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육자배기 토리 민요의 정서 표출과 음악적 표현 원리

        김혜정(Kim Hey jung) 국립국악원 2008 국악원논문집 Vol.17 No.-

        동일한 음악이라도 듣는 사람에 따라 느끼는 정서는 천차만별이다. 그래서 음악을 대상으로 거기에 담긴 정서를 이야기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음악학자들은 음악의 정서와 미학을 논하려는 시도를 한다. 왜냐하면 음악이 인간의 감정을 담아내는 예술이기 때문이다. 음악의 정서 논의는 자칫하면 주관적인 것으로 나아가기 쉽고, 실증적 분석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좀 더 객관적인 논의를 위하여 몇 가지 기준을 세워 대상에 접근해 보고자 한다. 첫 번째, 상대적 가치의 문제로 정서를 다루어야 한다. 두 번째, 음악의 정서 논의는 동일한 연주층과 동일한 향유층, 동일한 기능의 음악을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 세 번째, 향유층의 정서 인식 태도를 중요하게 살펴야 한다. 네 번째, 음악에서 정서의 유형을 결정하는 사항들을 찾아야 한다. 이 글에서는 위의 기준 아래에서 민요의 정서 표출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육자백이토리의 향토민요로 한정할 것이다. 음악이 표현할 수 있는 정서는 여러 가지가 있을 것이지만 우선 가장 분명히 드러나는 두 가지는 슬픈 느낌과 흥겨운 느낌이다. 물론 이러한 느낌은 노래를 부른 제보자들의 생각과 반응에 따른 것이다. 육자백이토리 민요 가운데 슬픈 곡으로 곡소리와 흥글소리를, 흥겨운 곡으로 동요와 강강술래를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조직에 있어 슬픔을 담은 노래들은 do-Si음이 우세하게 사용되며, 흥겨움을 담은 노래에서는 Mi와 La음이 우세하게 사용된다. do-Si의 이른바 꺾는 음이 슬픔을 자아낸다는 통념과 일치하는 결과이다. 또 안정감을 주는 La음과 Mi음은 슬픔보다는 안정감, 흥겨움에 가까운 기능을 가지고 있다. 둘째, 선율 진행 방법에 있어 슬픔을 담은 노래들은 do-Si음을 중점적으로 사용하면서 하행하는 구조였고, 흥겨움을 담은 노래들은 La와 Mi음 사이를 오가는 형태, 특히 Mi에서 La로의 4도 상행 진행을 많이 사용하였다. 선율의 하행과 상행의 차이가 음악의 정서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마찬가지 이유로 슬픔을 담은 노래는 주로 가장 낮은 음인 Mi음으로 종지하였고, 흥겨움을 담은 노래들은 주로 Mi음에서 La음으로 상행 종지하였다. 셋째, 장단에 있어 슬픔을 담은 노래들은 속도가 느리고 대개 한 숨을 단위로 하는 호흡 구조로 되어 있다. 박자가 불규칙하지만, 2+2+2 또는 3+3의 틀이 판소리의 진양조와 유사함을 알 수 있다. 또 흥겨움을 담은 노래들은 빠른 3소박 4박자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는데, 판소리의 중중모리, 또는 자진모리에 해당하는 속도이다. 판소리에서도 진양조와 중모리가 장엄하거나, 극도로 슬픈 광경을 묘사하는데 사용되며, 중중모리가 주로 춤추는 장면에, 자진모리가 빠른 상황 전개나 열거에 사용되는 점과 유사하다. 한편 흥겨움을 담은 노래에서도 슬픔의 요소들이 사용되고 슬픈 노래에도 흥이 담긴다. 이러한 정서의 이중성은 민요에 있어 정서 표출의 원리라 할 수 있다. 마치 소금과 설탕처럼 정서의 두 요소는 함께 있을 때 더욱 빛을 발한다. 슬픈 가운데 흥겨움이, 흥겨운 가운데 슬픔이 적절히 조화될 때 비로소 노래가 되고, 노래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이다. The emotion one feels when listening to the same music differs greatly; that is why it is difficult to talk about emotion in music. Nonetheless, many music scholars make attempts to discuss emotions and aesthetics of music. Because music is an art to express human being s emotions. Discussions for emotions in music have tendency to incline toward subjectivity, and consequently they lack substantial analysis in many cases. Therefore, in this article, several criteria have been set up to approach the objects for more objective discussion. Firstly, we should deal with emotions as a relative value. Secondly, discussions for emotion in music should target the same layer of players and enjoyers as well as the music of the same function. Thirdly, we need to examine carefully the attitudes of the enjoyers in terms of emotion recognition. Lastly, we should look for the matters that decide the types of emotion in music. In this article, under the criteria mentioned above, attempts have been made to examine the expressing condition for emotion in folksong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object has been confined to folksongs of Yukjabaekitori. There may be several kinds of emotion music can express. The most noticeable ones are the emotions of sadness and delight. Certainly, these emotions are in accord with the opinions of the informants and their reaction. Goksori and Heunggulsori from Yukjabaekitori folksongs have been selected for sad songs while traditional children s songs and Kangkangsullae are selected for delightful song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ly, in the organization of sounds, songs with sadness show dominant use of do-si sounds while delightful songs Mi and La. This is in harmony with the common idea that the bending sound of do-Si expresses sadness. La and Mi which gives stability has the function closer to stability and delight rather sadness. Secondly, in the procession of melody, songs of sadness primarily use do-Si sounds and go downward while delightful songs show the pattern of coming and going between La and Mi, especially chord progression from Mi to La.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 in melody seem to affect emotion in music. Likewise, songs with sadness end in Mi, the lowest sound while delightful songs end in La from Mi, an upward termination. Thirdly, in beat, the songs of sadness are slow and have the respiration structure that use one-breathing as a unit. Though beats are irregular, their 2+2+2 or 3+3 frame bear resemblance to Jinyangjo in Pansori. Delightful songs utilize fast 4 beat, Consist of 3 little beat; this is the speed equivalent to Jungjungmori or Jajinmori in Pansori. This is similar that In Pansori Jinyangjo and Jungmori are used to describe solemn or extremely sad scene; Junjunmori is used for dancing scene; and Janjinmori is used for quick scene development or enumeration. The elements of sadness are used in delightful songs and there is excitement in sad songs as well. This duplicity of emotion is a principle for expressing emotion in folklore. Just like sugar and salt, they produce synergy effect when they work together. When there is the optimal combination of pleasure in sadness and sadness in pleasure, a true song is made and it functions well for which it was written.

      • KCI등재

        실용적 속성과 쾌락적 속성이 소비자 감동에 미치는 영향

        장인정 ( In Jung Jang ),이완수 ( Wan Soo Lee ),황용희 ( Yong Hee Hwang ),황미진 ( Mee Jin Whang )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11 고객만족경영연구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제품의 실용적 속성과 쾌락적 속성이 각각 만족과 감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고찰해 보는데 있다. 연구 결과 감각적/부가적인 속성인 쾌락적 속성에 대한 긍정적 기대 일치가 증가할수록, 높은 환기 수준의 감정인 촉진 감정을 유발하였다. 촉진 감정은 놀라움, 흥분, 신남과 같은 감정으로, 감동에 유의한 영향을 끼쳐 쾌락적 속성이 감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소비 감정으로 드러났다. 반면 기능적/필수적 속성인 실용적 속성에 대한 긍정적 기대 일치가 증가할수록, 낮은 환기 수준의 감정인 예방 감정을 유발하였다. 신뢰감, 편안함 등이 포함되는 예방 감정은, 실용적 속성이 만족에 이르는 경로를 매개하는 소비 감정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기대 불일치 패러다임에 근거하여 쾌락적 속성에 대한 기대가 높게 존재할 경우 예방 감정을 유발하고 이는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기존 연구와 달리 쾌락적 속성은 감동뿐만 아니라 만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실용적 속성은 촉진 감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검증함으로써 실용적 속성과 쾌락적 속성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즉, 쾌락적 속성은 만족과 감동 모두에 영향을 끼치는 반면, 실용적 속성은 오직 만족에만 영향을 미치며, 감동과 감동의 선행변수인 촉진 감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만족과 감동은 결과 변수로서 측정한 미래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 결과는 일차적인 탐색적 연구로서 한국적 상황에서 감동 모형을 검증하여 향후 감동 연구에 하나의 토대가 될 수 있다. 또한 마케팅 실무자들은 소비자를 감동시키기 위한 전략 방향으로 실용적 속성 보다는 쾌락적 속성을 개선/향상 시키는, 효율적인 소비자 감동 전략을 모색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utilitarian attributes and hedonic attributes of a product on satisfaction and delight empirically. The results showed that as the met-expectations of hedonic attributes (sensual/supplementary attributes) increase, promotion emotion was generated at the level of high arousal. Promotion emotions include emotions such as surprise, excitement, and cheerfulness, all of which significantly influence delight. It was revealed that hedonic attributes are a consumer emotion that mediates the influence on delight. On the other hand, as met-expectations of utilitarian attributes, which are functional/compulsory attributes, increase, prevention emotion was generated at a level of low arousal. Prevention emotions include confidence and security, and the findings pertaining to these emotions revealed that utilitarian attributes are consumer emotions that mediate the channel to satisfaction. Additionally, on the basis of the expectancy disconfirmation paradigm, it appeared that when the expectations of hedonic attributes are high, this generates prevention emotion which influences satisfaction. Thus, contrary to existing research, it was revealed that hedonic attributes influence satisfaction as well as delight. On the other hand, it was verified that utilitarian attributes are not able to influence promotion emotion significantly, which confirms the difference between utilitarian attributes and hedonic attributes. In other words, hedonic attributes influence both satisfaction and delight while utilitarian attributes only influence satisfaction and do not significantly influence delight and promotion emotion, which is a preceding variable for delight. Moreover, satisfaction and delight are outcome variables which significantly influence the measured future behavioral intentions. As preliminary exploratory research, these research results can help to build a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on delight by verifying a model for delight in Korean circumstances. Marketing practitioners can also seek effective consumer delight strategies that improve hedonic attributes rather than utilitarian attributes to impress consumers.

      • 호텔 이용객의 고객경험이 긍정적 감정, 고객감동,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백림정(Bai, Lin-zheng),한진수(Han, Jin-Soo)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015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hotel customers experience, customer emotion, customer delight and revisit inten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customer who have used five star deluxe hotels from April 13 to 23 2015, and finally 227 questionaries were analyzed. To test the hypotheses, structural equation model is employed. The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customer experience has a positive impact on customer emotion and customer delight. Second, customer emotion affects on customer delight. Third, customer emotion and delight have a positive impact on revisit intention. In addition, strategies that arouse customer delight are discussed.

      • KCI등재

        <온달전>의 인물 서사와 정서에 대한 탐색

        김용기 ( Kim Yong-ki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0 고전문학과 교육 Vol.20 No.-

        이 글은 <온달전> 인물 서사의 특징과 인물 서사에서 발견되는 정서의 탐색에 목적을 두고 있다. <온달전>을 평강공주 서사와 온달 서사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평강공주는 ‘지략적 내조형 여성영웅’의 면모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온달은 두 가지의 영웅성이 발견되었는데, 하나는 그의 立功과 忠의 실현에서 나타나는 국가적 영웅으로서의 면모이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국가적 영웅으로 성공한 온달이 자원 출전한 전쟁에서 죽음으로서 드러나는 민중영웅적 성격이다. 온달은 국가에 공을 세워 자신의 신분적 한계를 넘으려고 했지만 그것이 좌절되면서 민중영웅적 성격을 하나 더 갖게 되었다. 그리고 <온달전>의 특이한 점은 남녀 주인공 각각의 인물 서사가 영웅담으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이들의 인물 서사에서 독특한 정서가 유발된다는 것이다. 먼저 평강공주 서사에서 나타나는 정서는 그녀의 개인적, 주관적 정서에서 민중이 함께 공유할 수 있는 집단적 정서로 변화된다. 그리고 온달 서사에서 나타나는 정서는 그의 立功과 국가적 忠의 실현에 나타나는 환희의 정서와 민중영웅으로서의 성격 부분에서 유발되는 상실의 정서로 이대별 할 수 있었다. This research is for studying the characteristic about the narration of character and emotion of On-dal and Pyeong-gang. I divided On-dal Jeon into two narrations of On-dal and Pyeong-gang. As a result, we figured out that Pyeong-gang was the heroine who assisted her husband very wisely. Two different styles of heroic characters from On-dal were identified. One isthe national heroic aspect appeared in the process of making a contribution and serving the country faithfully. The other is the folkheroic aspect appeared in the point that On-dal succeeded in winning fame as the national hero and he was dead in the war in which he volunteered to fight. On-dal tried to overcomethe limit of his status through making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nation. But, it failed so that he gained another character as a folk hero. The feature of On-dal Jeon is that the narrations of male and female character have their own heroic tales and they arouse unique emotions. In the narration of Pyeong-gang, her personal and subjective emotion changed into the mass emotion that people could share. The narration of On-dal has two different meanings of emotion. One is the emotion of delight appeared in the process of making a contribution and serving the country faithfully. The other is the emotion of loss arising out of the character of being the folk hero.

      • KCI등재후보

        「陶山雜詠」과「陶山十二曲」에서의 '興'

        신연우 국어국문학회 2003 국어국문학 Vol.- No.133

        LeeHwang's <Tosan Jabyeong> , <Tosan 12 Songs> and his thought have the concern with Nature, Saint and Human selfhood In his philosophy LeeHwang has ultra principle centric idea so he defends four right emotion and rejects seven bad inclined feelings. On the contrary in the poems he expressed delight or rejoice many times which are parts of 7 feelings. This leads us to look LeeHwang's literature and thought rather differently. Researchers were used to untie them together as one. But his literature has its own character differentiated from his thought. Through <The Prescript to Tosan Jahyeong> and <The postscript to Tosan 12 Songs>. we can understand the Delight orderly LeeHwang has dealt with. It is the feeling which bear inner order by the uniformity with Nature and LeeHwang put the element of goodness into that feeling so as to he prevent human being from overflowing of the feeling, which could lead us to vicious desire. The poems in <Tosan Jabyeong> represent the Delight to make the uniformity of Nature and Saints, especially five-word-poems show it rather concretely. LeeHwang adds <Tosan 12 Songs> with the obligation proposition through the restoration of Saint's inner rule conrolled by Heavenly Principle. LeeHwang's Delight is different fae from the ideas of poets and philosophers of Late Chosun. One of them may he Hong Dae Yong. He told Delight differently in his <The preface to Daedong Pungyo>. So after comparative research of the two, we can settle the province of LeeHwang's Delight. I'll examine it other occasion.

      • KCI등재

        <도랑선비·청정각시>에서 청정각시의 감정을 통해 본 신성의 의미

        강지연(Kang, Ji Yeon) 한국구비문학회 2020 口碑文學硏究 Vol.0 No.59

        이 논문은 함경도 무속신화 <도랑선비·청정각시>에서 서사를 지배하는 청정각시의 감정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서사의 논리를 새롭게 살펴보았다. 그동안 <도랑선비·청정각시> 연구는 청정각시의 과제 수행과 죽음의 의미를 두고 다양한 각도에서 논의되어왔다. 본고는 선행 연구에서 해명하려고 했던 고난과 죽음에 대한 의미를 청정각시의 감정에 주목하여 심층의 의미를 탐색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청정각시에게서 새로운 신의 자질과 면모를 읽어보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서사 전반을 지배하는 청정각시의 감정은 ‘슬픔’과 ‘기쁨’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감정 표출은 남성 인물로부터 통제와 억압의 대상이 되어 청정각시를 조종하고자 한다. 청정각시가 자발적으로 수행한 과제와 자결(自決)의 의미를 도랑선비와의 만남을 위한 방편으로 이해한다면 일부종사(一夫從事)를 실천하는 열녀의 이미지를 쉽게 떠올릴 수 있다. 청정각시가 수행하는 고난이 남성 권력의 상징으로 작용할 때, 청정각시의 감정은 통제되고 순종적인 여성으로 이미지가 왜곡된다. 하지만 이는 남성 주체의 관점에서 조작된 것이며, 이러한 이데올로기의 모순을 청정각시의 감정이 함의하는 바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청정각시가 겪는 고난의 본질적인 원인은 도랑선비의 죽음에 있는 것이 아니라, 만남에 집착하는 애착심에 있다. 이로부터 고난의 여정이 시작되어, 슬픔과 괴로움을 일으키는 사건의 발단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에 청정각시가 죽음을 선택하면서 기뻐할 수 있었던 것은 고통의 집착에서 벗어나 청정심(淸淨心)을 찾았다는 깨달음의 감정 표시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하여 바람직한 여성상, 헌신적 사랑과 희생 프레임에 가리어진 청정각시는 주체적인 인물로 재해석된다. 나아가 신화적 인물의 신성성은 감정의 논리에 따라 새로운 의미를 획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In this article, Hamgyeong-do shamanistic myths <Dorangseonbi and Cheongjeonggaksi>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 emotions of Cheongjeonggaksi, who dominates the narrative, and the logic of the narrative is examined anew. To date, the research on “Dorang Seonbi and Cheongjeonggaksi” has largely been devoted to explaining the meaning of the task and death in the context of the ritual. This article focuses on the feelings of Cheongjeonggaksi regarding the meaning of suffering and death that previous research tried to clarify and attempts to determine the deep meaning of this myth. The feelings of Cheongjeonggaksi, which can be found throughout the narrative, can be summed up as “sadness” and “delight.” However, this expression of emotion is subject to control and oppression from the male characters and is intended to manipulate Cheongjeonggaksi. If one understands the tasks that Cheongjeonggaksi carried out voluntarily and the meaning of killing oneself to meet Dorang Seonbi, one can easily imagine the image of a virtuous woman. However, this was created from a male-dominated perspective, and such ideological contradictions can be confirmed from the perspective of Cheongjeonggaks’s emotions. Nevertheless, the origin of the grief and suffering of Cheongjeonggaksi is not Dorangseonbi’s death. Internal factors caused by obsession are more problematic. It was confirmed that the journey of hardship was started and that it would be the beginning of an incident that caused sadness and suffering. In the end, Cheongjeonggaksi’s delight in choosing death is the realization that the agony is over, free from obsession. This suggests that the death of Cheongjeonggaksi was a release from the bondage of life and a liberation from pain. A female image, devoted love, and sacrifice are reinterpreted as a self-reliant person. The sacredness of mythical characters suggests that emotional logic can gain new meanings.

      • KCI등재

        한국인의 멋Mŏt과 정의 유가철학적 근거와 그 승화

        엄연석(Eom, Yeon-seok) 한국고전번역원 2012 民族文化 Vol.- No.40

        본 논문에서는 한국인의 ‘멋’과 ‘정’이라는 심미적 정감이 어떤 점에서 유가적 도덕 이념에 근거를 두고 있는가 하는 것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한국인에 있어서 멋은 구체적으로 전통음악, 분청사기나 조선백자, 전통 춤, 전통의상 등에서 그 미학적 양식을 찾아볼 수 있다. 반면 정은 ‘끈끈하고’, ‘아끼는 것’으로 표현되는 정서적 친근감이나 안정감, 그리고 지속적인 공감의식을 느끼는 정감을 뜻한다. 유가철학에서 언급하는 정은 여러 가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먼저 ‘정’은 외부로 표출된 욕구, 또는 욕망이란 의미로부터 내적인 마음과 그 의향, 그리고 본성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 나아가 정에는 진리와 함께 이로부터 말미암는 어떤 사태의 본 모습과 현상을 뜻하는 실정과 사실, 그리고 이에 따르는 인간의 내면적인 마음으로서 성실, 충성, 진실 등의 의미가 포괄된다. 특히 情이 도덕적 실천의 대상이 될 때 인사의 여러 문제를 당위적이고 적절하게 행하는 절차가 요구되는데 이것이 바로 예의 규범이다. 유가철학에서 이러한 예의 규범의 근본 이념으로서 仁을 실천하는 방법을 忠恕로 규정하였다. 충서는 정치적인 상하 지위를 중심으로 하는 계층적인 질서 속에서 마음으로부터 타인과 나의 공존을 인정하며, 동시에 타인과 나 사이의 차등성을 존중하는 태도이다. 유가철학에서 멋과 정이라는 미적 감수의식은 왕과 신하, 도덕적 실천과 통치의 주체가 되는 지배계급 사이, 그리고 도덕적 질서를 향유하는 백성들 사이에 도덕적 이념과 규범의 실현여부를 매개로 하는 공감의식으로부터 발로하는 열(悅), 락(樂), 우(憂)와 같은 감정으로 표현된다. 이러한 인간의 미적 감수성이 마음속에 축적되면 이것이 밖으로 자연스럽게 발로되어 정화로 드러나고 도덕적인 사업으로 발휘되어 성대한 경지에 이르게 된다. 유학에서 심미감정이 발로되어 멋이 넘쳐흐르는 사회는 개인적인 성실함에서 출발하여 도덕적 인격성을 갖춘 주체가 사회적 질서와 조화를 지향하여 恕를 통하여 외적이고 사회적인 인간관계 속에서 상호간 유대의식과 공감대가 확산되는 사회이다. This essay intended to examine that the aesthetic emotion of Korean M?t and Cheng founded on the Confucian moral ideal in some way. M?t and Cheng said in Confucianism have a several meaning category. At first, Cheng implies not only the meaning of desires or appetite represented to the outside but that of inner mind and its inclination and human nature. Moreover, in the meaning of Cheng the state and the actual circumstances signifying essence and phenomenon of some things as what derives from it with truth, faithfulness, sincerity, verity, etc. are embraced. Especially, Cheng includes the appropriate procedure through which one executes several problems properly when it becomes the expressive object of moral practice. This precisely is the norm of propriety. In Confucianism, sincerity and reciprocity is the basic method through which one practises benevolence as fundamental ideal of these norm of propriety. Sincerity and reciprocity are formulated as the attitude to respect difference between other person and I and to permit the mutual coexistence in the hierarchical order and political up-and down position. In Confucianism, aesthetic sensitivity of M?t and Cheng is expressed as emotion such as pleasure悅, delight樂, and anxiety憂, which are derived from sympathy being carried by practice of moral ideal and norm between king and subject, the governing classes, the people. When these aesthetic sensitivities are accumulated in the mind, they emerge with extravagance outside naturally and are displayed as moral enterprise, arrive at the magnificent stage. Like this, when mans emotion is displayed outside, M?t also reveals itself according to it. In Confucianism, the society in which the M?t brims over by expression of aesthetic warmth is the ideal society, in which the moral subject of individual sincerity extends mutual intimate relations and sense and sympathy through reciprocity for the purpose of social order and harmony.

      • KCI등재

        조선 전기 향촌 체험 한시와 시가 향유

        최재남 한국한시학회 2008 韓國漢詩硏究 Vol.16 No.-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relevance of Poetry and Song experienced in country districts in 16th century Chosun Dynasty. There are two groups such as the experience of country were born Seoul and country districts. The first group, for example Kim-anguk(김안국), Kim-Jungguk(김정국) and Kim-gu(김구) were born Seoul area and expelled their position because of Kimyo-Sahwa(己卯士禍). The second group, for example Lee-hyunbo(이현보), Song-sun(송순) and Kwon-homun(권호문) were born country districts and return to hometown after resigned from government service or stay in hometown their whole life. 1-1. Kim-anguk, he enjoyed his rural life with learned men and yearned the king. His favorite songs in rural life were <Jeonggwajeong(정과정)> and <Kangwolgok(강월곡)> mediated moon. 1-2. Kim-Jungguk, he watched the farmer with deep concern in poetry. And he was interested in Hoeung(呼應)folk song rather than Hoya(呼耶) folk song. 1-3. Kim-gu, he revealed anger directly, and consoled through the medium of Alcoholic liquor in poetry. And he yearned government life in Seoul at <Hwajeonbyulgok(화전별곡)>. 2-1. Lee-hyunbo, he was thirsty to return to hometown through his whole life, and put into practice reverence for parents. His <Saengilga(생일가)> is Erlebnislyric connected with his real lives. 2-2. Song-sun, he recorded surrounding scenery into Kasa <Myunangjeongga(면앙정가)>. And the recognition of his government life and rural life is separate. 2-3. Kwon-homun, he enjoyed his country life as real delights and put into <Hangeosibpalgok(한거십팔곡)>. In conclusion, we are able to summarize as following. A direction of lyric is connected with natural rural life. And the recognition of matters is connected with pleasure. So we are blessed with real delights. 이 논문은 향촌체험과 관련한 담론의 의미를 조선전기와 조선후기로 나누어 정리하고, 특히 16세기 향촌 담론이 지닌 의미를 정리하면서, 향촌 체험 한시의 실상과 시가 향유 양상을 크게 두 부류로 나누었다. 향촌 체험의 성격에 따라 크게 나눈 두 부류는 은거와 유배 체험이 그 하나이고, 실천과 향촌 생활이 다른 하나인데, 앞의 경우는 金安國, 金正國, 金絿를 중심으로 점검하였고, 뒤의 경우는 李賢輔, 宋純, 權好文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첫째 부류에서, 김안국의 경우 향촌에서의 湖山閑適의 생활을 한시로 형상화하면서 아울러 서울에 있는 임에 대한 그리움을 달[月]을 매개로 한 우리말 노래인 <정과정>과 <강월곡>을 통해서 구체화시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노래를 통한 내면의 투사에 매개항인 달[月]을 끌어들이고 있는 것은 시가사의 전통과 관련하여 주목할 수 있는 대목이라고 보았다. 시와 노래[歌]가 만나는 지점이 향촌 체험의 내면화와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한 셈이다. 김정국의 경우에는 한시를 통하여 생산주체인 농민에 대한 애정을 드러내면서 한편으로는 자기 자신을 돌아보고 있는데, 농민의 노래인 민요를 노래하는 가창 방식을 통하여 그 변모를 확인할 수 있다. 선후창인 ‘이영차[呼耶]’에서 호응창인 ‘이야응[呼應]’으로의 전환을 꾀하고 있는 것이 그것인데, 여기에서 우리는 강제적인 부역에서 벗어나 생산 주체인 농민이 공동노동을 통하여 삶을 윤택하게 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기를 기대하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김구의 남해 생활은 동시에 유배 체험이기도 한 것이어서, 유배 체험을 통하여 힘겨움을 직설적으로 토로하거나 술을 통하여 위안을 삼거나 심리적 고통을 완화하는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경기체가 <화전별곡>은 표면적인 진술과 이면적인 지향 사이의 갈등을 읽어낼 수 있는 것이어서 체험의 간접화에 대한 실상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 둘째 부류에서, 이현보는 비록 오랜 기간 벼슬살이를 했지만 내면으로는 늘 향촌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하고 실제로 귀전한 뒤에는 향촌 체험의 서정 미학을 확인할 수 있는 <생일가> 등의 작품을 보이고 있어서 주목할 수 있다. <어부가> 산정 등을 통하여 향촌 생활에서 현실 세계를 넘어서는 서정 공간을 확보한 내용도 중요하지만, <생일가>에서 실천적인 삶이 정서적 감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길을 연 것으로 이해할 수 있어서, 체험 미학의 서정적 인식에 대한 이론적 범주를 설정할 수 있는 중요한 대목이다. 송순의 경우에는 향촌에서 지내면서 눈앞에 펼쳐지는 승경을 계기적 서술로 제시하고 있어서, <면앙정가>를 비롯한 가사 갈래가 이러한 계기적 서술과 어떠한 관련을 지니는지 해명할 수 있는 시각을 암시하기도 한다. 권호문은 서울의 체험이 없이 향촌에서만 지냈는데, 향촌에서의 삶을 ‘참된 즐거움[眞樂]’으로 인식하고 한시에서 구체적인 생활을 형상화하면서도, 이면적으로는 출처 사이의 갈등과 고뇌의 과정을 연시조인 <한거십팔곡>으로 압축해 놓았다. 향촌 체험을 다룬 시와 노래[歌]를 통하여 자연에서 참된 즐거움을 추구하는 방향을 설정하는 이론적 근거와 구체적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사물에 대한 인식의 태도를 확인하면서 시와 노래[歌]가 통합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던 셈이다. 그 핵심은 주관이나 감정이 개입된 나[我]를 ...

      • KCI등재

        Effects of atmospherics on emotions and intention with respect to involvement in different shopping environments

        Sandra Maria Correia Loureiro,구동모,Lara Ribeiro 한국마케팅과학회 2013 마케팅과학연구 Vol.23 No.4

        The present study deals with the S-O-R framework. The past five decades of research have successfully validated the S-O-R model in offline and online contexts. However,there is still room for improvement. In particular, hedonic aspects have been proposed as distinctive aspects to differentiate companies from their competitors. Previous researchers have (1) been somewhat reluctant to investigate dominance and other emotional responses, and (2) produced mixed results regarding the impact of atmospherics and emotional responses on behavior. Building on this tradition of research,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O-R model by incorporating delight as an additional emotional response and tests the moderating effects of consumers’ involvement and shopping environments (three-way interactional effects) in connection with the links among atmospherics, emotions, and intentions. The current findings demonstrate that the model fit better for low-involvement consumers than for high-involvement consumers. This was true for both offline and online environments. The results show that layout and information are two important factors in pleasing and arousing consumers, especially in the case of low-involvement consumers, and that delight is determined by both arousal and pleasure but is a determinant of both intention and word-of-mouth only for consumers with low involvement, whether they are in offline or online environmen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he conclusion.

      • KCI등재

        조위(曹偉) 시의 천기묘출양상(天機描出樣相)과 그 의미 : 정신적 자유에의 지향을 중심으로

        유호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5 民族文化硏究 Vol.42 No.-

        본고는 成宗朝 士大夫 漢詩의 특성을 해명하기 위하여 曹偉의 自然詩에 나타난 시적 특성과 정신적 지향에 대해 서술한 글이다. 조위의 자연시를 살펴보면 사물의 아름다움과 개성, 그리고 靈性을 주로 묘사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는 그가 莊子가 역설한 사물의 天機를 注視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시인은 자연물상을 자연스럽고 편안하며 자유로운 모습으로 형상화하였다. 특히 무질서하게 움직이는 것들의 이미지를 빈번히 묘사하여 그가 사물의 자유로움에 주목하고 있으며 정신적 자유를 지향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정신적 자유에 대한 지향은 자연물과의 調和나 感應을 즐겨 시화한다는 사실에서 보다 뚜렷이 드러난다. 그에게 있어 자연물과의 조화와 감응은 자연생명과 교감하여 내면을 맑힘으로써 우주의 질서에 동참하는 것이어서 이를 통해 사물과의 대립은 해소되고 孤立的인 個我는 宇宙的인 自我로 확장된다. 이를 묘사한 시에 悅樂의 정서가 솟구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이러한 자연시의 창작은 宦路에서의 속박감과 인생에 대한 허무감, 그리고 형식상의 기교를 중시했던 당대 시단의 매너리즘에 대한 반성에서 촉발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시인은 천기를 묘출한 시를 통해 당대 시단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 넣고 미적 체험의 장을 확장시켰다. 한편 그의 시는 도학에 아직 침잠하지 않은 당대 신진사류가 노장사상에서 정신적 귀의처를 발견하기도 했다는 소식을 전한다. This paper, for explaining the features of Chinese poetry of the gentry during Seongjong(成宗)'s reign, described poetic characteristics and mental intention represented Jowui'(曹偉)s poems which depicted natural things. His poems which depicted natural things shows that he seeks for the beauty and features of things and divine true character, which implies that the poet carefully looks at Cheongi(天機) of things Jangja(莊子) stressed. Accordingly, he encapsulates natural things by dividing them into a shape changing according to its life principle, a self-satisfying shape with leisure, and a free shape. Especially that he frequently depicts the image of the things which moves flexibly implies that he seeks for mental freedom. A longing for mental freedom shows more distinctly in that he enjoys representing harmony(調和) and sympathy(感應) with natural things. To him, the harmony and sympathy with natural things means participating in the order of the universe(道) by being in rapport with natural things and disclosing the inside, through which opposition to an object disappears and individual isolated self is extended to universal self. That is the reason his poems which depicted scenery are full of delightful emotion(悅樂). It can be said that such creation of natural poems was derived from restrictions in holding a government post, a sense of emptiness in life and reflection on the mannerism of current poetical circles. The poet inspired the poetical circles with new vitality through poems which depicted Cheongi and expanded the opportunity of an aesthetic experience. Meanwhile, his poems shows a fact that a mental longing was discovered through Taoism under a cultural atmosphere in which the current new scholars did not absorb Seongrihak(道學).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