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조 야담을 통해 본 질병의 형상화와 질병에 대한 두 시선

        김신정(Kim, Sin Jeong) 한국구비문학회 2020 口碑文學硏究 Vol.0 No.58

        이 글에서는 조선조 야담의 질병서사를 다룬다. 조선조 야담에 나타난 질병의 형상화를 통해 질병에 대한 두 가지 시선을 확인하였다. 조선조 야담의 질병서사는 주로 병을 고치는 일에 주목하는 치병서사로서 의원이나 귀신에 관한 이야기가 많다. 한편으로 질병에 걸린 후 존재적 변화를 일으키거나 신이한 경험을 하게 되는 인물의 이야기가 있다. 또한 질병에 걸린 척하며 위기를 모면하는 이야기도 있다. 이 글에서는 치병서사에서 벗어나 있는 질병 관련 서사들에도 주목하여 이를 ‘환자되기 서사’로 유형화하였고 서사적 세계가 질병을 다양한 방식으로 형상화하고 있음을 통해 질병서사들이 질병에 대한 다양한 시선을 담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치병서사 중에서 질병이 귀신으로 형상화된 경우, 그 귀신은 조상신이거나 악귀로 나타난다. 조상신인 경우에는 인간과의 소통이 원활하며 인간의 부탁으로 병이 낫도록 해주지만, 악귀인 경우 인간과 불통이 일어나며 결국 공동체를 전멸하게 만든다. 환자되기 서사에서 질병은 인간이 동물로 변하기 전 혹은 인간이 신이한 경험을 하기 전에 일어난 변신의 전조이거나 평범한 인물이 환자행세를 통해 위기를 극복하고 생을 지속하기 위한 방편으로 그려진다. 치병서사에서 질병이 부정적인 의미를 가진 기표라면, 환자되기 서사에서 질병은 긍정적인 의미를 가진 기표로서 이 세계에서 다른 세계로 가는 기회나 능력으로 그려지거나, 자신의 몸을 은신처 삼아 생의 지속을 모색하는 방편으로 그려지고 있다. 치병서사 속 질병이 외부에 의해 부착된 낯설고 인간이 통제할 수 없는 것이라면, 환자되기 서사 속 질병은 신체 내부적 소산이나 자의적으로 부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삶의 한 방편이자 자연스러운 과정이다. 이처럼 치병서사와 환자되기 서사를 질병서사의 범주 안에서 함께 살펴봄을 통해 질병에 대한 다양한 시선을 포착할 수 있다. In this paper, two perspectives on the disease were identified through the shape of the disease in Yadam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re are many cure stories as a disease narrative in the Joseon Yadam: stories about ancestor ghost or devil. On the one hand, there is a story about causing an existential change or having a strange experience after getting sick. Also, there are stories of pretending to be sick and avoiding crises. This paper focused on disease narrative which are not only cure narrative but also stories can be that categorize them as becoming a patient’ narrative. Through the narrative world representing diseases in various ways, it is revealed that various disease narratives contain various views on diseases. If a disease is represented as a ghost in the cure narrative, the ghost is either an ancestral god or a devil. In the case of ancestral god, communication with humans is smooth, and the request of humans heals the disease, but in the case of devil, it causes mis-communication with humans and eventually destroys the human community. In the narrative of becoming a patient, disease appears as a narrative symptom that occurs just before humans turn into animals or just before humans have a strange experience, or is depicted as a way to overcome a crisis and continue life. If there is a gaze that a disease is an unfamiliar and uncontrollable thing which attached to human in the cure narrative.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gaze that sees the disease as an internal product or arbitrary attachment of human in the narrative of being a patient. It is a gaze that sees disease as a way of life and a natural process.

      • KCI등재

        한․중 역병(疫病) 귀신 이미지의 비교 고찰-고전 서사 문학을 중심으로-

        왕몽 열상고전연구회 2022 열상고전연구 Vol.78 No.-

        In the face of the epidemic disease, the ancient Korean and Chinese people had the same behavior of praying to gods and ghosts because they were unable to have a scientific pathological understanding of this disease. To the ancient Korea and China, both in the East Asian cultural circle, what were the images of gods and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in these two countries, and what were the cultural genes behind them? With the above questions, this paper took the Korean and Chinese classical narrative literature as the research materials, and made a comparative study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images of gods and ghosts of epidemic disease between the ancient Korea and China. This paper is mainly divided into two parts: the gods and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with the appearances of the men or women, and the gods and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with the appearances of the elderly or children. The gods and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in the ancient Korea and China which are both in the East Asian cultural circle are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West. Although the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in these two countries look terrible, their images are sometimes pitiful. In addition, the gods of the epidemic disease are the gods who spread the epidemic and kill human beings, as well as the gods to cure the human beings. The gods and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of the two countries not only have this similarity, but also show obvious differences because of the distinctions in the types of main stream religions, the types of civilizations, people's path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epidemic disease and other aspects. In the ancient Korea, the gods with the appearances of the men are often portrayed as the majestic type or the Confucian type, while the gods with the appearances of women are mostly beautiful and young. In the aspect of character, the narrative does not particularly emphasize the good side or the bad side of their characters. In other words, their characters have several different dimensions. In the ancient China, if they are the Gods of plague, they are often portrayed as the heartless and majestic type. At the same time, their often have specific appearance elements such as red hair and blue face and so on. If they are the Gods of pox, they are often portrayed as the sage-like type Taoists. The gods with the appearances of women are mostly beautiful and young. For human women, an important condition for becoming a goddess of the epidemic disease is whether they have done good deeds before death. However, the ancient Korean did not regard this as an important condition for becoming a goddess of the epidemic disease. In the aspect of their characters, the characters of the Chinese gods of epidemic disease with the appearances of the men or women are flat and lack of vitality. In addition, "the Visitors from other places " is also one of the images of the gods of the epidemic disease in the ancient Korea, but this feature is relatively rare in the ancient China. The narrative of the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who are in human form in the ancient Korea and China is not as diverse as the narrative of the gods, and there are no great differences between the images of the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and the traditional ghosts in these two countries. In the narrative of these two countries, if the gods and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appear as an old woman or a child, their are not the gods of the epidemic disease, but rather the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Furthermore, in the Chinese narrative, there is a unique image of the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who often wear yellow clothes and carry a bamboo suitcase on their backs to spread the epidemic disease. In fact, the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in ancient Korea and China often appear with the nonhuman forms, and a comparative study of this theme will be carried out as a follow-up research.

      • KCI등재

        한ㆍ중 역병(疫病) 귀신 이미지의 비교 고찰 - 고전 서사 문학을 중심으로 -

        왕몽 열상고전연구회 2022 열상고전연구 Vol.78 No.-

        역병(疫病)은 예로부터 인류에게 커다란 공포의 대상이었다. 의학기술이 발달하지 못하고 역병에 대한 과학적 사유가 자리 잡기 어려웠던 과거 시절에 한ㆍ중 양국의 고대인은 역병을 역신(疫神)이나 역귀(疫鬼)가 일으킨 조화로 본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같은 동아시아 문화권에 속해 있는 양국의 고대 역병 귀신(본고에서는 역신과 역귀를 가리킴)은 어떤 형상을 하고 있는가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본고는 한ㆍ중 고전 서사 문학을 연구 자료로 삼아 ‘남성화’ 및 ‘여성화’와 ‘노년화(老年化)’ 및 ‘유년화(幼年化)’의 두 부분으로 분류해서 검토하였다. 이에 따라 양국 고대의 ‘인간화(人類化)’된 역병 귀신 이미지의 대비를 통해 나타난 이미지의 차이점과 공통점들을 제시함과 동시에 이와 같은 점들이 발생한 원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같은 동양권 국가인 한ㆍ중 양국의 역병 귀신은 서양의 역병 귀신과 큰 변별성을 가지며 동양 역병 귀신만의 독특한 이미지를 보이고 있다. 역귀는 공포스러운 모습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때로는 불쌍한 모습을 보인다. 또한 역신은 인간에게 역병을 감염시켜 살해하는 질병의 신임과 동시에 인간을 치료해주는 의술의 신이기도 한 것이 동양 역신의 특징적 모습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양국의 ‘인간화’된 역병 귀신은 이와 같은 유사성이 보이는 동시에 양국의 주류 종교의 유형, 문명의 유형, 사람들의 역병에 대한 병리학적 인식 등 여러 방면의 차이로 인해 양국의 역병 귀신의 이미지는 뚜렷한 상이함을 보이고 있다. 한국의 ‘인간화’된 역신 중에 남성 역신은 주로 위엄스런 모습이거나 선비형이고 여성 역신은 대부분 아름답고 젊은 이미지로 그려져 있다. 신의 성격 면에서는 선한 면이나 악한 면만 집중적으로 강조하여 드러낸 것이 아니라 오히려 입체적이면서 생동감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중국 역신의 경우, 남성 역신 중 압도적인 카리스마를 지닌 온신(瘟神)은 비정하면서도 ‘붉은 머리’, ‘파란 얼굴’, ‘빨간 옷’ 등 뚜렷한 외모와 옷차림을 하고 있는 반면 두신(痘神)은 일반적으로 선풍도골(仙風道骨)의 도사 이미지로 나타난다. 여성 역신은 대부분 곱고 젊은 이미지이며 여성이 역신이 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조건 중의 하나는 선행(善行)의 실천 여부인 반면 한국은 이러한 점을 신격 부여에 중요한 조건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신의 성격에 있어서는 중국의 역신은 성별과 관계없이 뚜렷한 흑백논리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나 생동감이 결여되며 다소 단일한 편이라고 본다. 또한 ‘이방인’도 한국의 ‘인간화’된 역신의 특징 중 하나이지만 중국에서는 이러한 특징이 비교적 드물다. 양국의 ‘인간화’된 역귀의 서사는 역신의 서사처럼 다양성이 보이지 않고 서사에 등장한 역귀는 양국의 전통적인 원귀(怨鬼) 이미지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양국 서사에서 역병 귀신이 노구 혹은 어린이의 모습으로 등장하면 그들의 신분은 역신이 아니라 대부분 역귀이다. 또한 중국 서사에 노란 옷을 입고 대나무 상자를 등에 메고 역병을 전파하는 귀차(鬼差)의 이미지가 등장하는 것도 독특하다. 사실상 양국의 역귀는 ‘비인간화’된 모습으로 등장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대한 비교 고찰은 후속 과제로 기약하도록 한다. In the face of the epidemic disease, the ancient Korean and Chinese people had the same behavior of praying to gods and ghosts because they were unable to have a scientific pathological understanding of this disease. To the ancient Korea and China, both in the East Asian cultural circle, what were the images of gods and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in these two countries, and what were the cultural genes behind them? With the above questions, this paper took the Korean and Chinese classical narrative literature as the research materials, and made a comparative study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images of gods and ghosts of epidemic disease between the ancient Korea and China. This paper is mainly divided into two parts: the gods and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with the appearances of the men or women, and the gods and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with the appearances of the elderly or children. The gods and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in the ancient Korea and China which are both in the East Asian cultural circle are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West. Although the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in these two countries look terrible, their images are sometimes pitiful. In addition, the gods of the epidemic disease are the gods who spread the epidemic and kill human beings, as well as the gods to cure the human beings. The gods and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of the two countries not only have this similarity, but also show obvious differences because of the distinctions in the types of main stream religions, the types of civilizations, people's path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epidemic disease and other aspects. In the ancient Korea, the gods with the appearances of the men are often portrayed as the majestic type or the Confucian type, while the gods with the appearances of women are mostly beautiful and young. In the aspect of character, the narrative does not particularly emphasize the good side or the bad side of their characters. In other words, their characters have several different dimensions. In the ancient China, if they are the Gods of plague, they are often portrayed as the heartless and majestic type. At the same time, their often have specific appearance elements such as red hair and blue face and so on. If they are the Gods of pox, they are often portrayed as the sage-like type Taoists. The gods with the appearances of women are mostly beautiful and young. For human women, an important condition for becoming a goddess of the epidemic disease is whether they have done good deeds before death. However, the ancient Korean did not regard this as an important condition for becoming a goddess of the epidemic disease. In the aspect of their characters, the characters of the Chinese gods of epidemic disease with the appearances of the men or women are flat and lack of vitality. In addition, the Visitors from other places is also one of the images of the gods of the epidemic disease in the ancient Korea, but this feature is relatively rare in the ancient China. The narrative of the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who are in human form in the ancient Korea and China is not as diverse as the narrative of the gods, and there are no great differences between the images of the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and the traditional ghosts in these two countries. In the narrative of these two countries, if the gods and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appear as an old woman or a child, their are not the gods of the epidemic disease, but rather the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Furthermore, in the Chinese narrative, there is a unique image of the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who often wear yellow clothes and carry a bamboo suitcase on their backs to spread the epidemic disease. In fact, the ghosts of the epidemic disease in ancient Korea and China often appear with the nonhuman forms, and a comparative study of this theme will be carried out as a follow-up research.

      • KCI등재

        서사윤리적 접근의 일고찰: 코로나19 혐오 사례에의 적용

        김준혁(Kim, Junhewk) 한국생명윤리학회 2021 생명윤리 Vol.22 No.2

        본 연구는 최근 서사윤리 분야의 발전을 소개하고, 이를 현실 사례에 적용해보고자 한다. 우선, 서사윤리란 현재 사례를 파악하기 위해 당사자의 표현, 말해지고 말해지지 않은 내용, 사례의 과거와 미래에 집중하여 현재 상황에서 최선의 해결책 또는 결론을 찾고자 하는 방법론을 말한다. 이를 위해 생명의료윤리의 사례를 서사학의 방법론으로 분석, 해석하고, 이를 통해 사례의 세부를 파악하며, 드러나지 않은 부분을 살펴 사례의 서사를 재구성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런 식의 이해는 각 당사자에게 최선의 종결이 무엇인지 상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논문은 서사윤리를 적용하기 위한 현실 사례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혐오 문제를 선택하였다. 서사윤리적 접근을 위해 논문은 관련 서사를 재구성하고, 그 위에서 당사자를 위한 다른 해결책을 탐색하는 방식으로 접근하였다. 따라서, 감염병 혐오의 서사를 재구성하였으며, 이는 감염병 혐오 감정의 기원을 찾기 위한 작업이다. 일본 제국과 식민지 조선이 한센병을 다룬 방식이 여전히 한국의 감염병인식과 대응에 남아 있음을 확인하고, 이것이 현재 에이즈나 코로나19 등의 감염병을 차별하는 문화적, 역사적 기초를 이루고 있음을 살폈다. 이에 기초하여, 감염병 혐오는 바꿀 수 있는 것이고, 혐오 감정의 변화는 피해자와 가해자를 포함한 모든 사례 당사자의 최선을 추구하는 서사윤리적 접근의 목표임을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역사적 서사에 기초하여 우리가 어떻게 코로나19 혐오에 대응할 수 있을지 확인한다. 혐오가 나와 뒤섞일 수 없는 타자를 배척하는 근원적 감정이라면, 서사는 나와 타자의 선을 바꿀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무기다. This study introduces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field of narrative ethics and applies it to real cases. First of all, narrative ethics refers to a methodology that seeks to find the morally best conclusion or ending in the present case of biomedical ethics by focusing on the past and the future of the situation, the representation of the related parties, and the unspoken contents. It analyzes and interprets the case of biomedical ethics using methods of narratology to identify the details of the case and examines the unheard voices to reconstruct the narrative of the case. This aims to imagine what is the best closure for each party in the current case. The paper selected the issue of disgust in COVID-19 as a real-life example for applying narrative ethics. For an narrative ethics approach, the paper reconstructs the related narrative and explores solutions for the related parties based on the narrative. Therefore, the infectious disease narrative in South Korea was reconstructed, which is a work to find the origin of disgust against infectious disease. It confirmed that how the Japanese Empire and colonial Joseon dealt with leprosy remain in the awareness and responses to infectious diseases in South Korea, suggesting that this forms a cultural and historical basis for the emotion of disgust against infectious diseases such as AIDS and COVID-19. According to the reconstructed narrative, the paper argues that the disgust is changeable,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emotion of disgust can be the goal of the narrative ethics approach that seeks the best of all parties in the case. Finally, we identify how we can respond to disgust based on the newly structured narrative. If disgust is the fundamental feeling of rejecting the other who cannot be mixed with me, the narrative is the most powerful weapon that can change the line between me and the other.

      • KCI등재

        효전 심노숭의 역병 체험과 질병 서사

        정우봉 한국한문학회 2022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4

        This thesis analyzed the writings about the experience of the epidemic in the context of the epidemic in the late Joseon Dynasty using the perspective of the disease narrative. In particular, attention was paid to Sim No-Sung (1762-1837), who left a wealth of material among the many people who dealt with the epidemic experience. In No-Sung Sim's writings, the aspects of disease narratives related to infectious diseases are largely divided into 'disease narratives as testimony of the body', 'disease narratives of empathy through the speaking body', and 'disease narratives of the annihilation of the body and mourning'. And the meaning is that he observed the reaction pattern of the body and the process of its change in a very detailed and specific way and recorded it. The fact that the subject was rediscovered through this process, and that the narrative of disease as a physical testimony needs to be interpreted in relation to Sim No-sung's awareness of the body. Also, for Sim No-Sung, the affirmation of sexual desire, the sense and taste for food, etc. are all connected with a natural understanding of physical desire and desire. On the extension line of recognizing humans as living sensual subjects and physical subjects, Sim No-Sung described his physical reaction to an infectious disease in a very detailed and detailed manner, and was able to reflect on his own self living in such physical pain. In connection with a series of thoughts that affirmed humans as living beings and individual self with desires and emotions, we are trying to interpret the testimony of the body in the plague experience narrative. In addition, in relation to the literary response to infectious diseases, human conflict and anguish, as well as aspects of use as a material for memories and laughter were examined. 이 논문은 조선 후기 疫病이 유행하던 상황에서 역병 체험을 다룬 글을 질병 서사의 관점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역병 체험을 다룬 많은 인물들 가운데 풍부한 자료를 남긴 孝田 沈魯崇(1762~1837)에 주목하였다. 심노숭의 글에서 역병과 관련한 질병 서사의 양상을 크게 ‘육체의 증언으로서의 질병 서사’, ‘말하는 몸을 통한 공감의 질병 서사’, ‘육체의 소멸과 애도의 질병 서사’로 구분하였다. 세 가지 양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육체가 반응하는 양상 및 그 변화의 과정을 매우 세밀하고 구체적으로 관찰하고 이를 기록으로 남겼다는 점, 육체적 고통만을 서술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정신적 고통까지 함께 서술하였으며, ‘말하는 몸’을 통해 주체를 재발견하였다는 점, 이와 같은 육체 증언으로서의 질병 서사는 심노숭의 육체에 대한 인식과 연관해서 해석할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을 지적하였다. 또한 심노숭에게 있어 성적인 욕망에 대한 긍정, 음식에 대한 감각과 취향 등은 모두 육체적 욕구와 욕망에 대한 자연스러운 이해와 연결된다. 인간을 살아있는 감각적 주체, 육체적 주체로 인식하는 연장선 위에서 심노숭은 역병을 앓고 있는 자신의 육체적 반응을 매우 섬세하고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육체적 고통 속을 살아가는 자신의 자아에 대해 새롭게 성찰할 수 있었다. 인간을 살아있는 존재로서, 욕망과 감정을 지닌 개별적 자아로서 긍정하였던 일련의 사고와의 관련 속에서 우리는 역병 체험 서사에 나타난 육체의 증언을 해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 KCI등재

        비/국민의 차별과 배제-재일한센인의 수기와 한일 요양소 기행

        한순미 상허학회 2020 상허학보 Vol.58 No.-

        The study focuses on the daily notes written by Korean Hansen's Disease patient[HDP] residing in Japan, and the travel essays to the leprosarium, which are in Korea and Japan. Those were included in the ‘Leprosy Enlightenment magazine’ THE VISION. The subjects who recorded the notes and the articles were people in different positions. The memoirs of the daily notes are autobiographical records left by Korean HDPs residing in Japan. On the other hand, the travel reports to a leprosarium in Korea and Japan are that were written by Korean and Japanese people involved Hansen’s disease who added impressions after visiting organizations in both countries. In the June 1965 issue of the magazine THE VISION published an article titled Appeal of Korean Japanese by the Nagashima-Aiseien Korean Friend Association(1965.4.22), which reported the reality of the Korean people who discriminated against for being Korean. The magazine also introduced the lives of Koreans living in Japan, including Nagashima-Aiseien[長島愛生園] and Oku-Komyoen[邑久光明園]. The daily records describe the survival of HDPs who moved to Japan from colonial Korea, and the life of fighting the disease, some of which reprinted the writings of The Lonely Island(1961). In the record life of Korean Japanese with Hansen’s disease, we first pay attention to the following two points: The record is a detailed report of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as a Korean and HDP in Japan. The autobiographical records of the Korean Japanese raise a more sensitive point because they spoke from the position as the Non[非]/people, which is the boundary of the people, not the people, or the people, who are not the people. One paragraph can read in A half-life of hardship[荊棘의 半生記](1973.2∼1974.10) by Kawano Jun[川野順]. Next, Hansen’s disease patient self-description shows pre/post disease occurrence experiences with disasters such as earthquakes and food shortages, the Sino-Japanese War, the Pacific War,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They cross-narrated the process of the deterioration of a disease with the suffering caused by disasters. In this regard, in Hansen's disease patient autobiography, disasters are not just a metaphor, but another term referring to the sick body. Since the publication of the magazine THE VISION, exchanges between Hansen's disease officials in Korea and Japan have been more brisk. A trip to a nursing home by Hansen's disease officials in Korea and Japan provided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situation at care facilities for HDPs in Korea and Japan. Yoo Jun[柳駿] and Shin Jeong Ha[辛定夏], they toured sanitarium and recorded conversations with officials in Japan. Meanwhile, Hamano Kikuo[濱野規矩雄] and Yamazaki Sotaro[山崎宗太郞] refer to leprosy management policy and settlement projects in Korea. How was the view of leprosarium in Korea and Japa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utside? What difference did the scenes of leprosarium in Korea and Japan recorded in the eyes of a foreigner differ from a realistic situation? The question expects to be answered through progressing researches on Hansen’s disease/HDP in both countries. This consideration leaves for a further task. 이 글에서는 ‘나병 계몽 잡지’ 『새빛』에 수록된 재일한센인의 수기(手記)와 한일 한센병 요양소 기행문에 주목한다. 수기와 기행문을 기록한 주체들은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었다. 재일한센인의 수기가 일본에 거주한 한센인들이 남긴 자전적 기록이라면, 한국과 일본의 한센병 요양소 기행문은 의학계, 종교계, 출판계 인물들이 양국의 요양소를 다녀온 후 감상을 덧붙여 쓴 보고서이다. 『새빛』 1965년 6월호에는 ‘일본 장도애생원 한국인동지회’(1965.4.22)가 보낸 「在日僑胞 患友의 呼訴」라는 글을 게재해 “韓國人이라는 까닭으로 實際로 差別待遇를 받고 있”는 재일한센인들의 실상을 알렸다. 이어서 ‘在日僑胞患者의 生活記錄’ 혹은 ‘在日僑胞 患友 手記’라는 코너를 마련해 장도애생원(長島愛生園)과 읍구광명원(邑久光明園) 등지에 거주한 재일교포 한센인들의 생활을 소개했다. 이 ‘生活記錄’ ‘手記’에는 식민지 조선에서 일본으로 건너간 한센인들의 생존 투쟁과 투병 생활이 담겨 있는데 그 중의 일부는 『외딴 섬-孤島:在日韓國人癩患者들의 生活手記』(1961)의 글들을 다시 게재한 것이다. 재일한센인들의 ‘생활기록’에서 우리는 다음 두 가지 점에 우선 관심을 둔다. 이 기록은 일본에서 조선인이자 한센인으로서 차별과 배제의 경험에 대한 상세한 보고라는 점이다. 재일한센인들의 자전적 기록은 국민이면서 국민이 아닌 존재, 혹은 국민이 아니면서 국민이라고 할 수 있는 경계인, 즉 비/국민의 위치에서 발언한 것이기에 더욱 예민한 논점을 제기한다. 오랜 동안 연재된 川野順의 『在日僑胞 患友 手記:荊棘의 半生記』(1971; 1973.2∼1974.10)에서 그 한 단락을 읽을 수 있다. 다음으로 한센인들의 자기서사는 발병 전과 후의 체험을 지진과 식량 부족, 중일전쟁, 태평양전쟁, 해방과 한국전쟁 등 재난의 상황과 함께 서술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질병이 악화되는 과정을 재난이 야기한 현실의 고통과 교차 서술한다. 그런 점에서 한센인의 자전서사에서 재난은 단순한 은유가 아니라 한센병에 걸린 몸을 가리키는 다른 말이다. 잡지 『새빛』 발간 이후, 한일 한센병 관계자들 간의 교류는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이 시기, 한국과 일본의 한센병 관계자들이 남긴 요양소 기행문은 한일 한센인 요양 시설의 상황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柳駿의 「日本의 癩病을 보고」(1965.6∼9)와 辛定夏의 「日本癩界見聞記」(1968.6∼10)는 일본의 요양소 및 기관을 탐방해 관계자들과 나눈 이야기를 기록하였다. 한편, 濱野規矩雄의 「韓國의 癩病」(1965.7∼9)과 山崎宗太郞의 「韓國 癩園 訪問記」(1969.8∼1970.4)에서는 한국의 나병 관리정책 및 정착촌 사업 등에 관해 언급하였다. 바깥에서 본 한국과 일본의 한센병 요양소 풍경은 어떠했을까. 그들이 외국인의 눈으로 기록한 양국의 요양소 풍경은 실제 현실과 어떤 차이가 있었을까. 이 물음은 양국의 한센병/한센인 연구가 진척되면서 차츰 응답할 수 있길 기대한다.

      • KCI등재

        『침묵의 시간』에 나타난 서사적 장치로서의 질병

        조민현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20 이베로아메리카硏究 Vol.31 No.2

        Time of Silence is a work which presents a new novelistic aesthetics through verbal experiments and segmented narrative techniques, breaking away from the dominant realist tradition of novels in the 1950s. Nevertheless, this work does not merely focus on introducing aesthetics changes, but it also offers a deep reflection of human beings and their society at a broader level. Although this novel is different from the social novels of previous times, it still contains similar social critical elements, and the figure of the main character is built up under an eminently existentialist perspective. In addition, the introduction of demythologizing elements contributing to the deconstruction of the Spanish national narrative established during the Francoist era is also remarkable. In this context, Time of Silence has been understood in various ways apart from its experimental dimens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usage of disease as the narrative device which enables multi-layered interpretations. In this novel, disease encompasses not only physical disturbances, but also social and existentialist phenomena related to human existence which are implied metaphorically. In fact, various diseases appear in this work and carry a great weight in the narrative. A good example of this is the employment of cancer research as a basic driving force in the development of the narrative, as it is useful to show the particular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The main character of the novel is deeply frustrated with his study on the effect of cancerous cells, which leads him to the “disease of reason” and “Spain’s disease”, metaphorical expressions for social phenomena and also for the portrayal of the main character in a state of lethargy. All this reminds us of the despair that Kierkegaard expressed in “Sickness Unto Death”. In this way, this study examines how the pathological factors presented in Time of Silence function as narrative devices and how they are closely connected to the problematic perceptions of individuals and society which this work tries to present. 『침묵의 시간』은 1950년대의 사실주의 소설 전통에서 벗어나 언어적 실험과 분절적 방식의 서술 기법으로 새로운 소설 미학을 보여준 작품이다. 그런데도, 이 작품은 형식적인 개혁에만 머물지 않고 보다 광의의 차원에서 인간과 사회에 관해 심도 있게 성찰한다. 이 소설은 이전 시대의 사회 소설과는 다르지만, 여전히 사회 비판적인 요소를 내포하고 있으며, 주인공의 모습이 실존주의적 전망 아래 해석된다. 또한, 프랑코 시대에 세워놓은 스페인적 신화를 해체하려는 탈신화적 성격 역시 두드러진다. 이렇게 『침묵의 시간』은 실험적인 성격 이외에도 다양한 측면에서 그 의미가 논의되어왔다. 본 연구는 이렇게 다층적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이 소설의 서사적 장치로서 질병이 갖는 의미에 주목하였다. 여기서 질병은 단지 의학적 질병뿐만이 아니라 그것의 은유로 암시된 사회적 현상과 인간 실존과의 관련성을 포괄한다. 구체적으로 작품에는 여러 질병에 관한 언급이 나오는데, 그중에서도 인간과 사회의 상호관계를 토대로 한 암 연구가 이야기 전개의 기본적인 동력으로 작용한다. 주인공은 이 연구에서 좌절하는데, 그것은 사회적 현상을 가리키는 비유적 표현으로서 ‘이성의 병’과 ‘스페인의 병’으로 연결되며, 무기력 상태에 빠진 주인공의 모습은 키르케고르가 ‘죽음에 이르는 병’이라고 이름한 절망을 떠올리게 한다. 이렇게 본 연구는 『침묵의 시간』에 제시된 병적인 요소가 중요한 소재일 뿐만 아니라 작품이 표방하는 개인과 사회에 대한 문제적 인식과 긴밀히 연결되는 서사적 장치로 기능함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COVID-19로 본 감염병과 서사

        김진경 ( Jinkyong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는 COVID-19 극복을 위해 요청되는 사회적 공감과 배려를 위한 윤리적 토대로서 서사가 지니는 의의에 대해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COVID-19 상황에서 감염병의 위기라는 거대 서사가 가지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국민적 참여와 공감을 이끌어내기 위한 토대로서 서사의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서사의 의미와 감염병에 걸린 환자의 질병서사를 중심으로 감염병의 상황 속에서 작은 서사가 가지는 의미와 중요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감염병으로 고통받는 환자의 작은 서사는 감염병 위기 속에서 질병에 대한 더욱 정확한 이해와 이야기를 통한 타자와의 소통 및 타자를 위한 윤리적 실천을 이끌어내기 위한 토대가 될 수 있음을 고찰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하여 앞으로 COVID-19와 같은 감염병 유행의 상황 속에서 ‘작은 서사’의 활용을 통하여 상호 공감과 배려를 위한 윤리적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how much significant narratives could be as an ethical base on which social sympathy and consideration are promoted towards the overcoming of the COVID-19. For the purpose, the study discussed issues with so-called the master narrative of infectious disease crisis,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COVID-19, and seriously considered the need to create little narratives based on which people would take part in or sympathize with the spread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 Then, this research examined what is the very meaning of little narratives as mentioned above and how much meaningful and important those narratives could be to people, particularly patients with infectious disease. This study is worthwhile since it tried to verify that little narratives as to patients suffering infectious disease basically could provide a more exact understanding of that disease on one hand and, on the other hand, induce relevant communications with others as well as ethical practices for others. In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little narratives’ discussed here could be a basic ethic that encourages people to get sympathetic and considerate with each other, ultimately helping cope better with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 more specifically, pandemic like the COVID-19.

      • KCI등재

        판소리 사설에 나타난 질병에 대한 기억과 반응 - 19세기 콜레라의 유행과 <변강쇠가>를 중심으로 -

        오성준(Oh, Seong-jun) 국문학회 2021 국문학연구 Vol.- No.43

        본 논문은 전염병 체험의 기억이 형상화된 작품으로 판소리 사설 <변강쇠가>에 주목하여, 19세기 조선에 유행했던 콜레라의 실상 위에서 <변강쇠가>에 나타난 질병에 대한 기억과 반응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본격적인 논의를 위해 먼저 19세기 조선의 콜레라 대유행과 관련된 기록들을 통해 전염병의 시작과 전파 속도 및 범위, 증상과 대상을 중심으로 전염병 체험이 집단의 기억 속에 각인된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평안도에서 시작된 콜레라가 엄청난 속도를 자랑하며 19세기 조선 사회 전체에 큰 고통과 수많은 시체를 남겼던 사실, 그리고 상층보다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현실에 놓여있었던 하층 민중들에게 더 큰 피해를 주었던 사실을 확인했다. 그리고 이러한 체험이 당시 조선 사람들에게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를 방불케하는 공포와 불안의 기억을 남겼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전염병 체험의 기억이 <변강쇠가>에 형상화된 흔적을 살펴보았다. <변강쇠가>의 전반부에서는 평안도라는 작중 공간 설정, 접촉으로 인한 대량의 죽음을 중심으로 전염병의 기억이 작품 속에 형상화된 모습을 확인했다. 작품의 중반부에서는 강쇠의 죽음을 둘러싸고 전염병이 남긴 고통의 증상 및 빠른 전파 속도와 관련된 기억, 그리고 ‘가난한 자의 역병’이라는 씁쓸한 현실에 대한 기억이 형상화의 주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작품의 후반부에서는 산 자와 죽은 자가 공존하는 공간 설정, 땅과 사람에 붙어버린 시체의 모습, 이를 갈아 없애는 결말에 콜레라로 인해 시체가 범람했던 19세기의 흔한 풍경이 투영되어있음을 확인했다. 이후 전대미문의 전염병 충격에 대한 반응이 <변강쇠가>에 어떻게 드러났는지를 파악하고자 했다. 특히 공동체 경계 안에 있는 존재들이 공론을 통해 옹녀와 강쇠를 타자화하고 처리하는 과정에 주목했다. ‘우리’와 ‘그들’ 사이에 놓인 담장이 더욱 높고 견고해지는 모습을 통해, 전염병에 대한 반응으로서‘차별과 배제의 논리’가 <변강쇠가>를 주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대처할 수 없는 위기의 상황마다 ‘차별과 배제의 논리가’ 등장하는 역사적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19세기 조선 사회에서 콜레라라는 전대미문의 질병이 빚어낸 인간성의 비극을 <변강쇠가>가 잘 보여주고 있다고 보았다. 19세기의 콜레라와 21세기의 코로나19, 전염병이라는 유사한 위기 상황에 서 질병에 대한 반응이 보여주는 ‘인간성의 수준’은 200년 전과 비교했을 때19세기의 콜레라와 21세기의 코로나19, 전염병이라는 유사한 위기 상황에서 질병에 대한 반응이 보여주는 ‘인간성의 수준’은 200년 전과 비교했을 때 얼마나 나아졌는가? 여전히 차별과 적대, 그리고 혐오와 배제의 논리가 작동하고 있지는 않은가? <변강쇠가>가 던지는 이상의 질문은 오늘날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처럼 <변강쇠가>는 19세기 조선 사회의 콜레라 대유행이 남긴 기억과 이에 대한 반응을 작품 전체에서 문학적으로 잘 형상화하고 있으며, 전염병의 기억 위에서 인간의 문제에 대해 본질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다. 그런 점에서 한국 문학사에서 ‘질병 문학’을 논할 때, 19세기를 대표하는 ‘전염병 서사’로서 판소리 사설 <변강쇠가>의 문학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얼마나 나아졌는가? 여전히 차별과 적대, 그리고 혐오와 배제의 논리가 작동하고 있지는 않은가? <변강쇠가>가 던지는 이상의 질문은 오늘날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처럼 <변강쇠가>는 19세기 조선 사회의 콜레라 대유행이 남긴 기억과 이에 대한 반응을 작품 전체에서 문학적으로 잘 형상화하고 있으며, 전염병의 기억 위에서 인간의 문제에 대해 본질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다. 그런 점에서 한국 문학사에서 ‘질병 문학’을 논할 때, 19세기를 대표하는 ‘전염병 서사’로서 판소리 사설 <변강쇠가>의 문학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mories and reaction to the disease in Pansori Byeongangsoi-ga based on the facts of cholera pandemic in Joseon society in the 19th century. First, through the records related to the cholera pandemic in Joseon society in the 19th century, we looked at the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the infectious disease experience imprinted in the memory of the group, focusing on the starting point, the speed and spread range, symptoms and objects. It was confirmed that cholera, which started in Pyeongando, boasted a tremendous speed and left great pain and numerous corpses in the entire 19th century Joseon societ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lower class people who were in a difficult economic condition were damaged more than the upper class. And it can be seen that this experience left the memories of fear and anxiety reminiscent of PTSD to the Joseon people at that time. Based on this, This study looked at the traces of the memories of the infectious disease experience in Byeongangsoi-ga. In the first half of Byeongangsoi-ga, the memory of the infectious disease was confirmed through the setting of death due to contact, mass death, and the starting space(Pyeongando). In the middle of the work, it can be seen that memories related to the symptoms of the pain left by the contagious disease, the rapid spreading speed, and bitter reality of “the plague of the poor” are the main elements of the formation. In the second half of the work,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mon scenery of the 19th century, when the body was flooded, is projected into the space wh e re the living and the dead coexist, the appearance of the corpse stuck to the ground and people, and the ending of grinding away teeth. After that, I tried to understand how the reaction to the shock of the infectious disease was revealed in Byeongangsoi-ga.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pay attention to the process by which people in the boundaries of the community otherize Ongnyeo and Gangsoi through public opinion. Through the appearance of the fence between ‘we’ and ‘them’ becoming taller and more solid, it was confirmed that “the logic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was leading the way in response to the epidemic. In addition, by looking at the historical cases in which the logic of discrimination and exclusion appears in, Byeongangsoi-ga shows the tragedy of humanity caused by the unprecedented disease of cholera in Joseon society in the 19th century. In a similar crisis situation of cholera in the 19th century and COVID-19 in the 21st century, How much has the ‘level of humanity’ which can be confirmed by the response to the disease improved compared to 200 years ago? Are the logics of discrimination and hostility, hatred and exclusion still in operation? The above questions posed by Byeongangsoi-ga have great implications even today. As such, Byeongangsoi-ga literately well portrays the memories of the cholera pandemic in the 19th century Joseon society and their reactions to it, and raises fundamental questions about human problems based on the memory of the epidemic. In this regard, when discussing “disease literature” in Korean literature history, Pansori Byeongangsoi-ga can be “epidemic narrative” representing the 19th century.

      • KCI등재

        환경재난문학에서의 신체 표상 - 하라다 마사즈미『미나마타의 붉은 바다』를 중심으로 -

        최가형(Choi, GaHyung) 동아시아일본학회 2024 일본문화연구 Vol.- No.89

        The occurrence of environmental disasters is inextricably linked to pollution and disease. In particular, diseases caused by environmental disasters involve unfamiliar symptoms and pains that mankind has never experienced before and have a fatal impact on life.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the body representation of patients with Minamata disease, which is both a record of the disease itself and a window for looking into the discourse surrounding the disease. Masazumi Haradas “Red Sea of Minamata”, which has rarely been covered in literature research related to Minamata disease, is a childrens literature that mainly describes the body of children, and its body representation is as follows. First, the body of a child with Minamata disease is itself a record and testimony of the disease. While the pattern of the disease as well as the pain of the patient and the pain of the family are described intact, the description as a “shielded body” that must endure a discriminatory gaze stemming from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disease emerges. Second, the body of a patient with Minamata disease is depicted as a “firing body” that itself becomes a message. Third, the appearance of a child being cared for in the problem of ‘care’ and the appearance of an adult who is the subject of care represent the words of poll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