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NS 정보가 호텔 고객의 브랜드 태도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이중처리과정 이론(Dual Process Theory)의 적용

        허경석,지윤호,변정우 대한관광경영학회 2012 觀光硏究 Vol.27 No.5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SNS를 통해 의사결정을 하는 과정에서 관계되는 많은 양의 정보를 파악하는 과정을 통해서 브랜드에 대한 태도변화와 행동의도를 파악하고자 이중처리과정 이론(Dual-process theory)을 적용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으로 SNS 정보의 설득적 메세지의 특성에 적합하도록 정보처리 과정의 요인을 추출하고, 정보수용에 대한 유용성 인지에 따른 브랜드 태도에 대한 영향과 결과적으로 소비자의 행동의도와의 구조적 인과관계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본 논문에서 주요 의제로 다루고자 했던 이중처리과정 이론에서의 주변적-체계적 모델(HSM: heuristic-systematic model)을 SNS에서 실질적으로 검증 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소비자의 정보처리과정이 단순한 정보습득에 있지 않고 SNS를 통하여 양방향의 설득 커뮤니케이션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는 점과 정보의 메커니즘이 결국 기업의 브랜드 태도와 행동의도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sumer's change of brand attitude and behavior intention through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large amount of information by SNS. We study that the decision-making process in the relationship through a dual process theory to verify. SNS persuasive message of the specific research methods suitable to extract information processing factors on information usefulness for acceptance according to brand attitude, and as a result the consumer behavioral intention to structure causal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this paper was dealing with the main agenda in the dual-process theory of Heuristic-Systematic Model tested in the SNS is meaningful. Also need to pay attention to eventually consumers of information processing are not simple to acquire information through SNS without persuasive communication bidirectional switch was made, and the mechanism of information that affects the company's brand attitudes and behavioral intention.

      • KCI등재

        위험결정에서 인지처리수준이 틀 효과에 미치는 영향

        이나경,이영애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2009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Vol.21 No.4

        위험 선택에서 사람들은 문제가 이득으로 기술되면 위험-회피적인 반응을 하고 동일한 문제가 손실로 기술되면 위험-추구적인 반응을 하는 경향성을 보인다. 틀 효과라고 불리는 이 현상은 판단과 결정짓기 연구에서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는 편향 중의 하나이다. 이중사고체계 이론들은 인지처리 수준이 증가하여 분석적 사고체계가 활성화되면 틀 효과는 사라지거나 감소한다고 주장한다. 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우리는 결정자의 인지처리 수준을 변화시킨 후에 다양한 결정 문제들에서 틀 효과를 검증하는 두 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 참가자에게 이유에 근거하여 대안을 선택하도록 요구함으로서 결정문제에서 인지처리 수준을 증가시켰다. 통제집단에서 나타나는 생명문제에서의 유의미한 틀 효과가 이유-기반 선택 집단에서는 사라졌다. 두 번째 실험은 무작위로 제시된 낱자들을 기억하는 작업기억 과제를 선택과제와 함께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는 정보처리의 부하를 조작하여 결정문제에서의 인지처리 수준을 감소시켰다. 인지부하 조건에서 생명문제 뿐 아니라 자산문제에서도 유의미한 틀 효과가 나타났다. 두 실험 결과들은 이중사고체계 이론의 가설을 지지한다. 인지처리 수준과 틀 효과 사이의 관계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On problems involving risky choices, people tend to act risk-averse when the problem is framed in terms of gains and risk-seeking when the same problem is instead framed in terms of losses. This refers framing effect and is one of most investigated biases in research of judgment and decision making. Dual-process theories suggest that when analytical thinking system is activated through increasing cognitive processing levels, framing effects disappear or decrease. In order to test this hypothesis, we performed two experiments in which framing effects were investigated in different decision problems after we altered levels of cognitive processing of decision makers. In first experiment the level of cognitive processing was increased through demanding participants to choice options on the basis of reason. Significant framing effects in lives problems found in control group were disappeared in this reason-based group. The second experiment decreased the cognitive processing levels in decision problems through the manipulation of working memory(WM) load during risky decisions so that the choice was made while maintaining a concurrent WM load of random letters. Under cognitive load, not only lives problems but also property problems showed significant framing effects. The results of two experiments support hypothesis of dual-process theories. The need of further subsequent research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s of cognitive processing and framing effects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가치 연구와 이중과정이론(Dual-Process Theory) : 암묵적 인지 측정 방법의 적용

        김지혜,김상학 한국사회학회 2022 韓國社會學 Vol.56 No.3

        This paper aims to review sociological and psychological literature on values and apply a newly developed methodological approach based on the dual-process theory to the research on values. Dual-process theory actively studied in the past decade in cultural sociology, specifies two different cognitive processes; System 1 indicates implicit and fast thinking, whereas System 2 refers to deliberate and slow thinking. The conventional way of surveying people could tap into both cognition; using survey data, the analysis of values and action (or any other attitudinal or behavioral outcomes) does not specify which cognitive process individuals use to process values. As recent sociological studies have shown, this paper claims scholars should separate these cognitive processes in value research and also utilizes a psychological survey technique called Affect Misattribution Procedure (AMP) that taps into automatic, implicit cognition (System 1) only. By analyzing primary data of about 600 Korean adults, our findings show that the configuration of implicit values based on the AMP is somewhat different from value responses from conventional surveys. Also, implicit value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life satisfaction, whereas survey responses do not.

      • KCI등재

        도덕적 사유와 공리주의: 헤어(R. M. Hare)의 두 수준 모델과 그린(J. D. Greene)의 이중과정이론

        양선모 한국윤리학회 2019 倫理硏究 Vol.126 No.1

        In modern cognitive science, the idea that human thinking works as a dual process of unconscious intuition and conscious reasoning is widely accepted. In this regard, in the field of ethics, R. M. Hare has already proposed a two-level model in which moral thinking can be divided into intuitive and critical levels. J. D. Greene's dual-process theory, which has recently revealed that dual processes of intuition and reasoning play a role in the moral judgment by the progress of neuroscientific research, provides scientific evidence for Hare's two-level model. Both theories share the view that two-levels of intuitive and critical thinking exist in moral thinking or that dual-process of intuition and reasoning exist in moral judgment, both of which are mutually complementary and that our moral life requires both. Also common in the two theories is the fact that draw utilitarianism as a conclusion.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two-level model of Hare and the dual process theory of Greene, and how the two theories are related and how Greene's research support the theory of Hare. We will also examine why the two theories lead to utilitarianism in their conclusions and whether such conclusions are reasonably acceptable. 현대 인지과학에서는 인간의 사고가 무의식적인 직관적 사고와 의식적인 추론적 사고라는 이중의 과정으로 작동한다는 아이디어가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윤리학 분야에서는 헤어가 이미 도덕적 사유 또한 직관적 수준과 비판적 수준으로 구분될 수 있다는 두 수준 모델을 제시한 바 있다. 최근 신경과학적 연구의 진전에 따라 도덕적 판단에 직관과 추론의 이중과정이 작용함을 밝힌 그린의 이중과정이론은 이러한 헤어의 두 수준 모델에 과학적 증거를 제공하고 있다. 두 이론은 인간의 도덕적 사유나 판단에 직관적 사유와 비판적 사유라는 두 수준 또는 직관과 추론이라는 이중의 과정이 존재하며, 양자는 상호보완적 관계로 우리의 도덕적 삶은 그 두 가지를 모두 필요로 한다는 관점을 공유한다. 또한 결론으로 공리주의를 도출한다는 점 역시 두 이론의 공통점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헤어의 두 수준 모델과 그린의 이중과정이론을 각각 살펴보고, 두 이론이 어떤 점에서 관련되어 있고 그린의 연구 성과가 어떻게 헤어의 이론을 지지하는지를 규명한다. 더불어 두 이론이 왜 결론으로 공리주의를 도출하게 되는지, 그리고 그러한 결론이 과연 합리적으로 수용할만한 것인지에 대해서도 살펴보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이중처리이론과 현대 도덕 심리학

        김동창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9 초등도덕교육 Vol.0 No.66

        Cognitive science, which began in the 1960s, has become a major trend in understanding the human mind from a naturalistic point of view. In particular, the dual process theory of the mind in cognitive science contributes to the expansion of the factual understanding of cognition by explaining the mental processes that lead to knowledge through two types of information processing. And J. Haidt’s ‘social intuitionist model’ and J. D. Greene’s ‘double-process moral psychology’, which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flow of modern moral psychology, accept the double process theory of cognition. And they present new psychological facts about moral judgment. Thus, modern moral psychology renews understanding of moral intuition and its mechanism by accepting the dual processing theory of cognition and attempting a new approach to moral cognition. 1960년대 본격화된 인지과학은 자연주의적 관점에서 인간의 마음을 이해하는 주요한 흐름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마음에 대한 이중처리이론은 인간이 앎에 이르는 심적 과정을 두 유형의 정보처리과정으로 설명함으로써 인지에 대한 사실적 차원의 이해를 확장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그리고 하이트의 ‘사회적 직관주의 모델’과 그린의 ‘이중처리 도덕 심리학’은 이러한 이중처리이론을 수용하며 도덕 판단에 관한 새로운 심리학적 사실들을 제시하고 있다. 도덕 심리학은 인지에 관한 이중처리이론의 관점을 수용하여 도덕적 인지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도덕적 직관과 그것의 작동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일신하고 있다.

      • KCI등재

        미래지향적 수학교실 구축의 심리학적 토대

        이종희,이소민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교과교육학연구 Vol.18 No.3

        변화된 사회문화의 수학적 요구 및 교육환경 혁신의 필요에 따라 수학수업의 변화는 물론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수학교실의 구축 역시 요구되고 있다. 수학교실의 구축방향 및 구성요소 활용방안 등에 대한 여러 연구들이 행해지고 있으나, 구체적 실천 방안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수학교실 구축이나 구축 방향의 이론적 정당성과 타당성은 제시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진화심리학과 이중 과정 이론을 근거로 하여, 수학적 성장에 있어서 수학에 특화된 환경적 지원의 중요성과 수학 학습 과정에 있어 교수적 노력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이를 근거로 미래사회의 수학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미래지향적 수학교실(Future-orientedMathematics Subject Classroom)의 개념과구축 필요성에 대해 논하였다. 본 연구의 기저에는 생물의 생존을 위한 ‘적응’을 기본 개념으로 하여 학습을 생존을 위한 것으로 보는 진화 심리학의 견해가있다. 이 견해로부터 수학교실 구축 필요성의 근거로서 원격성(remoteness)의 교수적 함의, 통속지식(folk knowledge)의 교수적 함의, 동기부여적 기질(motivational disposition)의 교수적 함의의 개념을 이끌어내었다. 이중과정 이론은 인간의 인지과정을 S1, S2 의 두 체계로 보고, 수학적 사고 과정은 S2의 메타인지적(meta-cognition)과정이라고본다. 이들 견해로부터 수학학습의 어려움과 특화된 교수적 지원의 필요성을 이끌어내고 수학의특성과 시대의 수학적요구에 따른 수학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해 수학수업에 특화된 수학교실의 구축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두 이론의 이러한 논의들로부터 수학적 능력의 신장을 위한 교수적지원, 수학에 특화된 학습 기제의 효율적 작동, 수학 학습의 어려움 극복을 위한 적절한지원, 시대가 요구하는 수학교육의 특성구축이라는 4가지 측면에서, 수학 학습에 특화된 학습환경으로서의 미래지향적수학 교실의 필요성과 구축방향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Based on Evolutionary Psychology and the Dual Process Model, this paper argues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support for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light of future academic development, as well as the necessity for instructional effort directed toward the process of learning mathematics. The concept of future-oriented mathematics classrooms an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such is crucial to our ability to meet the demands of future society. This study is based on evolutionary psychology's concept of ‘Adaptation’ for survival and emphasizes that learning is crucial to survival; learning being one of the innate traits of an organism. From this theory, the concept of ‘remoteness and instruction’, ‘folk knowledge and instruction’, and ‘motivational disposition and instruction’ can be inferred. These concepts are fundamental in constructing mathematics classrooms. The dual-process of cognition includes two systematic structures: S1 and S2, and considers the process of mathematical thinking as a form of meta-cognition of S2. The difficulties involved in mathematical learning and the necessity for specialized mathematics support can be drawn from these two systematic structures.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necessity of a future-oriented mathematics classroom and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learning in a specialized learning environment is based on a discussion of the two theories above viewed from these aspects: institutional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ability, an effective application of specialized learning mathematics mechanisms, appropriate support for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in mathematical learning, and the properties of mathematics education geared to social demands.

      • KCI등재

        그린(Joshua D. Greene)의 이중과정이론의 규범적 함의에 대한 고찰

        노영란 범한철학회 2015 汎韓哲學 Vol.79 No.4

        Moral psychology has rapidly developed in cooperation with empirical sciences such as evolutionary biology, cognitive science, and brain science and thereby the discussions about its normative implications have been actively made. Joshua D. Greene’s dual-process theory of moral judgments is one of the remarkable results in those discussions. Greene explains the psychological processes of the deontological and the consequential judgments respectively to be the automatic settings of the emotional response and the manual mode of the controlled, conscious reasoning. He puts forward various scientific evidences including his own neuroscientific researches to support his theory. And he insists that the psychological facts bring about the normative implications of rejecting deontology and preferring consequential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Greene’s dual-process theory makes a misunderstanding of deontological judgments and so the theory is not appropriate for rejecting deontology as a normative ethical theory. For this I shall demonstrate that the deontological judgments in the crying baby dilemma can be driven by the cognitive reasoning rather than emotional responses. Furthermore I shall investigate how Greene could deal with such a possibility while closely inspecting kantian ethics pertinent to the deontology which Greene insists to reject. This investigation reveals that kantian ethics is compatible with the empirical argument that the psychological process of deontological judgments is relatively more intuitive and less cognitive than the process of consequential judgments. 진화생물학, 인지과학, 뇌과학 등 인간을 탐구하는 여러 경험과학들과의 협력 속에서 도덕심리학이 급격하게 발달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도덕심리학적 연구 성과들이 가지는 규범적 의미에 대한 논의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린(Joshua D. Greene)의 도덕판단의 이중과정이론은 이러한 논의들 중에서 특히 주목을 받고 있는 주장이다. 그린은 인지신경과학의 방법에 따른 자신의 실험결과를 포함하는 여러 과학적 증거들을 제시하면서 의무론적 판단과 결과론적 판단의 심리적 과정을 각각 직관적인 정서적 반응의 자동적 세팅과 조절된 의식적 추론의 수동적 방식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그는 이러한 도덕심리학적 사실은 의무론을 거절하고 결과론을 선호하는 규범적 함의를 가진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에서는 그린의 주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그린의 이중과정이론은 의무론적 판단에 대한 적절한 이해가 아니며 이중과정이론으로부터 규범윤리이론으로서의 의무론을 거절하기 어렵다는 것을 보이고자한다. 이를 위해 먼저 그린이 논의하는 우는 아이 딜레마를 가지고 의무론적 판단이 정서적 반응이 아니라 인지적 추론에 의해 이끌려질 수 있다는 것을 보이면서 그린의 주장을 반박한다. 나아가서 인지적 추론에 따른 의무론적 판단의 가능성에 대한 그린의 있음직한 대응들을 살펴보고 이러한 대응들이 결국 의무론적 판단이 결과론적 판단보다 상대적으로 더 직관적이고 덜 인지적이라는 경험적 사실에 근거하고 있음을 밝힌다. 그리고 그린이 거절하는 의무론에 해당되는 칸트윤리학을 검토하면서 의무론적 판단에 대한 경험적 사실과 칸트윤리학의 양립가능성을 모색한다.

      • KCI등재

        정보공개운동의 ‘이중적 전환’과 시민참여 : <참여연대 정보공개사업단>과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 비교를 중심으로

        홍일표 한국기록학회 2009 기록학연구 Vol.0 No.22

        This paper aims-through comparative research on two organizations and use of political process theory-to analyze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urrent issues related to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transformation of the Freedom of Information Movements (FOIMs) in South Korea. In the ten years since the Freedom of Information Act (FOIA) took effect in 1998, Korean FOIMs have developed along the following course: ‘emergence’ (1998), ‘expansion and extension’ (1999-2004), ‘institutionalization and retro-institutionalization-’ (2005-2008). Specifically, in the early stage of FOIMs, the Freedom of Information (FOI) department of the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 established in 1998, had led the FOI movement by initiating reform of the FOI institution and advocating an end to old practices. Paradoxically, however, following the institutional progress of FOI under the Roh Moo Hyun government, the vitality of FOIMs seemed to be weakening. And under the Lee Myung Bak government, which is showing regression in both the FOI institution and practices, the ‘dual transformation’ of the FOIMs is being led not by old groups but by new ones. The Center for Freedom of Information and Transparent Society(CFOI), which was founded in 2008, has journalists, researchers of archival studies, citizens, lawyers and nongovernmental activists as members. Through its blog style Homepage, countless reports are becoming “open to the public” and “share with the public.” And its various civic education programs are interactive bridges which enable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 Center and citizens. CFOI is expanding the FOI movement in different ways than the traditional activists such as the FOI department of the PSPD department, which worked through methods such as policy proposals, disclosing information litigation, comments and public statements, and hosting forums. CFOI is leading the ‘dual process of transformation’ of FOIMs, namely the transformation from an ‘advocacy’ movement to an ‘empowerment’ movement and transformation of the FOI movement’s framework from “open to the public” to “share with the public.” 이 논문은 한국의 정보공개운동의 역사적 전개 과정과 현재적 쟁점, 새로운 전환의 성격을 정치과정론에 입각한 단체 간 비교연구를 통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98년 정보공개법의 시행을 전후하여 본격적으로 시작된 한국의 정보공개운동은, 이후 10여 년 동안 ‘확장’과 ‘확산’(1999년~2004년), ‘제도화’와 ‘탈제도화’(2005년~2008년)의 시기를 거쳐 전개되어 왔다. 특히 1998년 설립된 참여연대 정보공개사업단은 정보공개제도의 개선, 관행의 혁파를 주도하며 초기 정보공개운동을 이끌었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노무현 정부에서 중요한 제도적 진전이 있은 이후, 정보공개운동의 활력이 약화되는 양상도 보였다. 정보공개제도와 관행이 후퇴하고 있는 이명박 정부에서는, 기존의 정보공개운동 주도세력들이 아닌 새로운 주체들이 등장하여 운동의 ‘이중적 전환’을 이끌고 있음이 확인된다. 2008년 창립한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에는 법률가나 시민운동가 이외에 언론인, 기록학계, 일반 시민 등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고, 블로그형 홈페이지를 통해 수많은 정보들이 ‘공개’되고 ‘공유’되고 있다. 다양한 시민교육 프로그램은 센터를 시민과 소통케 하고, 회원을 확보하는 쌍방향의 통로가 되고 있다. 정보공개센터는 과거 참여연대 정보공개사업단과 달리, 정책제안이나 정보공개소송, 논평이나 성명, 토론회 개최 등의 전통적 방식과 의제들과 구분되는 운동을 펼치고 있는 것이다. 이들은 ‘대변형’ 운동을 ‘역량강화형’ 운동으로, 그리고 정보공개운동의 프레임을 ‘공개’에서 ‘공유’로, 정보공개운동의 ‘이중적 전환’을 이끌고 있다.

      • KCI등재

        이중 과정 이론과 도덕적 직관의 문제

        김일수 ( Kim Il-soo ) 한국윤리학회(구 한국국민윤리학회) 2018 倫理硏究 Vol.121 No.1

        신경 과학을 기초로 한 이중 과정 이론은 우리가 서로 다른 두 가지의 방식으로 도덕 판단을 내린다는 것을 밝힌다. 자동적인 정서적 반응인 ‘자동 설정’과 통제된 의식적 추론인 ‘수동 모드’가 그것이다. ‘자동 설정’은 직관적 판단을 의미하며, 효율적이지만 융통성이 없다. ‘수동 모드’는 이성적 추론을 의미하며, 융통성은 있지만, 효율적이지 못하다. 그린(J. Greene)은 fMRI를 활용하여 전형적인 의무론적 판단이 정서 반응에 기초한 직관적 판단이라는 것을 밝혀낸다. 이러한 직관은 유전자, 문화, 개인의 경험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공간적 근접성이나 인신성의 유무와 같은 도덕과 무관한 요소들에 민감하다. 따라서 우연적인 형성 원인을 갖는 직관은 신뢰하기 어려운 도덕적 인식의 원천이다. 도덕적 직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1) 직관의 긍정적인 측면에 집중한 직관의 유지, 2) 직관의 오류와 편견을 바로잡으려는 직관의 개선, 3) 직관을 도덕적 자료로 인정하지 않는 직관의 폐기로 구분할 수 있다. 직관이 가지고 있는 장점과 궁극적으로 직관 자체를 배제할 수 없다는 현실로 보았을 때, 직관을 개선하려는 접근을 정교화 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과학적 수준에서의 평형 과정을 거친 직관은 오류와 편견의 요소는 제거하고, 그 직관을 지지하는 과학적 근거들을 확보할 수 있다. 규범 윤리학과 메타 윤리학 수준에서의 평형에 과학의 수준에서의 평형이 추가적으로 확보된 다중적인 반성적 평형을 도덕적 직관의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안할 수 있다. The dual process theory based on cognitive (neuro)science reveals that we make moral judgments in two different ways. Automatic emotional responses, ‘automatic settings’, and controlled, conscious reasoning, ‘manual mode’. ‘automatic settings’ means intuitive judgment and is highly efficient, but not very flexible. ‘Manual mode’ means rational reasoning and is flexible, but not efficient. J. Greene uses fMRI to discover that characteristically deontological judgments are intuitive based on emotional response. These intuitions are shaped by genetics, cultural learning, and individual experience, and are sensitive to non-moral factors such as spatial proximity and the presence of personality. Thus, intuition with accidental causes of formation is a source of unjustified moral cognition. Ways to solve the problem of moral intuition are 1) maintaining intuition on the positive side of intuition; 2) refining intuition to correct intuition errors and prejudices; and 3) discarding of intuition not recognizing it as a moral data. Given the advantages of intuition and the fact that it an not ultimately be ruled out, it is necessary to increasingly sophisticate the approach to refine intuition. In particular, intuition that passes the equilibrium process at the scientific level can eliminate the elements of error and prejudice and obtain scientific evidence that supports it. Multiple equilibrium with additional scientific equilibrium in addition to normative and meta-ethics levels can be an alternative to complement moral intuition problems.

      • KCI등재

        개인정보 제공에 대한 인터넷 사용자의 경제적 행동에 관한 연구: Privacy Calculus, CPM 이론을 중심으로

        김진성 ( Jinsung Kim ),김종기 ( Jongki Kim ) 한국정보시스템학회 2017 情報시스템硏究 Vol.26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duct the factors for explaining the economic behavior of an Internet user who provides personal information notwithstanding the concern about an invasion of privacy based on the Information Privacy Calculus Theory and Communication Privacy Management Theory.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made a design of the research model by integrating the factors deducted from the computation theory of information privacy with the factors deducted from the management theory of communication privacy on the basis of the Dual-Process Theory. In addition, this study, did empirical analysis of the path difference between groups by dividing Internet users into a group having experience in personal information spill and another group having no experience. Findings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rivacy Concern about forms through the Perceived Privacy Risk derived from the Disposition to value Privacy.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behavior of an Internet user involved in personal information offering occurs due to the Perceived Benefits contradicting the Privacy Concer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