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성지능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고객응대 내면행동의 매개역할

        윤석범,이종건,윤재숙 한국기업경영학회 2020 기업경영연구 Vol.27 No.2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EI), perspective taking deep acting (PTDA), and job performance. We analyzed the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effect of self - emotion appraisal, other’s emotion appraisal, regulation of emotion, and use of emotion. In particular, we analyzed the mediating role of perspective taking deep acting, which is one of the five dimensions of emotional labor, in relation to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performance. The study collected 124 employees at the ban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positive (+) influence on perspective taking deep acting. Second, among the four dimensions of emotional intelligence, self - emotion appraisal, other’s emotion appraisal, and use of emotion have positive (+) effects on job performance, but regulation of emotion is not significant. Third, perspective taking deep acting showed partial mediating effect on self - emotion appraisal and use of emotion. On the other’s emotion appraisal, there was complete mediating effect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performance. Final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감성지능(EI), 고객응대 내면행동, 직무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감성지능을 자기감성이해와타인감성이해, 감성조절, 그리고 감성활용의 세부변수로 구분하여 조직 내 고객접점에 있는 구성원들의 직무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감성지능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감정노동의 다섯가지 차원 중 긍정적 요인으로 볼 수 있는 고객응대 내면행동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는 은행의고객접점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성지능의세부변수인 자기감성이해, 타인감성이해, 감성조절 그리고 감성 활용은 고객응대 내면행동에 각각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성지능의 네 가지 세부변수 중 자기감성이해, 타인감성이해 그리고 감성활용은 직무성과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감성조절은 유의적이지 않은 것으로나타났다. 셋째, 고객응대 내면행동은 직무성과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객응대 내면행동은 자기감성이해와 감성활용이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각각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인감성이해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는 완전매개효과가 있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고객의 접점에서 근무하는 조직원들이 느끼는 감정노동의 세부변수 중 긍정적 관점인 고객응대 내면행동의 변수를통해 조직유효성 중 하나인 직무성과를 향상시키는 방안에 대해 모색했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특히, 자신의 감정을 고객의 감성과 동화시켜 긍정적 행동을 하는 고객응대 내면행동이 자기감성이해, 타인감성이해 그리고 감성활용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유아의 도덕적 자아와 정서조망수용 및 정서조절 능력의 관계

        김희진,한영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9 교육과학연구 Vol.40 No.1

        This research aims for recognizing the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moral self,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forty eight children who are 4 or 5 years ol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overall tendency of children's moral self,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children graded the highest score for empathy among subordinate positions of moral self, compensation, interests about good emotion with parents, sensitiveness about violating rules in the order named. On the other hand, children graded the lowest score for guilty conscience and emotional anxiety after violating rules. children's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showed the average of 15.38(SD=9.35) on a scale of 24. Among the subordinate factors of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bout other people got a better grade than that about one's self.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moral self and their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confession, one of the moral self's subordinate moral positions, seems to have a positive relation with children's affective perspective-ta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moral self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mong the total of children's moral self's mark and their subordinate positions, confession, compensation, and interest about other people's misconduct seem to have a positive relation with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bout other people. As a result of analyzing affective perspective-taking abi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e former seems to possess a significant relation with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bout other people, one subordinate factor among the latter's types.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도덕적 자아와 정서조망수용 및 정서조절 능력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만 4세, 만 5세 유아 48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도덕적 자아, 정서조망수용능력과 정서조절능력을 측정하여 연구하였다. 유아의 도덕적 자아와 유아의 정서조망수용능력의 관계에서 도덕적 자아의 하위 도덕적 차원 중 고백이 유아의 정서조망수용능력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도덕적 자아와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의 관계에서는 유아의 도덕적 자아 총점과 도덕적 자아의 하위 차원 중 고백, 보상, 타인비행관심이 정서조절능력 총점과 정서조절 능력의 하위 요인 중 타인정서조절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정서조망수용능력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의 하위 요인 중 타인정서조절과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의 도덕성을 한 가지 측면으로 분리한 개념이 아닌 통합적 개념으로서의 도덕적 자아를 연구해야 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 유아의 도덕교육과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도덕성 연구와 도덕성 교육에서에서 유아의 정서발달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 점에서 시사점을 갖는다.

      • 조직구성원의 리더에 대한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이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 : 발언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

        최용득,조영삼 한국인사조직학회 2020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20 No.1

        발언은 조직 현상에 대하여 문제를 제기하고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이는 조직 구성원의 변화와 혁신을 위한 적극적 참여 행동의 하나로 간주되면서 연구자들의 많은 관심을 받아 왔다. 선행연구에서는 발언이 리더와의 상호작용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구성원의 발언행동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을 강조하여 왔다. 즉, 발언을 촉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리더의 행동을 고찰하는데 집중하였다. 결과적으로 발언현상에 있어 리더의 역할을 넘어 발언을 시도하는 구성원의 사회적 숙고와 역량에 대한 깊이 있는 고찰은 이뤄지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구성원과 리더의 역학 관계에 주목하여, 리더를 겨냥한 발언을 위해서는 리더와 관련된 사회적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역량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발언의 선행변수로서 구성원의 리더에 대한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의 역할을 고찰하였다. 구성원의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은 타인의 생각과 감정에 대한 인지적 그리고 감성적 측면의 공감능력으로서 발언의 맥락에서 리더의 생각과 판단 그리고 감정을 이해할 수 있는 핵심적인 사회적 역량으로 볼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구성원의 사회적 역량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발언 결정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발언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고찰하였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토대로 구성원의 리더에 대한 조망수용과 감성지능 그리고 발언행동의 관계에서 발언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심리적 기제 역할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국내 교육콘텐츠 제작 및 설계 IT 기업에 근무하는 246명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은 발언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특히, 발언을 촉진하는 대표적 리더의 행동으로 알려진 리더의 소통행동을 통제하고도 이 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언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조망수용 및 감성지능과 발언행동을 유의하게 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하고 한계점과 추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research field of voice behavior by investigating employees’ social competence for voice behavior. Employee voice is regarded as a social interaction with his or her leader. Existing literature has highlighted the antecedents of voice behavior mainly from leader-centered perspective, emphasizing the role of leader as a facilitator for employee voice. In consequence, not much is known about why certain employees can be more proactive in the social communication with their leaders.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fill this research gap by focusing on employee-centered perspective. When considering the perspective of employees who express a voice, they need to discern whether a specific situation is favorable to making a suggestion or expressing a concern to their leaders. We suggest that it would be necessary for employees to recognize leader-relevant factors, such as their viewpoint and emotion, in order to favorably interact with them. Thus, we focused on two core competencies for social interaction, employees’ leader perspective taking and emotional intelligence, as essential antecedents of voice behavior. The two social competencies can enable employees to more comfortably share their opinions with leaders in the voice context.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self-efficacy for voice to account for the psychological mechanism in the respective relationships for employees’ leader perspective taking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voice behavior. We propose that self-efficacy for voice could link leader perspective taking and emotional intelligence to voice behavior. Using a sample of 246 employees working for an IT company producing educational materia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mployees’ leader perspective taking and emotional intelligence were positively related to voice behavior, controlling for perceived managerial openness, proactive personality, and demographic variables. Second, self-efficacy for voice mediated the effects of leader perspective taking and emotional intelligence on voice behavior. Based on these empirical findings, we discussed meaningful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 KCI등재후보

        사회성 발달을 위한 소집단 게임놀이 프로그램이 발달지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지은 ( Kim Ji Eun ),이경은 ( Lee Kyeong Eun ),박성옥 ( Park Sung Ok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6

        본 연구에서는 사회성 향상을 위한 소집단 게임놀이 프로그램이 발달지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D소재의 공·사립 유치원에 다니는 만 4, 5세 유아 중 교사의 추천을 받고 `영유아 언어, 인지, 사회·정서 발달 평가 도구`에서 표준점수가 70~95점에 해당되는 유아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유아 중 본 연구에 동의한 16명의 유아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8명씩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주 1회, 50분씩 총 8회기로 구성된 소집단 게임놀이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연구결과, 첫째, 소집단 게임놀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정서지능 전체점수와 정서지능의 하위요인들 중 자기정서인식과 타인정서인식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소집단 게임놀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조망수용능력을 분석한 결과, 조망수용능력 전체점수와 하위요인들 중 타인의도조망수용과 타인감정조망수용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발달지체 유아의 정서지능 및 조망수용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소집단 게임놀이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연구결과는 소집단 게임놀이프로그램이 현장에서 발달지체 유아의 정서지능과 조망수용능력 향상을 위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mall group game play program for social development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rspective-taking abilit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4 and 5-year old children enrolled at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from D. The standards for selection are the kids who scored 70-95 at the `Young Children Language, Recognition, and Social Emotions Developmental Scale`, developed by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district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2008), among the children recommended by their teachers. 16 children agreed to this research among the selected, and 8 children were distributed each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small group game play program consisting of 8 sessions, once a week for 50 minutes, and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at the small group game play program improved significantly in terms of overall score and self-emotion recognition and recognition of other`s emotion, among the 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analyzing the perspective-taking abil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at the small group game play program, the perspective-taking ability to other`s intention and the perspective-taking ability to other`s emotions, among the secondary factors in the total score of perspective taking-ability, improved significantly. In relation to this, this research proved the effectiveness of small group game play as program that improves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rspective-taking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mall group game play program are one of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rspective-taking ability.

      • KCI등재후보

        The Reinterpretation of Emotional Factors in Durkheim's Theory of Crime:Some Criminological and Psychological Perspectives

        최관 한국법심리학회 2015 한국심리학회지: 법 Vol.6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ttempt a role do emotional factor play in Durkheim's theory of crime. This paper would briefly highlighted Durkheim’s view that crime is a ‘Normal’ part of any human society, before going on to discuss the role of the emotional factors in his theory. In addition to fear, anger, and other basic human emotions, the feeling of belonging on social solidarity would also be interpreted as an ‘Emotional Factor’ for the purposes of this paper. The first part was Durkheim’s theory of crime and Merton’s view on anomie, here Durkheim defined crime or view it as normal rather than pathological phenomenon. The second part was role of emotional factor in society and also social solidarity which Durkheim used to demonstrate the role of emotional factor in society and these two social solidarity, Mechanical and Organic Solidarity. In conclusion part, it could be argued that Durkheim believe that a normal crime is a crime that was not excessive and the role emotional factor play in a society is to generate and maintain a society, also the division of labour in society of the forms of solidarity. According to Durkheim in his emotion, that which holds a society together, the glue of solidarity is emotion.

      • KCI등재

        An Investigation into the Use of Therapeutic Writing and Analytic Reading of Picture Books for Emotional Expression

        정성미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Journal of Humanities Therapy Vol.14 No.1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 basic framework for an integrated humanities therapy model that encourages emotional communication through reading and writing by critically reading picture books and fusing it with expressive writing techniques from an emotional communicative perspective. The reading analysis material is presented in the form of a picture book, using both images and text, making it an important resource for studying nonverbal and verbal emotional communication. The writing techniques utilized in this research include those of James Pennebaker's expressive writing and Catherine Adams' journal therapy. To achieve integration of text reading and writing, this research explores the expression of emotions, identification of their triggers, and establishment of relationships with entities expressing certain emotions by fusing textual thought-provoking questions and expressive writing. Furthermore, it investigates the active understanding of emotion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s and desires according to Spinoza's philosophy.

      • KCI등재

        신경과학적 관점의 정서조절 연구 동향 -상담 및 심리치료에 제공하는 시사점-

        김창대 한국상담학회 2019 상담학연구 Vol.20 No.3

        Emotion regulation is one of the key factors influencing psychological and social health and psychopathology of human beings. This study examined the trend of up-to-date emotion regulation research focusing on the recent neuroscientific perspectives. In short,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uroscientific perspectives and research on emotion regulation were ① extending the understanding of positive function of emotions, ② emphasizing the primacy of emotions and reappraisal of the cognitive appraisal, ③ providing tangible understanding of ‘emotional trigger,’ ④ differentiating between the mechanisms of emotion and feeling, ⑤ moving the focus from self regulation to interactive regulation. A provisional model of emotion regulation that reflects these characteristics was proposed, and the implications of the emotion regulation research and model for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인간의 심리·사회적 건강과 정신 병리를 좌우하는 핵심적 요소 중 하나인 정서조절과 관련된 연구동향을 최근 신경과학적 관점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정서조절에 관한 신경과학적 관점에서 수행된 연구들의 특징은 ① 정서의 순기능에 관한 이해 확장, ② 정서의 수위성 강조와 인지적 평가의 재평가, ③ ‘정서적 격발기제’의 실체적 이해 제공, ④ 정서(emotion)와 감정(feeling) 기제의 구별, ⑤ 개인내적 자가 조절에서 관계를 통한 상호 조절로의 중심이동 등으로 요약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징을 반영한 잠정적 정서조절 모형을 제시하고, 이러한 정서조절 연구와 모형이 상담 및 심리치료의 연구와 실무에 제공하는 시사점을 논의했다.

      • KCI등재

        상담과정에서 정서의 활성화 및 반복적 수용의 역할에 관한 이론적 고찰

        김영근,김창대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6

        Many studies have been commonl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knowing how to deal with emotions in counseling theories. Most of the times, clients do not want to feel the painful emotions that accompany their daily life experiences so they try to avoid those distressing emotions as sensitization about their experiences. However, this method tend to bring about psychological maladaptation in the long term even though they might be helpful in adequately regulating emotions in the short term. To help these clients, the process of repeated emotional acceptance is essential in order to find out the meaning of painful emotions and understand desires behind emotions. They may temporally feel as if their negative emotions are intensified again in this process. But once the process of accepting emotions triggered by sensitized stimuli are repeated over and over again, the habituation process occur and bring about adaptation of clients in the long term. This study employed a literature review to investigate the roles of emotional activation and repeated emotional acceptance in the counseling process of dealing with emotions. The rationale behind the previous studies were different but this study sought to extract the core aspects of dealing with emotions in the pantheoretical standpoint, and explored how these aspects can bring changes in clients. The findings of the study add significant implications to the counseling process literature. 그동안 다양한 상담이론에서는 상담과정에서 정서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의 문제를 중요한 주제로써 거론해 왔다. 고통스러운 경험을 한 내담자가 자신의 경험에 수반되는 극심한 스트레스와 강한 부적 정서를 겪은 이후에 경험에 대한 민감화가 이루어져 고통스러운 정서를 회피하게 되는 반응을 하기 마련인데, 이러한 정서회피는 단기적으로는 정서를 잘 처리할 수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 심리적 부적응의 결과를 초래하게 만든다. 내담자의 고통스러운 정서에 담긴 의미를 발견하고 저변의 욕구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정서수용의 과정을 여러 번 거치게 되면서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는 것이 내담자에게는 일시적으로는 고통스러운 정서를 느끼는 경험일 수 있으나 반복적으로 정서수용을 하게 했을 때에는 민감화된 경험에 대한 둔감화가 이루어지고 장기적으로 내담자의 적응을 이끌어 낼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상담에서 정서를 다루는 과정에 있어서 정서의 활성화와 반복적 수용의 역할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여러 상담이론 사이에서 중요하다고 강조하는 정서처리의 과정이 서로가 표현하는 내러티브가 다를지라도 그 안에 담긴 의미는 서로 유사한 것을 반영하는 부분이 될 수 있다는 점에 대해 범이론적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는 데에 함의가 있다. 본 연구는 상담과정에서 고통스러운 정서를 어떻게 다루어 나가는 것이 필요한지에 대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4세 아동의 정서재인, 정서조망수용, 정서추론에서의 성차

        송하나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18 No.4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이해력을 정서재인, 정서조망수용, 정서추론의 3가지 능력으로 정의하고 기쁨, 슬픔, 분노, 두려움에 따라 남아와 여아의 차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과 경기지역의 만 4세 아동 74명(남아 41명, 여아 33명)에게 손 인형을 사용하여 간단한 이야기를 들려주고 이야기 속 등장인물의 정서에 대해 질문하는 Puppet Task를 실시했으며 유치원/어린이집 교사가 아동의 언어능력을 평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양적, 질적으로 분석되었는데 아동의 언어능력을 통제한 공변량 다중분산분석의 결과 정서조망수용과 정서추론에서 여아의 이해력이 남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정서별로 살펴보면 조망수용과제에서는 기쁨과 분노에 대해 여아가 더 높은 수행을 보였고 추론과제에서도 기쁨의 원인을 더 잘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슬픔과 두려움에 대해서는 3가지 영역 모두에서 성차가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추론과제에 대해 내용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아와 여아가 추론한 정서원인의 종류에 차이가 있었다. 남아와는 달리 여아는 날씨를 기쁨이나 두려움의 원인으로 언급하고 슬픔이나 분노의 원인으로 부모의 불화를 언급하는 등 자연현상과 인간관계로 귀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유아의 정서이해에서 정서의 종류에 따라 양적, 질적인 성차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성차가 연령의 증가에 따라 어떤 유형을 보이는지, 성차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변인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등이 더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children's gender accounts for variation in three abilities for emotional understanding; emotion recognition,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and causal attribution of emotion. Seventy four four-year-old Korean children (41 boys and 33 girls) were interviewed using Denham's Puppet Task in which a puppet character in each story feels one of the four basic emotions. The original scale was translated into Korean, and modified through back-translation procedures and pilot studies. Children's responses in the task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Results showed that gender differences were significant in affective perspective taking and causal attribution subscales. Specifically, girls understand contextual cues about happiness and anger better than boys, but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was found for emotional understanding of sadness and fear. Girls were also better than boys for causal attribution of happiness. In addition, content analysis suggested that for both boys and girls, parent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behaviors were the most common reasons for happiness, sadness, and anger. However, only girls attributed their negative feelings to marital conflicts between mothers and fathers. Also, compared to boys, girls' happiness seems to be more influenced by weather.

      • KCI등재

        조직구성원의 리더에 대한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이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 : 발언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

        최용득(Yongduk Choi),조영삼(Youngsam Cho) 한국인사조직학회 2021 인사조직연구 Vol.29 No.1

        본 연구는 발언이 시도되는 관계적 맥락을 고려하여 구성원의 사회적 공감 역량이 발언행동에 미치는 효과와 그 과정을 고찰하였다. 선행연구는 리더와 구성원의 역학관계에 주목하여 구성원의 발언을 촉진할 수 있는 리더십 효과에 우선적으로 주목하여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리더의 역할을 넘어 구성원의 사회적 역량과 발언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선행연구의 부족한 이해를 메우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구성원의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이 리더의 생각과 감정에 대한 이해와 공감을 통해 발언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대화 상대에 대한 인지적 및 정서적 공감에 기반을 둔 사회적 역량이 발언에 대한 자기효능감이라는 심리적 역량의 강화를 통해 발언으로 이어질수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국내 교육콘텐츠 제작 및 설계 IT 기업에 근무하는 246명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리더에 대한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이 발언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발언에 대한 자기효능감의 심리적 매개 역할을 검증하였다. 구체적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은 모두 발언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발언을 촉진하는 대표적인 리더 행동으로 알려진 리더의 소통행동을 통제하고도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이 발언에 미치는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는 점에서 발언결정에 있어 구성원의 사회적 역량의 고유한 역할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발언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조망수용 및 감성지능과 발언행동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리더에 대한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이 발언에 기여하는 구체적 과정을 설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종합하면, 본 연구 결과는 리더에 대한 사회적 정보를 확보할 수 있는 리더에 대한 조망수용과 감성지능은 발언에 대한 자기효능감이라는 심리적 역량을 결집시킴으로써 직간접적으로 발언행동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한계점과 추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research field of voice behavior by investigating the social competence of employees with regard to voice behavior. Employee voice is defined as a social interaction with his or her leader. The existing literature has highlighted the antecedents of voice behavior mainly from a leader-centered perspective, emphasizing the role of leaders as a facilitator for employee voice. As a result, not much is known about why certain employees are able to be more proactive in social communication with their leaders.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fill this research gap by focusing on an employee-centered perspective. We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for employees to recognize leader-relevant social factors, such as their viewpoint and emotions, in order to favorably interact with them. Thus, we propose that two core competencies in social interaction contribute to the ability of employees to actively share their opinions and ideas with leaders: leader perspective taking and emotional intelligence. Furthermore, we propose that self-efficacy for voice could link leader perspective taking and emotional intelligence to voice behavior. Using a sample of 246 employees working for an IT company producing educational materia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eader perspective taking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employees were both positively related to voice behavior when controlling for perceived managerial openness, proactive personality, and demographic variables. Thus, their unique influences were identified. Second, self-efficacy for voice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leader perspective taking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voice behavior, respectively. Based on these empirical findings, we discuss meaningful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