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래학적 관점에서 본 한국에서의 윤리교육의 전망

        김현수 ( Hyun Soo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7 윤리교육연구 Vol.0 No.12

        이 논문은 사회과학적 측면에서의 전망에 관한 개념을 윤리교육에 관한 전망에 접목시켜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를 위하여 장기적 변화 가능성을 과감히 전망하고 여러 분과 과학의 방법상의 전공 한계를 극복하려는 노력을 통하여 새로운 예감을 제공하는 일종의 사회기술로 윤리교육의 전망에 관하여 접근하고자 하였다. 윤리교육의 전망은 내적 통찰과 이성적 추론 과정을 전제한다는 점에서 전문가의 자료와 그 판단에 의거한 비형식적 접근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접근법을 바탕으로 거시적 측면에서 윤리교육과 관련된 구성 요소들의 위상을 검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창의성과 인간의 가치에 대한 증가를 토대로 인간이 기술에 대해 우위에 설 수 있는 방편이 마련될 것이다. 다음으로, 윤리교육과 연관된 종교에 있어서 기성 종교 그 자체는 세속화와 근대화로 쇠퇴할 것이나 종교와 종교적 주제 자체에 관한 일반인들의 관심은 더욱 증가할 것이다. 이어서, 민주주의 이데올로기는 경제발전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니며 지속성을 유지할 것이다. 또한, 인류 공동체와 미래세대에 관한 가치관의 공유 측면에서 윤리적 고려의 정형화를 위한 노력이 시도될 것이다. 이러한 사항들을 미시적 측면에서 한국 사회의 윤리교육에 적용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인간의 자아실현과 사회생활 일반의 요청에 부응하는 측면에서 윤리교육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교육제도가 나아가게 될 것이다. 다음으로, 더불어 살아가는 민주사회를 이룩하기 위한 시민성의 교육이 시급한 과제로 제시될 것이다. 이어서, 실천철학의 학문분과이자 문제지향적 윤리학으로서 특성을 지닌 응용윤리학 영역의 교육이 확대될 것이다. 또한, 이는 곧 교육을 바라보는 관점 자체에 관한 접근으로 윤리교육을 이해하며 교육철학으로서 윤리교육의 위상을 제고하도록 하게 될 것이다. This study tried to graft the social science`s "prospect" concept to the Ethics education. For this, a sort of social technology has been used that it predicts long-term changable possibility and overcome the limits of every academic branches. It is needed to prospect ethics education that the penetrating insight and logical reasoning process, which requires informal approach based on the experts` data and estimation. Based on this approach, macroscopic analysis of the basic elements of the ethics education could be investigated as such: First, the superiority of human being to the scientific technology which is based on the increasing creativity and human value. Second, on the Religion education which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Ethics education, accepted tenets are declined for the secularization and modernization, but the religion or religious subject itself could be more paid attention by the general public. Third, the Liberal democracy ideology could be sustained closely with the progress of economy. Fourth, an endeavor to settle down ethical consideration could be enforced in view of sharing the sense of values with human society and future generation. With all of these, microscopic application of the elements to the Ethics education in Korea could b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 system could be advanced to strengthen the Ethics education with the phase of the needs of self realization of both individuals and general society. Second, the Citizenship education could be urgent task that fulfills democratic society of living together. Third, the Applied ethics domain could be enlarged, which is practical and approaching toward the actual problems. Fourth, the position of the Ethics education as an Educational philosophy could be uplifted, as it provides the vision to the education itself.

      • KCI등재

        과학기술시대에 있어 응용윤리의 교육적 활용전망

        김용섭(Kim, Yong-sub) 대한철학회 2010 哲學硏究 Vol.113 No.-

        과학과 공학(이공학)이 현대 사회의 발전에 미치고 있는 지대한 영향은 물론, 이공학은 모든 생활의 각 분야에 깊이 관련하여 중대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과학연구가와 공학자들이 빈번히 직면하게 되는 문제들은 인간의 행복과 도덕적 윤리적 문제와 직결된다. 그러므로 이들게게는 자신들이 담지하고 있는 사회적인 책임과 의무에 관한 깊은 인식이 그 어느 때 보다도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는 기술의 이용과 응용이 생활화된 오늘날의 모든 사람들에게도 다같이 해당된다. ‘과학과 공학 윤리’는 과학연구와 공학의 수행 그리고 기술의 이용에 관련된 윤리학적 기본 윤리들을 고찰하고, 이와 관련하여 과학연구가와 공학자들이 연구 및 기업 환경에서 겪게 되는 도덕적 윤리적 문제들이 무엇인지 이를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이를 위해 여러 가지 사례들이 논의되며, 이의 해결에 필요한 윤리학의 여러 개념적 도구들이 도입된다. 이를 통해 연구가와 공학자들이 그들의 자신들 뿐 아니라, 그들이 현대인 일반에게 미치는 윤리적 문제들을 자율적이고 합리적으로 해결하여, 연구가로서 그리고 공학자로서의 인격의 함양과 장인정신의 구축을 통해 인간적 자부심을 획득하는데 도움이 되는 이론적 실천적 기초를 제공하고자 마련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raw attention to the difference in question--moral education--and to explore it to some small extent. In particular, the perspective. I will be discussing it from is that of a professor of philosophy who regularly teaches courses in the theory of ethics, in Applied ethics, and in assorted practical ethical problems, and to diagnose what I cannot but see as a problem of moral education I and interested not only in the nature of the problem but also in what the causes of the problem are, and how to address it effectively. The fundamental problem of applied ethics consists in the conflicts between ethical theories by their applying. This seems to be a final problem for applied ethics to solve. In this situation, we should establish, first of all, the basic ideas, the method of applied ethics and the concept of expert. And the applied ethics would be obliged to cultivate moral character. Therefore, it would be a central behaviour of ethical expert to educate the students in the university who prepare for their profession. I believe, these are even the challenges that the applied ethics, finally philosophy, overcomes in this age. We can find the challenges and problems of professional ethicists in the education of engineering ethics of some universities, for instance, Univ of the Pacific(USA), Delft University of Netherlands.

      • KCI등재

        새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응용윤리 영역의 내용 선정 기준과 조직 방안

        김남준(Kim, Nam-Joo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9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과의 성격과 목표에 대한 성찰을 바탕으로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새로운 시대와 변화된 사회에서 제기되는 국가·사회적 요구 및 학문적 요구를 반영함으로써 새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응용윤리 영역의 내용 선정 기준과 조직 방안을 정립하는 것이다. 새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응용윤리 영역의 내용은 도덕과의 교육적 인간상의 실현과 도덕과 교과역량의 함양에 기여할 수 있고, 윤리학을 구심점으로 한 학제적 접근을 요구하는 응용윤리의 주제들, 과학기술의 발달과 사회 구조의 변화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윤리적 문제나 쟁점들, 도덕과의 내용 구성 원리로서 가치 관계 확장법 등을 고려하여 선정·조직되어야 한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중학교 ‘도덕’ 과목에서 ‘자연·초월과의 관계’ 영역을 ‘인간 이외의 존재·생태공동체와의 관계’ 영역으로 수정하고, 그 영역에서 과학기술 시대의 새로운 윤리적 문제나 쟁점을 논의해야 한다는 의견을 중심으로 내용 체계 재구조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는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 과목에서 도덕적 탐구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응용윤리학의 접근 방법을 내용 요소로 반영하고, ‘생명과 윤리’ 영역에서 내용 중복 문제를 완화하고 생명윤리의 토대가 되는 논의에서 최근의 학문적 논쟁에까지 이를 수 있도록 인간 대상 연구와 인간 향상의 윤리적 쟁점을 내용 요소로 포함하며, ‘과학과 윤리’ 영역에 지능정보윤리, 로봇윤리 등과 같은 새로운 윤리적 문제나 쟁점을 반영한 내용 체계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criteria of contents selection and to organize the contents of applied ethics education in the new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e contents of applied ethics education in the new moral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selected and organized to contribute to fostering moral man with competency of moral education, and considering the methodology of moral education, the principle of contents organization of moral education, and new ethical issues in the new era. Based on this criteria,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phere of ‘the relationship with nature·transcendence’ in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modified to the sphere of ‘relationship with non-human being·ecological community’ in which new ethical issues in the age of science and technology could be discussed.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ethodology of applied ethics, ethical issues of human subjects research and human enhancement, and new ethical issues of AI ethics, Robot ethics etc. should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of ‘Life & Ethics’ subject.

      • KCI등재

        칸트 윤리학과 도덕교육론 : 도덕교육의 형식과 내용의 통합 가능성

        이원봉(Lee, Won-bong)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원 2011 생명연구 Vol.21 No.-

        민주사회의 도덕교육론에는 대표적인 두 입장이 존재한다. 하나는 도덕교육이 사회의 지배적인 가치 기준을 피교육자가 내면화하도록 해야 한다는 입장이고, 다른 하나는 도덕교육은 피교육자의 자율적인 도덕판단 능력을 발달시켜 주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도덕사회화론은 전통, 권위, 사회적 연대를 중시하는 공동체 주의적 경향을 띠며, 도덕발달론은 이성, 정의, 자율 등을 중시하는 자유주의적 경향을 띤다. 도덕발달론은 전통적 인격교육론이 기존 사회의 가치를 강요하고 학생을 통제하는 기제로 작동한다고 비판하면서, 개인의 자율성과 합리적 추론을 중시한다. 반면에 도덕발달론은 아직 추상적 논리전개 능력이 갖추어지지 않은 학생에게 도덕적 추론능력만을 강조함으로써 도덕교육을 포기하는 결과에 이른다는 비판을 받는다. 이런 대립의 해소를 위해 1980년대 이후, 습관화를 통한 덕의 형성을 추구하는 덕 윤리적 접근이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덕 윤리학 역시 덕의 기준을 명확히 할 수 없다는 한계 때문에 ‘도덕적 불확정성’에 빠질 위험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칸트의 도덕교육론을 통해 도덕교육에 있어서의 내용과 형식 사이의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방식을 살펴본다. 칸트의 윤리학이 도덕성의 토대를 확보하기위해 개인의 자율성과 도덕법칙의 보편성을 강조하지만, 실제로는 도덕적 행위가 일어나는 구체적 경험의 영역도 그의 윤리학을 성립시키는 필수적인 부분이다. 칸트의 교육론 역시 도덕적 성품이 개발을 목적으로 하여, 학생의 발달단계를 고려하면서 동시에 교육의 최종 목적인 인류의 도덕화를 지향하고 있다. 이를 위해 칸트는 대화법이라는 구체적인 도덕교육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칸트의 도덕교육론은 학생의 자율성을 침해하지 않으면서 인류의 도덕화라는 목적을 지향함으로써 형식과 내용의 갈등을 해소하고 있는 것이다. In democratic society, for a long time two theory have taken the initiative in moral education one after another. The one argues that moral education should imbue the dominant values of the society in the mind of educatee. Durkheim’s moral socialization theory and character education theory invented in America are such examples. The other is moral development theory based on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of Piaget and Kohlberg. According to these theory, moral education should develop the capacities of autonomy to have them make moral judgement independently. While moral socialization theory has communitarian tendency and cherishes value of tradition, authority and social solidarity etc., moral development theory has liberalistic tendency and cherishes value of rationality, justice and autonomy etc.. The latter position have criticised the traditional character education theory in that this theory has, through teaching ‘the bag of virtues’, forced the educatee the already settled social values and controlled them. To solve this problem, moral development theory stressed the autonomy of individual and the logical reasoning. But this theory has been criticised in that the emphasize on formal reasoning in moral dilemma result in give-up of moral education after all. In 1980’s, virtue ethics approach in moral education has showed up. This approach aimed formation of virtuous character by habituation of virtuous actions. This approach which combines the intellectual element and the emotional element of moral action is thought to be alternative of content-centered or form-centered theories. But there are difficulties that virtue ethics has a problem of ‘moral indeterminacy’. because it can not define the standard of virtue itself. This paper aims to inquire Kantian theory of moral education which is thought to influenced to moral development theory, trying to discover the way to solve the conflict between form-centered and content-centered approaches in moral education. In the process it will be clear that Kantian ethics has two sides. On the one hand, it emphasizes the autonomy of moral agent and the universality of moral law, on the other hand, it recognizes that moral agency can change gradually by education. This change takes place in the concrete empirical sphere. So Kantian pedagogy aims to develop moral character, ultimately to moralize humankind. Kant has solved the form-content conflict in moral education by protecting both the form of autonomy of educatee and the end of moralization of humankind.

      • KCI등재

        미래사회를 대비한 도덕과 동양윤리교육의 방향

        장승희 ( Jang Seung-hee ) 한국윤리학회 2016 倫理硏究 Vol.111 No.1

        본 연구는 다가올 미래사회를 대비하여 도덕과 동양윤리교육에서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를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 교과를 중심으로 논의한 것이다. 이미 시작된 제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앞으로 사회 구조, 직업 체계, 삶과 가치관 등 모든 것들이 현재와는 다르게 전개될 것이다. 미래가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될지는 인간에게 달렸고, 이는 결국 교육의 몫이다.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는 사회탐구 영역 중 학생들의 선택 비율이 가장 높을 뿐만 아니라 다가올 미래사회에 요구되는 적응력, 상호성, 주체성을 함양할 수 있는 교과로 경쟁력이 높다. 특히 단순 지식이 아니라 윤리적 탐구와 윤리적 성찰을 바탕으로 현대 윤리 문제와 쟁점을 응용윤리로 융합한 성격으로 미래 대비를 위해 필수적인 교과이다. `생활과 윤리`는 역사적으로 `시민 윤리`, `현대 생활과 윤리`를 토대로 하며, 교육과정 개정 당시 `전통 윤리` 교과의 내용 요소를 흡수·통합하기로 하여 응용윤리 중심으로 개설된 교과이다. 그러나 현재 이러한 통합의 원칙은 찾아보기 어렵고, 동양윤리 내용이 점점 축소되어 아주 핵심적인 내용 요소마저도 포함하지 못하고 있다. 다가올 사회를 책임질 미래세대에게는 다양한 능력이 요구되는데, 집단 학습을 위한 자아 성찰과 협력적 상호관계를 가능하게 하는 도덕적 능력의 함양을 위해 동양윤리 내용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동양윤리 요소들이 포함되기는 하였지만 여전히 부족한 편이다. `생활과 윤리`에서 동양윤리는 윤리 쟁점에 대한 동양적 대안을 탐색하고, 윤리적 성찰을 통하여 윤리적 탐구와의 균형을 모색하며 그 역할과 과제를 새롭게 정립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동양윤리 전공자들은 학생들에게 교육해야 할 핵심 개념과 내용 요소를 추출하고, 현대 윤리 문제에 대한 동양 윤리적 대안 연구 결과들을 반영하여 차기 교육과정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deals with east ethics education how to prepares for future society focussing on `living and ethics` subject in highschool. The fourth revolution which is begun yet changes social system, job structure, life style and sense of values not the present day but also the forthcoming future. The aspect of future depends on human. The Education determine the positive future or negative future. `Living and Ethics` subject is highly competitive because of students` demands and needs of future society. The living and ethics subject is significant because of teaching modern social problems or issues through both ethical investigation and ethical introspection. Historically, `civic ethics` and `modern living and ethics` is the matrix of `living and ethics` based on applied ethics in west philosophy. But from that time down to this day the principle of integration contents in the `traditional ethics` is not kept in this subject. The needed abilities to prepare for the future society are adaptability, mutuality, and subjectivity. The ethical investigation is significant, but on the other hand ethical introspection is insufficient for attaining the goal of the subject.

      • KCI등재

        Applying Anthropology to International Studies in Northeast Asia : An Exploration of Educational and Ethical Issues in Expatriate Research

        섀넌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2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73

        This research presents a brief study and an exploratory retrospective of the current researcher’s work and research in South Korea and Northeast Asia, including the challenges of integrating anthropology within the broader interdisciplinary field of international studies. The chief research questions are, what important lessons emerge from examining the research, teaching and career experiences of an expatriate professor serving in Northeast Asia, and regarding the role(s) of applying anthropology within international studies in the same region? The paper examines applied anthropological research the present researcher has done in South Korea as an expatriate professor and the primary contexts influencing his training and on-going work, including the broad state (institutional contexts) of the fields of international studies, anthropology and applied anthropology in South Korea and Northeast Asia. Next, the paper explores the author’s research involving countries and cultures in the region, both published and unpublished research. The paper also discusses anthropological pedagogy: how the researcher has used applied anthropology to teach about international affairs, international development, business, and logistics, some of the primary domains of anthropological application connected with international studies in Korea. This research also considers important ethical and research issues and challenges that expatriate anthropological researchers and graduate students can face in South Korea, including teaching and handling applied social science research ethics. The study concludes with key lessons derived from these examples of studying diverse aspects of cultures in Northeast Asia from an applied social science perspective. Chiefly, while anthropology and applied anthropology offer highly valuable, practical perspectives on academic and practitioner issues in international studies, Northeast Asia and South Korea need to develop and expand anthropology as an academic discipline, including actual training programs in applied and public anthropology. If not, the capacity of anthropology and applied anthropology to contribute to international studies and other domains in the region will be hindered.

      • KCI등재

        분노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윤리상담 프로그램

        김대군 ( Kim Dae-gun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7 윤리교육연구 Vol.0 No.43

        분노조절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들은 크게 보면 분노에 대한 사실적 기술(description)과 가치적 처방(prescription) 측면에서 찾아볼 수 있다. 윤리상담에서 분노조절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은 사실적 기술에 대한 부분 보다는 가치적 처방을 염두에 두는 것이다. 기술적 접근이 가치판단을 배제하고 분노에 대한 객관적 이해를 하고자 하는 것이라면 윤리상담은 윤리라는 기준을 가지고 인간을 이해하고 해석해서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처방적 성격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윤리상담은 윤리학을 기반으로 해서 실천되는 상담이다. 상담자는 올바름에 대한 기준들을 제시하는 것으로 내담자를 돕는 역할을 하게 된다. 분노는 인지, 생리, 사회적, 행동적 측면을 함께 가지고 있기 때문에 기술적 접근도 필요하고 처방적 접근도 필요하다. 그렇지만 윤리상담에서 분노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은 윤리적 관점에서 인간의 감정과 태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처방적 분노조절 과정에 대한 모델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하겠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분노의 의미와 분노에 대한 윤리학적 이해를 살펴보았다. 아리스토텔레스처럼 분노의 필요성을 말하기도 하고, 세네카처럼 분노는 뿌리부터 제거해야 한다는 입장도 있다. 아직까진 윤리적 관점에서 분노조절을 위한 상담기법으로 제시된 것이 거의 없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분노에 대한 윤리학적 이해와 윤리상담을 위한 윤리학의 응용 방안을 분노조절능력 향상 프로그램으로 제시해보고자 한다. For the improvement of the anger control ability, there are two representative measures: description and prescription. Presenting an anger adjustment program in ethical councelling is more applicable in valuable prescription than factual description. While a descriptive approach to anger is an objective understanding on anger without a value judgement, an ethical councelling has a prescriptive nature that shows right direction by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people with ethics as a standard of judgement. An ethical councelling is a way of councelling based on ethics. A consultant helps clients by offering standards of right behavior. Anger has recognitive, physiological, social and behavioral aspects, which requires both descriptive and prescriptive approach. However, in the ethical councelling, the program for improving anger control ability has a main purpose on presenting a model of the prescriptive anger adjustment process based on ethical perspective. In this article, the meaning of anger and ethical understanding of anger are discussed. There are two contrasting standpoints over the anger. One is the idea of Aristotle that maintains the need of anger, and the other is the idea of Seneca that anger should be removed from the root. For not many consulting methods were presented in ethical perspective, in this article, anger management program is introduced for the ethical understanding over anger and the application of ethics on the ethical councelling,

      • KCI등재후보

        공학윤리교육의 필요성 및 교육내용과 방법

        이재숭 ( Jae Soong Le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8 윤리교육연구 Vol.0 No.16

        현대사회는 공학기술이 인류에게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시대이다. 하지만 공학과 기술이 인류에게 미치는 영향이 클수록 이들 분야에서의 도덕적 성찰과 함께 공학인들의 윤리적 문제해결 능력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우리보다 공학윤리 교육이 앞서 있는 외국의 사례들을 검토한 후, 국내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공학윤리 교육의 동향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공학윤리 교육의 필요성을 부각시키고, 공학윤리에서 다루어야 할 주요한 내용들을 제시했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내용들이 효과적으로 학습되기 위해서는 응용윤리로서의 공학윤리를 먼저 이해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몇 가지 필수적인 윤리이론들에 대한 학습이 선행된 후, 실제적인 그리고 가설적인 공학적 사고 사례들을 중심으로 사례중심의 교육이 병행되어야 함을 강조했다. 공학윤리 교육은 결국 미래의 공학인들로 하여금 직업적 실천에 있어 그들이 직면하게 될 여러 윤리적 상황들에서 이 상황들에 대한 쟁점들에 관해 비판적이고도 독립적인 판단능력을 배양하고, 더 나아가 이 상황들을 해결할 수 있는 ``도덕적 자율성``(moral autonomy)을 함양하는데 그 목표가 두어져야 할 것이다. The engineering and technology make a huge impact on the daily life of mankind today. However, the more technology affects to the world, the more ethical reflection is required to it. In this paper, I researched the present condition of foreign countries which an education of engineering ethics has developed, and then showed the present trend of ours. Through this work I argued the need of education of engineering ethics and made a suggestion a major contents of it``s education; ethical theory, the responsibility of engineer as a profession, codes of ethics etc. And to succeed this education, I think, the case-based approach is most useful. The education of engineering ethics has to aim to build engineering students into moral autonomy.

      • KCI등재

        《기획논문-2014년 춘계학술대회 발표》 : 분노조절에 대한 윤리상담적 접근 -세네카의 분노론을 중심으로-

        김대군 ( Dae Gu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4 윤리교육연구 Vol.0 No.34

        이 논문은 분노조절에 윤리상담이 기여할 수 있음을 주장하고 있다· 분노조절은 심리학이나 의학이 담당해야 할 것으로 생각되어온 것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윤리학이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부각시키고 있다· 내담자들에게 있어서 그 고민은 심리적 문제라기보다는 윤리적 문제라는 것에 착안해서 내담자들이 교정 받아야 할 것은 그 사람의 윤리적 사고와 실천임을 이야기 하고 있다· 윤리상담은 내담자들의 요청에 의한 자생적인 것으로 역사가 깊다· 이 논문은 일예로 스토아 학파에 속하는 ``세네카의 분노론``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심리 상담이나 치료와 구분해서 윤리상담을 말해야 하는 이유는 내담자들의 근본문제가 약물처방으로 접근할 수 없는 지점에 자리 잡고 있다는 점이다· 심각한 도덕적 갈등은 약물로 해결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윤리상담을 통해서 해결해야 하는 영역인 것이다· 세네카는 윤리학의 실천을 단지 학문적인 훈련이 아니라 자기 자신은 물론 타인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충고하며 상담사 역할을 하는 것으로 봤다· 세네카의 분노론, 행복론, 그리고 그의 잠언들은 마치 윤리상담을 하고 있는 것처럼 도덕적 기준들로써 위안을 주고 있다 이 논문은 세네카의 치유담론이 윤리적 치유 담론이라는 것과 그것이 윤리상담을 통해 분노제거, 분노관리, 분노예방의 실질적 조언으로 윤리상담에 쓰일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is asserting that ethics counseling can contribute to anger control. We have thought that psychology or medicine should takes charge of anger control. I think that ethics can contribute to anger control. Client`s pain is problem that is ethical preferably rather than psychologic problem. It is the person`s ethical casualty and practice that the clients should be cured. Moral principle consultation(Ethics counseling) has forming naturally through long history. Seneca`s ``De Ira`` belonging to Stoa school is case of moral principle consultation. Moral principle consultation is different from mind consultation or treatment. Reason, which must speak moral principle consultation, is that the client`s fundamental problem can not approach by drugs prescription. Serious moral discord can not be stabilized for medicine. It is area that should solve through ethics counseling. Seneca regarded ethics practice as consultor`s role. That ethics is not only theory study. Ethics advises to own and another person and acts as a consultor. Seneca`s De Ira, eudemonics, and his aphorisms is giving people the calm. Seneca`s healing discourse is ethical healing discourse. Seneca is showing through moral principle consultation that anger exclusion, anger management, anger courtesy call are possible.

      • KCI등재

        공학윤리

        이재숭(Lee, Jae-Soong) 새한철학회 2013 哲學論叢 Vol.73 No.3

        공학윤리 교육의 주요한 목적은 공과대학 학생들이 전문직업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사회적, 윤리적 책임의식, 즉‘전문가적 책임의식’을 함양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과 지적인 이해들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문직업인으로서 공학인들에게 요구되는 사회적인 책임들은 다음과 같이 제시될 수 있다. ①기술 발달과 사회적 복지 사이의 복잡한 관계들을 깨닫는 것, ②엔지니어들의 전문가적 책임들과그러한책임들을 실천하기 위한규범들을 이해하는 것, ③전문가의 책임에 관해서 성숙한 결정을 할 수 있는 능력과 그러한 책임들이 제기될 때 윤리적 딜레마들을 다루는 능력을 배양하는 것 등이다. 이러한 능력들의 배양을 위해 공학교육의 강조점은 기계적인 행위나 특수한 규범들을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사려 깊은 윤리적 통찰과 문제해결 능력에 주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한 교육의 결과가 ‘윤리적 감성의 증대’, ‘행위의 기준들에 대한 지식의 증대’, ‘윤리적 판단 능력의 향상’, ‘윤리적 의지력의 증대’라는네 가지 결과들을 성취할 수 있어야 한다는 데는일반적 합의가 있다. 공학인에게 요구되는 윤리적 판단 능력과 이러한 사회적 책임으로 인해 윤리이론과 윤리강령들을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지던 과거와는 달리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교수 방법은 이에 더해 다양한 공학적 사례들을 중심으로 문제해결 능력을 함양하는 방식에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윤리의 효율적 교수방법으로서의 사례중심의 교육이 성공적이기 위해서는 윤리 문제해결의 과정에 있어서 윤리 이론들과 타당한 도덕적추론에 의해 그것이 보완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는 것이다. 공학윤리 교육에서 우리가 사례에 주목해야 한다는 점은 쉽게 동의할 수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것이 곧 윤리 이론들을 무시해도 좋다는 것을 함의하는 것은 아니다. 학생들이 윤리적 추론 능력을 결여하고 있다면 사례중심의 문제해결 방식이 아무리 효율적인 방식이라 하더라도 목적한 바를 성취하기 어려울 것이다. 왜냐하면 어떤 사례에 대한 문제해결을 통해 궁극적으로 우리가 얻고자 하는 것은 하나의 대안적 행동인데, 왜 그것이 대안적 행동인지를 설명할 수 있는 타당한 근거들이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The primary objective of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is to provide students of engineering with the knowledge and intellectual understanding in order to develop anengineer’s social and ethical responsibility,“professional responsibility” as professionals. A social responsibilities required to engineers as a professionals are as follows; ①being aware of the complex relationships between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social well being, ②understanding the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of engineers and the norms for exercising these responsibilities, and ③having the capacity to make mature decisions about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and to deal with ethical dilemmas when they arise. In order to cultivate these abilities, the emphasis of instruction has to be given to ethical thoughtful insight and problem-solving skills, rather than to inject mechanical behavior or special norms. And teaching engineering ethics must be able to achieve at least four desirable outcomes: a)increased ethical sensitivity, b)increased knowledge of relevant standards of conduct, c)improved ethical judgment, and d)improved ethical will-power. In the aspects of training methods, the education revolved around ethical theories and code of ethics in the past. The current method, however, is paying attention to cultivation of problem-solving skills centered around engineering accident c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im that case-based approach is need to be complemented by relevant ethical theories and moral reasoning, for efficiency. We can agree easily that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should be noted to engineering cases(actual case or hypothetical case).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we may ignore the ethical theories. Even though the case-oriented problem-solving approach is efficient methods, if the students lack the ability to reason ethically, the aim of education will be difficult to accomplish. What we ultimately want to get through case-based approach is the alternative ethical behavior, and students must be able to explain a good reasons why the action can be an alternative 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