팬덤 활동의 궁극적 목적은 팬덤 외부의 시민들로부터 공감과 동의를 얻으려는 것이다. 따라서 정치팬덤 활동은 본래적으로 공적 지향성을 가진다. 자신들의 팬덤활동이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일이라는 믿음과 공적 지향성을 갖는다는 생각은 팬덤공중이 합리성을 추구하도록 하는 요인들이다. 이 연구는 팬덤공중은 서로 간에 연대와 통합의 성향과 갈등과 논쟁의 성향을 함께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합리성의 지향과 비합리성의 경향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정치적 주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팬덤공중이 갖고 있는 이러한 상반된 성향은 왜 팬덤공중이 다면적인 모습을 갖는 가를 잘 설명하고 있다.

      • KCI등재

        소셜미디어 데이터 분석을 통한 팬덤 지표 연구

        전재영,김명준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19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6

        This study aims to find a new index which can measure the scale of each K-POP group fandom. Unlike previous fandom studies, which have been mainly done in the terms of society and culture such as fan culture and its practices, this study focuses on fandom data and estimating the fandom scale. The album sales volume is a good measure of the fandom scale, however it is only measurable when the release times of groups are similar and can not make a direct comparison between groups at certain time. Thus we device a new fandom index based on social media data analysis which can complement the limitation of album sales volume as an index. We found that Twitter is the most appropriate social media for tracing data of fandom activity. Figuring out that fandom activities in Twitter are driven by fandom leaders, we propose “total volume of users who are following fandom leader” as a new fandom index. In experiments the proposed index shows similar values to that of album sales. It is a meaningful replacement fandom index measurable any time, which fandom industry can refer to. 몰입도 높은 팬덤을 확보하는 것은 아이돌의 성패를 가르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본 연구는 한국 아이돌 팬덤에 대한 사회문화적 연구에 비해 그 경계와 규모에 대한 논의는 부족했던 점에 주목하여 특정 그룹의 팬덤 규모를 가늠하는 지표를 고안하고자 한다. 음반판매량이 팬덤 규모의 지표로서 적절하지만 상시 측정이 어렵고 시기적으로 비슷한 기간에 발매되지 않은 팬덤 간의 비교는 불가능하다는 한계를 지녔다. 이를 보완하고자 소셜미디어 데이터 분석에 의한 대체 지표를 고안한다. 소셜미디어 중 팬덤 지표를 측정하기 적합한 소셜미디어는 트위터로 나타났다. 트위터 내에 존재하는 팬덤 문화 양상에 주목하여, 해당 문화를 주도하는 팬덤 리더를 찾고 이를 팔로우하는 총 사용자 수를 팬덤 지표로 제시하였다. 제안된 지표는 상시측정이 가능하면서도 음반판매량 지표와 부합하는 유의미한 지표임을 실험으로 확인하였다.

      • KCI등재

        K-Pop 팬덤 콘텐츠의 유형 연구- 유튜브 플랫폼을 중심으로 -

        오윤지,김치호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22 문화콘텐츠연구 Vol.- No.26

        본 연구는 유튜브 속 K-Pop 팬덤 콘텐츠의 유형화를 시도함으로써 팬덤의 향유활동의 지형을 구조적으로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재 유튜브에서 활성화된 팬덤 콘텐츠는 상위구조에서 파생되는 하향식 콘텐츠와 팬덤이 생성한 상향식 콘텐츠가 모두 존재하나, 상향식 콘텐츠가 주를 이루며 역동적이고 주체적인 팬덤 향유활동의 모습을 나타낸다. 이런 현상 속에서 본 연구는 팬덤의 생산적 양상에 주목하였으며 팬덤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기준을 모색하였다. 귀납적 원리를 이용하여 K-Pop 팬덤 콘텐츠 130개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팬덤 콘텐츠의 ‘생성 구조 형식’과 ‘생성 요소’를 기준으로 텍스트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팬덤 콘텐츠는 1차 콘텐츠를 기반으로 변형된 ‘1차 콘텐츠 기반 생성’의 형태와 팬덤이 새롭게 구성하여 만든 ‘새로운 콘텐츠 생성’의 형태가 구조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팬덤 콘텐츠의 생성 요소는 ‘지식적 정보’와 ‘감각적 정보’라는 두 가지 특징이 도출되었다. 결과적으로 ➀1차 콘텐츠 기반 생성-지식적 정보 ➁1차 콘텐츠 기반생성-감각적 정보 ➂새로운 콘텐츠 생성-지식적 정보 ➃새로운 콘텐츠 생성-감각적정보로 분류되었으며, 이를 팬덤 콘텐츠 사례를 통해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유튜브K-Pop 팬덤 콘텐츠의 지형을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것에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ructurally suggest the topography of fandom’s enjoyment activities by attempting to categorize K-Pop fandom contents in YouTube. Fandom contents that are currently active on YouTube includes both top-down contents derived from a higher-level structure and bottom-up contents generated by fandom, but bottom-up contents are predominant, showing dynamic and subjective fandom enjoyment activiti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focused on the productive aspects of fandom and sought a standard for systematically classifying fandom contents. Using the inductive principle, 130 K-Pop fandom contents were set as research subjects, and tex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creation structure format and creation factors of fandom cont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rm of ‘creation of primary contents-based’ in which fandom contents were transformed based on primary contents and the form of ‘new contents creation’ newly composed by the fandom were structurally revealed. In addition, two characteristics of contents creation factors of fandom contents, ‘knowledge information’ and ‘sensory information’, were derived. As a result, it was classified as ➀creation of primary contents-basedknowledge information ➁creation of primary contents-based-sensory information ➂creation of new contents-knowledge information ➃creation of new content-sensory information, and this was exemplified through the case of fandom contents.

      • KCI등재

        우리는 항상 무엇인가의 팬이다: 팬덤의 확산, 덕질의 일상화, 취향의 은폐

        이응철 ( Lee Eungchel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6 韓國文化人類學 Vol.49 No.3

        이 글은 한국 젊은이들의 팬덤과 덕질에 대해 다루고 있다. 특정 장르에 주목하지 않고 팬덤 일반에서 발견할 수 있는 경향성을 언급하였다. 지금까지 팬덤에 대한 연구는 주로 아이돌 팬덤에 대해 이루어졌다. 아이돌 팬덤의 규모가 크고 조직화도 잘 되어 있으며 산업적으로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한국 청년들의 팬덤과 덕질은 그보다 훨씬 큰 범위에서 이루어지고 팬들이 관심을 갖는 영역도 다양하다. 만화, 영화, 인디음악, 소설, 역사, 스포츠, 게임 등의 장르뿐 아니라 어떤 그룹의 특정 멤버에 대해서만 팬인 경우도 있다. 한국 사회에서 인터넷과 미디어의 성장과 함께 어린 시절을 보낸 한국의 청년들은 미디어에 자연스럽게 접하면서 팬덤이라는 현상에 대해서도 익숙해졌다. 성장하면서 선호의 대상이 바뀌는 경우가 있는데 그렇더라도 팬덤은 이들에게 일상적인 활동이 되었다. 팬덤의 장르에 따라 조금씩 다르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문화상품의 소비는 중요한 특성 중 하나이다. 공식적으로 생산되는 음반이나 음원 스트리밍 등의 서비스 외에 팬들이 직접 생산한 2차 창작물 소비도 팬으로서의 성원권을 보여주는 소비의 일환이다. 또한 팬들은 정보와 자료를 구하기 위해 다양한 미디어 플랫폼을 이용하는데 최근에는 트위터를 많이 이용한다. 팬덤은 무엇인가를 좋아하는 취향의 문제이다. 그런데 어떤 경우 자신의 팬덤을 숨기고 일반인인 척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아이돌 팬덤은 하찮은 것으로 취급받거나 일본 애니메이션 팬덤은 적대시된다. 또한 여성 스포츠팬은 스타의 외모만 보는 팬으로 여겨진다. 이와 같은 취향의 위계화 속에서 자신의 취향 때문에 자신이 평가되는 것을 바라지 않는 팬들은 자신의 취향을 드러내지 않으려 한다. The fandom of Korean youth is discussed in this article. Fandom studies usually focus on “K-Pop Idol” fandom, because idol fandom is well known, big-sized and well-organized, and it holds a large consumer market in the culture industries. However, the fandom of Korean youth cannot be confined to idol fandom. The areas of interest of fans are various, including comics, movies, indie music, novels, history (and historical dramas), sports, internet games, and more. As the informants of this study grew up alongside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information media, and they are used to popular culture and its fandom. We can say that fandom is their conventional activity. There are some characteristics in Korean youth fandom. Although cultural details are different from one genre to another, consuming “cultural goods” is very important in the fan`s world. Cultural goods in fandom includes more than only the official products like music CDs, T-shirts or listening to music repeatedly via internet streaming service, but also secondary products produced by fan themselves which include fan-fic (fan fiction), illustrations, photos taken by themselves, key-rings, self-made figures, and more. To consume these goods means to show one`s own identity as a fan, and they think they can have true membership through consuming the goods. To get some information about their favorites an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fans are using various media platforms. One of the most useful communicating platforms is Twitter. Fandom means some kind of taste. However, sometimes some fans try to hide their own taste for fandom. For example, idol fandom is treated as vulgar or shallow-brained. In addition, some women who are fans of sports like baseball, football and e-sports are viewed as if they are merely looking for handsome guys. Another such case is that it is not considered appropriate in Korea to prefer Japanese animations or comics. Hence, there is a“hierarchy of taste.” In this hierarchy, some fans who do not want to be evaluated through their own taste try to conceal the fact that they are fans of a specific genre.

      • KCI등재

        PR에서 정치 팬덤의 활용 방안 연구: ‘K팝 팬덤의 놀이에서 정치 팬덤의 길을 찾다’

        장현석 한국PR학회 2023 PR연구 Vol.27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politics fandom as a subject of PR and to derive measures for politics fandom to operate in the public. Specifically, using the theoretical concept of play, this study examined the process and operation of K-pop fandom in the public and sought strategies to show capacity as the public of politics fandom in the public relation (PR) field. Methods To do so,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politician Lee Jae-myung's fandom.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play of politics fandom is based on creation, maintenance, and spread of fun. It has characteristics of 'coincidence' to experience media, 'autonomous normality' within the community, and 'openness' to share a worldview beyond the community. Conclusions Political fandom is characterized by individuality as a public in that it is based on critical emotions with the purpose of winning opposing politicians. Academically, the process of forming the politics fandom was identified through a play mechanism to find clues to further subdivide the public. In practice, it is expected to help establish a PR strategy for politics fandom while specifically proposing a message strategy for supporters who have developed into a fandom of a specific politician. 연구목적 본 연구는 PR 대상으로서 정치 팬덤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정치 팬덤이 공중으로 작동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놀이라는 개념을 활용하여, K팝 팬덤이 공중으로 진화하는 과정과 작동 방식, 그리고 공적 영향력 확산 양상을 분석한 후, PR 영역에서 정치 팬덤의 공중으로서 역량 발휘 전략을 모색한다. 특정 대상에 대한 정서적 애착을 기반으로 형성된 이기적인 팬덤 공동체가 친 사회적인 역할 수행을 통해 공중으 로 거듭나는 과정에 주목하면서, 정치 팬덤 공중의 작동 메커니즘을 해명하는 데에 집중한다. 연구방법 정치인 이재명 팬덤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이재명 팬덤은 정서적인 유대감과 공동체 가치를 중심으로 적극적이고 열정적인 공동체 수행을 한다. 놀이를 통해 비호감은 호감으로 바뀌고, 자율적인 공동체 규범과 개방적인 세계관을 공유하는 놀이 공동체의 특징을 보인다. 공동체 안에서 팬 개인은 자신이 처한 사회적 맥락과 환경에 따른 ‘개별성’을 경험하고, 이재명 후보를 지지하고 당선시키기 위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탄력적’인 공동체 생존 전략을 발휘한다. 결론 및 함의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학문적으로는 정치 팬덤 공중의 형성 과정을 놀이 메커니즘을 통해 규명하여, 정치 팬덤 공중을 보다 세분화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하고, 실무적으로는 특정 정치인의 팬덤으로 발전한 지지자들을 대상 으로 한 메시지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여, 정치 팬덤을 대상으로 PR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아이돌 팬덤 문화에 기반한 팝업스토어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권새실,정강화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사회에 이르러 문화 산업은 기존의 경제 활동과는 다른 창조적인 형태의 가치를 창출하며, 특히 팬덤(fandom) 문화는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팬덤 문화는 아이돌 그룹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로서, 아이돌 그룹과 기획사는 팬들의 기대에 부응하고 팬덤 유지 및 성장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그 중 팝업스토어는 아이돌 팬덤 문화와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아이돌 그룹을 주제로 하여 오픈된 팝업스토어를 중심으로 사례 분석하여, 아이돌 팬덤 문화에 기반한 팝업스토어의 공간적 특성을 도출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아이돌 팝업스토어에 대한 향후 발전 방향을 기획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아이돌 팝업스토어의 사례 분석을 통해 아이돌 팬덤 문화에 나타나는 팝업스토어의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아이돌 팬덤 문화, 팝업스토어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선행연구를 조사ㆍ분석하여 아이돌 팬덤 문화의 특성과 팝업스토어 공간 특성을 도출한다. 둘째,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해 낸 아이돌 팬덤 문화 특성 3가지와 팝업스토어 공간 특성 5가지를 바탕으로 공간 특성을 분석한다. 국내 대형기획사 소속 아이돌 그룹 ‘BTS’를 사례로 서울권 팝업스토어 5곳을 분석하였다. (결과) 아이돌 팝업스토어에 분석을 위한 대한 분석틀을 제안하여 사례 5곳을 분석한 결과, 한 아이돌 그룹에만 집중하여 기획된 팝업스토어가 희소성, 다양성, 상호작용의 특성이 더 좋게 나온 것으로 확인되었다. 차별성의 측면에서 공간을 구성할 때 주로 아이돌의 대표곡 뮤직비디오와 앨범에서 사용된 색상, 이미지, 메시지, 장면 등을 활용하여 공간을 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성의 측면에서 팬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 위해서 새로운 굿즈들을 계속해서 출시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참여성의 측면에서 팬덤 내에서 익숙하게 공유하고 있는 요소를 이용하여 참여를 이끌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아이돌 그룹의 세계관, 자체콘텐츠, 수록곡같은 요소를 활용하여 정체성과 팬덤의 조직성을 강화하고, 니즈를 파악하여 적절한 굿즈를 개발, 브랜드와의 콜라보를 통해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는 체험 요소를 구성한다면 한다면 풍부한 공간 구성과 팬들 간의 추가적인 공감대를 불러일으키고 조직성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향후 아이돌 팝업스토어는 계속해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며, 브랜드 팝업스토어와는 다른 차별점을 지닌 팝업스토어로서 발전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modern society, the cultural industry creates creative forms of value that are distinct from existing economic activities, and in particular, the fandom culture affects various fields and is growing rapidly. Fandom culture is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idol groups, and idol groups and agencies are making various efforts to meet fans' expectations and maintain and grow fandom, and the pop-up store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space that provides new experiences through combination with idol fandom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op-up stores based on idol fandom culture by analyzing cases around pop-up stores opened under the theme of idol groups. This can help plan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 idol pop-up store. (Method)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op-up stores that appear in idol fandom culture through case analysis of idol pop-up stores. Firstly, the concept of idol fandom culture and pop-up store is summariz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prior research is investigated and analyzed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idol fandom culture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op-up store . Secondly, spatial characteristics are analyzed based on three characteristics of idol fandom culture and five characteristics of pop-up store spaces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Five pop-up stores in Seoul were analyzed using the idol group "BTS", which belonging to a large domestic agency.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five cases by proposing an analysis framework for analysis to idol pop-up stores, it was confirmed that pop-up stores designed to focus on only one idol group had better characteristics of scarcity, diversity, and interaction. When constructing the space in terms of differentiation, it was found that the space was mainly constructed by utilizing the colors, images, messages, and scenes used in the idol's representative music video and album. In terms of productivity, it seems that new goods are continuously being released to meet the needs of fans. In terms of participation,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on was induced by using elements that are familiar to shared within the fandom. (Conclusions) Strengthening the organization of identity and fandom by using elements such as the idol group's worldview, self-content, and songs, developing appropriate merchandise by identifying needs, and forming an experience element for new experiences through collaboration with brands. Idol pop-up stores are expected to continue to increase in the future, and are expected to develop into pop-up stores that differ from brand pop-up stores.

      • KCI우수등재

        BTS 팬덤 콘텐츠로서 아미피디아 연구: 아이돌 팬덤에서 코스모피디아는 존재하는가

        한유희 인문콘텐츠학회 2019 인문콘텐츠 Vol.0 No.54

        BTS의 팬덤은 초국가적이고 전세계적인 현상이다. 팬덤의 확장은 필연적으로 분열을 야기하기에 팬덤을 유지하고 공동체로서 복무하게 하는 방식을 고민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피에르 레비가 고안한 ‘집단 지성’과 ‘코스모피디아’의 개념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레비는 결속과 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으로서의 ‘사이버 공간’을 코스모피디아로 칭한다. 코스모피디아에서는 개개인의 발화가 집단에 매몰되지 않고 서로의 자리에서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BTS’ fandom is a transnational and worldwide phenomenon. The expansion of fandom inevitably leads to division, so we want to consider how we can maintain fandom and serve as a community. For this,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concepts of “Collective Intelligence” and “Cosmopedia” devised by Pierre Levy. Levy refers to the ‘cyber space’ as a place where bonds and exchanges can take place as Cosmopedia. In Cosmopedia, individual ignition is not buried in a group but is complemented in each other's place. Henry Jenkins claims fandom is a fitting example of Cosmopedia. They say they follow Cosmopedia's method of forming a community in fandom as fandom is transplanted online. However, as conflicts continue to arise within the fandom that maintains the community, the division needs to be sealed. In Korea, idol fandom is basically managed by the agency. BTS’ agency Big Hit Entertainment has designed a new fandom-content, Armypedia, to prevent division among fandom and bond. Armypedia suggests the possibility of Cosmopedia in certain parts. Inside Armypedia, fandom can restore belonging and bond. Armypedia has set up a number of devices to build a sense of cooperation and bond among fans. Within Armypedia, fans can archive the history of BTS on their own and reveal their identity through offline events. In ways never before, Armypedia has set a precedent in many ways. But Armypedia is limited to being a Cosmopedia. Because Armypedia itself is a planned space, its agency is managing it. The space that removes the limited autonomy and conflict itself defies the basic nature of Cosmopedia. But Armypedia is an inspiring attempt as a fandom-content in that it is agonizing over the bond that organizes fandom. Through the analysis of Armypedia, it is necessary to think about the new Cosmopedia of idol-fandom.

      • KCI등재

        팬 아트의 이론화인가 실천 중심인가 : 매니폴드와 ‘방법론으로서의 팬덤’ 비교

        윤소정 유럽문화예술학회 2021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2 No.2

        이 연구는 팬덤 연구와 팬 아트를 유럽문화의 맥락에서 검토하고자, 중세의 길드 제도 문화를 팬 아트의 문화 창조의 원전으로 보는 매니폴드의 이론과 영국의 골드스미스 대학교에서 출간한 ‘방법론으로의 팬덤’을 비교·분석하였다. 현대 팬덤 이론의 대부로 인정받는 헨리 젠킨스의 팬 아트론 을 비교의 준거로 설정하였다. 매니폴드는 청소년의 팬 아트 창작 요인은 정체성 추구에서 발현되며 팬덤을 통해 자신의 이해보다는 공동체를 위해 새로운 문화 창조를 이룬다고 주장한다. 이 과정을 중세의 길드 제도 맥락으로 설명하고 있다. 골드스미스 학파는 언더그라운드 이슈를 학문적으로 접근 하고 분석하기 위해 팬덤을 방법론으로 활용하는 실천중심의 연구를 선보였다. 방법론으로서의 팬덤 은 팬 아트를 팬-스칼라의 입장에서 DIY, 실천중심 리서치, 그리고 온라인·오프라인 팬덤의 혼합을 몇 개의 사례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팬덤 구성에서 개인적, 정서적 요인과 팬 아트를 하위개념으로 인식하고 있는 젠킨스와 달리, 두 학파는 각각 예술실천과 팬 아트의 새로운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탐색하고, 팬 아트가 독립적인 예술 영역으로 설 수 있도록 중대한 공헌을 끼쳤다. 매니폴드의 전통적 인 학문적 접근과 골드스미스의 실천중심 연구 접근은 팬덤 활동에서 확연한 차이점을 보이나, 양 학파는 팬덤 연구의 지향점을 글로벌 팬덤의 구축으로 추천했으며, 한국 팬덤 학계의 참여도 요구된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Manifold’s theorization of fanart as crafting with the recent fanart study by ‘methodology as fandom’ in England. Within the context of European culture, we undertake a comparative analysis by illuminating the specific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Manifold’s conceptualization of the Medieval guild’s crafting as a canon of comtemporary fanart’s creation of culture and ‘fandom as methodology’ espoused by the England Goldsmiths school. Toward this goal, Henry Jenkins’ version of fanart has been utilized as a reference point of comparison. Manifold argues that the youth motivations toward fanart production are mainly drawn from a search for self-identity. And the young fan artists further desire to contribute to cultural creation externally toward the prosperity of fandom community. He examined these processes from the historical evidences of crafting in the guild. On the while, Goldsmiths points to a practice-based research in order to unravel such underground issues as gender, class, and racism by delving into fandom study as a method for undertaking scholarly examinations over these. ‘Fandom as Methodology’ explains fanart or art practice from the cases of DIY, Practice-Based research, and combination of online and offline fandom. The major implications of this comparison indicate that, in contrast to Jenkins’s perspective downgrading personal emotions and affective elements, both explore new possibilities of fanart by highlighting the significance of affective elements in the construction of fandom. In so doing, both contribute to the opening of independent area of academic study for fanart. Nonetheless, we discover apparent differences with respects to fandom activities between Manifold’s traditional academic approach and Goldsmiths’s practice-centered research. The outcome of this study may recommend the pursuit for global fandom a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fandom study, then Korea’s fandom school’s participation being urgently deman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